이 프로젝트는 중단되었습니다.
그동안 이 프로젝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 프로젝트는 이용자의 합의, 부적절한 프로젝트, 정리 대상에 따른 프로젝트 폐지 등 프로젝트 규정에 따라 중단되었으며, 더 이상 참여하실 수 없습니다. 또한, 중단된 프로젝트의 문서는 편집이 제한됩니다. 이 프로젝트의 재개설을 원하시는 경우 나무위키:프로젝트 문서에 재개설 토론을 발제하시길 바랍니다. 재개설 절차의 자세한 사항은 나무위키:편집지침/특수 문서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동안 이 프로젝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 프로젝트는 이용자의 합의, 부적절한 프로젝트, 정리 대상에 따른 프로젝트 폐지 등 프로젝트 규정에 따라 중단되었으며, 더 이상 참여하실 수 없습니다. 또한, 중단된 프로젝트의 문서는 편집이 제한됩니다. 이 프로젝트의 재개설을 원하시는 경우 나무위키:프로젝트 문서에 재개설 토론을 발제하시길 바랍니다. 재개설 절차의 자세한 사항은 나무위키:편집지침/특수 문서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나무위키 의학 프로젝트 | |||
작성 필요 | 보완 필요 | 프로젝트 성과 | 재개설 이전 |
1. 개요
성과 작성 시에는 해당 문서로의 링크와 편집 날짜를 동시에 표기해 주시면 됩니다.예) 문서 링크 (2021.05.30) - 비고, 특기 사항
2. 생성된 문서
2.1. 2021년 5월
총 5개2021년 5월 30일부터 시작
2.2. 2021년 6월
총 47개- 연충 (2021.06.01)
- 눈밑지방 (2021.06. 01) - 의학, 외과, 눈(신체)분류 적용
- 틀:그람 양성균 (2021.06.01)
- 틀:그람 음성균 (2021.06.02)
- 구획증후군 (2021.06.03) 자료1 자료2 참조하여 작성.
- 무맥박 (2021.06.03)
- 템플릿:기생충 (2021.06.03)
- 폐흡충 (2021.06.03)
- X자형 다리 (2021.06.03)
- 분선충 (2021.06.04)
- 시상(뇌) (2021.06.04)
- 사이뇌 (2021.06.04)
- 편충 (2021.06.04)
- 맥버니점 (2021.06.05)
- 병원체연관분자패턴 (2021.06.06)
- 손상연관분자패턴 (2021.06.06)
-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2021.06.06)
- 메티실린 (2021.06.06)
- 프로퍼딘 (2021.06.06)
-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2021.06.06)
- 만노스결합렉틴 (2021.06.06)
- 항인지질항체증후군 (2021.06.10)
- 아밀로이드증 (2021.06.13)
- 압통 (2021.06.13)
- 옵소닌, 옵소닌화 (2021.06.15)
- 막공격복합체 (2021.06.15)
- 밀봉붕대법 (2021.06.15)
- 자동맥 (2021.06.15)
- 노동맥 (2021.06.16)
- 약력학 (2021.06.19)
- 십이경맥 (2021.06.19)
- 본초학 (2021.06.21)
- 담음 (2021.06.21)
- 변증시치 (2021.06.21)
- 기경팔맥 (2021.06.22)
- 경혈 (2021.06.23)
- 경락 (2021.06.23)
- 약동학 (2021.06.24)
- 종양유전자 (2021.06.25)
- 약물 상호작용 (2021.06.26)
- 작용제, 길항제 (2021.06.27)
- 콜린에스터분해효소 억제제 (2021.06.27)
- 어댑터 단백질 (2021.06.29)
- 지질 뗏목 (2021.06.29)
- 종양억제유전자 (2021.06.30)
2.3. 2021년 7월
총 73개- p53 (2021.07.01)
- 콜린작용제 (2021.07.01)
- 콜린길항제 (2021.07.02)
- 면역글로불린 A (2021.07.03)
- 틀:항체 (2021.07.03)
- 면역글로불린 M (2021.07.03)
- 면역글로불린 G (2021.07.03)
- 면역글로불린 D (2021.07.04)
- 면역글로불린 E (2021.07.04)
- 선천성 림프구 세포 (2021.07.04)
- 수동면역 (2021.07.04)
- 세포독성 T 세포 (2021.07.04)
- T 세포 수용체 (2021.07.05)
- 림프구 신호전달 (2021.07.06)
- 면역수용체 티로신 기반 활성 모티프 (2021.07.06)
- Fc 수용체 (2021.07.06)
- 신호 전달 (2021.07.06)
- 포식작용 (2021.07.07)
- 틀:면역계의 세포 (2021.07.07)
