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13:20:02

부산 버스 1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부산 버스 1EVE.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1기 노선3.2. 2기 노선
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4.2. 노선
5. 대체 노선6.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민락동기점) 종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부암역)
종점
첫차 05:05 기점
첫차 05:40
막차 22:40 막차 23:20
배차간격 21분
운수사명 오성여객 인가대수 5대
노선 민락동기점 - 광안리해수욕장 - 광안역 - 수영교차로(수영역) - 부산지방병무청 - 배산역 - 연제구청 - 양정역 - 송상현광장 - 부전시장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 부암역

2. 개요

부산광역시 최초의 전기버스 전용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0km였다.

3. 역사

3.1. 1기 노선

파일:Capture+_2019-06-07-18-01-21(1).png

3.2. 2기 노선

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7년 1896.43
2018년 1894.29 ▽ 2.16
2019년 1916.43 △ 22.14

4.2.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부암역
05195 · 05194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05321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05190
부전시장
05708
부전시장
05709
-
부전역
05707
송상현광장
05706
송상현광장
05705
양정역
05704
양정역
05703
양정역4번출구
05014
양정역6번출구
05011
세정고등학교
05009
세정고등학교
05005
연제구청
03106
연제구청
03107
신리삼거리
13104
신리삼거리
13101
한독아파트
13098
한독아파트
13100
배산역
13094
배산역
13093
망미중소기업은행
14014
망미중소기업은행
14011
부산지방병무청
14052
부산지방병무청
14045
망미역
14009
망미역
14007
수영아파트
14015
수영아파트
14017
수영사적공원
14051
수영사적공원
14049
수영교차로(수영역)
14089
-
수영구보건소
14056
수영역
14054
광안시장(광안역)
14060
광안역
14062
광안리입구
14064
광안리입구
14063
광안리해수욕장
14068
광안리해수욕장
14065
동방시장
14038
광안농협앞
14067
민락동골목시장
14036
민락동골목시장
14037
-
MBC방송국
14034
기점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가야대로
부전시장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중앙대로
양정역4번출구 ▼▲ 양정역
연수로
수영교차로(수영역) ▼▲ 수영사적공원
수영로
광안리입구 ▼▲ 광안역
광안로
광안리해수욕장 ▼▲ 광안리해수욕장
광남로
}}}}}}}}} ||

5. 대체 노선

6. 연계 철도역

폐선일 기준.
[1] 차고지는 현 1001번의 을숙도초등학교 회차지 근처에 있었다.[2] 이는 사실 다른 업체들도 마찬가지였다.[3] 1986~1987년식으로 추정되는 리어엔진버스를 폐업직전에 마지막으로 들여왔다.[4] 1992년에 계열사인 영신여객으로 흡수된다.[5] 본래 칠성여객의 노선이었으나 칠성여객이 1984년에 폐업하면서 영신상운이 91번을 맡아서 운행했다.[6] 오성여객에 전기버스가 처음 투입될 당시에는 전국적으로 전기버스가 62번 같은 장거리 노선에 투입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검증이 되지 않은 장거리 노선에 투입하는 위험성을 감수하느니 일단은 반쪽짜리 노선을 만들어서 어느 정도 실험을 한 것이었다. 이후 62번은 물론이요 108번까지 전기버스가 온전히 운행하게 되면서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고 볼 수 있게되었다.[7] 운행거리가 짧고 인가대수가 적은 정책노선들은 대부분 500번대로 번호가 지정되어 있다. 단, 520번과 555번은 예외로 운행거리가 매우 길다.[8] 만약 5대 모두 62번에서 감차시켰다면, 신라대학교 학생들의 이용이 많은 상황에서 배차간격이 체감상으로도 늘어났다고 느껴지므로 불편이 늘어날것으로 예상되었다. 안그래도 200번 경유시절 청강리 사태로 인한 배차간격 악화부터 시작해서 128-1번 노선 기형화, 187번 신설에 따른 129-1번 3대 감차로 인한 배차간격 증가 때문에 불만들이 많은 상황이었다. 사실 62번이 2대만 감차하기로 결정된 시점에서, 다른 회사와 공동배차하지 않는 이상 108번의 감차는 불가피했다.[9] 신도색 차량 도입 자체는 제일 먼저 했지만, 노선 개통은 늦게 하는 바람에 29번에서 운행을 먼저 했다. 현재는 2번, 3번, 7번, 9번, 11번, 15번, 29번, 30번, 31번(일광여객 차량), 38번, 39번, 43번, 44번, 50번, 55-1번, 55-2번, 58-2번, 63번, 70번, 71번, 73번, 77번, 83-1번, 85번, 87번, 88-1번, 96번, 96-1번, 100번, 100-1번, 106번, 107번, 108번, 110번, 110-1번, 111번, 121번, 127번, 131번, 134번, 139번, 141번, 148-1번, 167번, 180번, 181번, 184번, 188번, 200번, 301번, 302번, 338번, 583번(용화여객 차량), 1002번, 1004번, 1006번, 1009번, 1009-1번, 1011번, 1012번도 모든 차량이 신도색 차량이다.[10] 이와 비슷한 포지션으로 66번과 2017년 이전의 96-1번이 있다. 수요 분담 및 보조 노선으로 다니는 점과 운송수입금이 30만원대인 공통점이 있다.[11] 187번의 신설로 129-1번이 3대 감차된 터라 신라대 통학생들의 불편이 많아졌다. 특히 이 노선 신설을 위해 3대가 감차된 108번은 퇴근시간때에 15~20분 이상으로 배차간격이 자주 벌어진다.[12] 전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