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21:42:54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

슈단나더에서 넘어옴

문서가 존재하는 쯔꾸르 시리즈
{{{#!wiki style="margin:-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text-align:center;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letter-spacing:-.2px"
<colbgcolor=#DDD,#383B40> RPG 계열 95 · 2000 · 2003 · XP · VX · VX Ace · MV · MZ · Unite
기타 계열 2D 격투 쯔꾸르 95 · 2D 격투 쯔꾸르 2nd · 액션 게임 쯔꾸르
관련 유틸 RPG Maker 2009 Ultimate · DynRPG · 초코 플레이어 · 네코 플레이어 · EasyRPG
쯔꾸르 게임 목록
개별 문서가 없는 쯔꾸르 시리즈는 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
Danganronpa Another
동인 게임 <단간론파 어나더 시리즈>
단간론파 어나더
-또 하나의 절망학원-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
파일:logo2.png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
Super Danganronpa Another 2 -The Moon of Hope and Sun of Despair-
<nopad> 파일: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타이틀.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개발 린유즈
장르 추리 어드벤처
공개일 2017.06.02 (챕터 1 체험판)
2017.09.22 (챕터 1 완전판)
2017.12.29 (챕터 2)
2018.05.04 (챕터 3)
2018.11.23 (챕터 4)
2019.04.12 (챕터 5)
2019.04.26 (챕터 0)
2020.01.10 (챕터 6)
엔진 RPG 만들기 VX Ace
플레이 타임 40시간 이상
홈페이지 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2. 게임 내 특징3. 등장인물
3.1. 희망봉 학원의 학생들3.2. 키사라기 기관3.3. 기타 등장인물
4. 챕터5. 시스템
5.1. 스마트 학생수첩5.2. 자유행동5.3. 학급재판
5.3.1. 원작 리메이크5.3.2. 창작 게임
6. 공략7. 평가8. 해외 진출
8.1. 영어 더빙판8.2. 일본8.3. 중국8.4. 그 외
9. 인기 투표10. 원작 시리즈 전통과의 비교11. 기타12. 관련 문서

1. 개요

대한민국의 게임 제작자 '린유즈'[1]단간론파 시리즈의 세계관[2]을 기반으로 해서 RPG 쯔꾸르 VX Ace으로 만든 동인 게임. 단간론파 어나더 -또 하나의 절망학원-의 정식 후속작이다. 제목 앞에 슈퍼가 들어간 것은 원작 슈퍼 단간론파 2의 오마주이다.

단간론파 어나더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으로, 전작이 마무리됐을 당시 제작자는 군입대를 준비해야 했었고, 사회에도 적응해 가야 할 시기가 되었기에 후속작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왔다고 한다. 하지만 팬들의 열렬한 성원이 닿아 결국 2015년 6월 13일에 공식으로 후속작을 발표하였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1인 제작인 건 동일하나 스토리 쪽으로는 소설 IF 스토리를 썼던 '밤눈박이'가 함께했다고 한다. 간간히 휴가를 나와 미완성 프롤로그를 공개하고 2017년 3월 15일날 전역하여 이후 무사히 엔딩을 낸 상태. 전작 챕터 1을 배포했을 때가 2013년 1월 초였으니 군대 복무를 포함해 무려 7년 동안 별다른 후원 없이 오로지 팬심만으로 동인 게임을 두 개나 완결시킨 셈이다.

본편에서 미처 풀지 못한 떡밥과 사이드 스토리들은 오마케 업데이트에서 회수할 예정이었으나, 2022년 12월 린유즈의 사정상[3] 공식적으로 오마케 제작 취소를 발표하였다. 하지만 게임이 아닌 다른 형태로 영상이나 소설, 삽화 등의 형태로 풀어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2022년 12월 25일, 첫 에피소드가 공개되었다. 오마케 모음집

2. 게임 내 특징

파일:슈단나더1.png 파일:슈단나더2(챕터0기준).png
기본적인 조작 방식은 포인터를 조작해 진행하는 방식이다. 다만 원작처럼 1인칭 시점이 아닌 다른 쯔꾸르들과 마찬가지로 톱뷰 형식. 좌우상하 외에 대각선으로도 움직일 수 있고 이동 속도도 빠른 편이라 캐릭터를 직접 조종해야 했던 전작보다 조작감이 훨씬 편해졌다. 또한 캐릭터가 아닌 포인터를 조작해 딱히 장애물에 막힐 일이 없다.

