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23:07:14

왕복 엔진

'''[[기계공학|기계공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font-style: Italic"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기반 학문
물리학{고전역학(동역학 · 정역학(고체역학 · 재료역학) · 진동학 · 음향학 · 유체역학) · 열역학} · 화학{물리화학(열화학) · 분자화학(무기화학)} · 기구학 · 수학{해석학(미적분학 · 수치해석 · 미분방정식 · 확률론) · 대수학(선형대수학) · 이산수학 · 통계학}
공식 및 법칙
뉴턴의 운동법칙 · 토크 · 마찰력 · 응력(전단응력 · 푸아송 비 · /응용) · 관성 모멘트 ·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 이상 기체 법칙 · 차원분석(버킹엄의 파이 정리)
<colbgcolor=#CD6906,#555> 기계공학 관련 정보
주요 개념 재료(강성 · 인성 · 연성 · 취성 · 탄성 · 경도 · 강도) · 백래시 · 피로(피로 파괴) · 페일 세이프(데드맨 스위치) · 이격(공차 · 기하공차) · 유격 · 자유도 · 방열 · 오버홀 · 열효율 · 임계열유속 · 수치해석(유한요소해석 · 전산유체역학 · 전산응용해석)
기계 공작기계 · 건설기계 · 농기계 · 수송기계(자동차 · 철도차량 · 항공기 · 선박) · 광학기기(영사기 · 카메라) · 로봇 · 시계
기계설계·기계제도 척도 · 표현 방식(입면도 · 단면도 · 투상도 · 전개도) · 도면(부품도 · 제작도 · 조립도) · 제도용구(제도판 · 샤프 · · 삼각자 · 컴퍼스 · 디바이더 · 템플릿) · CAD
기계요소 하우징 · 결합요소(나사 · 리벳 · · · ) · 동력 전달 요소(베어링 · 기어 · 톱니바퀴 · 체인 · 벨트 · 도르래 · LM · 가이드 · 볼스크류 · · 슬리브 · 커플링 · · 크랭크 · 클러치 · 터빈 · 탈진기 · 플라이휠) · 관용 요소(파이프 · 실린더 · 피스톤 · 피팅 · 매니폴드 · 밸브 · 노즐 · 디퓨저) · 제어 요소(브레이크 · 스프링) · 태엽 · 빗면
기계공작법 공작기계(선반(범용선반) · 밀링 머신(범용밀링) · CNC(터닝센터 · 머시닝 센터 · 3D 프린터 · 가공준비기능 · CAM)) · 가공(이송 · 황삭가공 · 정삭가공 · 드릴링 · 보링 · 밀링 · 워터젯 가공 · 레이저 가공 · 플라즈마 가공 · 초음파 가공 · 방전가공 ) · 공구(바이트 · 페이스 커터 · 엔드밀 · 드릴 · 인서트 · 그라인더 · 절삭유) · 금형(프레스 금형) · 판금
기관 외연기관(증기기관 · 스털링 기관) · 내연기관(왕복엔진(2행정 기관 · 4행정 기관) · 과급기 · 가스터빈 · 제트 엔진) · 유체기관(풍차 · 수차) · 전동기 · 히트펌프
기계공학 교육 · 연구
관련 분야 항공우주공학 · 로봇공학 · 메카트로닉스 · 제어공학 · 원자력공학 · 나노과학
학과 기계공학과 · 항공우주공학과 · 조선해양공학과 · 로봇공학과 · 금형공학과 · 자동차공학과 · 기전공학과 · 원자력공학과
과목 공업수학 · 일반물리학 · 4대역학(동역학 · 정역학 · 고체역학 · 유체역학 · 열전달) · 수치해석 · 프로그래밍 · 캡스톤 디자인
관련 기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자격증
기계제작 계열 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 기계가공조립기능사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 정밀측정기능사
산업기사 및 기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 기계조립산업기사 · 기계설계산업기사 · 정밀측정산업기사 · 일반기계기사
기능장 및 기술사
기계가공기능장 · 기계기술사
항공 계열 기능사
항공기정비기능사 · 항공전기·전자정비기능사
산업기사 및 기사
항공산업기사 · 항공기사
기능장 및 기술사
항공기관기술사 · 항공기체기술사
기타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StrokeEngine_Ortho_3D_Small.gif
흔히 볼 수 있는 4행정 기관

1. 개요2. 종류3. 작동 원리
3.1. 다른 엔진과의 비교
4. 항공기용 왕복엔진

1. 개요

Reciprocating Engine, Piston Engine

왕복엔진은 왕복 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써서 기체압력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는 엔진이다. 다른 말로는 피스톤 엔진, 항공기의 경우 레시프로 엔진[1]이라고도 부른다. 대부분의 자동차, 오토바이, 선박의 엔진이 바로 이 왕복엔진이다.

