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史記)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D0D2D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 <rowcolor=#ffffff> 1권 「오제본기(五帝本紀)」 | 2권 「하본기(夏本紀)」 | 3권 「은본기(殷本紀)」 | |||
공손헌원 · 전욱 · 제곡 · 방훈 · 중화 | ||||||
<rowcolor=#ffffff> 4권 「주본기(周本紀)」 | 5권 「진본기(秦本紀)」 | 6권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 ||||
| 시황제 · 이세황제 · 진왕 자영 | |||||
<rowcolor=#ffffff> 7권 「항우본기(項羽本紀)」 | 8권 「고조본기(高祖本紀)」 | 9권 「여태후본기(呂太后本紀)」 | ||||
항우 | 유방 | 여치 | ||||
<rowcolor=#ffffff> 10권 -2「효문본기(孝文本紀)」 | 11권 「효경본기(孝景本紀)」 | 12권 「효무본기(孝武本紀)」 | ||||
유항 | 유계 | 유철 | ||||
보사기(補史記) 「삼황본기(三皇本紀)」 | ||||||
복희 · 여와 · 신농 |
※ 13권 ~ 22권은 표에 해당, 23권 ~ 30권은 서에 해당. 사기 문서 참고
}}}}}}}}}}}} - ⠀[ 세가(世家) ]⠀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31권 「오태백세가(吳太伯世家)」 ||<-2><width=33%> 32권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 ||<-2><width=33%> 33권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 ||
- ⠀[ 열전(列傳) ]⠀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61권 「백이열전(伯夷列傳)」 ||<-2><width=33%> 62권 「관안열전(管晏列傳)」 ||<-2><width=33%> 63권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4E4FF 0%, #F8F8FF 20%, #F8F8FF 80%, #E4E4FF); color: #000;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8F8FF> 유가 | 공자 | 자하 | 맹자 | 순자 |
묵가 | 묵자 | |
도가 | 노자 | 장자 | 양주 | 열자 | |
법가 | 이회 | 오기 | 신불해 | 상앙 | 한비자 | 이사 | |
명가 | 혜시 | 공손룡 |등석 | |
농가 | 허행 | |
병가 | 사마양저 | 손무 | 손빈 | 울료 | |
불명 | 고자 | 후자 |
申不害者,京人也,故鄭之賤臣。 學術以幹韓昭侯,昭侯用為相。 內脩政教,外應諸侯,十五年。 終申子之身,國治兵彊,無侵韓者。 申子之學本於黃老 而主刑名。著書二篇,號曰申子。
신불해는 경읍 사람으로 원래 정나라의 말단 관리였다. 법가의 학술을 배워 한나라의 소후(韓昭侯)에게 간하자 소후는 그를 상국에 임명했다. (그는) 안으로는 정치와 교육을 정비하고 밖으로는 제후들과 친선관계를 유지하며 15년간 집정하였다. 그가 살아있는 동안엔 나라가 부강해지고 군대가 강했으니 제후국들 중 어느 누구도 한나라를 침공하지 않았다. 신자(申子)[1]의 학설은 황제와 노자(黃老)의 학설을 근본으로 하나, 형명학(刑名學)을 주장하였다.[2] 두 편으로 된 저서가 있는데 그것을 『신자(申子)』라고 부른다.
『사기』 열전. 이것이 남아있는 신불해의 기록 전부다.
신불해는 경읍 사람으로 원래 정나라의 말단 관리였다. 법가의 학술을 배워 한나라의 소후(韓昭侯)에게 간하자 소후는 그를 상국에 임명했다. (그는) 안으로는 정치와 교육을 정비하고 밖으로는 제후들과 친선관계를 유지하며 15년간 집정하였다. 그가 살아있는 동안엔 나라가 부강해지고 군대가 강했으니 제후국들 중 어느 누구도 한나라를 침공하지 않았다. 신자(申子)[1]의 학설은 황제와 노자(黃老)의 학설을 근본으로 하나, 형명학(刑名學)을 주장하였다.[2] 두 편으로 된 저서가 있는데 그것을 『신자(申子)』라고 부른다.
