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09:58:28

박포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 남은 남재 배극렴
오몽을 이제 이지란 이화
장사길 정도전 정총 정탁
정희계 조박 조인옥 조준
김인찬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협찬개국공신 (2등)
정지 유창 윤호 이민도
황희석 정용수 조기 조반
조영규 조온 홍길민 조견
박포 장담
익대개국공신 (3등)
고여 김균 김로 손흥종
심효생 안경공 오사충 유원정
이근 이백유 이부 이서
이직 장지화 함부림 황거정
민여익 임언충 장사정 조영무
한상경 한충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정사공신(태조)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8년 9월 17일 태조에 의해 책록
정사일등공신 (1등)
김사형 이거이 이무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이애 이화
조박 조영무 조준 하륜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정사이등공신 (2등)
김로 민무구 민무질 박포
신극례 심종 이복근 이숙번
이양우 이지란 이천우 장담
장사길 장사정 장철 정탁
조온 }}}}}}}}}

<colbgcolor=#94153e><colcolor=white> 박포
朴苞
이름 <colbgcolor=white,#191919> 박포(朴苞)
본관 죽산 박씨
호곡(壺谷)
출생 불명
불명
사망 1400년(정종 2년) 1월 22일
충청도 이산
(現 충청남도 논산시)

1. 개요2. 생애3. 여담4. 박포 일가족에 대한 실록의 처분 내용5. 대중매체
5.1. 드라마5.2. 막걸리 미스트
[clearfix]

1. 개요

여말선초의 인물. 조선의 개국공신. 본관은 죽산(竹山), 호는 호곡(壺谷).

2. 생애

1392년 조선이 건국되자 대장군에 임명되고 죽성군[1]에 봉해졌으며 1393년 사헌중승으로 있다가 현빈 유씨(왕세자 이방석의 세자빈)의 일을 함부로 논했다고 해 여러 관리들과 함께 순군옥에 갇혔다가 공신이라 귀양은 면하는 대신에 사저에서 근신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394년 변중량이회에게 조준, 정도전, 남은 등이 병권을 장악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왕인 이성계가 변중량에게 물었는데 변중량이 사실대로 답하였고 박포가 이성계에게 "전하께서 국정을 잘못해 여러 번의 변고가 일어났습니다."라고 하자 박포는 변중량, 이회 등과 함께 문초됐다. 박포는 이들과 서로 따지면서 자신만 위기를 모면하려고 했지만 결국 죽주에 유배되었다.

1396년 황주의 수령이 되었고 1398년 1차 왕자의 난 때 조전 절제사로 있다가 이방원에게 가담해 정도전, 남은, 심효생 등의 동정을 몰래 정탐했으며 이방원의 명령으로 민무질과 함께 조준을 부르려고 했다. 1398년 지중추원사 의흥 삼군부 우군 동지절제사에 임명되었지만 2등공신에 봉해진 논공행상에 불만을 토로했다가 죽주로 유배되었다.

이는 박포의 실책으로 본래 왕자의 난과 같은 정치 투쟁은 논공행상 역시 어느 정도 정치적인 안배를 하기 마련이다. 1차 왕자의 난 때 아무 것도 하지 않았던 조준[2] 등의 원로 대신들이 1등공신에 봉해지고 실제로 일을 주도한 실세인 이숙번과 민씨 형제들이 2등공신에 봉해진 것도 그 때문이었다. 당연히 이방원 입장에서는 건방진 놈이라고 여겼을 것이다. 이숙번, 민씨 형제, 신극례 등의 다른 실세 2등공신들도 가만히 있는데 굳이 나서서 난리를 친 것을 보면 개인적으로는 본인의 공이 실세 2등공신들 중에서도 월등하다고 여겼던 모양이다. 실록에서는 그가 정도전 진영을 정탐했다고 하니 목숨 걸고 첩보 활동을 벌여 물밑작업 다 해놨더니 남이 깔아놓은 판에서 칼부림 좀 한 놈들이 같은 실세 2등공신이라고 자신을 말리는게 고까웠을지도 모른다.

