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09:31:08

미르온


파일:Miron_LAH-1_1.png
KAI LAH[1] 미르온

1. 개요2. 사업 배경3. 연혁4. 판매전망5. 제원6. 후보기종7. 논란
7.1. 단종된 모델을 비싸게 강매당했다?7.2. 무장 탑재량이 형편없다?7.3. 공격헬기가 아닌 무장헬기로 전투력이 부족하다?
8. 관련 영상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1. 개요

미르온은 1만파운드 기동헬기 KUH와 공격헬기 KAH를 국산화하기 위한 한국형헬기사업(KHP) 중 공격헬기 부문으로 출발한 소형무장헬기 개발/도입 사업이다. 본래 KHP는 중대형 공격헬기 270대를 도입하려던 사업이었으나, 연구결과 수리온 기반 헬기 270여 대를 도입하는 것보다 AH-X 36대와 소형 공격헬기 210여 대를 도입하는 것이 4조원 이상 저렴하다는 결론이 나와 소형 공격헬기를 도입하기로 결정되었다.

또한 민수 판매를 겸하기 위해 공격형 기체 개발을 포기하고 민수용으로도 판매가 가능한 형상에 무장을 한 무장헬기로 바뀌어, 이에 따라 명칭도 공격헬기사업(KAH, Korea Attack Helicopter)에서 소형무장헬기사업(LAH, Light Armed Helicopter)으로 변경되었다.

LAH는 육군의 노후된 500MD만 대체하는 것으로 시작했지만 추가로 AH-1S까지 대체할 예정이며, 예상 납품 수량은 170여 대로 알려져 있다.# 일부 주장에는 코브라는 아파치로 교체되고 LAH는 500MD만 교체하는 사업이라 주장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코브라는 엄연히 LAH로 전환대상이며 LAH 도입 계획에도 코브라 대대가 정식으로 포함, 계획되어 있다.[2]

2012년 말에 탐색 개발을 완료, 2013년부터 개발을 시작하여 2018년에 완료할 예정이었으나, 2014년 말 개발에 착수하여 2018년 12월 18일 시제 1호기 출고식을 했다. 2019년 초도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친 LAH는 2023년까지 개발 완료될 계획이다.#

2022년 12월, KAI방위사업청과 LAH 10대 및 초도 운용요원 교육, 정비대체 장비를 포함한 3천 20억원 규모의 양산 계약을 체결했으며, 2년 후인 2024년 12월 최초 납품될 예정이다.

2023년 10월 ADEX에서 시범비행을 선보였다.비행영상

2024년 10월 4일 미르온이라는 정식명칭을 부여받았다. 의 순우리말인 미르와 숫자 100을 뜻하는 을 합친 것으로 보인다.

2. 사업 배경


대한민국의 헬리콥터 개발 사업
연도 사업명 최대 이륙중량 형상 사업방식 생산규모 결과
1988 KLH
한국형 경헬기
6,000 lbs 소형 정찰 헬기 해외 모델
면허 생산
약 130대 Bo 105 12대 면허생산
KMH 95로 대치
1995 KMH 95
한국형 다목적 헬기
8,000 lbs 다목적 헬기 고유 모델
국내 개발
약 200대 KMH 01로 대치
2001 KMH 01
한국형 다목적 헬기
13,000 lbs
→15,000 lbs
기동형/공격형
(동시 개발)
고유 모델
국내 개발
약 500대 KHP로 대치
2004 KHP
한국형 헬기 사업
기동형 19,000 lbs
무장형 10,000 lbs
기동형/무장형
(순차 개발)
해외 모델
한국화
약 500대 H215 → 기동형 KUH-1 수리온
H155 → 무장형 LAH