맵은 여러 개의 작은 장소와 월드맵으로 구성돼 있으며, 월드맵에서는 포인터 조작이 아니라 조종 캐릭터가 횡스크롤로 뛰어다닌다.[4] 원작처럼 다음 장소에 도착할 때까지 계속 달려가야 하는 건 아니고, 좌우 방향키를 한 번만 눌러주면 금방 다음 장소에 도착하는 형식이다.

전작에서 큰 문제점으로 지적받았던 '대사량에 비해 빠른 진행이 불가능한 점'은 스킵 기능이 추가되면서 해결되었다. 컨트롤 키를 누른 채 결정키를 연속으로 눌러주면 빠른 속도로 대사를 넘길 수 있다.

반론 쇼다운 파트마다 각 캐릭터의 보이스가 나왔던 전작보다 발전하여 본작에서는 일상 파트에서도 캐릭터마다 짤막한 보이스가 재생된다. 이 덕분에 캐릭터들의 특성이 더욱 잘 살려졌으며 그중에는 아예 목소리 자체가 개성이 된 케이스도 존재한다. 주인공을 제외한 모든 음성은 일본 성우들의 대사들을 추출해온 것이다. 다만 넓은 범위내에서 전부 찾아다니기엔 여러모로 애로사항이 있어서인지, 출처의 중복이 좀 많은 것이 아쉬운 점. 그리고 여기서 우리는 제작자의 작품 취향을 알 수 있다. 캐릭터들의 보이스 출처는 각 문서 상단의 프로필을 참조.

모든 연출들을 툴 자체 기능으로 소화하였던 전작과 달리 이번작에서는 MAGIX 베가스로 제작한 영상 파일들이 포함되어 있다. 아무래도 전작과 같은 방식으로는 너무 버거웠던 듯.[5] 제작자가 베가스에 입문한 지 얼마 안 된 것치고는 퀄리티가 꽤나 준수하다. 동인 게임 최초로 논스톱 회의를 시작할때 원작처럼 카메라가 좌석 뒤 시점에서 빠르게 돌아가는 연출이 구현되었으며 그 외에도 각 챕터의 피해자 발견 장면과 벌칙 타임 등 여러 이벤트에서 활용되었다. 때문에 Movie 폴더에 있는 파일들은 스포일러를 원치 않는다면 절대로 보지 말 것.

전작도 그랬지만 특히 이번 작품은 등장인물들의 사망 묘사들이 원작을 능가할 정도로 상당히 그로테스크하다. 챕터 1의 피해자 시체부터 원작에서도 탑급으로 평가되는 시체들과 동급 수준이고, 벌칙 타임 또한 단간론파 특유의 연출과 엽기성을 잘 살린 한편 그로테스크한 건 마찬가지. 작중 내내 시체의 죽은 눈이나 유혈, 맛이 간 듯한 표정, 심지어 원작에서는 절대로 나오지 않은 신체절단까지 거리낌 없이 나오는 등, 시체의 끔찍함을 꾸준히 강조한다.[6] 팬들 사이에서도 너무 잔인하다는 의견이 나올 정도이므로 이런 거에 내성이 없다면 주의하자.

3. 등장인물

※ 원작 시리즈, 그리고 전작과 마찬가지로 모든 문서가 스포일러 덩어리이며 원작의 스토리를 스포하는 서술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할 것을 요한다. 특히 하단의 목록중에는 전작의 등장인물까지 서술되어 있으므로[7] 전작 스포를 원치 않는다면 아예 이 밑으로 스크롤을 넘기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 또한, 세계관 상 아무 연관이 없는 뉴 단간론파 V3 -모두의 살인 신학기-의 경우 기본적인 정보는 허용하되, 되도록 작중 행적이나 주요 반전, 유도성 스포 등의 서술은 삼갈 것을 권한다.

3.1. 희망봉 학원의 학생들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에 등장하는 희망봉 학원의 초고교급 학생들
## 구분선
{{{#!wiki style="letter-spacing: -1px;"
행운
{{{#!wiki style="letter-spacing: -1px;"
브로커
{{{#!wiki style="letter-spacing: -1px;"
신문기자
{{{#!wiki style="letter-spacing: -1px;"
화가
{{{#!wiki style="letter-spacing: -1px;"
소방관
{{{#!wiki style="letter-spacing: -1px;"
호스티스
{{{#!wiki style="letter-spacing: -1px;"
당구선수
{{{#!wiki style="letter-spacing: -1px;"
복싱선수
{{{#!wiki style="letter-spacing: -1px;"
심리학자
{{{#!wiki style="letter-spacing: -1px;"
배우
{{{#!wiki style="letter-spacing: -1px;"
보컬리스트
{{{#!wiki style="letter-spacing: -1px;"
기타리스트
{{{#!wiki style="letter-spacing: -1px;"
우주인
{{{#!wiki style="letter-spacing: -1px;"
마법사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letter-spacing: -1px;"
스포일러 주의【 보기/접기 】
* 오오토리 테루야 - 鳳照屋 <전 초고교급 상인>

