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2 17:52:17

무풍지대(드라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무풍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color:#FFF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1984~1990
파일:불꽃놀이 KBS 로고.png
(1984~1985)
파일:빛과 그림자 1985 로고.png
(1985~1986)
이별 그리고 사랑
(1986)
파일:뜨거운 강 로고.png
(1986~1987)
욕망의 문
(1987~1988)
파일: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로고.png
(1988)
황금의 탑
(1988)
풍객
(1988)
훠어이 훠어이
(1988~1989)
파일:왕룽일가 로고.png
(1989)
숲은 잠들지 않는다
(1989)
파일:무풍지대 로고.png
(1989)
절반의 실패
(1989)
끝없는 사랑
(1989)
파일:빙점 1990 로고.png
(1990)
파일:지워진 여자 로고.png
(1990)
파일:겨울나그네 로고.png
(1990)
지구인
(1990)
우리가 사랑하는 죄인
(1990)
파일: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로고.png
(1990)
파일:검생이의 달 로고.png
(1990)
파일:머슴아와 가이내 로고.png
(1990)
}}}}}}}}}}}} ||

<colbgcolor=#1f50b5><colcolor=#fff>
파일:무풍지대 타이틀.jpg
원작 유지광 - 자서전 《대명》
방영 기간 1989년 6월 28일 ~ 1989년 9월 7일 (22부작)
제작진 <colbgcolor=#1f50b5><colcolor=#fff> 기획 장형일
극본 이환경
해설 더빙 임종국
연출 이영국

1. 개요2. 내용3. 등장인물
3.1. 주요인물3.2. 동대문상인연합회3.3. 화랑영화사3.4. 명동3.5. 그외 주먹패3.6. 정부/자유당3.7. 민주당/야당3.8. 군인3.9. 그 외 등장인물
4. 야인시대와의 비교
4.1. 공통점4.2. 차이점
5. 그 외6. 겹치는 출연진

[clearfix]

1. 개요


1회 영상
나 유지광은 역사와 민족 앞에 진심으로 참회하며 이 기록을 남기기로 결심했습니다.

KBS 2TV에서 1989년 6월 28일부터 1989년 9월 7일까지 방영한 미니 시리즈이다. 기획 당시 가제는 '흑풍'.[1]

제1공화국 당시 유명한 정치깡패였던 유지광의 자서전 '대명'을 원작으로 하였다. 유지광 생전에 출간된 '대명' 은 처음 나왔을 때는 꽤 인기를 끌었지만[2] 오래 가지 못하고 시들해진 상태였는데, 드라마가 인기를 끌자 무풍지대란 제목으로 재출간되기도 했다.

야인시대 후반부하고 거의 똑같다.

1회 시작때와 22회 최종회때는 유지광 역할을 맡은 나한일이 직접 유지광의 가족들을 통해 실제로 만나는 장면이 방송되기도 했다. 당시에는 MBC에서 비슷한 시기인 제2공화국을 방송하던 시절이었다. 그래서 그런지 폭력성은 점점 줄어들고 정치적인 내용이 많이 들어갔다. 그래도 초반에는 기관총으로 총격전을 하거나, 상대방 두목을 처참히 죽이는 등[3] 잔인한 장면이 많았고, 이 때문에 방송위원회의 경고를 받기도 했다. 또한 유지광 등 인물들을 미화한다는 지적에 대해 담당 연출자인 이영국 PD[4]는 인간적인 동정은 있을수 있지만 미화는 절대 할 수 없다고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2. 내용

6.25 전쟁이 끝난 후 유지광은 사돈인 이정재의 권유로 동대문 사단에 입문한다. 이런저런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능력을 인정받아 서열 3위[5]에까지 오르지만, 자유당의 독재에 편승하여 많은 테러를 자행[6]하기도 했다.

자유당의 후광을 등에 업고 나날이 세력을 키워가는 동대문 사단이었다. 그러나 결국 4.19 혁명으로 인해 동대문사단은 자유당과 함께 몰락하고 뒤이은 5.16 군사정변때 체포되어 혁명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운 좋게 무기징역, 15년형으로 감형 이후 5년 6개월을 복역한 뒤 출소하였다. 이후 유지광은 고향에서 사업가로 여생을 보내다 결혼식 주례 도중 사망한다. 마지막에는 나한일이 유지광의 지인들을 찾아가 인터뷰하는 것으로 끝난다.

3. 등장인물

3.1. 주요인물

3.2. 동대문상인연합회

3.3. 화랑영화사

3.4. 명동

3.5. 그외 주먹패

3.6. 정부/자유당

3.7. 민주당/야당

3.8. 군인

3.9. 그 외 등장인물

4. 야인시대와의 비교

4.1. 공통점

13년 뒤에 방영된 야인시대 2부에서 이 드라마 내용은 물론 대사까지 그대로 차용했다.

