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15:30:51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역대 선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73180><tablebgcolor=#073180>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원형 엠블럼.svg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일반 문서
<colbgcolor=#96c800><colcolor=#073180>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야쿠르트 혼샤 로고.svg 야쿠르트 혼샤 | 과거 모기업 파일:일본국유철도 로고.svg 일본국유철도 · 파일:external/sankei.jp/logo_01.gif 산케이 신문
일본시리즈 우승
★★★★★★
1978 · 1993 · 1995 · 1997 · 2001 · 2021
리그 우승
(9회)
1978 · 1992 · 1993 · 1995 · 1997 · 2001 · 2015 · 2021 · 2022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9 · 2011 · 2012 · 2015 · 2018 · 2021 · 2022
시즌별 요약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경기장 1군 메이지진구 야구장 · 2군 야쿠르트 토다 구장 · 지방구장 봇찬 스타디움, 시즈오카 쿠사나기 구장
현역 선수 경력 무라카미 무네타카/선수 경력 · 아오키 노리치카/선수 경력 · 야마다 테츠토/선수 경력 · 오쿠가와 야스노부/선수 경력
홈 중계 채널 파일:후지테레비1 로고.jpg 후지 테레비 1
주요 인물 단장 오가와 준지 · 감독 타카츠 신고 · 선수회장 시미즈 노보루 · 주장 야마다 테츠토
구단 상세 정보 구단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유니폼 · 응원가 · 도쿄온도 · 츠바쿠로 · 도쿄 시리즈
틀 문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역대 감독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1. 개요2. 준영구결번 및 임시결번3. 출신 선수들
3.1. 투수3.2. 포수3.3. 내야수3.4. 외야수
4. 구단 출신 메이저리거5. 한국인 선수

1. 개요

역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에 재적했던 선수들을 이 항목에서 정리한다. 현역 선수단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선수단 항목 참고.

2.영구결번 및 임시결번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준영구결번
No. 27
후루타 아츠야

3. 출신 선수들

3.1. 투수

3.2. 포수

3.3. 내야수

3.4. 외야수

4. 구단 출신 메이저리거

5. 한국인 선수

나름 한국과 인연이 많은 구단이기도 하다.

파일:f_08936431.jpg

한국 선수인 임창용, 이혜천이 2000년대 후반에 활약한 것이 가장 큰 인연이다. 임창용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마무리 투수로 활약하였다. 임창용이 ‘미스터 제로’로 불릴 정도로 정상급 활약을 펼쳤고, 임창용이 등판하면 2ch 야쿠르트 응원 스레드가 ‘임’(イム)으로 도배되기도 했었다.[14] 임창용은 11년까지 부동의 마무리 투수로 활약하였으나, 2012년 팔꿈치 통증이 재발하여 몇 경기 못던지고 시즌 아웃. 결국 퇴단하고 시카고 컵스로 이적했다 이혜천은 좌완 중간계투로 2년간 그럭저럭 활약하다 귀국했다.[15] 이후 한국인 선수와는 인연이 없다가 2016년 5월에 시카고 컵스 마이너, 일본 독립리그 소속 팀인 도쿠시마 인디고 삭스에서 뛰던 외야수 하재훈과 계약하였으나 하재훈은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한 채 시즌 종료 후 퇴단해 도쿠시마로 돌아갔다.[16]

