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크 호체이버 Luke Hochevar | |
본명 | 루크 앤서니 호체이버 Luke Anthony Hochevar[1] |
출생 | 1983년 9월 15일 ([age(1983-09-15)]세) |
콜로라도 주 덴버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파울러 고등학교 - 테네시 대학교 |
신체 | 196cm / 105kg |
포지션 | 선발 투수[2]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05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40번, LAD) 2006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번, KC) |
소속팀 | 캔자스시티 로열스 (2007~2016) |
[clearfix]
1. 개요
캔자스시티 로열스 소속의 전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2002년 고교 졸업반 시절, 다저스의 39라운드 전체 1191번으로 지명되었으나, 거절하고 테네시 대학교에 진학하였다. 대학 1학년 77이닝을 던지며 6승 5패 4.64 73K로 두각을 보였고 시즌 후 케이프코드 야구리그에도 뛰었다. 2학년에는 부상으로 8주를 날리기도 했지만, 4승 2패 2.86으로 더 나아진 모습을 보였고, 미국 아마추어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이후 대만에서 열린 2004 제2회 세계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출전하여 미국을 우승으로 이끌기도 했다. 3학년에는 140이닝 15승 3패 2.26 154K[3]을 기록하며 사우스이스턴 컨퍼런스 올해의 선수와 미국 대학 야구 최고 투수에게 수여되는 로저 클레멘스 상[4][5]까지 수상하게 된다.2.2. 드래프트 사가
2005년 신인 드래프트에 나온 호체이버는 엄청난 성적에 비해 에이전트가 스캇 보라스라는 이유로 막상 상위 순번에 지명이 되지 않았다.[6] 당시 7순위 지명권을 가졌던 콜로라도 로키스가 계약금 230만 달러를 제안했지만 거절했다. 결국 1라운드 전체40번으로 다저스에 지명되었고 계약금은 298만 달러를 제안받았다. 호체이버는 처음에는 구두로 동의했으나 이내 보라스와 상의하더니 입단을 거부해버린다. 이후 독립리그 포트워스 캣츠[7] 소속으로 4경기 1승 1패 2.38을 기록했고 이듬해 드래프트를 기약했다.그렇게 드래프트 재수를 결정한 호체이버는 이듬해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 지명권을 가진 캔자스시티 로열스에 지명되었다. 계약금은 350만 달러였다. 여담으로 2006년 드래프트의 최대어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의 좌완 앤드류 밀러였고 전체 1순위로 지명될 것이 매우 유력했다. 하지만 로열스는 덜컥 호체이버를 지명했고 결과론적이지만 아쉬운 결정으로 남게 되었다. [8]
2.3. 프로 시절
2.3.1. 2006-2010
한편 로열스는 호체이버에게 바로 4년 525만 규모의 장기계약을 안겨주며 큰 기대감을 표했다. 베이스볼 아메리카 유망주 랭킹이서 32위로 평가받으며 기대를 모았다. 2007년 더블A 및 트리플A에서 뛰며 총합 27경기(26선발) 152이닝 4승 9패 4.86 138K를 기록했고 퓨처스 게임에도 선발되었다. 시즌 성적만 보면 썩 인상적이다는 모습까지는 아니었으나, 그해 9월 3일 메이저로 콜업되었다. 9월 8일 뉴욕 양키스 전에 데뷔하여 1이닝 무실점으로 깔끔한 피칭을 선보였다. 데뷔 시즌 4경기(1선발) 1패 평균자책점 2.13을 기록했다.2008년 22경기(22선발) 129이닝 6승 12패 5.51 72K로 크게 부진했다. 로열스 역시 AL 중부지구 4위에 그쳤다.