위의 내용들을 종합하면 그야말로 야인시대 2부 자유당편의 프로토타입+1980년대 버전 수준이다. 물론 야인시대는 중심인물이 유지광이 아닌 김두한인 만큼 주로 정치깡패들 및 정치인들과 관련된 이야기 위주로 차용되었기 때문에 유지광의 사랑 이야기 및 이정재의 가족 관련 이야기 등은 잘렸다.

4.2. 차이점

5. 그 외


파일:무풍지대테이프.jpg

6. 겹치는 출연진

무풍지대는 이환경 작가의 첫 사극작품인데 이후 집필한 작품들에서도 본 드라마 출연배우들 중 계속 출연한 배우들이 많다.
배우 무풍지대 용의 눈물 태조 왕건 제국의 아침 야인시대
나한일 유지광 민무질 변사부 금강
조경환 이정재 박술희
김영인[43] 김두한 경기도 광주목사 왕륭 수하 / 고려 부장 / 이총언 박수문
김성겸 김사범 아자개
이정웅 박석진 권근 공직
백인철 이석재 환선길 염상
기정수 거봉 변남룡 파달 단게 경무국장 / 유지광 무술사범
이한위 유도환 선전관 진선 / 왕충
이경영 망치 이제 광종의 내군장군 장도영
김시원 김상호 배극렴 수달
권성덕 이기붕 이승만
이인철 김영삼 이기붕
민욱 최인규 이종무 유긍달 왕육
박영목 장경근 박신 마사부
맹호림 권승렬 조견 설부
윤덕용 김형근 권중화 백락 / 유염
신구 장면 왕륭
서학 최영규 심효생 이익흥
정영숙 박마리아 신명순성왕후 유씨 김두한의 친할머니