그 외에도 한국과 인연이 있는 외국인 선수들이 많은데, LG 트윈스에서 활약한 로베르토 페타지니, 우리 히어로즈 초창기에 잠시 뛴 다카쓰 신고가 대표적인 야쿠르트 출신의 외국인 선수. 그 외에도 이리키 사토시, 케빈 호지스 등이 야쿠르트를 거쳐 KBO 리그에서 뛴 외국인 선수들이다. 2020시즌에는 데이비드 뷰캐넌이 삼성에서 뛴다. 한국에서 뛰던 용병을 데려가 성공한 사례도 있는데, KIA 타이거즈에서 뛰던 걸 데려와 야쿠르트에서도 에이스로 활약한 세스 그레이싱어가 있다. 2018년에는 LG 트윈스 출신 데이비드 허프가 입단했다. 다니엘 리오스는 잊자
이렇게 한국과 인연이 많았던 이유는, 가난한 팀이기 때문에 교진이나 한신처럼 비싸고 검증된 메이저 리그 출신을 데려오기 힘들어 상대적으로 싼 가격에 보강을 할 수 있는 한국이나 대만 등의 리그에 주목을 하고 있기 때문. 영입 성공사례만 저 정도고 김동주나 배영수 등 한국 리그의 에이스들에게는 다 한번씩 눈독을 들이기도 했다. 성공만 한다면야 임창용이나 그레이싱어, 대만에서 데려온 올랜도 로만처럼 어마어마한 가성비 대박을 칠 수 있지만 허프나 이혜천, 리오스처럼 실패할 확률도 높은 방법이기도 하다. 비슷한 케이스가 역시 돈이 없어 도미니카 공화국에 카프 아카데미를 세워 용병을 키워 쓰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사례[17]. 2010년대 후반 현재는 한국프로야구가 평균연봉이 많이 올라서 더이상 가성비좋은 꿀단지가 아니게 되었기 때문에 한국 리그 출신 선수 영입은 비교적 뜸한 상태고, 한국리그 선수들의 올라간 몸값을 감당가능한 한신같은 빅클럽 쪽에서 한국리그 출신을 데려가는 추세다.

팀 역사를 빛낸 선수들 중에도 재일교포 선수들이 눈에 띈다. 일본 프로야구 통산 다승(400)과 탈삼진(4,490) 1위 기록 보유자인 '천황' 가네다 마사이치가 대표적이다.

재일교포 선수로 우에다 츠요시[18]가 있었으나 2020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하였다.

선수는 아니지만 장내 아나운서 패트릭 유가 한국국적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과 한국 이중국적이라는 듯.[19]