3.2. 키사라기 기관

3.3. 기타 등장인물

4. 챕터

파일:logo2.png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챕터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프롤로그 <colbgcolor=#fff,#191919> TROPICAL ECLIPSE
챕터 1 떼 속 늑대는 조용히 미소짓는다
챕터 2 노로이모노가타리
챕터 3 심연악마를 들여다보던 소녀는
챕터 4 거짓말쟁이거짓말진실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챕터 5 희망 ECLIPSE...?
챕터 0 N년 전
챕터 6 희망의 달절망의 태양
에필로그 EPILOGUE
}}} }}}}}} ||


참고로 챕터 0과 챕터 6을 제외하면 일상편 타이틀 화면에는 그 챕터의 주요 인물이 등장하며, 비일상편 타이틀 화면에는 그 챕터의 피해자가 등장한다. 따라서 타이틀 화면만으로도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니 각 챕터 열람 시 주의.[8]

5. 시스템

5.1. 스마트 학생수첩

파일: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스마트 학생수첩.png
원작과 전작의 전자학생수첩과 같은 역할을 하는 도구. 기본적인 스테이터스로는 생명력, 발언력, 그리고 오리지날 요소인 피로도가 있다.

5.2. 자유행동

본작의 자유행동은 타 단간론파 작품과는 다르게 주어지는 행동이 3가지가 있다. 자유행동은 하루에 세번씩만 가능하며 상술한 피로도 수치가 이 자유행동에서 쓰이게된다. 참고로 스토리 진행 상황에 따라 특정 행동이 잠시동안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5.3. 학급재판

원작의 학급재판에 대해서는 학급재판 문서 참조.

제작자가 본인만의 독창성을 선보이겠다고 선언한 만큼 기존의 단간론파 시리즈의 미니게임들은 거의 나오지 않고 순수 창작 미니게임들로 이루어져있다. 논스톱 회의, 반론 쇼다운 처럼 원작에서 가져온 것들도 있지만 대부분 이름만 같지 사실상 다른 미니게임이라 봐도 좋다. 오리지널리티를 강조하려는지 원작에서 따온 미니게임들은 다 뒤에 어나더가 붙는다. 논스톱 회의 -어나더-, 반론 쇼다운 -어나더- 등.

미니게임 대부분의 공통사항으로 시프트키를 눌러 방향키와 Z키로 말탄환을 선택할 수 있고, A키를 누르면 중간에 정지시켜 말탄환 목록을 열람할 수 있다. 생명력을 전부 잃고 게임오버 할 경우 해당 시점에서 재도전이 가능하지만, 점수와 관련없이 최종 F랭크 고정 페널티를 받게 되므로 주의 해야한다. 그나마 재도전 시 아예 보상이 사라지던 전작보다는 나아진 편.

자유행동을 통해 얻은 T스킬들은 재판 대기화면에서 스킬 포인트를 소비해 장착해야 효과가 발휘된다. 전작에 비해 학급재판 난이도가 상당히 어려워져서 본작은 스킬 의존도가 매우 높아졌다. 재판 중간에 딱 한번 스킬을 재정비할 기회를 주므로 요긴하게 사용해보자.

5.3.1. 원작 리메이크

5.3.2. 창작 게임

6. 공략

6.1. 캐릭터별 선호 선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캐릭터별 선호 선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캐릭터별 선호 선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캐릭터별 선호 선물#|]][[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캐릭터별 선호 선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스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스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스킬#|]][[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스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평가

전작보다도 더욱 업그레이드 된 시나리오와 퀄리티로 단간론파 동인 작품 최고의 명작으로 꼽히고 있다.

