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트 오브 레이싱 The Heart of Racing | |||
| |||
<colbgcolor=#232b3e> 국적 | |||
설립년도 | 2014년 | ||
공동 설립자 | |||
소유자 | |||
본부 | WEC | ||
IMSA | |||
협력 제조사 | 애스턴 마틴 레이싱 | ||
팀 감독 | |||
드라이버 | WEC (2025) | 007번 | |
009번 | |||
27번 | |||
IMSA (2025) | 23번 | ||
007번 | |||
27번 | |||
차량 | WEC | 하이퍼카 발키리 | |
LMGT3 밴티지 AMR GT3 Evo | |||
IMSA | GTP 발키리 | ||
GTD-Pro GTD 밴티지 AMR GT3 Evo | |||
공식 SNS 및 웹사이트 | |||
챔피언십 우승 기록 | |||
드라이버 | GTD
| ||
팀 | GTD 2022 |
[clearfix]
1. 개요
하트 오브 레이싱은 현재 WEC 하이퍼카 클래스와 LMGT3 클래스, IMSA의 GTP 클래스와 GTD 클래스에 출전하고 있는 미국의 레이싱 팀이다. 팀의 원류는 1997년에 돈 키치 주니어가 시애틀 아동 병원의 기금 모금을 위해 설립한 자선 단체인 팀 시애틀[2]이며, 2014년부터 USCC[3]의 GTD 클래스에 알렉스 잡 레이싱(Alex Job Racing)과 협력하여 출전하게 되었는데, 여기에 밸브 코퍼레이션의 창립자이자 CEO로 유명한 게이브 뉴웰이 "하트 오브 레이싱"을 창설하여 자금을 지원하면서 팀과 차량에 하트 오브 레이싱이 붙게 되었다. 그렇게 해서 2016년까지 USCC의 그리드에서 그 이름을 드러냈었지만 이후에 팀 시애틀이 자금 관련 문제로 활동을 중단하면서 모습을 감추었었다.하지만 2019년 말이 되어 게이브 뉴웰과 당시 팀의 드라이버들 중 한 명이었던 이안 제임스가 다시 만나고, 차량 공급에 애스턴 마틴 레이싱과의 협력으로 하트 오브 레이싱 팀을 다시 새로 조직하여 2020년에 IMSA 스포츠카 챔피언십 그리드로 끌어올리는데 성공하였을뿐만 아니라 팀 시애틀과의 기금 모금 협력도 여전히 지속하고 있다.
2. 팀의 레이싱 출전 역사
2.1. 팀 시애틀 w/ AJR 체제 시절 (포르쉐)
2.1.1. IMSA GTD
2.1.1.1. 2014시즌
2.1.1.2. 2015시즌
2.1.1.3. 2016시즌
2.2. 애스턴 마틴 밴티지 GT3
2.2.1. IMSA GTD
2.2.1.1. 2020시즌
2.2.1.2. 2021시즌
2.2.1.3. 2022시즌
2.2.1.4. 2023시즌
2.2.1.5. 2024시즌
2.2.2. IMSA GTD-Pro
2.2.2.1. 2022시즌
2.2.2.2. 2023시즌
2.2.2.3. 2024시즌
2.2.3. WEC LMGT3
2.2.3.1. 2024시즌
2.3. 애스턴 마틴 밴티지 AMR
2.3.1. WEC LMGTE-Am
2.3.1.1. 2023시즌
WEC GT 클래스로의 첫 걸음 |
2라운드였던 포르티망 레이스를 직후로 팀의 중심이던 폴 달라 라나가 레이스계에서 은퇴함으로써, 더 이상 노스웨스트 AMR은 팀 유지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하트 오브 레이싱이 운영권을 넘겨받아 3라운드 스파 6시부터 출전하게 되었다. 다만 이미 엔트리가 된 상황에서 운영권만 넘겨받았기에 팀명은 노스웨스트 AMR을 그대로 유지한다.
2.4. 애스턴 마틴 발키리
팀 역사상 첫 내구레이스 탑클래스 진출 |
하트 오브 레이싱이 발키리 LMH 프로그램의 부활에 재정측면에서 큰 기여를 한 만큼 드라이버 선택과 팀 운영에서 상당한 우선권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렇게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금 대부분을 지원하면서 깊게 관여하게 된 계기는 2022년 여름에 하트 오브 레이싱이 발키리 AMR 프로를 인계받고 웨더텍 레이스웨이 라구나 세카에서 차량을 처음으로 운행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팀의 소유자인 뉴웰을 비롯한 팀의 모두가 발키리 AMR 프로를 보고 저게 왜 레이스를 하지 않는 것일까하고 의문을 품었던 것이 발키리를 레이스로 복귀시키려는 움직임의 첫 단계였다고 한다. #
물론 하트 오브 레이싱이 프로그램에 필요한 충분한 자금을 들일 수 있고, 설계의 기본이 되는 차량이 있다 하더라도 팀과 애스턴 마틴 퍼포먼스 테크놀러지스이 발키리 LMH를 설계하고 제작하여 레이스 일정에 맞추어 차량을 투입하는 등의 작업을 모두 하는 것은 무리이기 때문에 하트 오브 레이싱은 LMH 차량 섀시 제조와 차량 제작을 공도 버전과 AMR 프로 버전에서와 동일하게 멀티매틱이 담당하도록 하였고, 멀티매틱의 모터스포츠 담당 부서인 멀티매틱 모터스포츠가 IMSA에 거점을 둔 하트 오브 레이싱을 대신하여 WEC 팀의 운영을 맡게 하거나[4], IMSA의 하트 오브 레이싱 팀에도 인력을 추가 투입하도록 하여 발키리 LMH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노하우와 인력들을 모았다. 발키리 LMH에 사용될 V12의 엔진 또한 코스워스가 직접 공도 버전 발키리에 사용된 코스워스 RA를 규정에 맞게 수정하는 작업과 엔진 공급을 담당하게 하였다. 팀은 발키리 LMH 프로그램에 자금을 투입하는 것 말고도 각 부서들의 협업을 주도하고 감독하였다. 이러한 각 부서의 노력으로 발키리의 LMH 차량은 하이퍼카와 GTP 클래스에 참가하는 주요 제조사의 레이스카들 중 유일하게 공도 버전 차량에서 디자인과 설계, 엔진이 파생되어 상당히 희귀한 특징을 지닌 레이스카가 되었다.