- COMT 억제제 (2021.07.08)
- 호중구 세포외 덫 (2021.07.08)
- 세포예정사 (2021.07.08)
- 무반응 수용체 (2021.07.09)
- 알파 차단제 (2021.07.10)
- 암순응 (2021.07.10)
- B 세포 수용체 (2021.07.11)
- 이온 통로 수용체 (2021.07.12)
- 능동수송, 일차능동수송, 이차능동수송 (2021.07.13)
- 이차 전달자 (2021.07.15)
- 전사 인자 (2021.07.15)
- 효소 연결 수용체 (2021.07.15)
- 용량-반응 관계 (2021.07.15)
- 이뇨작용 (2021.07.17)
- 단순 확산, 촉진 확산, 수동수송, 여과 (2021.07.18)
- 틀:임상의학 (2021.07.19)
- 의학유전학 (2021.07.19)
- 청소율 (2021.07.19)
- 포도당 신생합성 (2021.07.20)
- 위내용 배출 시간 (2021.07.20)
- 생체 내 변환 (2021.07.20)
- 베타 산화 (2021.07.21)
- 아미노산 대사 (2021.07.21) - 아미노산 이화작용
- 틀:예방의학 (2021.07.21)
- 초회 통과 효과 (2021.07.21)
- 지방산 대사 (2021.07.21)
- 오탄당 인산경로 (2021.07.21)
- 마이크로솜 (2021.07.21)
- 글리코겐 대사 (2021.07.21)
- 포스파티딜이노시톨 (2021.07.22)
- 단백질 대사회전 (2021.07.22)
-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 (2021.07.23)
- 스핑고미엘린 (2021.07.23)
- 정맥환류량 (2021.07.26)
- 오토 프랑크(생리학자) (2021.07.26)
- 프랑크-스탈링 법칙 (2021.07.26)
- 압력-용적 고리 (2021.07.27)
- 심장 주기 (2021.07.28)
- 신경해부학 (2021.07.29)
- 양성자 펌프 억제제 (2021.07.29)
- 발열, 발열원 (2021.07.29)
- 확장기말용적, 수축기말용적 (2021.07.29)
- 에밀 아돌프 폰 베링 (2021.07.30)
- 소마토스타틴 (2021.07.30)
- 양성자 펌프, 양성자 칼륨 펌프 (2021.07.31)
- 위장관 호르몬 (2021.07.31)
- 가슴등신경, 위어깨밑신경, 아래어깨밑신경 (2021.07.31)
2.4. 2021년 8월
총 62개- 브로드만 영역 (2021.08.01)
- 내분비 (2021.08.02)
- 자율신경계 (2021.08.05)
- 이식증 (2021.08.07)
- 면역 관용 (2021.08.08)
- 리노바이러스 (2021.08.08)
- 코샘 (2021.08.08)
- 쥘 보르데 (2021.08.09)
- 배뇨 (2021.08.09)
- 교감신경계, 부교감신경계 (2021.08.10)
- 알파 작용제 (2021.08.11)
- 아드레날린 작용성 수용체 (2021.08.11)
- 치쿤구니아 바이러스, 뎅기바이러스, 존커닝햄 바이러스 (2021.08.11)
- 골격근 (2021.08.11)
- 부생성포도상구균 (2021.08.11)
- 홍역바이러스, C형 간염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2021.08.12)
- 활동전위, 분극 (2021.08.12)
- 결핵균 (2021.08.12)
- 베타 작용제 (2021.08.13)
- 공해병 (2021.08.13)
- 게르하르트 아우메우에르 한센 (2021.08.13)
- 항경련제 (2021.08.13)
- 탄저균, 나균, 세레우스균 (2021.08.13)
- 로타바이러스 A형 (2021.08.13)
- 클로스트리디움속 (2021.08.14)
- 화농성연쇄상구균 (2021.08.14)
- 두창바이러스, 웨스트나일바이러스 (2021.08.14)
-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 스트렙토코커스 디스갈락티아 (2021.08.14)
- 틀:약리학 (2021.08.14)
- 폐렴구균, 장내구균,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2021.08.15)
- 항불안제 (2021.08.15)
- 사람 T세포 림프친화 바이러스 (2021.08.15)
- 보르나병바이러스 (2021.08.16)
- 로널드 로스 (2021.08.16)
- 에리시펠로트릭스, 돼지단독균 (2021.08.16)
- 나이세리아, 임질균, 수막구균 (2021.08.17)
-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헤모필루스 (2021.08.17)
- 미코플라스마 (2021.08.19)
- 폐렴미코플라스마 (2021.08.20)