[1] 당시 자이언츠 킬러 또는 교진과의 경쟁심이 강했던 타 팀의 주축 투수들을 상대로 오가 기록한 성적(타율)은 타이요히라마츠 마사지는 무려 .370을, 주니치호시노 센이치는 .318, 한신에나츠 유타카는 .287이었다. 이 선수들이 전부 야스다와는 비교가 안될 만큼의 커리어를 쌓았음에도 불구하고 야스다에 비해 오에게는 다소 약한 모습을 보였던 것이었다.[2] 왜 그런지는 카와이 카즈미 항목 참조.[3] 히야네 와타루라는 백업 외야수가 실책을 해서 블론세이브를 한 일이 있었는데 덕아웃에서 대놓고 구단과 팀 동료에게 폭언을 하다가 감독에게도 꾸짖음을 듣고 징계를 먹었다. 여담으로 블론세이브를 만들어버린 히야네 역시 2016년 이후로 점차 출장기회가 줄어들다가 2018년을 끝으로 방출. 히야네는 잊을 만 하면 외야에서 실책을 저지르는 선수로 악명이 높았으며, 2014년에 한신 상대로 만든 20-11 막장대첩 역시 히야네의 히 드랍 더 볼이 원인이었다고 한다.[4] 런하기 전까지의 2016년 성적은 30경기 3승 1패 11세이브 2홀드 ERA 2.45였다.[5] 원문은 鉄砲肩の殺し屋[6] 최초의 스왈로즈 선수 출신 감독은 상술한 1966년 산케이 아톰즈 시절의 이이다 토쿠지였지만 이이다는 원래 난카이 호크스에서 데뷔. 스왈로즈에서 데뷔한 선수로 최초의 프로야구 감독이 된 것은 1973년 롯데 오리온즈카네다 마사이치.[7] 오말리 이전에 3루수를 보면서 20홈런도 친 적 있었던 야기 히로시가 있긴 했지만, 정작 야기도 저 땐 부상에 시달렸고, 결국 얼마 안 가 전문 대타요원으로 전환했다.[8] 그런데 베스트나인은 5홈런을 치고도 우승 프리미엄+베테랑 예우에 힘입어 주니치의 타츠나미 카즈요시에 넘겨주어야 했다. 역으로 골든글러브를 이와무라가 가져갔다.[9] 생긴 것 뿐만 아니라 나이도 똑같다. 거기다가 선구안과 클러치 히팅 능력이 좋은 교타자 스타일의 타격을 하는 것도 비슷하다. 또한 발이 느리고 뚱뚱한 거포이긴 하지만(시즌 30홈런과 통산 200홈런을 기록한 최준석에 비해서는 커리어하이 26홈런, 통산 128홈런으로 홈런 갯수가 한참 적지만 2011년의 통일구 사태 때 23홈런으로 센트럴리그 홈런 2위도 기록할 정도로 파워는 진퉁이었다.) 교타자 타격으로 인해 포텐이 터진 한두해를 제외하면 15홈런 안팎의 홈런 생산 능력을 가진 것까지 비슷하다. 심지어 2015년 커리어하이를 찍고 쭉 하락세를 타는 것도...(사실 하타케야마는 몸무게는 100kg 안팎이라 최준석보다 키가 7cm 더 작은 것을 감안해도 최준석이랑 비교하면 홀쭉하다.)[10] 2020년 기준 재일교포 선수 중 귀화하지 않고 한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는 최후의 선수였다.(더 있을 수도 있겠으나 스스로 공개하고 다니는 선수는 유일하다.) 이젠 은퇴하면서 2021 시즌 기준으로는 없다.[11] 공식적인 자리는 아니고 유흥을 워낙 좋아하는 야마다 테츠토가 친한 선수 몇 명이랑 유흥을 즐기는게 찍혔다(...)[12] 본인도 이 사실을 알고 있는지 2015년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이후의 맥주 끼얹기 행사에서 지인 남성(원문 知人男性)이라고 쓰인 어깨띠를 두르고 참가했다고... 사실상 컨셉으로 미는 듯하다. 참고로 모리후쿠 마사히코양석환도 이런 일화가 있다.[13] 채널의 주요 내용은 현역 시절얘기나 야구얘기(특히 야쿠르트 얘기)로 야구선수 출신 유튜버 치곤 흔하지만 유튜버 데뷔 1년만에 구독자 9만명을 넘었을 정도로 성공했다.[14] ‘임’의 일어인 イム를 붙이면 佛의 약자(仏)가 나오기 때문.[15] 그 뒤 주니치의 모리노 마사히코가 탈세로 세금을 물어내게 되자 참교육자로 재평가받았다(...).[16] 하재훈은 야쿠르트 퇴단 이후 2017년에 해외파 트라이아웃에 참가하면서 야쿠르트에서 뛰던 기간은 유예기간 기산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주장을 했는데, 이는 일본 프로야구는 프로야구 리그도 아니라는 말이 되어 야쿠르트 및 일본 야구 팬들에게 까였다. 그래도 나중에 SK에 입단해서는 마무리 투수로 자리잡으면서 이미지를 회복했다.[17] 비슷하게 야쿠르트도 브라질 출신의 일본계 선수들을 저렴하게 육성형 용병처럼 써먹으려고 영입하기도 했다. 마츠모토 유우이치가 대표적. 카프도 타마키 시게오라는 일본계 브라질인 선수를 90년대에 드래프트로 영입한 적이 있다.[18] 上田剛史. 한국 이름 주강사(周剛史). 재일교포 4세로 한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다.[19] 다만 일본에서 태어나 쭉 일본에서 살아온 케이스. 특히 고등학교도 국제학교다 보니 한국 쪽 정체성을 특별히 갖고 있으리라 보기는 어려워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45
, 9.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45 (이전 역사)
문서의 r12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