3. 연혁

4. 판매전망

5. 제원

미르온(일부 제원은 EC155B1/H155B1 참조 값 및 LCH 제원 공동 기재됨)
전장 동체 : 12.71 m (41 ft 7in)
날개 포함 : 14.5 m (47 ft 7in) (로터 회전시 기준)
전폭 3.87 m (12 ft 7 in)
전고 4.415 m (14 ft 6 in)
로터 면적 124.7 m2 (1,342 sq ft)
로터 지름 12.6 m (41 ft 4 in)
유상하중 2,301 kg (5,073 lb) (EC155 기준)
슬링시 : 1,600 kg (3,527 lb) (EC155 기준)
공허중량 2,618 kg (5,772 lb) (EC155 기준)
최대이륙중량 4,920 kg (10,847 lb) (EC155과 동일)/10,846 lb(KAI 측 공식)
엔진 Turbomeca Arriel 2L2 터보샤프트 엔진 x2기
1,031 hp (770.3 kW) (EC155용 2C2 버전 기준)/943 hp 엔진(모델불명, LCH 기준)
순항속도 278 km/h (EC155 기준)
최고속도[4] 242 km/h(131나트, LAH 기준)[5] 또는 265 km/h (143나트,264~265 km/h, LCH, EC155 기준)[6]
항속거리 857 km (EC155 기준)
최대항속거리 905 km (EC155 기준)
페리항속거리 985 km (EC155 기준)
실용상승한도 15,000 ft (EC155 기준)
비행시간 (보조연료포함) 4시간 42분 (EC155 기준)
상승률 8.9 m/s (1,750 ft/min)
항전장비 추적장비 한화 시스템즈 TADS
경보 / 대응장비 한화 시스템즈 RWR
한화 시스템즈 LWR
BAE Systems AN/ALE-47 채프/플레어 사출기
Hensoldt AN/AAR-60 MILDS[7]
Thales Scorpion HMD
무장 기관포 SNT Dynamics 3열 20mm 개틀링 기관포[8] 1기
로켓 70mm 로켓 7연장 발사기 좌우 각 1기 (총 14발)[9]
미사일 천검 공대지 미사일 좌우 각 2발 (총 4발)
드론 캐니스터 발사용 드론 좌우 각 2기 (총 4기)[10]
승무원 2명
최대탑승인원 2명(LCH 15명)

6. 후보기종

7. 논란

LAH 사업에는 여러 논란이 제기되었는데 크게 3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KAI에서도 이러한 논란들을 의식했는지 개발자 및 테스트 파일럿의 인터뷰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7.1. 단종된 모델을 비싸게 강매당했다?

결론적으로 사실이 아니다. 에어버스사가 H155B1 단종을 결정한 것은 LAH 베이스 모델로 선정 된 이후의 일이다. 오히려 KAI가 자신들이 독점생산하는 조건으로 개발분당금을 탕감해줬기 때문에 에어버스 사에서 단종시킨 사항이다.[12]# 또 상식적으로 추후 우리가 해외 수출해보려 아둥바둥하고 있을 때에 에어버스가 H155B1을 단종시키지 않고 계속 판매한다면 그게 우리한테 이득일까? 전혀 아닐 것이다. 이런 상황들을 볼 때 에어버스의 단종을 두고 비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구형 기체라는 비난 또한 적절치 않다. 기체 설계가 낡았다는 주장은 F-15K 도입 때 반대론자 주장과 흡사하다. 그런 논리라면 지금까지 개량되어 나오는 아파치, 시누크, 블랙호크 모두 수십년 짜리 낡은 기체가 되어버린다. 유로콥터가 기술을 판매권과 함께 넘긴 이유는 낮아진 수요와 신기종(H160)에 집중하기 위함이었지 성능 때문이 아니었다. 오히려 H155 계열 항공기는 높은 신뢰성과 우수한 성능으로 호평 받는 세계적인 베스트 셀러 기체이다. 물론 최신형 기체인 H160이 전체적인 기술력, 경쟁력에서 앞서긴 하겠지만, 결정적으로 사업 진행 당대에는 실전 배치 조차 제대로 되지 않은 미검증 기체였고 2020년에나 고객 인도가 시작 되었다. 만약 도입했다 쳐도 NH90 처럼 못 써먹을 수준의 심각한 트러블이라도 일으킨다면 그대로 끝장이다.

또한 에어버스가 무슨 자선사업 단체도 아니고, 군용 뿐만이 아니라 민간 수요까지 충족하려는 LAH사업에 자신들의 이제 막 나온 신기종 H160을 내어주겠는가? 반대론자들은 H160과 같은 체급의 최신 기체를 저렴한 가격에 사왔어야 했다..라는 주장을 하고 있는데 상식적으로 "가까운 미래에 당신하고 경쟁하고 싶습니다. 그러니까 최신 기술을 싸게 파세요"라고 하면 어떤 멍청한 기업이 나서겠는가. 어려운 상황에 처한 기업이나 국가조차 기술 유출에는 매우 민감하다. 게다가 에어버스와 계약할 수밖에 없었던 전후 사정도 명백하다.

