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일 스바토보-크레멘나야 전선 전투로 넘어간 뒤에도 우크라이나군은 우세한 흐름을 이어갔다. 2023년 1월 1일 러시아가 바흐무트 전투에서 선전을 거두기 시작하면서 동부 전선 전체적으로는 밀리기 시작했지만 스바토보-크레멘나야 전선 한정으로는 1월 25일까지 우세한 흐름을 가져갔다.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2일 동안 우크라이나군은 나디야 마을과 젤레니 가이 동쪽과 북동쪽의 일련의 지점들을 탈환했다. 추가적으로, 몇주간 공방전이 벌어지고 있는 코퍈키와 페르쇼트라브네보에에서 수정이 있었다. # @Suriyakmaps 외의 오신트들을 통해서도 ### 나디야의 탈환이 확인되었다.
<rowcolor=#fff> 03.27. 기준 얌폴로프카 전선 지도
@War_Mapper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얌폴로프카 동쪽에서 이전에 점령했던 지역을 기반으로 통제권을 구축했다.
<rowcolor=#fff> 03.27.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노바예와 카테리노프카를 향해 진군해 보로바-리만 도로에 접근했다. #
<rowcolor=#fff> 03.28.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노볼류보프카 북쪽과 북서쪽으로 상당히 진군하고 카테리노프카 남쪽 외곽에 도달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얌폴로프카 남쪽에서 소폭 진군했다. #
<rowcolor=#fff> 03.29.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노바예 방면의 참호 진지들을 계속 차지해 나갔다. #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4일 동안 러시아군은 노볼류보프카 북서쪽과 서쪽의 새 진지들을 점령했다. #
<rowcolor=#fff> 04.06.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4일 동안 러시아군은 두 주의 경계를 따라 노볼류보프카 북서쪽으로 새로이 진군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노바예의 첫 별장들에 도달했다. #
<rowcolor=#fff> 04.08.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2일 동안 러시아군은 노바예 동쪽과 북쪽으로 새로이 진군하여 일련의 진지들을 점령했다. 이에 따라 카테리노프카 마을이 점령되었다. 동시에 카테리노프카 마을 동쪽으로 노보미하일로프카를 향해 다른 진격이 있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3일전부터 얌폴로프카 남쪽에 대한 공격을 개시해 토르스카예 북쪽 외각에 위치한 양어장을 차지하여 마을 북쪽과 북서쪽에서 병력이 진입할 수 있게 되었다. #
<rowcolor=#fff> 04.09.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노바예 동쪽과 북쪽 외곽으로 계속 진군하여 이 방면의 참호 진지들을 새로이 점령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노볼류보프카 북쪽과 마케옙카 서남쪽에서 새로이 진군했다. #
<rowcolor=#fff> 04.10. 기준 warmapper의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War_Mapper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네프스케와 테르니 서쪽으로 진격해서, 카테리노프카와 해당 지역의 우크라이나 요새선이 구축된 위치에 도달하여 그 지역을 점령했다.
<rowcolor=#fff> 04.10. 기준 suriyak의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노바예 남쪽에서 젤레나야 돌리나 방면으로 새로이 진군했다. #
<rowcolor=#fff> 04.11. 기준 하르키우-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나디야와 셰르키브카 남서쪽에 위치한 일련의 거점들을 재점령했다. #
<rowcolor=#fff> 04.14.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4일 동안 러시아군은 마케옙카 서남쪽의 일련의 거점들을 점령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남쪽으로부터 노보미하일로프카 근교에 접근하고 계속 노바예에 대해 남북으로 포위망을 구축했다. #
<rowcolor=#fff> 04.17.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3일 동안 러시아군은 도네츠크-루간스크 주 경계에서 새로이 진군했다. 러시아군은 노보미하일로프카의 남쪽 외곽에 도달했고 노바예 방면의 창고들을 차지하며 노바예의 남쪽으로 진군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미르늬 마을을 향해 새로이 진군했다. #
<rowcolor=#fff> 04.18.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북쪽으로부터 노바예에 진입해 학교와 첫 거리를 점령했다. #
<rowcolor=#fff> 04.19.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새로운 참호진지들을 점령하며 노보미하일로프카와 레드코두브의 근교에 도달했고, 노바예의 북쪽에서 새로이 진군했다. #
<rowcolor=#fff> 04.20.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부활절 휴전 이전에 노보미하일로프카 마을을 완전히 점령했다. 우크라이나 군은 남쪽 참호진지를 상실한 후 작은 마을에서 철수했다. #
<rowcolor=#fff> 04.21.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은 휴전기간 동안 레드코두브 동쪽 교외 지역을 탈환하는데 성공했다. #