2. 종류

흔한 종류로는 내연기관, 증기기관, 스털링 기관 등이 있다. 이들은 열의 공급 방식 등이 서로 다르지만, 왕복엔진으로서의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 즉, 실린더가 있고, 그 안에 피스톤이 있어서 왕복 운동을 한다는 점이다. 실린더 안의 기체는 이미 압력을 높인 상태로 주입되든가 (증기기관), 외부에서 열을 가해서 압력을 높이든가(스털링 기관), 아예 실린더 안에서 연소를 시켜 압력을 높이든가(내연기관) 해서 피스톤을 밀어내도록 만든다. 실린더 내의 기체가 피스톤을 끝까지 밀어내면, 엇갈려 움직이는 다른 피스톤의 움직임이나 플라이휠의 관성을 이용해서 다시 피스톤을 실린더에 가장 밀착되는 위치로 원복시킨다. 그 후 다시 기체가 밀어내도록 하는 과정부터 반복. 이러한 과정에서 피스톤이 왔다갔다 하는 왕복 운동을 하므로, 왕복엔진 혹은 피스톤 엔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실린더들을 배치하는 형태에 따라, 실린더를 세로로 가지런히 늘어놓는 직렬 엔진, V자로 놓는 V형 엔진, 원형으로 늘어놓는 성형엔진, 서로 마주보게 놓는 수평대향 엔진 등으로 나뉜다.

3. 작동 원리

보통 연료를 태워서 기체에 열을 가함으로써 압력을 높이지만, 어찌됐건 압력만 있으면 되므로 꼭 연료를 태울 필요는 없다. 미리 압축된 공기를 사용하는 특수한 경우도 있고, 일부 어뢰에서처럼 고압 가스가 생기는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추진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실린더 안을 피스톤이 움직이는데, 이때 피스톤과 실린더 벽과의 틈새로 기체가 새 버리면 말짱 꽝이므로 이 틈새가 반드시 밀폐되어야 한다. 보통 피스톤 둘레에 홈을 몇 개 파고 이곳에 링을 끼워서 실린더 벽에 단단히 밀착되도록 한다. 이 링을 피스톤 링이라 한다.

증기기관과 내연기관에서는 실린더와 피스톤 말고도 실린더 내로 기체를 드나들게 할 밸브가 필요하다. (스털링 기관은 밀봉이라 필요 없음). 이런 밸브는 대개 엔진 샤프트에 연결된 이나 크랭크에 의해 피스톤의 움직임과 연동된다.

필요에 따라 다르겠지만, 왕복운동에서 바로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등의 예외를 제외하면 대개는 커넥팅로드와 크랭크샤프트를 이용해서 피스톤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꾼다. 이때 더 부드러운 회전을 위해서 플라이휠을 사용하기도 한다.

배기량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엔진의 실린더 수(기통 수)가 많을수록 고회전으로 돌려 출력을 확보하기가 유리하고 더 부드럽게 움직인다. 이는 기통수가 많아지면 피스톤의 크기가 작아져(=가벼워져) 회전저항이 덜 발생하면서, 내연기관의 경우 안에 들어간 혼합기의 압축 저항도 적어지고, 가솔린 엔진처럼 플러그로 점화하는 경우 점화한 불꽃을 한번에 태울 수 있는 데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일반 자동차에는 흔히 4기통이 쓰이는데, 고급차/대형차에는 6기통, 8기통, 심지어 12기통까지 쓰이기도 한다. 단점은 연소실의 크기가 작아 폭발력이 약해 저RPM에서 힘이 부족하며, 엔진이 무거워지므로 연비가 나쁜 편이다. 또한 기통마다 들어가는 부속이 많아짐에 따라 유지비용이 증가된다. 물론 기통수가 많아질수록 배기량(실린더 용적 X 개수)이 커지므로 출력 또한 대체로 증가한다. 조그마한 RC 모형엔진 등은 불과 몇 cc 의 배기량을 가지는 반면, 현재 사용되는 가장 큰 왕복엔진은 무려 25,480 리터(=25,480,000cc)의 배기량을 가진다. 선박용 엔진인데, 역시 덩치도 커서, 높이 13.5 m, 길이 27.3 m, 무게 2300 톤에 달한다. 출력은 114,800 마력.[2]

대개 플라이휠 혹은 출력축이 장착된 면을 뒷면(rear side)으로 간주한다. 이 기준점에 맞춰 전·후·좌·우 구분이 가능하다.