[1] <TV가이드> 1989년 제405호(6월 10일) 기사 '정치주먹' 유지광역 검도7단 나한일(최진호 기자)' p33.[2] 처음 나왔을 때 국내 비소설 부분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하기도 했고, 당시에 이미 판권이 팔려 영화 제작까지 시도 되었다. 다만 영화 제작은 엎어지고, 이후 무풍지대 방영 이후에 영화 제작이 재개되어 대명이라는 제목으로 1993년에 영화가 나왔다.[3] 무풍지대 시작할 때 4명의 신사가 차 주변에 서있는 장면이 바로 그 장면이다. 이 장면은 후에 야인시대에서도 재현하였다(...).[4] 국무조정실장을 역임한 이영탁의 동생이다.[5] 2위는 임화수.[6] 그 피해자 중 한 명이 자기가 짝사랑하던 여인이었던 민희라의 아버지였다. 그 이후 유지광을 멀리하고 수녀가 된다.[7] 야인시대 이정재 사무실에서 무풍지대 현판이 걸려 있었다.[8] MBC 드라마 제1공화국에서는 오지명이 맡았고, 야인시대에서는 최준용이 맡았다.[9] 파일:attachment/nunmulkok0.jpg[10] 야인시대에서는 개그맨 손헌수가 맡았다.[11] 야인시대의 김기홍과 같은 포지션이지만 동일인물은 아니다. 설정상 김사범은 김두한과 이정재등이 주먹계의 원로로 모시던 사람으로 나온다. 유지광의 대명에도 김기홍과 김사범이 서로 다른 인물로 구분되어 나오며 김사범은 김기홍이 동대문패를 떠난 뒤에 벌어진 단성사 저격 사건을 지휘했던 인물로 나온다.[12] 야인시대에서는 손호균이 맡았다.[13] 야인시대에서는 이철민이 맡았다.[14] 주연 나한일과 무풍지대 촬영 과정에서 연인이 됐고 두 사람은 2번의 결혼과 이혼을 했다가 2022년 3번째 결혼을 했다. 3번째 결혼의 과정은 우리 이혼했어요 2에 자세히 방영됐다.[15] 중요인물이 아니기에 아마 특별출연 한 것으로 추정된다.[16] 90년대 후반에 연기자 생활을 접고 사업가 전업하였다. 독실한 개신교 신자로 개신교 관련 채널에 종종 출연해 간증을 하기도 했다. 2020년 엄마가 바람났다에 출연하며, 다시 안방극장에 복귀하였다.[17] 2013년 1월 24일 별세.[18] 야인시대로 치면 고바우 역할에 가까운 인물이다.[19] 역설적이게도 해당 작품에서 유지광 역으로 출연한 나한일은 이경영(망치 역)과 동명이인이었던 이경영과 함께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나한일-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 위반 이경영(1960년-청소년 성보호법 위반) 탓인지 KBS 출연금지 명단에 올라 있다.[20] 야인시대로 치면 도꾸야마 역할에 가까운 인물이다.[21] MBC 드라마 제4공화국, 제5공화국에서 전두환(이덕화)의 동생 전경환 역을 맡았다. 이전에 같은 방송사 드라마 마지막 승부에서는 장동건이 속한 한영대 농구부 선배로 나왔다.[22] 야인시대 92회에서 볼때 김관철 캐릭터와도 겹친다.[23] 야인시대에서 이승만을 맡았다.[24] 2017년 3월 1일 두경부암으로 별세.[25] 2001년 8월 31일 간암으로 별세.[26] 다만, 그의 자리에 있는 명패를 보면, 장정근(張正根)이라고 기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해당 장면)[27] 2년 뒤 SBS 공채 1기 연기자가 됐다.[28] 유지광 패거리가 재야 단체 교수를 손봐주는 임무를 맡았는데, 그 상대가 하필 민희라 아버지였다. 유지광은 상대가 민희라 아버지인 줄 모르고 대충 손 봐주라 명령 내리고 술에 취해 이영숙의 방에서 자고 있었고, 독사가 현장에 출동했다가 뒤늦게 상황을 파악하고 린치를 멈췄지만 이미 민교수는 중상을 입고 실려간 뒤였다. 이후 민희라는 유지광에게 '조폭질 그만두고 손을 씻으면 나도 아버지도 당신을 용서하겠다' 라고 최후 통첩을 하지만 유지광이 손을 씻지 않으면서 둘의 관계는 완전히 파탄이 난다.[29] 야인시대에서는 서대문의 보스 작두로 나온다.[30] 야인시대 합성물에서 차용되어 이석재가 마사지사 양반으로 알려지게 되는 장면이기도 한데, 실제로는 이석재가 시라소니에 다리를 부러뜨리려고 쇠절구를 꺼내자 간호사가 놀라 비명을 지르자 이석재가 당황해서 그냥 병실에서 나갔다고 한다.[31]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무풍지대에서는 거만하고 비웃는 투였는데 야인시대에서는 결의있고 비장한 말투였다.[32] 무풍지대의 경우 유지광이 뛰어와서 죽빵을 날렸으나, 야인시대에서는 옆에서 무섭게 야리면서 면회장을 같이 나가던 도중 철문을 나가자 마자 잡아서 죽빵을 날렸다.[33] 손과 발을 하나씩 압수하라는 김기홍(무풍지대의 김사범)의 대사도 같으며 그리고 오치수와 장석기가 처벌받을 때 비명소리만 나오는 것도 똑같다.[34] 사실 무풍지대 쪽이 좀 더 자연스러운데 이석재는 1918년생, 임화수는 1921년생이다.[35] 무풍지대에 나오는 국회는 U자형 회의장이여서 현실 고증이 뒤떨어졌다.[36] 여담으로 같은시기 방송한 제2공화국(드라마)은 서대문구에 있던 옛 현대건설 연수원을 빌려 개조하고 촬영했으며 당시 국회 회의장을 고증있게 재현하였다.[37] 비슷한 예로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 영웅시대가 방영되기 1년 전인 2003년에 정주영 회장의 아들 정몽헌이 자살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드라마 영웅시대 1화 첫 번째 장면이 바로 정몽헌 (드라마에선 배역 이름이 천사국으로 나옴) 자살 사건 장면이 나왔다[38] 둘은 이미 1986년에 수사반장 에피소드인 '산장의 낯선 손님'에서 조우한 바 있다.[39] 다만 당시의 시청률 조사가 앙케스트 조사나 전화 조사로만 했다는 점은 감안해야한다.(기계식으로 시청률 조사를 시작하기 시작한것은 그 다음해인 1990년부터의 일이다.) 하지만 전화조사나 설문조사 방식으로 이루워졌다는 점을 감안해도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는 사실 자체는 확실하다..[40] 2014년 12월 16일 C채널 '힐링토크 회복' 방영분 참조.[41] 1970년 설립되어 1995년까지 존재했던 사무기기 전문 회사. 폐업 이후 현재는 일본계 기업인 한국교세라미타가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2012년에 교세라 도큐먼트 솔루션스 코리아로 사명을 변경했다.[42] 1971년 설립되어 1991년까지 존재했던 제약회사로 후에 LG그룹이 인수하여 럭키제약, LG생명과학으로 바뀌다가 2017년 LG화학으로 통합되었다.[43] 야인시대 심영 역을 맡은 배우와는 동명이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