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13:01:33
스바토보-크레멘나야 전선 전투는 2022년 우크라이나 동부 역공세 에서 이어진 전투들이다. 2.1. 우크라이나의 선전 10월 2일 스바토보-크레멘나야 전선 전투로 넘어간 뒤에도 우크라이나군은 우세한 흐름을 이어갔다., 2023년 1월 1일 러시아가 바흐무트 전투 에서 선전을 거두기 시작 하면서 동부 전선 전체적으로는 밀리기 시작했지만 스바토보-크레멘나야 전선 한정으로는 1월 25일까지 우세한 흐름을 가져갔다. 2.2. 러시아군의 반격 1월 27일 스바토보-크레멘나야 전선에서 러시아가 역습을 시작했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가 탈환한 영역을 다시 차지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루간스크주를 전부 재점령하진 못하고 있다. <rowcolor=#fff> 08.07. 기준 루간스크 전선 지도 <rowcolor=#fff> 08.07. 기준 노보실리스케 전선 지도
<rowcolor=#fff> 10.18. 기준 크레멘나야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크레멘나야와 시베르스키도네츠 강 사이의 숲으로 전진했다. <rowcolor=#fff> 11.26. 크레멘나야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이 크레멘나야의 남부 삼림지역으로 전진했다. <rowcolor=#fff> 12.03. 기준 크레멘나야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은 크레미나 남쪽의 삼림지대로 소폭 진격했다. <rowcolor=#fff> 12.10. 기준 크레미나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지난주 공세를 통해 크레미나의 북서쪽으로 진군했다. <rowcolor=#fff> 01.02. 기준 크레미나 전선 지도
러시아군이 크레미나 숲을 공격해 전방에 있던 우크라이나의 일부 진지가 위험에 빠졌다. <rowcolor=#fff> 02.14. 기준 빌로호리우카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은 크레미나 남쪽 숲으로 진격했고,러시아군은 빌로호리우카 외곽의 일부를 점령했다. <rowcolor=#fff> 02.14. 기준 테르니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크레미나 서쪽 테르니 가장자리 부근으로 진격했다. <rowcolor=#fff> 02.26. 기준 테르니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은 테르니 남쪽에서 소폭 진격했다. <rowcolor=#fff> 03.13. 기준 테르니 전선 지도
테르니 동쪽의 전투 지역도 러시아군이 계속해서 공세를 펼치고,크레미나 지역에서 서쪽으로 진격함에 따라 확장되었다. <rowcolor=#fff> 03.29. 기준 하르키우-루한스크 주 접경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하르키우-루한스크 주 접경을 따라 점령지를 확장하고 있다. <rowcolor=#fff> 03.29. 기준 빌로호리우카 전선 지도
<rowcolor=#fff> 04.27. 기준 테르니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은 테르니 동쪽에서 반격해 영토를 일부 탈환했다. <rowcolor=#fff> 05.03. 기준 키슬리우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하르키우 주 키실리우카의 절반을 점령했다. <rowcolor=#fff> 05.09. 기준 하르키우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하르키우 전선에서 코틀야리우카와 키실리우카 대부분을 점령했다. <rowcolor=#fff> 07.05. 기준 테르니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은 지난 몇 달동안 러시아군이 공세를 펼쳐서 점진적인 진격을 했던 테르니 지역에서 최근에 정착지 동쪽 지역을 탈환하고 있다. <rowcolor=#fff> 07.13. 기준 루한스크 전선 지도
<rowcolor=#fff> 07.21. 기준 루한스크/하르키우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루한스크/하르키우 전선의 피시차네 대부분을 점령했다. <rowcolor=#fff> 08.13. 기준 루한스크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루한스크 노보셀리우스케를 초월해 진격하여 마을을 점령했다. 이곳은 지난 1년간 전투가 벌어지고 있었다. <rowcolor=#fff> 08.22. 기준 노보셀리우스케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지난 주에 이어 라이호로드카 주변에서 제레베츠 강을 도하해 노보셀리우스케 주변 지역에서 진격을 계속했다. <rowcolor=#fff> 08.22. 기준 마키이우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마키이우카에서 마을을 통과하는 제레베츠 강을 건너 그곳에서의 통제 지역을 넓혔다. <rowcolor=#fff> 08.30. 기준 신키우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몇 달간 신키우카 북쪽에서 계속된 공세를 펼쳐서 이제 마을을 완전히 장악했다. <rowcolor=#fff> 08.30. 기준 피쉬차네-스텔마히우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최근에 점령한 피쉬차네의 서쪽에 새로운 진지를 세웠다. 또한 스텔마히우카 대부분을 장악했다. <rowcolor=#fff> 09.06. 기준 쿠퍈스크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신키우카 서쪽의 숲과 남쪽 외곽 지역을 점령했다. <rowcolor=#fff> 09.06. 