2009년에는 산하 트리플A 오마하 스톰 체이서스에서 시즌을 시작했고 매우 좋은 투구 내용을 보이며 5월 10일 콜업되었다. 이틀 뒤 있던 오클랜드와의 시즌 첫 등판에서 2이닝 8실점으로 크게 부진했다. 한편 시즌 5번째 등판인 6월 12일 신시네티전에서는 9이닝 1실점으로 통산 첫 완투 및 완투승을 거두며 시즌 2승을 달성했다. 또한 9월 18일에는 화이트삭스 상대로 첫 완봉승을 기록하며 커리어 최고의 경기를 만들었다. 다만 전체적인 기록은 전년도보다 훨씬 부진했는데 25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143이닝 7승 13패 평균자책점 6.55를 기록했으며, QS는 8번에 그쳤다. 또한 104자책점은 리그 최다 3위이기도 하였다.
이듬해에는 완투승 1회 포함 6월 11일까지 6승 5패 4.96으로 약간 나아지는 모습을 보이다가 오른 팔꿈치 부상으로 2달 넘게 부상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후 9월 3일이 되어서야 메이저 로스터에 복귀했고, 남은 시즌 간 5경기에 등판하고 시즌을 마쳤다. 최종 성적은 18경기 103이닝 6승 6패 4.81로 약간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2.3.2. 2011-2013
2011년 31경기(31선발) 198이닝을 던지면서 메이저리그 첫 풀타임을 보냈다. 11승 11패 4.68 128K를 기록했고, 등판수, 이닝, 승리, 탈삼진에서 모두 최고 기록을 세웠다.하지만 2012년에는 시즌 초부터 꾸준히 부진하면서 시즌 내내 3점대 평균자책점을 한번도 기록하지 못했다. 32경기 선발 등판에서 평균자책점이 5.73으로 다시 올라갔고 특히 127실점과 118자책점은 AL 1위에 달했다. 승패 역시 8승 16패에 그쳤고 16패와 몸 맞는공 13개는 AL 최다 2위였다.
이 시점에서 로열스는 호체이버가 더 이상 선발 투수로서 성공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중간계투로 보직을 변경했는데 이 결정이 신의 한수가 되어 호체이버는 70경기에서 5승 2패 1.92로 커리어하이 시즌을 기록했고, 선발 자리를 매꾼 이적생들도 선전하면서 로열스는 시즌 막판까지 와일드카드 경쟁을 할 수 있었다. 결국 뒷심이 모자르며 AL 중부지구 3위로 포스트시즌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팀과 개인에게 충분히 성공적으로 치른 시즌으로 평가되었다.
2.3.3. 2014-2016
2014년 시즌을 앞둔 3월 3일, 스프링 트레이닝 등판에서 팔꿈치 부상을 당했다. 부상은 토미존 서저리를 받아야 할 만큼 심각한 것으로 밝혀졌고, 결국 시즌을 통째로 날리게 되었다. 로열스는 2014년 29년 만에 월드시리즈에 진출했고, 2014 올스타 게임에서 아메리칸 리그 올스타가 승리해 홈 어드벤티지와 인터리그 제도 어드벤티지까지 지닌 채 경기에 임했으나, 매디슨 범가너의 역사에 남을 투구에 무릎꿇으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한편 2014년 12월 3일, 2년 1000만 달러 규모로 로열스와 다시 계약했다.재활 후 2015년 5월 7일 클리블랜드 전에 복귀했다. 로열스는 복귀 후 첫 달 동안 9번의 등판에서 7이닝만 소화시키며 조심스럽게 다뤘다. 시즌 최종 49경기 1승 1패 1세이브 3.73을 기록하며 불펜 3대장이 건재한 가운데 힘을 보태면서, 막판 마무리 그렉 홀랜드의 토미존 서저리로 인한 이탈에도 불펜은 포스트시즌까지 좋은 모습을 보일 수 있었다. 포스트시즌에서도 중용되었고, 토론토 블루제이스를 상대로 한 ALCS 4차전에서 1.1이닝 무실점 구원승과 월드시리즈 5차전에서 2이닝 무실점 구원승을 거두는 등 포스트시즌에서 9번 등판해 10과 3분의 2이닝을 무실점으로 틀어막으며 2승을 기록했고, 로열스의 30년 만의 월드시리즈 우승에도 핵심 선수로 활약했다.