- 리케차 리케치, 리케차 프로바제키 (2021.08.20)
- 쯔쯔가무시균, 오리엔티아, 에를리키아, 콕시엘라 버네티 (2021.08.21)
- 수직감염 (2021.08.29)
2.5. 2021년 9월
총 41개- 신놈브레바이러스 (2021.09.03)
- 항미생물 화학제 (2021.09.07)
- 흥분 전도 (2021.09.07)
- 아미카신 (2021.09.08)
- 동공반사 (2021.09.08)
- 독시사이클린 (2021.09.08)
- 중뇌 (2021.09.09)
- 정맥주사 (2021.09.09)
-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2021.09.11)
- 멸균 (2021.09.11)
- 무균 (2021.09.12)
- 스탠리 프루지너 (2021.09.13)
- 토머스 헌트 모건 (2021.09.13)
- 발터 루돌프 헤스 (2021.09.14)
- 얼 윌버 서덜랜드 (2021.09.14)
- 샤를 리셰 (2021.09.14)
- 알렉시 카렐 (2021.09.14)
- 알바르 굴스트란드 (2021.09.14)
- 아우구스트 크로그 (2021.09.14)
- 로베르트 바라니 (2021.09.16)
- 전정기관 (2021.09.16)
- 도네가와 스스무 (2021.09.16)
- 유행성이하선염바이러스 (2021.09.17)
- 파울 에를리히 (2021.09.17)
- 넙다리동맥 (2021.09.17)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2021.09.20)
- 채혈기 (2021.09.20)
- 녹농균 (2021.09.21)
- 이케다 기쿠나에 (2021.09.21)
- 미뢰 (2021.09.21)
- 역학(의학)/관련도와 영향도의 측정 (2021.09.21)
- 혀유두 (2021.09.21)
- 한천배지 (2021.09.22)
- 혈액한천배지 (2021.09.22)
- 초콜릿 한천배지 (2021.09.22)
- 영양배지 (2021.09.23)
- 펩톤수 (2021.09.24)
- 역학(의학)/질병과 사망의 측정 (2021.09.26)
- 조반니 바티스타 그라시 (2021.09.27)
- 디피실리균 (2021.09.29)
- 김사 염색 (2021.09.30)
2.6. 2021년 10월
총 23개- 황열병바이러스 (2021.10.08)
- 프로락틴 (2021.10.12)
- 알칼리펩톤수 (2021.10.14)
- 이질아메바 (2021.10.16)
- 넙다리뼈 (2021.10.17)
- 정강뼈 (2021.10.18)
- 종아리뼈 (2021.10.19)
- 목빗근, 복장뼈각, 위가슴문, 팔머리동맥, 온목동맥, 속목동맥, 바깥목동맥 (2021.10.20)
- 깊은넙다리동맥, 위창자간막동맥, 아래창자간막동맥, 복강동맥, 샘창자 (2021.10.21)
- 찰스 스콧 셰링턴 (2021.10.21)
- 사람 아데노바이러스 2형 (2021.10.23)
- 힐의 기준 (2021.10.30)
- 역학(의학)/연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편향 (2021.10.31)
2.7. 2021년 11월
총 2개2.8. 2021년 12월
총 6개- 이뇨제 (2021.12.13)
- 우역바이러스, 토크테노바이러스 (2021.12.19)
- 리프트밸리열바이러스 (2021.12.20)
- 항혈전제 (2021.12.20)
- 감자 Y 바이러스 (2021.12.21)
2.9. 2022년 1월
총 24개- 스탈링 방정식 (2022.01.04)
- 어니스트 스탈링 (2022.01.07)
- 불응기 (2022.01.07)
- 고막긴장근 (2022.01.15)
- 등자근 (2022.01.17)
- 리노바이러스 A (2022.01.20)
- 눈둘레근, 눈썹주름근 (2022.01.20)
- 고요산혈증 (2022.01.21)
- 광견병바이러스 (2022.01.22)
- 코근, 눈살근, 코중격내림근 (2022.01.24)
- 석신산 (2022.01.26)
- 경쟁적 저해제 (2022.01.26)
- 시겔라, 궁둥신경 (2022.01.28)
- 대뇌동맥고리 (2022.01.29)
- 건성 습진 (2022.01.30)
- 거대간질 (2022.01.30)
- 템플릿:정맥, 홀정맥, 팔머리정맥 (2022.01.31)
- 시구아테라 (2022.01.31)
2.10. 2022년 2월
총 8개- WHO 필수 의약품 목록 (2022.02.01)
- 속목정맥, 빗장밑동맥 (2022.02.01)
- 아프리카돼지열병바이러스 (2022.02.02)
- 항원제시 (2022.02.03)
- 가족력 (2022.02.06)
- 배리 마셜 (2022.02.12)
- 사이토크롬 P450(CYP) (2022.02.17)
2.11. 2022년 3월
총 1개- 구제역바이러스 (2022.03.18)