3.1. 다른 엔진과의 비교

왕복엔진은 엔진의 특성상 폭발행정과 왕복운동이 포함되므로 상대적으로 진동이 심하고 시끄러운 편이다. 이와 비교되는 가스터빈은 회전운동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진동도 거의 없고 기계적 소음이 비교적 조용하다. 대표적인 왕복엔진인 디젤 엔진이 부릉부릉 털털털 하는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데 반해, 가스터빈의 대표 기관인 터보팬 엔진을 사용하는 비행기를 타보면 위이이잉 하는 소리만을 들을 수 있는 데에서 잘 알 수 있다.

터보제트 엔진의 경우 분사 가스의 반동력에 의해 움직이므로 왕복엔진보다 시끄러울 수 있으나, 낮은 저주파 소음인 왕복엔진에 비해 가스터빈 엔진은 고주파 소음이므로 가까이선 더 소음이 클지 모르겠지만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쇄율이 크고 감쇄시키기도 유리하다는 점이 있다.

4. 항공기용 왕복엔진

제트엔진이 등장하기 전에는 항공기는 전부 왕복엔진을 쓰는 프로펠러기 였지만 제트엔진이 등장하자 전투기나 대형 여객기 등 고속의 비행기는 거의 전부 터보팬 엔진을 쓰게 되었다. 과거에는 프로펠러를 쓰는 저속의 비행기는 대형기도 실린더가 원형으로 배치된 성형엔진 등 고출력 왕복엔진이 널리 쓰였지만 훨씬 작고 가벼운 터보프롭엔진이 발전하자 대형 프롭기의 고출력 엔진은 거의 터보프롭엔진을 쓰게 되었다. 하지만 경비행기, 경량항공기, 초경량항공기 등 저속의 작은 비행기의 소출력엔진에는 여전히 압도적으로 왕복엔진을 많이 쓰고 있다. 대체로 진동을 상쇄하는 수평대향식 4기통 가솔린 왕복엔진이 많고 230 마력 (170 kW) 정도 까지는 4기통, 6기통으로 350-400 마력(300kW) 정도까지, 그 이상은 8기통이 많다.

대표적인 경비행기용 왕복엔진으로는 Lycoming O-360 등이 있다. 공랭식 수평대향 4행정 4기통 엔진, 배기량 5,916 cc, 180 마력 (134 kW) @ 2700 rpm, 무게 117 kg. 연료는 항공용 가솔린 (avgas) 290 g/(kW*h)
비행체가 초경량인 경우에는 아예 UL39 Albi처럼 오토바이 엔진을 갖다 튜닝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새로운 디젤왕복엔진으로는 프랑스 SMA 엔진사의 SR305-230이 있다. 공랭 및 유랭식 수평대향 4행정 4기통 터보차저 디젤 엔진, 배기량 4,988 cc, 169 kW (227 마력) @ 2,200 rpm, 무게 195 kg, 연료는 Jet A유, 연비는 180 g/(kW*h).

그 외 항공기용 엔진 제작사로는 오스트리아의 로탁스(Rotax), Austro 엔진, 미국의 컨티넨탈, 호주의 자비루(Jabiru), 독일의 Hirth, Thielert, 벨기에의 ULpower, 스페인의 H&E 등이 있다.


프로펠러를 쓰는 프롭기의 엔진으로 왕복엔진과 터보프롭엔진의 장단점을 비교하자면..

[1] Reciprocating Engine[2] 선박도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대형급 여객선이나 화물선은 엔진도 크고 복잡하기에 선장항해사만 타는게 아니고 그엔진을 정비하고 유지하는 전문자격을 가진 기관사가 탑승하고 그밑에 부하 정비사들을 두기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