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경제학|미시경제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font-style: Italic"''']]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colbgcolor=#FFA500> 기본 개념 | 시장(수요와 공급(수요 · 공급) · 시장가격 · 균형) · 한계 이론 · 탄력성 · 재화(유동성) | |
소비자이론 | 효용함수(효용 · 선호관계 · 한계 효용 체감의 법칙 · 효용극대화 문제 · 지출극소화 문제 · 기대효용이론) · 수요함수 · 무차별곡선 · 예산선 · 소득소비곡선 · 가격소비곡선 · 슬러츠키 분해 | ||
생산자이론 | 생산함수(콥-더글러스) · 생산요소시장 · 이윤 · 비용(기회비용 · 매몰비용 · 규모의 경제 · 범위의 경제 · 거래비용 · 수직적 통합) | ||
산업조직론 | 경쟁시장이론(완전경쟁시장) · 독점시장이론(독점 · 가격차별) · 과점시장이론(과점 · 담합 · 카르텔 · 쿠르노 모형 · 베르트랑 모형(에지워스 순환) · 게임 이론(내시균형) · 입지론 · 중심지 이론 | ||
후생경제학 | 잉여 · 사중손실 · 파레토 효율성 · 불가능성 정리 | ||
공공경제학 | 경제정책론(정책 · 조세) · 시장실패 · 외부효과 · 공공재(공유지의 비극) · 공공선택론 | ||
정보경제학 | 역선택 · 도덕적 해이 | ||
금융경제학 | 기본 요소 | 화폐 · 유가증권(주식 · 채권 · 파생상품) | |
재무가치평가 |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 차익거래가격결정이론 | ||
가치평가모형 | 배당할인모형 · 블랙-숄즈 모형 | ||
기업금융 | 기업가치평가(DCF) · 자본구조(모디글리아니-밀러 정리) · 배당정책 | ||
거시경제학의 미시적 기초 | 동태확률일반균형(RBC) | }}}}}}}}} |
1. 개요
流動性 / liquidity유동성이란,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어떤 자산의 현금화 가능성을 의미한다. 유동성이 높다는 것은 현금화가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폐가 없는 교환경제에서는 A가 B에게서 어떤 물건을 구매하려 할 때 Coincidence of Wants(욕구의 일치) 문제가 있다. A가 제공하는 물건을 B도 원해야 하고, 반대로 B가 제공하는 물건을 A도 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B 모두 받아들이는 물건인 화폐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화폐는 가격변동 내지는 가치의 변화가 최소화되어야 좋다. 연필 1개에 500원이었다가 연필 1개가 1000원으로 오르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왜 그런지 알 수 있다. 만약 화폐의 가치가 반으로 떨어져서 연필 1개 가격이 오른 것이라면 실제 연필의 가치에는 변화가 없다.
바꿔말해 자산의 유동성이란 얼마나 그 자산이 현금성을 가지는가에 대한 측도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동성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 자산을 기꺼이 보유하려고 하는가, 그리고 얼마나 사람들이 그 자산에 대해 어떤 고정된 가치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가에 달려 있다.
2. 예시
유동성이 가장 높은 자산은 현금이다.그 다음으로는 당좌예금 즉 요구불 예금. 언제든지 현금으로 인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로, 이자가 붙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세번째로 유동성이 높은 것은 자기앞수표, 보통예금 및 저축예금 같은 요구불예금 등이 있다.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은 요구불 예금보다 유동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즉시 현금으로 인출할 수 없고, 계좌를 해지하거나 적금담보대출 등을 통해 추가적인 수수료를 내야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지예금은 정기예금과 정기적금보다도 유동성이 낮다고 할 수가 있다. 즉시 현금으로 인출할 수가 없다는 단점은 당연지사, 은행에다가 해지할 거라고 요청을 하면 최소한 1영업일 이상을 기다려야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매우 유동성이 낮은 자산은 귀금속이 아닌 금속을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강 1kg를 가지고 있다고 할 때 이것을 곧바로 현금화하기가 상당히 어렵기 때문이다. 부동산도 비슷한 이유로 유동성이 매우 낮은 자산으로 꼽힌다.[1]
주식의 경우 일반적으로 거래량이 유동성을 판단하는 가장 큰 지표가 된다. 거래량이 많을수록 당연히 내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가격으로 사거나 팔기 수월하기 때문이다.
같은 자산이라도 그 유동성은 할인율을 높게 책정할수록 높아지므로, 할인율에 대한 기준 없이 자산 간에 유동성만을 비교하는 것은 힘들다. 쉬운 예로, 상품권을 현금화할 때 액면가보다 약간만 할인해서 판매하려면 거래가 빨리 이뤄지기 힘들지만 (즉 유동성이 낮다), 크게 할인하면 순식간에 거래가 이뤄진다 (즉 유동성이 높다).
3. 경제학에서의 활용
거시경제학에서 통화를 정의할 때 M1, M2, L 등으로 분류하는 기준이 바로 유동성이다.4. 회계학에서의 활용
유동성은 재무상태표에서 자산, 부채의 계정들을 정렬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정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유동·비유동 구분법
- 유동성 배열법
5. 관련 문서
[1] 이미 이름(不動産)부터 유동성(動)이 없음(不)을 전제로 깔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집보다는 땅이 더 유동성이 낮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