LAH 입찰 경쟁사 중 우리가 요구한 수준의 기술 수출을 제시한 업체는 유로콥터 외엔 없었다. 나머지는 업체 제안은 라이센스 제조나 매우 낮은 기술 제공 정도에 그쳤으며 실제로 동시기에 진행된 일본의 UH-X사업은 매우 제한적인 기술이전과 사실상 Bell 412를 약간 개조하는 모델을 도입하는 수준에서 끝난 걸 감안하면 더 신형의 다른 국가의 기체를 요구했으면 결과적으로 지금과 LAH 수준은커녕 이도저도 아닌 애매한 결과를 봤을 가능성이 높다.

7.2. 무장 탑재량이 형편없다?

동일 체급 타 헬기들에 비해 성능이 딸리거나 체급에 비해 무장능력이 작을까? LAH의 체급과 무장능력은 T-129나 AH-64 같은 중대형급 공격헬기들과 비교하면 밀릴지는 몰라도 (애초에 사이즈가 다르다.) 500MD나 AH-1S/F, AS565, Z-9 등의 타 중소형급 헬기들과 비교하면 떨어지지 않으며, 육군의 ROC에도 부합한다.#(제목 주의) 밀리돔

육군에서 운용했던 소형무장헬기인 500MD의 부족한 무장능력과 체공시간이 LAH에도 그대로 답습되는 것 아닌가라는 우려가 컸다.

그러나 모습을 드러낸 LAH는 20미리 기관포 1문과 양쪽 파일런에 70mm 로켓 7연장 포드와 천검 2연장 런처를 조합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원형인 H155의 체공시간은 4시간(기본연료, 최대이륙중량, ISA 기준)으로 무장능력이나 체공시간에서 기존 500MD는 물론 AH-1S보다도 우수하기 때문에 로우급 전력으로 부족함 없는 능력을 보인다. (애초에 말이 소형이지 LAH 체급은 최소 준중형이다.)

천검 4발은 너무 빈약한 무장이라는 지적도 있는데 천검 4발은 육군의 ROC에 맞춘 것이지 LAH가 힘이 딸려서 4발만 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제 작전 수행 시 공격헬기는 편대로 우르르 몰려다니며 작전하기 때문에 한 대당 천검 4발이 그렇게 빈약한 무장은 아닐 것이다. 70mm 로켓이 7연장 포드만 장착되는 것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다. 다만 SAL유도방식의 유도로켓 장착이 예상되므로 충분히 커버가 가능할 것이다.

7.3. 공격헬기가 아닌 무장헬기로 전투력이 부족하다?

KMH 시절부터 로우급이어도 공격형 기체로 개발될것이라는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KIDA의 공격헬기 하이-로우 전력 구성안 반영과 산업통산자원부의 민수화 요구가 수용되면서 공격형에서 무장형기체로 바뀌게 되었다. 또한 수리온 개발 시 겪었던 난관을 교훈 삼아 외관변형은 회피했다. 원형 모델 설계를 최소한만 변화하여 재설계함으로써 개발 리스크를 줄인 것이다.

이렇게 민수형 기반의 기체에 무장을 장착하는 방향으로 사업이 변경되자 많은 사람들이 LAH는 공격헬기가 아니라 무장헬기이므로 전투에 적합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냈는데 과연 무장헬기면 정말 안 좋은 것일까? 애초에 공격헬기와 무장헬기를 나누는 것은 어떤 기준일까?