2.12. 2022년 4월
총 1개- 젠타마이신 (2022.04.19)
2.13. 2022년 8월
2.14. 2022년 11월
3. 보완된 문서
- 패턴인지수용체 (2021.06.06) - 문서 분리 후 내용 일부 보충
- 톨유사수용체 (2021.06.06) - 문서 분리 후 내용 일부 보충
- 인간유전체 (2021.06.28) - 문서 분리 후 내용 일부 보충
- 선천면역 (2021.07.01) - 내용이 매우 부족하여 내용 보충
-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 (2021.07.05) - 문서 분리 후 내용 일부 보충
- 면역글로불린 G (2021.07.16) - 코로나 19 관련 내용 추가
- 네른스트 식 (2021.08.12) - 생물학에서의 활용 내용 추가
- 글루탐산 (2021.08.13) - 수용체, 약리학 내용 추가
- 가스괴저균, 파상풍균, 보툴리누스균 (2021.08.14)
-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2021.08.16) - 문서 분리 후 내용 추가
- 렙토스피라증 (2021.08.21) - 문서 분리 후 내용 추가
- 세포독성 항암제 (2021.09.04) - 문서 분리 후 내용 추가
- 후천면역 (2021.09.05) - 내용이 매우 부족하여 내용 보충
- 표적 항암제 (2021.09.19) - 문서 분리 후 내용 추가
- 역학(의학) (2021.09.20) - 문서 분리 후 내용 추가
- 야토병 (2021.09.28) - 문서 분리 후 템플릿 적용
- 발진티푸스 (2021.10.16) - 문서 분리 후 템플릿 적용
- 가슴, 대동맥 (2021.10.19 ~ 10.20) - 구조 관련 내용 보충
- 입꼬리내림근, 아래입술내림근, 턱끝근, 입꼬리당김근, 큰광대근, 작은광대근, 위입술올림근, 위입술콧방울올림근, 입꼬리올림근 (2021.01.15) - 내용 보충
- 브루셀라증 (2022.01.21) - 문서 분리 후 템플릿 적용
- 지연성 근육통 (2022.01.28) - 문서 분리 후 리다이렉트 추가
- 백일해균 (2022.01.28) - 문서 분리 후 템플릿 적용
- 바나나 타래꼭지 바이러스 (2022.02.24 ~) - 내용 보충 중
4. 분류 개선
- 분류:세균의 하위 분류로 계통분류학 분류들 생성 중 (2021.06.02~)
- 분류:약리학 (2021.06.26)
- 분류:항체 (2021.07.03)
- 분류:생물학적 과정, 분류:세포 수준 과정, 분류:세포 신호 생성. (2021.07.06)
- 분류:막단백질, 분류:보체수용체, 분류:G 단백질 결합 수용체 생성. (2021.07.13)
- 분류:심혈관생리학 (2021.07.30)
- 분류:바이러스의 하위 분류로 바이러스들 분류 (2021.08.02~) - 분류:레트로바이러스, 분류:양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 분류:음성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 분류:이중가닥 RNA 바이러스, 분류:이중가닥 DNA 바이러스, 분류:단일가닥 DNA 바이러스 생성.
- 분류:약물 정리 (2021.08.16~) - 분류:항우울제, 분류:항혈전제 생성.
- 분류:예방의학 생성. (2021.09.21)
- 분류:미생물 배양 배지 생성. (2021.09.23)
- 분류:염색(생물학) (2021.09.30)
- 분류:곤충 매개 질병, 분류:인수공통전염병 (2022.01.24)
- 분류:중독 (2022.01.31)
- 분류:WHO 필수 의약품 생성 (2022.02.01)
5. 템플릿 적용
- 세균 템플릿 적용 - 레지오넬라, 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보툴리누스균, 리스테리아, 포도상구균, 리케차, 비브리오, 브루셀라, 보르데텔라
- 기생충 템플릿 적용 - 고래회충, 요충
- 바이러스 템플릿 적용 -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지카 바이러스
- 질병 템플릿 적용 - 버거씨병, 편두통, Q열, 성병성림프육아종, 안검하수, 라싸열, 유비저, 과민성 쇼크, 부정맥, 마버그열, 에볼라, 근육통, 맥각 중독, 라임병, 홍역, 황열, 파킨슨병, 모야모야병, 바이러스성 간염, 간암, 세인트루이스 뇌염, 조갑주위염, 교조증, 레트 증후군, 동공과다증, 이질(질병), 기텔만 증후군,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클라미디아, 결막염, 한센병, 백일해, 색각 이상, 야맹증, 구강암, 사마귀(질병), 고혈압, 성홍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