전작은 처음부터 완결 낼 생각도 없이 심심풀이로 만든 작품이라 제작자 본인이 크게 만족감을 느끼지 못했는데, 이번 게임은 팬들의 기대에 힘입어 아예 작정하고 만든 덕에 엄청난 퀄리티는 물론이고 제작자 본인의 사심이나 취향까지 듬뿍 담겨져 있는 작품이다. 덕분에 전작의 수수함을 생각하고 플레이했다가는 개성 넘치는 등장인물들과 빈번한 패러디, 그리고 매우 높은 수위에 혀를 내두르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이런 요소들은 전부 제작자 본인의 취향이다. 제작자 曰: 단간론파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정도 취향은 별로 특이할 것도 없다고 생각합ㄴ

스토리의 경우, 원작 단간론파 시리즈와 연결점이 상당했던 전작과 달리 본작에서는 원작과의 연결고리를 끊고 어나더만의 독자적인 스토리 라인을 풀어가고 있으며, 때문에 게임의 제목도 '슈퍼 단간론파 2 어나더'가 아닌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라고 강조하였다. 원작 시리즈의 전통이나 클리셰도 거의 따르지 않을 것이라 하나,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어느 정도 따라갈 수는 있다고 한다. 전작인 단간론파 어나더를 플레이 하지 않으면 복선과 인물들의 언행을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상당히 많으니 전작을 플레이 한 이후 하는 게 좋다.[16] 전작의 챕터 6까지만 클리어 하더라도 스토리 이해에 지장은 없으나, 외전격인 챕터 6.5에는 본작에서 풀어지는 떡밥들이 다수 깔려있기에 되도록 챕터 6.5까지 클리어 하는 것을 추천. 플레이하기가 힘든 상황이라면 해당 문서를 정독하는 것도 좋다. 원작과의 연결을 끊은 만큼 희망절망이라는 원작의 주제는 희미해졌으며, 본작을 관통하는 주제는 과정결과이다.

스토리에 대해 스포일러 없이 간단히 평가하자면, 어나더보다 스토리가 더 복잡하고 학급 살인의 내용이 훨씬 더 방대한 느낌이 강하다. 어나더에서는 살인의 방법이 원작인 단간론파 1보다도 간파하기 쉽고 치밀하지 않은 부분이 있었다면,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에서는 학생들이 개개인이 전부 파악하기는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추리가 복잡했고, 학급재판을 진행하며 순차적으로 살인의 수법이 밝혀지는 방식이다. 스토리는 전작보다 방대하지만, 어나더1의 핵심적이고도 짜임새 있는 스토리에 전율을 느낀 사람에게는 감동이 덜할 수도 있다. 하지만 챕터 6의 결말이 찝찝했던 떡밥들을 다 회수해주고 역대급 분량이기 때문에 클라이막스에서의 또 다른 느낌의 스토리성을 느낄 수 있다.

전작의 경우 제작 당시 제작자의 나이가 어리기도 했고, 심심풀이로 만들기 시작한 작품이다보니, 사건과 트릭의 퀄리티나 난이도가 낮은 편이었으나, 본작의 경우에는 상업적으로 출시된 추리게임과 비교해 보아도 꿇리지 않을 정도로 퀄리티가 높다고 평가받는다. 특히, 챕터 3의 트릭과 챕터 5의 반전에 대한 호평이 상당하다.

많은 호평을 받은 게임이지만 아쉬운 점도 있었다. 트릭이나 추리 퀄리티 상승으로 호평받았지만, 챕터 4는 추리가 부실하다고 평가받았으며, 특히 챕터 4는 특정 캐릭터들의 행적 관련 논란 때문에 챕터 6 출시 때, 일부 대사가 수정되기도 했다.[17] 또, 호불호가 갈리는 몇몇 등장인물의 캐릭터성도 있다.[18] 외적 요소로는 작품이 유명해지면서 악성 팬덤도 더욱 늘어나게 되었는데 챕터 6 공개 후에 절정에 달해서 제작자 본인이 직접 자신의 작품을 원작과 비교하는 것을 삼가라고 당부하게 되는 일도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스토리 라인 이외에도 게임 여기저기에 원작과 차별되는 오리지널 요소들이 존재하며, 작중에서 보여지는 각종 연출이나 시스템 등에서 제작자만의 독창성이 엿보인다. 그런 한편 여태까지의 단간론파 동인 게임들과는 비교가 안 되는 원작 구현도를 자랑하는 팬게임이라고 할 수 있다.

8. 해외 진출

챕터 1이 공개된 이후 인게임 영상이 유튜브에서 돌아다니기 시작했는데 준수한 퀄리티로 크게 주목받아 해외 팬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또한 본작이 유명해지기 시작하면서 전작도 덩달아 해외에서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실제로 몇몇 관심이 있는 해외 사람들은 이곳 나무위키까지 직접 와서 번역기를 동원해 여기있는 문서들을 정독하고 있을 정도. 심지어 언제부턴가 FANDOM 위키에 전용 문서까지 개설되었다.[19] 해외 팬덤에서는 SDRA2로 약칭되고 있다.