'무장헬기' LAH는 터렛형 기관포, 4세대 대전차 미사일 천검을 장착하며 이에 더해 MUM-T 운용능력을 갖추게 된다.또한 우수한 성능의 표적획득장비(TADS) 무장운용에 최적화된 자동조종시스템, 전술데이터링크 등이 장착되어 있다. 현대 전장에서 '공격헬기'로써 임무수행하기 위한 조건들을 잘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현재 운용 중인 '공격헬기' AH-1S 코브라를 보자, 코브라에는 구닥다리 망원조준경, 일부 기체에만 구형 FLIR가 장착되어 있다. 전술데이터링크도 없고 적 맨패즈 공격에 대한 감지/경보센서도 없이 사거리 4KM도 안나오는 토우미사일로 적과 싸워야 한다. 과연 누가 더 공격헬기로서 임무수행을 잘 할 수 있을까? "공격이 아닌 무장헬기"라는 비난이 과연 의미있는 지적일까? 실질적인 작전능력이 아닌 좌석배치, 기체 형태에만 고착되어 있는 게 아닌가 고민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또한 민수헬기가 베이스인 탓에 생존성이 부족하지 않겠냐는 우려가 많았지만 LAH의 생존장비(레이더/미사일 경보/ 방어/회피체계 등)는 첨단 장비로 매우 충실하게 장착되었다. 그러나, 민수형 무장헬기의 구조적 특성상 방탄능력은 공격형기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사거리 8km의 천검은 원거리 사격으로 적위협을 감소시켜줄 수는 있으나, 함께 장착되는 20mm / 70mm 의 사거리는 그보다 짧으며 태생적인 무장능력의 부족은 극복할 수 없는 문제이다. 하지만 우-러 전에서 알 수 있듯이, 현대 전장에서는 기체 자체의 내구성보다는 생존장비 기술력이 중요하다. 기체를 아무리 튼튼하게 만들어도 어차피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 한방이면 격추되는 것은 마찬가지니까. 물론 튼튼해서 나쁠 건 없겠지만 문제는 항공기 개발에 무게 증가는 아주아주 민감한 부분이다. 아파치처럼 힘이 남아도는 대형의 기체라면 몰라도, LAH와 같은 중소형 기체들은 굳이 내구성을 높인다는 명목으로 기동성이 둔해지는 것보다 우수한 생존장비를 장착하고 기동성은 유지하는 편이 전체적인 균형이 맞다고 볼 수 있다.

승객석이 있는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만큼 500MD가 수행하던 인원공수 등의 임무를 LAH가 승계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지만, 운용요구서상 공식적으로 후방석에는 좌석과 ICS(기내통화패널)이 제거 되며 해당 임무를 수행할 가능성은 사라졌다. 하지만 KAI는 LAH 기반의 LUH와 SAH를 MUM-T전용기, 다목적기 및 특수작전기로 우리 군에 제안하고 있는데 이 제안이 수용되어 도입된다면 위에 언급된 임무들을 LUH가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홍보영상