2016년 40경기 37.1이닝 2승 3패 3.86을 기록하던 중, 7월 25일 목과 어깨 부위에 통증을 느끼며 15일짜리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호전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9월 2일 60일짜리 부상자 명단으로 이동했고 흉곽출구 증후군 수술을 받으며 시즌 아웃되었다. 이후 로열스는 2017년 팀 옵션 행사를 포기했고, 호체이버는 11월 5일부로 두 번째 FA 자격을 얻으며 팀에서 나오게 되었다.
3. 은퇴
2018년 8월 13일 공식적으로 은퇴를 선언했다.통산 9시즌 279경기(128선발) 929.1이닝 46승 65패 3세이브 4.92 702탈삼진 3.7bWAR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5A9C>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65년 ~ | ||||
1965 존 와이엇 유격수 / 전체 8번 | 1966 래리 허튼 투수 / 전체 19번 | 1967 도니 덴보우 3루수 / 전체 20번 | 1968 바비 발렌타인 외야수 / 전체 5번 | 1969 테리 맥데모트 포수 / 전체 8번 | |
1970 짐 할러 투수 / 전체 9번 | 1971 릭 로덴 투수 / 전체 20번 | 1972 존 하빈 유격수 / 전체 17번 | 1973 테드 파 포수 / 전체 18번 | 1974 릭 서클리프 투수 / 전체 21번 | |
1975 마크 브래들리 유격수 / 전체 24번 | 1976 마이크 소시아 포수 / 전체 19번 | 1977 밥 웰치 투수 / 전체 20번 | FA 테리 포스터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79[1] 스티브 하우 투수 / 전체 16번 | |
1979[2] 스티브 페리 투수 / 전체 25번 | FA 대럴 토마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80 로스 존스 유격수 / 전체 9번 | 1981 데이브 앤더슨 유격수 / 전체 22번 | 1982 프랭클린 스텁스 1루수 / 전체 19번 | |
1983 에릭 손버그 투수 / 전체 18번 | 1984 데니스 리빙스턴 투수 / 전체 23번 | 1985 크리스 그윈 외야수 / 전체 10번 | 1986 마이크 화이트 외야수 / 전체 19번 | 1987 댄 오퍼맨 투수 / 전체 8번 | |
1988 빌 벤 투수 / 전체 5번 | 1989[3] 키키 존스 투수 / 전체 15번 | 1989 톰 굿윈 외야수 / 전체 22번 | 1989[3] 제이미 맥앤드류 투수 / 전체 28번 | 1990 론 왈덴 투수 / 전체 9번 | |
FA 대럴 스트로베리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92[5] 라이언 루진스키 포수 / 전체 32번 | 1992[6] 마이크 무어 외야수 / 전체 36번 | FA 톰 캔디오티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93 대런 드라이포트 투수 / 전체 2번 | |
1994 폴 코너코 포수 / 전체 13번 | 1995 데이비드 요컴 투수 / 전체 20번 | 1996 다미안 롤스 3루수 / 전체 23번 | 1997 글렌 데이비스 1루수 / 전체 25번 | 1998 버바 크로스비 외야수 / 전체 23번 | |
1999[7] 제이슨 렙코 유격수 / 전체 37번 | FA 케빈 브라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0 벤 디긴스 투수 / 전체 17번 | FA 앤디 애쉬비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2 제임스 로니 1루수 / 전체 19번 | |
2002[8] 그렉 밀러 투수 / 전체 31번 | 2003 채드 빌링슬리 투수 / 전체 24번 | 2004 스캇 엘버트 투수 / 전체 17번 | 2004[9] 블레이크 드와이트 2루수 / 전체 28번 | 2004[9] 저스틴 오렌더프 투수 / 전체 33번 | |
2005[11] 투수 / 전체 40번 | FA 데릭 로우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6 클레이튼 커쇼 투수 / 전체 7번 | 2006[12] 브라이언 모리스 투수 / 전체 26번 | 2006[12] 프레스턴 매팅리 유격수 / 전체 31번 | |
2007[14] 크리스 윗로우 투수 / 전체 20번 | 2007[14] 제임스 애킨스 투수 / 전체 39번 | FA 제이슨 슈미트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8 에단 마틴 투수 / 전체 15번 | 2009[16] 애런 밀러 투수 / 전체 36번 | |
FA 올랜도 허드슨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10 잭 리 투수 / 전체 28번 | 2011 크리스 리드 투수 / 전체 16번 | 2012 코리 시거 유격수 / 전체 18번 | 2012[17] 제스무엘 발렌틴 유격수 / 전체 51번 | |