8.1. 영어 더빙판

슈퍼 단간론파 어나더 2 -희망의 달과 절망의 태양-
Super Danganronpa Another 2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원작자 린유즈
개발 Team Super Dubbironpa Another 2
장르 추리 어드벤처
공개일 2020.12.27 (챕터 1)
2022.03.14 (챕터 2)
엔진 RPG 만들기 VX Ace
플레이 타임 10시간 이상[20]
홈페이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자막 연재)

챕터 1이 출시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영어 현지화 번역 권유가 나왔다. 또한 단순히 영어 패치에 그치지 않고 따로 공식 더빙판을 배포할 계획이라고 하며, 번역과 더빙 작업 등 모두 제작자 린유즈의 허가를 받고 시작한 것이지만, 당시 린유즈는 게임 진도가 아직 초반이라 보이스까진 이르지 않냐는 의견을 보였었다. 현재는 챕터 2까지 더빙이 완료되었다.[21]

패치 작업에 다수의 해외인들도 참가하고 있으며 게임 내의 각종 용어들이나 드립들이 영미권에 맞춰져 현지화 되어있는 게 특징.[22] 약 3주 동안 캐스팅 콜 클럽이라는 사이트에서 아마추어들을 대상으로 오디션을 진행하여 총 264명이 지원해 1040개의 오디션 보이스를 얻었다. 텍스트 작업 지원자들도 대사 녹음을 해야 한다.[23] 현재는 더빙 성우들이 모두 캐스팅된 상황이며, 성우들의 음성 및 연기는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 중이다.

게임 내 번역과는 별개로 번역 팀원 중 한 명이 유튜브에서 따로 연재 중이었으나, 챕터 6 수사 파트 중간부터 연재가 중단된 상태다.[24]

8.2. 일본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챕터 1 ~ 챕터 5, 유튜브)
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챕터 1 ~ 챕터 5, 니코니코 동화)
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챕터 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챕터 6)

2018년 4월 11일부터 일본에서도 번역을 시작했다. 게임 자체를 패치하는 건 아니고 어느 팬이 니코니코 동화유튜브에서 자막본을 연재했다. 2023년 7월 14일로, 챕터 5까지 번역이 완료되었다. 그러던 중, 영상 제작에 시간이 너무 걸려서 챕터 6 초반까지만 동영상으로 올리고 그후로는 글로만 업로드하겠다는 공지가 올라왔지만 해당 공지를 끝으로 소식이 끊어졌다.

이후, 2023년 8월 26일부터 다른 유튜브에서 챕터 6의 자막본을 이어가다가 2024년 2월 18일로 완결되었다. 한참동안 챕터 5 이후 생존자들의 자유행동은 번역되지 않고 있었는데, 2024년 7월 15일부터 비정기적으로 번역 영상을 올리다가, 2025년 1월 1일로 마침내 완결되었다. 다만 챕터 6부터 번역을 이어간 유튜브의 경우 왜곡 수준의 오역이 보이는 편이다.[챕터_6_스포일러]

나름대로 히트를 친 북미쪽과는 달리 잘 알려지지 않아 첫 영상을 업로드 했을 당시 반응은 살짝 저조한 편이었으나 팬들이 많아져 조회수가 만 단위에다 코멘트도 세 자리 숫자를 넘어갔다. 3차 창작도 비교적 활발해져 MMD도 나오고 있는 상황으로 일본 외의 해외 동인 작품 중에서는 가장 히트한 작품이 되었다.

8.3. 중국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링크 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중국에서는 비리비리에서 자막으로 번역되었다. 올라오는 주기는 매우 길지만 챕터 하나를 일상/조사/재판 파트 3개씩 나눠서 통째로 올리기 때문에 영상 하나 길이가 몇시간을 잡아먹는다. 덕분에 번역 진도가 가장 빠르고 팬들의 3차 창작도 많이 나오는 중이다. 2021년 8월 30일로 완결되었다.

8.4. 그 외

그 외에 태국, 필리핀, 러시아, 스페인 등에서 제작자에게 메일을 보내왔고, 독일어와 폴란드어로도 번역 제안이 들어왔었지만 아직 영어 번역도 끝나지 않은 상태라서 두고볼 일이다.