1400년 이방간을 충동질하여 이방원과 싸우게 하면서 2차 왕자의 난이 벌어졌다. 이방간이 개경 시내에서 이방원에게 패하자 박포는 붙잡혀 관직이 삭탈되고 장형 1백 대를 받아 청해로 유배되었다. 이후 공신녹권이 회수되었다가 이산으로 옮겨 유배되었으며 2월 25일 주살되었다. 사실 2차 왕자의 난은 말이 좋아 박포가 부추긴 것이지, 이방간 본인이 주도적으로 움직인 모습이 역력하며 미리 이방간의 거사를 전해들은 이성계와 이방과 역시 넷째가 철부지처럼 군다며 탐탁지 않게 여겨 말렸다. 이성계는 이 때 이방원을 증오하기로 둘째가라면 서러운데도 이런 반응을 보일 정도였다. 이를 알고 있던 이방원도 또 형제를 죽이기는 그랬는지 연극까지 펼쳐가면서 이방간 군대의 투항을 유도한 후 이방간을 살리기 위해 박포에게 모든 혐의를 뒤집어씌웠다고 볼 수 있다. 이방원이 무인정사 때와는 다른 반응을 보였던 이유는 무인정사와 2차 왕자의 난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무인정사의 원인이던 세자 이방석은 이복동생으로 이방원과 사이가 좋지 않은 계모의 아들이었다. 그러나 2차 왕자의 난의 원인인 이방간은 동복형이었는데 이복형제를 죽인 것도 모자라 동복형제의 피까지 보게 된다면 아직 기반이 다져지지 않은 왕실의 정통성이 흔들릴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당시 이방원의 대처가 지나칠 정도로 철저해서 '아예 처음부터 박포가 방간을 부추기도록 이방원이 판을 짠 건 아닐까?'라는 추측도 있다. 이에 대해선 2차 왕자의 난 문서 참조.

3. 여담

4. 박포 일가족에 대한 실록의 처분 내용

5. 대중매체

5.1. 드라마

5.2. 막걸리 미스트

박포.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1차 왕자의 난 때 방원을 도와 공신이 됐으나, 논공행상의 불만을 품고 이무 대감을 비방하다가 방원의 진노를 사, 유배됐다가, 방원의 특사로 복권됐다. 그러나 박포는 자신의 불안한 처지를 만회하기 위해 회안군 방간을 부추겨 난을 일으키는데, 그것이 바로 2차 왕자의 난이다. 하지만 난은 실패로 돌아가고 박포는 이렇게 비참한 죽음을 맞이한 것이다.
박포가 처형될 때 나오는 내레이션



[1] 지금의 경기도 안성시며 뒤에 죽주에 유배되었다는 곳도 이 곳이다. 고향이 여기임을 짐작케 한다.[2] 1차 왕자의 난 당시 조준에 대한 기록은 두 가지로 나오는데, 하나는 집에 틀어박혀서 점을 치며 상황을 관망했다는 기록이며, 다른 하나는 가병들을 이끌고 난을 진압하기 위해 움직였으나, 이미 대세가 기운 상태에서 이방원에게 회유되었다는 기록이다.[3] 오히려 1417년에 장사정이라는 인물이 박포의 첩과 간통한 사유로 공신록을 박탈당한 기록이 있다. 이 사건이 와전되거나 왜곡된 듯하다.[4] 의화궁주는 전임 왕조 고려의 마지막 왕대비로, 장수한 덕에 온갖 기도 안 차는 꼴들을 다 보고 겪은 비극적인 인물이다. 박포의 집을 받은 이 해 6월에 사망했고, 세종은 부의로 쌀과 콩 각 100석을 보냈다.[5] 분노를 삭이려고 술을 벌컥벌컥 들이켰는데 이 때문에 너무 취했고 이후 서로 술을 따르는 와중 이무의 얼굴을 보자 분노가 폭발해 폭언을 퍼붓고 말았다. 문제는 그 자리가 정종 즉위식 후의 술자리였다는 것으로 중요한 자리였기에 망쳐져서는 안되는 자리였다. 얼굴이 시뻘개진채 부들부들 떨며 1등공신으로 올라선 이들을 질타하다 기둥까지 붙잡고 할 말을 다 하며 끌려나간다.[6] 그래도 이방원은 귀양보낸 공신들을 다시 조정 원로로서 불러들여 대우해줬고 성격이 다혈질이고 욕심많은 이거이 한 사람만 숙청됐을 뿐 다른 대부분 공신들은 알아서 처신하여 천수를 누렸다.[7] 박포라는 명확한 언급은 없으나, 위의 박포 처형씬이나 코너 중 흘러나오는 나레이션을 감안하면 영락없는 박포다. 아예 박포라고 직접 이름이 언급[8]되는 에피소드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