『사기』 열전. 이것이 남아있는 신불해의 기록 전부다.
1. 개요
申不害(? ~ 기원전 337년)
중국 전국시대의 학자이자 정치가이며 법가(法家) 사상가이다.
2. 생애
하남(河南) 출생으로 본래 정(鄭)나라의 미관말직이었으나, 한(韓)나라 소후(昭侯)의 재상이 되어 부국강병을 주장하여 15년간 나라를 태평스럽게 다스렸다.[3] 《사기》의 저자 사마천은 "신자(申子)[4]의 학문은 황로(黃老)에 근거를 두고 형명(刑名)을 주로 하였다."고 하였다.법가 사상 중 술(術)을 강조하였으며, 한나라의 소후(昭侯) 밑에서 재상으로 나라를 다스렸다. 《사기》(史記)에 “신자(申子: 신불해를 높여 부른 말)의 학문은 황로(黃老: 황제(黃帝)와 노자(老子)를 교조로 하며, 도가철학을 주축으로 상앙과 순자 및 한비자 계열의 법가와 다른 흐름이 혼합된 정치사상)에 근거를 두고 형명(刑名: 전국시대 한비자가 주장한 학설로 형벌의 종류와 명칭)을 주로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저서로는 《신자(申子)》가 있지만 지금은 전부 사라졌고, 《군서치요(群書治要)》, 《태평어람(太平御覽)》 등 신자(申子)에서 전해지는 기록을 인용하여 담은 책들이 전해져 내려온다.
《정사 삼국지》의 저자 진수는 조조의 정치를 평가하면서 "신불해와 상앙의 법술을 본 받았다."고 하였다.
3. 대중매체
미디어에서도 등장한다. 중국의 드라마인 <대진제국>에서 한나라의 재상으로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상앙이 좋지 않은 평가를 한다. 법가의 끝은 새로운 병기를 개발하며 군사훈련을 시키는 신군(新軍)의 창설과 영토 확장인데, 이것은 비밀리에 진행해야 하는 것이라는 논리. 그리고 빠르게 법망을 세우기만 하는데 그쳐서 실제적인 효력은 없다는 것이었다. 결국 위나라가 한나라를 공격해서 수도인 신정이 포위되어 이를 간신히 지켜냈는데, 병사들이 전부 죽어버린 허무한 광경에다 병사들이 깨어나서 살려달라고 아우성을 치는 환상을 보고 비통함에 자결하는 것으로 퇴장.[5][1] 신불해를 높여 부른 말.[2] 후대의 한비자 등 형명학을 주장한 제자백가의 일파를 형명가(刑名家)라고 한다.[3] 문제는 그 뒤인데 신불해와는 달리 소후는 용렬한 군주였기 때문. 신불해 사후 겨우 2년 뒤에 한나라는 옛 수도인 의양이 진나라에게 점령당하며 급속히 약해진다.[4] 신불해[5] 이는 실제 신불해의 사망에 대한 기록을 왜곡한 것인데, 실제로 드라마 대진제국의 1편인 '열변'은 역사 왜곡이 넘쳐난다. 비록 당대의 자료가 부족하여 상상력에 의존할 부분이 적지 않기는 하나, 그렇다고 쳐도 상앙을 너무 많이 미화했으며 진 효공이 묵가의 여인과 엮이도록 하거나 실제로 존재하는 기록인 신불해의 사망도 이렇게 바꿔버리는 등 실제 역사와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많다. 본 드라마의 감독이 무협드라마를 전문으로 하던 사람이라 무협물같이 찍어내버리고 말았다. 결국 2편인 '종횡'부터 감독과 각본가가 교체되면서 역사 기록을 최대한 존중하는 사극다운 사극으로 변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