8. 관련 영상

LAH(소형무장헬기) 홍보영상
LAH의 파생형 LUH와 SAH 홍보영상
SBS '관계자 외 출입금지' KAI편에서 LAH가 소개되었다.
23년 ADEX에서 선보인 기동시범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 (1948~현재)
大韓民國 國軍 |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
<colbgcolor=#407FBF> 회전익기 <colbgcolor=#407FBF> '''[[무장헬기|
경헬기
]]'''
{미르온} | Bo 105CBS | 500MD 디펜더 | OH-58B 카이오와 | OH-23G 레이븐
'''
다목적 헬기
'''
KUH-1 수리온 | MUH-1 마린온 | UH-60P 블랙 호크 | HH-60P | HH-32A | 벨 412 | UH-1(B/H) 휴이 | UH-19D 치카소
수송헬기 CH-47(D/NE/{F}) 치누크 | HH-47D
공격헬기 AH-64E 아파치 | AH-1(J/S) 코브라 | {MAH}
대잠헬기 {MH-60R 시호크} | AW159 와일드캣 | 슈퍼 링스 Mk.99(A/U) | SA.319B 알루에트 III
'''[[전투기|
전투기
]]'''
프롭 F-51D 머스탱
'''[[1세대 전투기|
1세대
]]'''
F-86F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2세대 전투기|
2세대
]]'''
F-5(A/B) 프리덤 파이터
'''[[3세대 전투기|
3세대
]]'''
KF-5(E/F) 제공호 | F-5(E/F) 타이거 II | F-4(D/E) 팬텀 II
4(.5)세대 {KF-21 보라매} | F-15K 슬램 이글 | KF-16(C/D) 블록 52 → KF-16U 파이팅 팰콘 | F-16(C/D) 블록 32 → 블록 52 PBU | FA-50 파이팅 이글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프리덤 나이트
공격기 KA-1 웅비 | A-37B 드래곤플라이 | AT-33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F-16(C/D) | RA-50 | RF-5A | RF-4C | RF-86F
전자 팰콘 2000S 백두 2 | RC-800B 백두 | EC-47Q ELINT
ISR RC-800G 금강
해상초계기 P-8K 포세이돈 | P-3(C/CK) 오라이언 | S-2E 트래커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N-235(-100M/-220M) | C-123K 프로바이더 | C-47 스카이트레인
전술 {C-390 밀레니엄} | C-130(H/H-30/J-30) 허큘리스 | MC-130K | C-54E 스카이마스터 | C-46 코만도
수상기 KN-1 해취호 | SX-1 서해호 | SX-2 | SX-3 제해호
다목적기 U-9(C/F) | O-2A | O-1(A/E/G)버드 도그 | U-6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737 피스 아이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KC-330 시그너스
전자전기 {한국형 SOJ 전자전기}
'''
연락기
'''
L-5 센티넬 | L-4 그래스호퍼 | SX-5 통해호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티로터 | RQ-103K | {WB 워메이트}
클래스 1 - 소형
넵튠 V270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RQ-102K 참매 | RQ-101 송골매 | 헤론 | 서쳐 II | 캠콥터 S-100 | {캠콥터 S-300} | KUS-7 | 솔개
클래스 3 - MALE급
{RQ-105K} | 헤론
클래스 3 - HALE급
RQ-4B 글로벌 호크
'''
UCAV
'''
클래스 3 - MALE급
{MQ-105K}
{KUS-X} | {UCCR}
'''[[훈련기|
훈련기
]]'''
프롭 KT-1 웅비 | KT-100 | T-103 | T-41D 메스칼레로 | T-28A 트로젼 | T-6 텍산 | TF-51D | 부활호 | 새매호
제트 T-50 · TA-50 골든이글 | T-59 호크 | T-38 탈론L | T-37C 트윗 | T-33A 슈팅스타
헬기 벨 505
표적예인 CARV-II 캐러밴
가상적기 MQM-107 | MiG-29 | L-2 | J-7 | MiG-19 | Il-28
VIP 탑승기 B747-8B5L | {B737 MAX 8}L | B737-3Z8 | VCN-235 | HS.748 | 보잉 747-4B5L | VC-118 | VC-54 | L-26
VH-60P | VH-92 | AS332 L2 | 벨 412SP | 벨 212 | UH-1(B/H/N) | UH-19D | H-13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해병대),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가로.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18293f {{{#!folding [ 한국항공우주산업의 항공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555555,#aaaaaa
민항기
KLA-100, KC-100 나라온
군용기
<colbgcolor=lightblue,#194351> 훈련기 KT-100, KT-1 웅비, T-50 · TA-50 골든 이글L
공격기 FA-50 파이팅 이글
전투기 KF-21 보라매
헬리콥터
민간용 LCHE, SB427, 벨 429
군용 미르온E, KUH-1 수리온E, MUH-1 마린온
※ 윗첨자L: 록히드 마틴 기술 협력 개발
※ 윗첨자E: 에어버스 유로콥터 기종 기반 개조 개발
※ {중괄호}: 개발 중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Light Armed Helicopter[2] 애초에 아파치는 별개의 전력으로 도입됐다. 코브라 대체 목적이었다면 아파치가 들어온 만큼 코브라 대대가 축소/통폐합 됐어야 한다.[3] 공동마케팅과 판권이전 조건으로 면제되었다.[4] Vne가 아닌 수평비행 기준[5] 출처-KAI 홈페이지 LAH[6] 출처-KAI 홈페이지 LCH[7] Missile Launch Detection System, 미사일 발사 탐지 장치[8] AH-1 계열 코브라 헬기와 국산 FA-50 경전투기에 장착된 M197의 한국형이다.[9] 무유도 및 유도(개발 중)[10] 작전 시 항로선도 및 위험지역 정찰 실시하며 딥러닝 AI기반 기술로 위협 포착시 조종사에게 자동으로 경고해준다고 한다. 연료가 소모된 후에는 지상 회수팀에 의해 회수되며 제한시에는 자폭 공격도 가능하다.[11] RAH-66의 기술이 일부 들어간 기종이었다고 한다.[12] 동급헬기인 H155 생산중단 및 KAI 독점생산/공동판매 합의(*AH와 내부경쟁 방지 계약 체결,´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