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0ad7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판문하부사 | |||||||||
홍영통, 안종원, 권중화, 심덕부, 이화, 이거이, 조준, 김사형 | |||||||||
초대 이서 | 제2대 이거이 | 제3대 성석린 | 제4·5대 조준 | ||||||
제6대 성석린 | 제7대 이화 | 제8대 하륜 | 제9대 이서 | ||||||
제10대 하륜 | 제11대 성석린 | 제12대 하륜 | 제13대 성석린 | ||||||
제14대 남재 | 제15대 류정현 | 제16대 한상경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17대 심온 | 제18대 류정현 | 제19대 이직 | 제20대 황희 | 제21대 하연 | }}} | |||
제21대 하연 | 제22대 황보인 | ||||||||
제22대 황보인 | 제23대 이유 | ||||||||
제24대 정인지 | 제25대 정창손 | 제26대 강맹경 | 제27대 정창손 | ||||||
제28대 신숙주 | 제29대 구치관 | 제30대 한명회 | 제31대 황수신 | ||||||
제32대 심회 | 제33대 최항 | 제34대 조석문 | 제35대 이준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6대 박원형 | 제37대 한명회 | 제38대 홍윤성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9대 윤자운 | 제40대 신숙주 | 제41대 정창손 | 제42대 윤필상 | 제43대 이극배 | ||||
제44대 노사신 | 제45대 신승선 | 제46대 한치형 | 제47대 성준 | 제48대 류순 | }}} | ||||
}}}}}}}}} |
한상경 관련 틀 | ||||||||||||||||||||||||||||||||||||||||||||||||||||||||||||||||||||||||||||||||||||||||||||||||||||||||||||||||||||||||||||||||||||||||||||||||||||||||||||||||||||||||||||||||||||||||||||||||||||||||||||||||||||||||||||||||||||||||||||||||||||||||||||||||||||||||||||||||||||||||||||||||||||||||||||||||||||||||||||||||||||||||||||||||||||||||||||||||||||||||||||||||||||||||||||||||||||||||||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 |
<nopad> | |
출생 | 1360년(공민왕 9) |
사망 | 1423년 4월 26일[1] (향년 62 ~ 63세) (음력 세종 5년 3월 7일) |
묘소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 두산백과 한상경묘 |
재임기간 | 제16대 영의정부사 |
1418년 7월 17일[2] ~ 1418년 10월 11일[3] (음력 태종 18년 6월 5일 ~ 세종 즉위년 9월 3일) | |
봉호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
시호 | 문간(文簡) |
본관 | 청주 한씨 |
자 | 숙경(叔敬) |
호 | 신재(信齋) |
부모 | 부친 - 한수(韓脩, 1333 ~ 1384) 모친 - 안동 권씨 권적(權適)의 딸 |
부인 | 해주 오씨 오준량(吳俊良)의 딸 |
자녀 | 장남 - 한혜(韓惠, 1403 ~ 1431) |
[clearfix]
1. 개요
여말선초의 관료, 조선의 개국공신이자 정승이다.2. 생애
1382년(우왕 8) 문과에서 3등으로 급제했다. 1392년(태조 1) 조선이 건국될 때는 밀직사 우부대언으로서 정비 안씨가 내린 공양왕 폐위 교서를 공양왕 앞에서 낭독했다. 이후 보새를 태조에게 바치는 과정에 참여했다고 하여, 개국공신 추가 책봉 때 3등 공신이 되었다.이후 중추원 도승지, 공조판서, 대사헌, 호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1416년(태종 16) 우의정이 되고 서원부원군에 봉해졌다. 태종이 세자를 폐하고 원손[4]을 세손으로 세우려 할 때 적극 찬동하였다.
1418년(태종 18) 영의정이 되었다가, 얼마 안되어 세종이 즉위하자 심온이 영의정이 되면서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 후 특별한 직임을 맡지 않고 공신 예우를 받으며 살다가 1423년(세종 5)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