2013 크리스 앤더슨 투수 / 전체 18번 | 2014 그랜트 홈즈 투수 / 전체 22번 | 2015 워커 뷸러 투수 / 전체 24번 | 2015[18] 투수 / 전체 35번 | 2016 개빈 럭스 유격수 / 전체 20번 | |
2016[19] 윌 스미스 포수 / 전체 32번 | 2016[20] 조던 셰필드 투수 / 전체 36번 | 2017 제런 켄달 외야수 / 전체 23번 | 2018 투수 / 전체 30번 | 2019 코디 호시 3루수 / 전체 25번 | |
2019[21] 마이클 부시 2루수 / 전체 31번 | 2020 바비 밀러 투수 / 전체 29번 | 2021 매덕스 번스 투수 / 전체 29번 | 사치세 초과로 인한 지명권 후퇴 | 2023[CBA] 켄달 조지 외야수 / 전체 36번 | |
사치세 초과로 인한 지명권 후퇴 | 2024 켈런 린지 유격수 / 전체 23번 | ||||
* | }}}}}}}}} |
[1] FA 리 래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토미 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FA 스티브 색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5] FA 에디 머레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6] FA 마이크 모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7] FA 스캇 래딘스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8] FA 박찬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9] FA 폴 콴트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9] [11] FA 아드리안 벨트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2] FA 제프 위버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2] [14] FA 훌리오 루고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4] [16] FA 데릭 로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7] FA 로드 바라하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8] FA 핸리 라미레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9] FA 잭 그레인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0] 카일 펑크하우저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21] J.T. 긴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184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릭 먼데이 (OF) | 스티븐 칠콧 (C) | 론 블롬버그 (1B) | 팀 폴리 (SS) | 제프 버로우스 (OF) | |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마이크 아이비 (C) | (C) | 데이브 로버츠 (3B) | 데이비드 클라이드 (LHP) | 빌 알몬 (SS) | |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대니 굿윈 (C) | 플로이드 배니스터 (LHP) | 해롤드 베인스 (1B) | 밥 호너 (3B) | 알 챔버스 (OF) | |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대럴 스트로베리 (OF) | 마이크 무어 (RHP) | 숀 던스턴 (SS) | (RHP) | 숀 아브너 (OF) |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B.J. 서호프 (SS) | 제프 킹 (SS) | 켄 그리피 주니어 (OF) | 앤디 베네스 (RHP) | 벤 맥도널드 (RHP) |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치퍼 존스 (SS) | 브라이언 테일러 (LHP) | 필 네빈 (3B) | 알렉스 로드리게스 (SS) | 폴 윌슨 (RHP) |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대린 어스태드 (OF) | 크리스 벤슨 (RHP) | 맷 앤더슨 (RHP) | 팻 버렐 (3B) | 조시 해밀턴 (OF) |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아드리안 곤잘레스 (1B) | 조 마우어 (C) | 브라이언 벌링턴 (RHP) | 델몬 영 (OF) | 맷 부시 (SS) |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저스틴 업튼 (SS) | 루크 호체이버 (RHP) | 데이비드 프라이스 (LHP) | 팀 베컴 (SS) |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RHP)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브라이스 하퍼 (OF) | 게릿 콜 (RHP) | 카를로스 코레아 (SS) | 마크 어펠 (RHP) | (LHP) |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댄스비 스완슨 (SS) | 미키 모니악 (OF) | 로이스 루이스 (SS) | 케이시 마이즈 (RHP) | 애들리 러치맨 (C) |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스펜서 토켈슨 (3B) | 헨리 데이비스 (C) | 잭슨 홀리데이 (SS) | 폴 스킨스 (P) | 트래비스 바자나 (2B) | |
2025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04687>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69년 ~ | ||||
1969 유격수 / 전체 23번 | 1970 렉스 고든 포수 / 전체 8번 | 1971 로이 브랜치 투수 / 전체 5번 | 1972 제이미 쿼크 유격수 / 전체 18번 | 1973 루 올센 투수 / 전체 9번 | |
1974 윌리 윌슨 외야수 / 전체 18번 | 1975 클린트 허들 외야수 / 전체 9번 | 1976 벤 그리지벡 투수 / 전체 18번 | 1977 마이크 존스 투수 / 전체 21번 | 1978 버디 비안카라나 유격수 / 전체 25번 | |
1979 애틀리 햄메이커 투수 / 전체 21번 | 1980 프랭크 윌리스 투수 / 전체 16번 | 1981 데이브 리퍼 외야수 / 전체 23번 | 1982 존 모리스 외야수 / 전체 10번 | 1983 게리 서먼 외야수 / 전체 21번 | |
1984 스캇 뱅크헤드 투수 / 전체 16번 | 1985 브라이언 맥래 유격수 / 전체 17번 | 1986 토니 클레멘츠 유격수 / 전체 24번 | 1987 케빈 에이피어 투수 / 전체 9번 | 1988 휴 워커 외야수 / 전체 18번 | |
1989 브렌트 메인 포수 / 전체 13번 | FA 마크 데이비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91 조 비텔로 외야수 / 전체 7번 | 1991[1] 제이슨 프루이트 투수 / 전체 30번 | 1992 마이클 터커 유격수 / 전체 10번 | |
1992[2] 짐 피트슬리 투수 / 전체 17번 | 1992[3] 셰러드 클링크스케일스 투수 / 전체 31번 | 1992[2] 조니 데이먼 외야수 / 전체 35번 | 1993 제프 그랭거 투수 / 전체 5번 | 1994 맷 스미스 투수 / 전체 16번 | |
1995 후안 르브론 외야수 / 전체 19번 | 1996 디 브라운 외야수 / 전체 14번 | 1997 댄 리처트 투수 / 전체 7번 | 1998 제프 오스틴 투수 / 전체 4번 | 1998[5] 맷 버치 투수 / 전체 30번 | |
1998[5] 크리스 조지 투수 / 전체 31번 | 1999 카일 스나이더 투수 / 전체 7번 | 1999[7] 마이크 맥도갈 투수 / 전체 25번 | 1999[7] 제이 거크 투수 / 전체 32번 | 1999[9] 지미 고블 투수 / 전체 43번 | |
2000 마이크 스토돌카 투수 / 전체 4번 | 2001 콜트 그리핀 투수 / 전체 9번 | 2002 잭 그레인키 투수 / 전체 6번 | 2003 크리스 루반스키 외야수 / 전체 9번 | 2003[10] 미치 마이어 포수 / 전체 30번 | |
2004 빌리 버틀러 3루수 / 전체 14번 | 2004[11] 맷 캠벨 투수 / 전체 29번 | 2004[12] J.P. 하웰 투수 / 전체 31번 | 2005 알렉스 고든 외야수 / 전체 2번 | 2006 루크 호체이버 투수 / 전체 1번 | |
2007 마이크 무스타커스 유격수 / 전체 2번 | 2008 에릭 호스머 1루수 / 전체 3번 | 2008[13] 마이크 몽고메리 투수 / 전체 36번 | 2009 애런 크로우 투수 / 전체 12번 | 2010 크리스티안 콜론 유격수 / 전체 4번 | |
2011 버바 스탈링 외야수 / 전체 5번 | 2012 카일 짐머 투수 / 전체 5번 | 2013 헌터 도저 유격수 / 전체 8번 | 2013[CBA] 션 머나야 투수 / 전체 34번 | 2014 브랜든 피네건 투수 / 전체 17번 | |
2014[15] 포스터 그리핀 투수 / 전체 28번 | 2014[CBA] 체이스 발롯 포수 / 전체 40번 | 2015 애시 러셀 투수 / 전체 21번 | 2015[17] 놀란 왓슨 투수 / 전체 33번 | FA 이안 케네디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
2017 닉 프라토 1루수 / 전체 14번 | 2018 브래디 싱어 투수 / 전체 18번 | 2018[18] 잭슨 코와 투수 / 전체 33번 | 2018[19] 다니엘 린치 투수 / 전체 34번 | 2018[CBA] 크리스 부비치 투수 / 전체 40번 | |
2019 바비 위트 주니어 유격수 / 전체 2번 | 2020 애사 래시 투수 / 전체 4번 | 2020[CBA] 닉 로프틴 유격수 / 전체 32번 | 2021 프랭크 모지카토 투수 / 전체 7번 | 2022 개빈 크로스 외야수 / 전체 9번 | |
