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5:40:26

서울 호암산성

호암산성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44c3c> 서울특별시 배봉산 보루 · 북한산성[A] · 불암산성[A] · 아차산 일대 보루군[A] · 아차산성 · 탕춘대성 · 호암산성
경기도 남한산성 · 당항성 · 도기동 목책성 · 독산성 · 문수산성 · 반월성 · 북한산성[B] · 불암산성[B] · 아차산 일대 보루군[B] · 이성산성 · 파사성 · 죽주산성 · 행주산성 · 호로고루
인천광역시 강화산성(강화석수문)강화중성 ·강화외성정족산성 · 계양산성
충청북도 단양 적성 · 덕주산성 · 삼년산성 · 상당산성 · 온달산성 · 장미산성 · 충주산성
충청남도 공산성 · 부여 가림성 · 부여 나성 · 부소산성 · 영인산성
전북특별자치도 동고산성 · 미륵산성 · 위봉산성 · 우금산성
전라남도 자미산성 · 마로산성 · 봉대산성
광주광역시 무진고성
경상북도 가산산성 · 가야산 산성 · 금돌성 · 금오산성 · 명활성 · 주산성
대구광역시 달성 · 용암산성 · 초곡산성 · 팔거산성
경상남도 고성 만림산 토성 · 분산성 · 우불산성 · 화왕산성
부산광역시 금정산성
울산광역시 관문성
강원특별자치도 영원산성
[A]: 경기도와 겹침. [B]: 서울특별시와 겹침.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읍성 틀 바로가기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3px solid transparent"
{{{#!wiki style="margin: 0px; margin-top: -12px; margin-bottom: -7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343호
<colbgcolor=#315288> 서울 호암산성
서울 虎巖山城 | Hoamsanseong Fortress, Seoul
소재지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산83-1번지 외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 / 면적 133,790㎡
지정연도 1991년 2월 26일
관리자
(관리단체)
금천구 }}}}}}
파일:한우물및주변산성지.jpg
<colbgcolor=#344c3c> 호암산성 유적[1]
1. 개요2. 역사3. 구조4. 한우물5. 외부 링크6. 사적 제343호

[clearfix]

1. 개요

통일신라시대의 산성.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에 있다.

2. 역사

나당전쟁기에 당나라 군대와 전투를 벌였던 곳이었다고 하며, 임진왜란 당시에는 조선군의 주둔지로도 쓰였다.

1972년 8월 30일에 산성 안에 있는 우물 하나가 '한우물'이란 명칭으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받았다.

1989년과 1990년에 이 일대를 발굴조사했으며, 이 때 연못 2군데와 건물 터 4곳을 확인했다. 이외에도 많은 유물들을 발굴했다.

1991년 2월 26일에 문화재관리국에서 산성 권역 자체를 사적 343호로 승격시키고 등재 이름도 '한우물및주변산성지'로 바꾸었다. 이에 따라 한우물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에서 해제되었다. 2011년 7월 28일에 다시 '서울 호암산성'으로 재개칭했다.

3. 구조

정상부에 띠를 두르듯이 지은 테뫼식 산성이다. 평면 형태는 남북으로 긴 마름모 모양이다. 둘레는 1.25km로 이 중에서 성의 흔적이 남아있는 구간은 약 300m 정도이다. 성벽은 표고 325m이다.

호암산성의 주변은 방어에 유리한 조건에 들어맞는다. 동북쪽에는 관악산삼성산이 있고, 서쪽, 서남, 서북쪽으로는 안양천을 끼고 있다. 또한 산성 내부의 대지는 평평해서 유사시 많은 사람들이 들어올 수 있었다.

4. 한우물

파일:호암산성.jpg
<colbgcolor=#344c3c> 한우물[2]
상술했듯, 1989년 ~ 1990년 발굴조사에서 우물 터가 두 곳이 나왔다. 위 이미지는 제1우물터의 사진으로 겉모습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우물보다는 연못같다. 길이 22m, 폭 12m로 주변 석축의 재질은 화강암이다.[3]

조선 시대에 조성한 석축이 있었는데, 발굴조사 당시 그 아래에서 통일신라 때에 쌓은 석축의 흔적이 드러났다. 연못 내부에 쌓인 흙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확인한 층위를 보면, 땅 표면 기준 30cm 아래까지는 백자 조각을 비롯한 조선시대 유물이 나왔다. 그러나 그 아래로는 유물이 거의 보이지 않았고 굵은 모래층으로만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런데 이 모래층 아래에 있던 뻘층에서 다시 유물(나무로 만든 손잡이에 철제 날을 끼운 월형도끼, 토기 등)을 발견했는데 거의 전부 통일신라 시대의 것이었다고 한다. 통일신라시대의 석축 구조는 문무왕 때 만든 안압지의 구조와 매우 비슷했다. 안압지의 석축은 맨 아랫단을 내어쌓고 위로 올라갈 수록 들여쌓은 모습인데 여기도 마찬가지였던 것이다.
제2우물터는 제1우물터 아래에서 발굴된 우물터이다. 여기에서는 '仍伐內力只乃末(잉벌내역지내말)'이란 글씨가 새겨진 청동숟가락 유물이 발견되었다. 잉벌은 고구려가 한강 유역을 차지했을 때 붙였던 지명으로, 삼국통일 후인 757년(경덕왕 16년)에 '곡양현(穀壤縣)'로 이름이 바뀌었기 때문에 호암산성의 축조 연대를 757년 이전으로 유추할 수 있게 한 중요한 유물이다.

이밖에도 고려 시대 유물도 발굴했다. 고려 문종 시기에 중국 북송에서 쓰던 화폐 희령원보(熙寧元寶)가 대표적인 유물이다.

5. 외부 링크

6. 사적 제343호

호암산성은 산마루를 둘러 쌓은 통일신라시대의 테뫼식 산성으로 둘레는 1,250m이며, 그 중 약 300m 구간에 성의 흔적이 남아있다.

한우물은 '큰 우물' 또는 '하늘 못(天井)'이라는 뜻으로 호암산성 안에 있는 2기의 연못 중 하나이다. 발굴조사에서 연못 2개 ·건물지 4개가 확인되었고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조선시대의 한우물은 동서 22m, 남북 12m, 깊이 1.2m이고 그 아래의 신라시대 석출지도 확인되었다. 다른 우물지에서는 ‘잉벌내력지내미(仍伐內力只內未)’라는 글이 있는 청동숟가락이 나왔다.

우물지 근처에서 개 모양의 동물상(석수상)이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조선시대 서울에 화재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세웠다는 설화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우물 근처에서 석구지(石拘池)라고 새겨진 돌이 발견되었는데, 아마도 이 연못이 석수상과 관련되어 석구지라고 불려진 것이라고 보여진다.

※(한우물및주변산성지 → 서울 호암산성)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 (2011.07.28 고시)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두 번째 사진 출처 - 생생문화재.[3]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울호암산성(─虎巖山城)》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