<rowcolor=#fff> 04.22. 기준 토르스카예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토르스카예는 우크라이나군이 완전히 장악하고 있다. 4월 첫째 주말에 러시아군은 마을의 북동쪽에 침투하는데 성공했지만, 높은 빈도의 드론공격과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으로 확고한 거점을 차지하는데에는 실패했다. 러시아군은 현재 마을 북동쪽에 위치한 '바카이' 고지를 확보했다. #
<rowcolor=#fff> 04.28.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이번주에 러시아군은 그레코브카 방면으로 도네츠크와 루간스크의 경계를 따라 새로이 진군했다. 추가적으로, 노바예 마을은 남쪽의 러시아군의 진격으로 반포위되었다. 나아가서, 러시아군은 이바노프카 서쪽의 참호진지들을 새로이 점령하고 이 방면에서 콜로데지의 첫 가옥들에 진입했다. #
<rowcolor=#fff> 04.30.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2일 동안 러시아군은 노보미하일로프카 북쪽과 북서쪽에서 새로이 진군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노바예를 남쪽과 북쪽으로부터 포위하여 이에 우크라이나 군이 노바예에서 철수하기 시작하자 마을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페르쇼트라브네보에 마을을 완전히 장악했다. 우크라이나 군이 실질적으로 통제하고 있다 밝혀진 코판키 주변에서 지도 수정이 있었다. #
<rowcolor=#fff> 05.07.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6일 동안 러시아군은 마케옙카 남서쪽에서 소폭 진군했다. #
<rowcolor=#fff> 05.08.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노바예 서쪽으로 진군하여 리포보예의 삼림지대를 장악했다. #
<rowcolor=#fff> 05.09.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휴전이 시작되기 전까지 지난 6일 동안 러시아군은 리만 북쪽의 돌출부에서 상당한 영역을 차지했다. 제레베츠 강과 마케옙카 서쪽의 점령영역은 우크라이나군 통제하에 있는 마지막 두 루한스크 주 마을 중 하나인 그레코브카를 향해 확장되고 있다. 추가적으로 노보미하일로프카 북쪽으로 추가적인 진격이 이루어졌다. 리포보예의 삼림지대를 장악하는 동시에 러시아군은 레드코두브의 첫주택들에 재진입하고 콜로데지의 북쪽과 남쪽으로 진군했다.(마을안의 몇몇 지점들도 함락되었다.) #
63기계화여단 "스틸 라이온스" 소속 우크라이나군이 리만 동부 도시 근처의 우크라이나 진지에 대한 러시아의 공격에 가담한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포로를 잡았다.#
<rowcolor=#fff> 05.15. 기준 하르키우-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페르쇼트라브네보예 북서쪽에서 젤레니 가이 쪽으로 진군하기 시작했다. #
<rowcolor=#fff> 05.15.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마케옙카 서쪽과 노보미하일로프카 동북쪽에서 그레코브카 방면으로 새로이 진군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노바예 북서쪽과 젤레나야 돌리나 남동쪽으로 새로이 진군했다. 더 나아가, 러시아군은 콜로데지 내부에서 조금 진군하며 공격 작전을 증가시켰다. #
<rowcolor=#fff> 05.15. 기준 토르스카예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11일 동안 토르스카예 북부에서 고강도의 전투가 있었다. 러시아군은 마을 중심가에서 진군했다. 하지만 토르스카예 중심부의 함락 소식은 사실이 아니다. #
<rowcolor=#fff> 05.16. 기준 토르스카예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토르스카예 내부에서 계속 진군하여 마을의 북부를 대부분 차지했다. 러시아 MOD의 완전점령 발표에도 불구하고, 토르스카예 중심부로의 도로에서 우크라이나군과의 충돌이 계속되고 있다. #
<rowcolor=#fff> 05.17. 기준 토르스카예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은 토르스카예 북쪽의 러시아군 지점을 향해 공격을 개시해 양어장과 몇몇 가옥들을 탈환했다. #
<rowcolor=#fff> 05.19.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그레코브카 방면으로 계속 진군하여 이 방면의 일련의 지점들을 차지했다. #
<rowcolor=#fff> 05.22. 기준 하르키우-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달 동안 우크라이나군은 4월 초에 상실했던 세르게예프카 남서쪽에서 서쪽으로 이어진 일련의 지점들을 탈환할 수 있었다. #
<rowcolor=#fff> 05.24.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10일 동안 러시아군은 레드코두브에서 소폭 진군할 수 있었다. #
<rowcolor=#fff> 05.27.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3일 동안 러시아군은 그레코브카를 향해 소폭 진군하고 노보미하일로프카 주변의 통제영역을 늘렸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레드코두브 남쪽과 북쪽, 리포보예 남쪽으로 진격했다. 더 나아가, 러시아군은 젤레나야 돌리나 남쪽의 일련의 지점들을 차지했다. #
<rowcolor=#fff> 05.29. 기준 하르키우-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주 동안 우크라이나군은 나디야 남동쪽의 지점들을 탈환하는데 성공했다. #