그리하여 사실상 새롭게 구성되고 준비된 발키리 프로그램 전담 하트 오브 레이싱 팀은 WEC와 IMSA에 모두 애스턴 마틴 THOR 팀이라는 이름 하에 출전하게 된다. GT3 클래스에서 모습을 보이는 하트 오브 레이싱의 경우에는 기존과 그대로 하트 오브 레이싱이라는 이름으로 출전한다. 발키리 LMH 개발에 시간을 더 주고자 2025년 1월에 열리는 데이토나 24시 경기에는 참가하지 않으면서 WEC 1라운드인 카타르 1812km부터 발키리 LMH의 정식적인 레이스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발키리 LMH 차량의 공식적인 레이스 데뷔 이전의 부활 및 테스트의 상세한 과정은 애스턴 마틴 발키리(LMH) 문서를 참고할 것.
2.4.1. WEC 하이퍼카
2.4.1.1. 2025시즌
| |
애스턴 마틴 THOR 팀의 007번과 009번 라인업 |
이후 차량 공개와 함께 007번에는 맥라렌 팩토리 드라이버였던 톰 갬블이 팅크넬과, 009번 차량에는 애스턴 마틴의 GT 팩토리 드라이버이자 하트 오브 레이싱과 오랫동안 밴티지 GT3로 IMSA GTD 클래스에 참가했던 마르코 쇠렌센이 리베라스와 합을 맞추어 풀시즌으로 참가하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여기에 르망 24시나 카타르 1812km 경기와 같은 8시간 이상 진행되는 경기에서는 THOR 팀의 IMSA GTP 23번 시즌 드라이버들인 건이 007번에, 안젤리스가 009번에 추가로 합류할 것이라고 한다. 6시간 동안 진행되는 경기에서는 각 차량에 2인만을 구성하고 특정 경기에서만 3인조를 구성하는 드라이버 선택 전략은 포르쉐 펜스키 모터스포트가 이번 시즌부터 바꾼 WEC 팀의 드라이버 전략과 유사하다.
2.4.2. IMSA GTP
2.4.2.1. 2025시즌
애스턴 마틴 THOR No.23 |
애스턴 마틴 THOR 팀의 23번 드라이버 라인업 |
이후 2월 5일 차량 리버리 공개와 함께 풀시즌 드라이버 라인업도 발표되었는데, 하트 오브 레이싱 소속으로 오랫동안 함께 활약했던 로스 건과 로망 드 안젤리스가 풀시즌 드라이버로 지명되었다. 장거리 레이스에서 투입될 추가 드라이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2.5. 기타 시리즈
3. 기타
- 트랙 전용 차량인 애스턴 마틴 발키리 AMR Pro를 소유하고 있다. 2022년 여름에 인도되었으며, 웨더텍 레이스웨이 라구나 세카에서 첫 차량 주행이 이루어졌다.
4. 관련 문서
[1] WEC 하이퍼카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위성 기지로, 팀의 운영 파트너인 멀티매틱 모터스포츠 UK의 본부 바로 옆에 본부를 두고 있다.[2] 팀 시애틀은 레이싱 활동을 중단했던 시점인 2017년을 기준으로 시애틀 아동 심장 센터에 600만 달러 이상을 모금하였다.[3] 유나이티드 스포츠카 챔피언십. 현재 IMSA 웨더텍 스포츠카 챔피언십의 전신이 되는 시리즈이다. 편의상 IMSA USCC로 지칭.[4] 발키리 LMH 프로그램의 WEC 팀 운영 본부가 영국의 멀티매틱 모터스포츠 영국 지부 바로 옆에 두게 된 것과 애스턴 마틴 DBR9와 같은 애스턴 마틴의 2000년대 초반 스포츠카 레이싱을 감독하고, 포드 GT GTE 프로그램을 감독한 것으로 유명한 멀티매틱의 조지 하워드차펠이 팀의 WEC 팀의 감독 부임의 가장 큰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