2023 블레이크 미첼 포수 / 전체 8번 | 2024 잭 캐글리온 투타겸업 / 전체 6번 | ||||
* [1] FA 스티브 파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커트 스틸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FA 대니 탈타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5] FA 제이 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7] FA 호세 오퍼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7] [9] FA 딘 파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0] FA 폴 버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1] FA 마이클 터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2] FA 라울 이바녜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3] FA 데이비드 리스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15] FA 어빈 산타나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17] FA 제임스 실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8] FA 로렌조 케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9] FA 에릭 호스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CBA]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4687> | 캔자스시티 로열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 <rowcolor=#ffffff> 1969~1970 | 1971~1972 | 1973 | 1974 | 1975 |
월리 벙커 | 딕 드레이고 | 스티브 버스비 | 폴 스플리토프 | 스티브 버스비 | |
<rowcolor=#ffffff> 1976~1977 | 1978~1980 | 1981 | 1982 | 1983 | |
폴 스플리토프 | 데니스 레너드 | 래리 구라 | 데니스 레너드 | 래리 구라 | |
<rowcolor=#ffffff> 1984~1986 | 1987 | 1988 | 1989 | 1990~1991 | |
버드 블랙 | 대니 잭슨 | 브렛 세이버하겐 | 마크 구비자 | 브렛 세이버하겐 | |
<rowcolor=#ffffff> 1992~1997 | 1998 | 1999 | 2000~2002 | 2003 | |
케빈 에이피어 | 팀 벨처 | 케빈 에이피어 | 제프 수판 | 루넬비스 에르난데스 | |
<rowcolor=#ffffff> 2004 | 2005 | 2006 | 2007~2009 | 2010 | |
브라이언 앤더슨 | 호세 리마 | 스캇 엘라튼 | 길 메시 | 잭 그레인키 | |
<rowcolor=#ffffff> 2011 | 2012 | 2013~2014 | 2015 | 2016 | |
루크 호체이버 | 브루스 첸 | 제임스 실즈 | 요다노 벤추라 | 에딘슨 볼케즈 | |
<rowcolor=#ffffff> 2017~2018 | 2019 | 2020 | 2021 | 2022~2023 | |
대니 더피 | 브래드 켈러 | 대니 더피 | 브래드 켈러 | 잭 그레인키 | |
<rowcolor=#ffffff> 2024 | |||||
콜 레이건스 |
루크 호체이버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2015 |
루크 호체이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44번 | ||||
케리 로빈슨 (2006) | → | 루크 호체이버 (2007~2016) | → | 다이론 블랑코 (2022~) |
[1] 베이스볼 레퍼런스 기준 /HO-chay-vur/[2] 2013년부터는 구원 투수로 전환[3] 테네시 대학교 한 시즌 최다 기록[4] 2004년부터 수여되기 시작했으며, 일명 대학 야구계의 사이영상으로 불린다.[5] 2009년부터는 전미 올해의 투수상(National Pitcher of the Year Award)으로 개칭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6] 사실 드래프트 당시에는 정식 에이전트로 계약을 맺진 않았다. 다저스 지명 거절 이후 정식으로 에이전트가 되었다.[7] 2015년 1월부로 해체[8] 이후 3순위 탬파베이는 에반 롱고리아를, 4순위 피츠버그는 브래드 링컨을, 6순위 다저스는 클레이튼 커쇼를 뽑았고, 밀러는 7순위 디트로이트에 지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