<rowcolor=#fff> 05.30.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3일 동안 러시아군은 레드코두브를 완전히 점령하고 이 마을의 서쪽과 북쪽으로 진격하여 카르피브카 외곽과 하르키우 주와의 경계에 도달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남쪽으로부터 젤레나야 돌리나를 포위하기 시작했다. #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3일 동안 러시아군은 카르피브카로의 공격을 시작하여 마을 안과 동쪽 외곽에 있는 일련의 지점들을 점령했다. #
<rowcolor=#fff> 06.04. 기준 토르스코예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양어장을 상실한 후 러시아군은 보급의 어려움으로 토르스코예 북부에서 점진적으로 철수했다. 마을은 우크라이나군의 완전한 통제하에 있으며 양어장 인근에서 전투가 벌어지고 있다. #
<rowcolor=#fff> 06.05.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3일 동안 러시아군은 젤레나야 돌리나에 대한 포위를 상당히 강화하고 레드코두브 서쪽으로 새로이 진격했다. #
<rowcolor=#fff> 06.06. 기준 토르스코예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6월 러시아군은 체르보나야 디브로바 서쪽의 삼림지대에서 활동을 재개하여 몇몇 지점들을 차지했다. 도네츠강 북쪽의 자연공원 지대 전체에서 진행되는 것과 유사하게, 우크라이나군 참호들이 모든 곳에 흩뿌려져 있어 이 지역을 차지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어 비교적 안정적인 진지전들이 계속되고 있다. #
<rowcolor=#fff> 06.07.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2일 동안 러시아군은 젤레나야 돌리나 남동쪽과 콜로데지 북서쪽으로 새로이 진격했다. #
<rowcolor=#fff> 06.07.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경계를 향해 새로이 진격하여 이 방면에서 오레호보의 첫 주택들을 포함(이로서 마을에 다시 재진입했다.)하는 일련의 지점들을 차지했다. #
<rowcolor=#fff> 06.08.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2주 동안 러시아군은 루간스크의 그레코브카상의 길에서 몇몇 지점들을 차지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카르피브카 동쪽, 젤레나야 돌리나 북서쪽과 동쪽에서 더 진격했다. #
<rowcolor=#fff> 06.09. 기준 토르스코예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5일 동안 토르스코예 북부를 확보한 후 우크라이나군은 마을 동쪽과 동북쪽의 지점들을 탈환했다. #
<rowcolor=#fff> 06.12. 기준 로조바야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이 로조바야 북쪽의 참호를 아직 통제함에 따라 지도 수정이 있었다.(러시아군이 이 지점들을 계속 포격하고 있다.) #
<rowcolor=#fff> 06.16.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8일 동안 러시아군은 레드코두브 북쪽에서 진군하고 이 축선에서 노비 미르 마을을 향해 하르키우주에 진입했다. 추가적으로, 젤레나야 돌리나 마을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
<rowcolor=#fff> 06.22.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6일 동안 러시아군은 노비 미르 마을의 첫 주택들에 진입했다. #
<rowcolor=#fff> 06.24.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3일 동안 러시아군은 레드코두브 북쪽에서 진격하여 하르키우 주의 글루셴코보 외곽에 도달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마케옙카 북서쪽에서의 진격을 재개하고 그레코브카 마을을 완전히 장악했다. #
<rowcolor=#fff> 06.25.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카르피브카 주변의 전황이 명확해져 러시아군이 연못들의 서안에서 축출된 것이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지난 2일 동안 우크라이나군은 레드코두브 서부에 재진입 할 수 있었다. 반면, 러시아군은 하르키우 주와의 경계에서 새로이 진격했다. #
<rowcolor=#fff> 06.27.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2일 동안 러시아군은 콜로데지 북서쪽과 젤레나야 돌리나 남쪽에서 새로이 진격했다. #
<rowcolor=#fff> 06.28. 기준 로조바야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6월 동안 러시아군은 보리브스카 북쪽의 축선에서 작전을 재개하여 콜레스니코프카를 완전히 재점령하고 인접 삼림지대의 일부와 흘루슈키우카의 첫 주택들을 재점령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노바 크루흘리아키우카 마을에 진입했다. #
<rowcolor=#fff> 06.28.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3일 동안 우크라이나군은 레드코두브에서의 작전을 계속하여 마을의 40%를 탈환했다. #
<rowcolor=#fff> 06.29. 기준 도네츠크-루간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은 레드코두브 중심부에 재진입하고 카르피브카 동쪽의 몇몇 지점들을 탈환했다. 반면, 러시아군은 젤레나야 돌리나 동부와 노보미하일로프카 서쪽의 새로운 지점들을 점령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