기준 마키이우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이 최근 진격했던 마키이우카 남동쪽 지역에서 새로 식별된 우크라이나군의 진지가 지도에 반영됐다. <rowcolor=#fff> 09.16. 기준 피쉬차네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피쉬차네에서 서쪽과 북쪽으로 진격을 계속하며 오스킬 강에 접근하고 있다. 이 진격으로 동쪽 강둑에 있는 우크라이나군은 양분될 위기에 놓였다. <rowcolor=#fff> 09.25. 기준 피쉬차네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피쉬차네 근처에서 북쪽과 서쪽으로 진격을 계속했고,오스킬 동쪽의 우크라이나군을 분단시키기까지 불과 2km밖에는 남지 않았다. 또한 러시아군은 키슬리우카를 장악하고 북쪽으로 진격했다 <rowcolor=#fff> 09.25. 기준 마키이우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마키이우카의 대부분을 점령하고,마을 내부와 주변 여러 지점에서 제레베츠 강을 건넜다. <rowcolor=#fff> 10.09. 기준 쿠퍈스크 전선 지도
러시아군이 피쉬차네 북쪽에서 통제권을 확장한 가운데, 키실리우카 서쪽으로 러시아군이 접근하는 것으로 보아 우크라이나군이 해당 지역의 동부에서 철수 중일 가능성이 있다. <rowcolor=#fff> 10.09. 기준 마키이우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최근 점령한 마키이우카에서 남쪽으로 진격했고, 네우스케 동부로부터 마을에 진입했다. <rowcolor=#fff> 10.19. 기준 쿠퍈스크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피쉬차네 서쪽으로 진격을 계속했고, 오스킬 강 동안의 우크라이나군 통제 지역을 남북간 도로를 차단해 양분했다. <rowcolor=#fff> 10.19. 기준 마키이우카-테르니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네우스케 북쪽에서 전진했고 마을 남동부와 북동부에서 통제권을 고착하는 것을 계속했다. <rowcolor=#fff> 10.24. 기준 쿠퍈스크 전선 지도
피쉬차네 서쪽의 러시아군 부대가 크루흘랴키우카에서 오스킬 강에 도달했지만, 마을에서 아직 전투가 진행 중에 있다. <rowcolor=#fff> 10.24. 기준 테르니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네우스케 남쪽에서 진격해 테르니 북부의 노보사도베라를 점령했다. 러시아군의 선발대가 외곽을 돌파해 오스킬 강의 양쪽 강둑에 위치한 쿠퍈스크 시 중심부로 진입했고, 이후 전투는 쿠퍈스크 전투 로 넘어간다. <rowcolor=#fff> 11.10. 기준 쿠퍈스크 남부 전선 지도
러시아군의 진격이 스텔마키우카와 안리우카 외곽에서 관측됐다. <rowcolor=#fff> 11.10. 기준 테르니 전선 지도
<rowcolor=#fff> 11.18. 기준 비슈네베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이전에 확보한 피샤네의 남쪽에 위치한 비슈네베의 정착지도 점령했다. <rowcolor=#fff> 12.06. 기준 로조바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이전에 피샤네에서 진격했던 곳의 남쪽에 있는 오스킬 강을 향해 진군하여, 현재는 페르쇼트라우네베와 코판키를 점령하고 있으며, 로조바로 진격하고 있다. <rowcolor=#fff> 12.06. 기준 테르니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테르니 정착지 근처로 진격하여 마을 동쪽에 추가 위치를 확보했다. <rowcolor=#fff> 12.24. 기준 피샤네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피샤네 근처의 오스킬 강을 따라 남쪽으로 진격하여 우크라이나의 요새를 후방에서 점령하고, 동쪽과 북동쪽에 있는 다른 방어선이 점점 더 견고해짐에 따라 우크라이나군이 더 안전한 남쪽 위치로 철수하도록 강요했다. <rowcolor=#fff> 01.16. 기준 마카이우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마키이우카 바로 서쪽의 위치를 점령했다. <rowcolor=#fff> 01.16. 기준 피샤네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피샤네 남쪽의 더 넓은 개활지를 점령했다. <rowcolor=#fff> 01.23. 기준 이바니우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이바니우카를 점령한 후 도시 서쪽으로 우크라이나 방어선을 향해 진격했다. <rowcolor=#fff> 01.23. 기준 비슈네베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비슈네베 서쪽으로 추가적으로 작은 진전을 이루었고, 우크라이나군은 자리조베의 일부를 탈환했다. <rowcolor=#fff> 02.03. 기준 이바니우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1월에 이바니우카를 건너 점령한 데 이어, 테르니 서쪽의 첫 번째 우크라이나 방어선에 도달하여 이미 위치를 확보했을 가능성이 있다. <rowcolor=#fff> 02.21. 기준 마키이우카 전선 지도
<rowcolor=#fff> 02.21. 기준 얌폴리우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테르니의 남쪽과 동쪽으로 진격하여 얌폴리우카에 진입했다. <rowcolor=#fff> 03.18. 기준 이바니우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이바니우카 서쪽 우크라이나 요새선 근처에 추가 진지를 확보했다. <rowcolor=#fff> 03.27. 기준 얌폴리우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얌폴리우카 동쪽에서 이전에 점령했던 지역을 기반으로 통제권을 구축했다. 3. 전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