9. 인기 투표

2020년 1월 24일부터 2월 7일까지 제작자 린유즈의 블로그에서 실시했던, 등장 인물 중 17명 대상의 인기투표 결과이다. 팬덤이 더욱 거대해진 만큼 전작과 비교해 투표에 참여한 인원이 무려 20배가량 많아졌다. 5위안에 든 캐릭터들은 특전 일러스트가 있다고 사전에 공지되었다. 보러 가기

인기투표 결과 [열기 / 접기]
||<rowbgcolor=#f0e68c> 순위 || 캐릭터 ||
1 소라
2 오토노코지 카나데
3 니지우에 이로하
4 카부야 요루코
5 오오토리 테루야
6 치에부쿠로 세츠카
7 산노지 미카도
8 요미우리 니케이
9 하시모토 쇼바이
10 마에다 유우키
11 카사이 신지
12 모노크로우
13 오토노코지 히비키
14 마쿠노우치 하지메
15 미츠메 코코로
16 카가린 유리
17 마고로비 엠마

10. 원작 시리즈 전통과의 비교

단간론파 동인 게임 중에서도 이 게임이 유독 높은 평가를 받는 데에는 원작의 요소들을 적절하게 녹여낸 덕이 크다. 단간론파 시리즈는 원작도 셀프 패러디를 할 정도로 과거 작품의 요소들을 꼼꼼하게 끼워넣는 게임으로 유명한데, 어나더의 제작자인 린유즈 역시 이를 충실하게 반영하여 원작을 플레이한 팬들이 더욱 게임에 몰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하단의 내용은 원작 중 최신 작품인 단간론파 V3 및 단간론파 어나더 시리즈모두 클리어하지 않았다면 열람하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 캐릭터 / 초고교급 재능 관련 #===
===# 게임 관련 #===
===# 챕터별 공통점 #===
[챕터 1]
[챕터 2]
[챕터 3]
[챕터 4]
[챕터 5]
[챕터 6]
===# 생존 관련 #===
===# 그 외 #===

11. 기타

파일:인방시.png

12. 관련 문서


[1] 현재 국산 인디 게임 크로노 아크의 시나리오 라이터를 담당하고 있다.[2] 원작의 세계관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서 국산 동인 게임이지만 배경이 일본이며 등장인물들도 일본인이다.[3] 린유즈의 나이도 이제 곧 30줄을 바라보는 데다가, 현재 크로노 아크의 시나리오 라이터로 근무하고 있는 사회인이기 때문에 단간론파 어나더 시리즈에 더 이상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는 힘들어진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금씩이라도 개발을 진행하고 있었으나, 어느 순간 확인해 보니 그동안 작업했던 기록들이 싸그리 날아가 버린 것이 결정타로 작용했다고 한다.[4] 챕터 5 이전엔 살짝 어색했으나 챕터5에서 뛰어다니는 애니메이션이 교체되면서 훨씬 매끄러워졌다.[5] 전작은 무려 팔 다리 머리 눈 눈동자를 각자 그려서 끼워맞추고 확대축소를 한 것. 노가다는 둘째치고 사양여부 없이 렉이 걸리는 편이다.[6] 챕터 3에서 이게 정점을 찍었다.[7] 문서의 첫 단락부터 전작의 스포일러가 넘쳐난다![8] 단, 챕터 1과 챕터 5에는 피해자가 등장하지 않았고, 그 챕터의 중요 인물들이 등장했다.[9] 작중에서 주인공이 이 드립을 쳤다(...)[10] 기존 200C에서 500C로 상향되었다.[11] 엄밀히 말하면 마고로비 엠마의 D스킬 '천의 얼굴'을 쓰면 사교시에도 소량 경험치가 오르니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그러나 유의미한 수치의 경험치는 조사가 유일한 것은 사실.[12] 조사하면서 만나는 이벤트로 다시 되돌릴 수는 있다. 물론 말로는 쉽다.[13] 산노지 미카도는 제외, 산노지의 이벤트는 1번이다.[14] 하시모토 쇼바이미츠메 코코로 등이 해당.[15] 실드 게이지 최대 수치는 5이고 장애물은 각 색깔마다 대미지가 다르다. 초록색, 하늘색은 1, 노란색은 2, 붉은색 블록은 무조건 즉사 후 재시작.[16] 챕터 4부터는 전작의 인물이 대놓고 언급되므로 이해하기가 어려운데, 예시로 일본에서 슈단나더 챕터 4가 번역될 당시 전작이 아직 번역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서 일본 팬들이 스토리를 따라가기 어려워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다행히 일본에서도 전작이 완결까지 번역되면서 해결되었다.[17] 단 챕터 4는 불의의 사정으로 트릭을 급하게 수정했어야 했으니 참작의 여지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챕터 4 문서 참조.[18] 물론 원작부터가 강렬한 캐릭터성으로 인한 호불호가 극명한 작품인 만큼 슈단나더만의 문제는 아니다.[19] 여담으로 팬간론파 로고에 모노크로우가 있다.[20] 챕터 2까지[21] 디스코드를 통해 진행 상황을 간간히 올리고 있다. 현재 챕터 3은 80%, 챕터 4는 40% 정도 완성되었다고 한다.[22] 용어를 예를 들면 초고교급을 직역한 'SHSL(Super High School Level)' 대신 영미권에서 초고교급으로 통용된 'Ultimate'를 쓰는 등이 있고, 드립의 경우는 "My kidnapping sense is tingling." 등이 있다.[23] 사이트를 둘러보면 알 수 있지만 한 달 만에 오디션이 천개를 넘는 경우가 굉장히 드물다. 모집을 시작한 당사자도 최종 300개 정도면 많은거라 여겼다가 1주일 채 안 돼서 오디션이 400개가 넘는 걸 보고 입을 다물지 못했다고. 이후 이 기록은 단간론파 킬큐어라는 영미쪽 팬 메이드 영상에 의해 깨졌다.[24] 번역팀과는 별개의 유저들이 유튜브를 통해 챕터 6의 번역을 올렸으나, 번역팀에 비해서 번역의 질은 떨어지는 편이다.[챕터_6_스포일러] 오오토리가 독이 든 밥을 먹기 직전, "내가 그 녀석이 생각한 것만큼 대단한 녀석이 아니었다면? (중략) 자기 목숨 챙기는 것에 우선하느라 앞뒤 안 가리고 허겁지겁 밥을 먹어치워 버린다면?" 이라며 예전 자신이 했던 행동을 자조하는 대사를, ”もし、あいつが思っている以上に僕がすごい奴だったら? (중략) すぐに自分の命を捨ってる覚悟を持ってた奴がいたとしたら?” "만약, 그 녀석 생각 이상으로 내가 대단한 놈이었다면? (중략) 당장 자신의 목숨을 버릴 각오가 되어있는 녀석이었다면?" 라고 번역하였다. 이 외에도 요미우리의 주요 키워드인 '권력(権力)'을 'スクープ(특종)'이라고 번역한 장면 등이 있다.[26] 표면적으로 1의 주인공이었던 가짜 마에다와 달리 진짜 마에다에게는 바보털이 있다. 그리고 바보털의 유무는 1에서도 복선으로 쓰였다.[27] 평상시에는 크게 부각되지 않았으나, 챕터 3 재판 이후에 히비키 한정으로 변태끼를 가감없이 드러낸다. 이후, 챕터 6의 과거 화상을 돌려보는 장면에서 언니가 자고 있는 동안 보여준 추태로 한 번 더 확인사살당했다.[28] 굳이 말하면 음악이 항상 필요한 치어리딩을 하는 토모리 키즈나겠으나 작중에서 음악적 재능이 부각된 적은 없었다.[29] 이 중 타이라를 제외한 셋은 주먹으로 때렸다. 킨조가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며 때려달라고 말했기 때문. 다만 오오토리는 실제로 때리는 장면이 나오지 않았다.[30] 트라이얼 포인트 겟터즈, 재판 득점 3인조.[31] 1편의 나에기 마코토, 2편의 히나타 하지메[32] 1편의 키리기리 쿄코, 2편의 나나미 치아키[33] 1편의 토가미 뱌쿠야, 2편의 코마에다 나기토[34] 이전 게임들에 비해서 초반 챕터에는 주인공을 제외하고도 브레인이 상당히 많은 편이지만, 이후 브레인들이 한 명 씩 죽어나가면서 챕터 5 쯤에서는 주인공을 제외하고는 브레인이 단 한 명도 남지 않게 된다.[35] 이들은 공통적으로 넥타이를 메고 있다. 여담이지만 단나더에서 넥타이를 메고있는 인물들은 모두 추리력이 높으며, 붉은색인 주인공을 제외하고는 넥타이가 모두 검은색이다.[36] 쿠로카와는 말수가 없어서 활약이 가장 적지만 챕터 2나 챕터 4에서 분량을 챙기고 탈선하지 않도록 학생들을 도와준다. 여담으로 이 4명 중 주인공을 제외한 3명은 2챕터에서 다잉메시지를 가장 빨리 해독하는데 성공한 인물들이다.[37] 즉 주인공보다 추리력이 높은 학생이 4명이나 있는 셈.[38] 단간1은 주인공보다 추리력이 압도적으로 높다고 할 만한 인물이 한 명뿐이며, 2편의 경우 세 명 모두 상당히 수평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다. 심지어 리부트 시리즈인 V3에서는 주인공과 비교했을 때 추리력이 동급이거나 적은 학생들밖에 없기에 주인공보다 추리력이 높은 인물이 많은 어나더2는 추리와 관련된 클리셰를 깬 이레적인 작품이다.[39] 이러한 특징 때문에 조력자가 주인공에게 힌트를 주는 미니게임인 '찬론 리플레시'라는 고유 창작 게임이 등장하였다. 그런데, 머리가 좋은 이들 전원이 성격이 뒤틀린 인물들인 나머지, 찬론 리플레시를 걸어온 챕터 5를 제외하고 전원 악인이라는 공통점이 있다.[40] 챕터 2 피해자[41] 챕터 3 검정[42] 챕터 5에서 가상 세계를 탈출[43] 연구소로 도주하던 중 히가가 모노쿠마로부터 마키를 구해준 적이 있고 최후에도 서로 같이 싸웠다.[44] 연인은 아니지만 타이라를 위해 자신이 대신 죽었고, 그 결과 타이라가 메카루를 지키기 위해 희생하게 만들었다. 이 인연은 후속작에서도 이어져 타이라의 데이터를 지닌 소라가 무의식중에 아야메를 부를 정도.[45] 1까지는 죽은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2에서는 타이라 아카네가 비록 뇌사상태까지 몰렸고 그 인격이 남아있는지는 결말에서도 미지수이긴 하나 어쨌든 신체는 생존한 상태가 됐다.[46] 이라나미 사츠키가 하루히코를 죽이고 하루히코가 짠 트릭으로 사츠키만이 생존하는 것이 계획이었기 때문에 주인공이 아닌 사츠키는 재판을 거쳐 검정으로 찍히고 사망했다.[47] 한 캐릭터가 희생한 경우 중 유일하게 희생한 캐릭터가 죽지 않은 경우이기도 하다.[48] 당연히 마에다가 범인인 줄 알고 그를 살리기 위해 스스로 희생했지만 본의 아니게 요미우리를 돕게 되었는데, 그 요미우리는 산노지의 농간으로 살해당하긴 했으나 마에다는 타이라의 몸을 빌려 일단 살아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죽음을 숨길 필요가 없으니 명백히 증거가 남는 방법으로 자살했기 때문에 소라를 비롯한 나머지 인원들의 추리가 결국 불을 지른 사람이 카사이를 죽였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도록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었다.[49] 코마에다처럼 자살로 죽은 것은 아니었지만 먼저 결투를 제안하고도 자신의 총은 폭발하도록 만들어놨었기 때문에 자살과 마찬가지였다.[50] 시도했으나 우츠로의 천운으로 인해 실패했다.[51] 유일한 예외가 있다면 이 처자인데 자신의 친언니가 챕터 1에서 죽었으나 자신은 챕터 6이나 되어서야 사망했다. 그러나 준코는 자신의 언니를 별로 각별하게 생각하지 않았으며 애당초 자기가 직접 죽인 것이다.[52] 단간론파 3 -The End of 키보가미네 학원- 미래편에서 키리기리 쿄코가 사망 직전까지 가긴 했으나, 키무라 세이코의 약을 복용한 덕에 가사 상태에 멈춰서 츠미키 미캉의 치료로 살아났다.[53] 소라도 재능과 관련없을 뿐, 캐릭터성에 맞는 이름이므로 신경쓴 이름이 맞다.[54] 사실은 남녀를 불문하고 단간론파 시리즈뿐만 아니라 특히 기타 2D의 여캐들은 현실의 여성들보다 수치상으로는 작은데 보기에는 생각보다 크게 그려진다. 원작 단간론파 여캐들중에서도 큰편에 속하는 여캐들의 경우 그 가슴둘레에 최소 +10cm는 되어야 납득이 된다. 위의 예시로 든 남캐들도 마찬가지.[55] 이 경우는 애매하지만 일단 그림에 대한 재능은 둘 다 있으므로.[56] 심지어 이런 경우도 있다.[57] 단간론파 시리즈의 BGM을 작곡한 타카다 마사후미가 참여한 작품이라 분위기가 단간론파에도 꽤 어울리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