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5 00:12:21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노르웨이)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노르웨이의 정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eee,#333> 극좌 노르웨이 공산당 · 사회당 ·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좌익 노동당(54) · 사회주의좌파당(9) · 적색당(9) · 녹색당(7)
중도 중앙당(9) · 좌파당(9) · 자본주의당
우익 우파당(24) · 진보당(47) · 보수주의
극우 노르웨이 민주당 · 동맹 · 노르웨이를 위한 대안
종교 기독교민주당(7) · 가치당
단일쟁점 환자우선당 · 산업사업당 · 통행료 증가를 막기 위한 시민행동 · 연금수급자당 · 사미족 인민당 · 건강당 · 페미니스트당 · 해적당 · 혁신기술당 · 해안당 · 북부의회 · 노르웨이당 · 사미족 인민연맹 · 약속당
▪️ ~당(숫자): 해당 정당이 보유한 노르웨이 의회의 의석 수
}}}}}}}}}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이념 전반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cd0000,#cd0000><colcolor=#fed800,#fed800> 분파마르크스-레닌주의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 주체사상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그 외: 사회적 아나키즘 · 좌익공산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심영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 차루 마줌다르 · 푸슈파 카말 다할
이론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정당공산당
상징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분파 · 역사 · 서기장 · 적색 테러 · 탈공산주의 · 통일전선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파일:레닌_투명.svg 레닌주의 · 파일:스탈린_투명.png 틀:스탈린주의 · 파일:트로츠키_투명.svg 틀:트로츠키주의 · 파일:마오쩌둥 투명.svg 틀:마오주의}}}}}}}}}{{{#!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정당 · 조직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colbgcolor=#cd0000,#cd0000><colcolor=#fed800,#fed800>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이탤릭체: 당 내 일부 분파가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 일본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자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파일:일본 국기.svg · 조선로동당 파일:북한 국기.svg · 대만 공산당 파일:대만 국기.svg · 베트남 공산당 파일:베트남 국기.svg · 라오 인민혁명당 파일:라오스 국기.svg · 버마 공산당 파일:미얀마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인도 공산당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스라엘 공산당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예멘 사회당 파일:예멘 국기.svg · 카자흐스탄 공산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노동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민중민주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레바논 공산당 파일:레바논 국기.svg · 이란 투데당 파일:이란 국기.svg
유럽유럽 좌파당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의회 좌파-GUE/NGL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 공산주의자 행동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그리스 공산당 파일:그리스 국기.svg (틀:그리스의 정당 참조) · 네덜란드 신공산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적색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노르웨이 공산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좌파당 파일:독일 국기.svg · 독일 공산당 파일:독일 국기.svg · 라트비아 사회당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 러시아 연방 공산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 마오주의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룩셈부르크 공산당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파일:몰도바 국기.svg · 벨기에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 벨라루스 공산당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불가리아 공산당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스위스 노동당 파일:스위스 국기.svg · 연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 스웨덴 공산당 파일:스웨덴 국기.svg · 스웨덴 공산당(1995) 파일:스웨덴 국기.svg · 수마르 파일:스페인 국기.svg · 아일랜드 공산당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이윤 이전에 인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오스트리아 공산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오스트리아 노동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파일:체코 국기.svg ·노동인민진보당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튀르키예 공산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튀르키예 노동자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트란스니스트리아 공산당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 포르투갈 공산당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프랑스 공산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노동자투쟁 파일:프랑스 국기.svg · 반자본주의신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신인민전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의 극적인 공산주의 르네상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혁명공산당(PRC)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혁명공산당(PCRF) 파일:프랑스 국기.svg · 헝가리 노동자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아프
리카
경제자유투사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이집트 공산당 파일:이집트 국기.svg · 케냐 공산당 파일:케냐 국기.svg
아메
리카
미국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혁명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사회주의해방당 파일:미국 국기.svg · 아메리카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캐나다 국기.svg · 쿠바 공산당 파일:쿠바 국기.svg · 베네수엘라 공산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인민진보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 자유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브라질 공산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회주의자유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칠레 공산당 파일:칠레 국기.svg · 사회주의 운동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공산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우루과이 공산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아르헨티나 공산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해산된 정당
소련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 세르비아 공산당·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헝가리 노동인민당 ·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 호주 공산당 · 조선독립동맹 · 티베트 공산당 · POUM · 네덜란드 공산당 · 소말리아 혁명사회당 ·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인터내셔널 · 제4인터내셔널 ·
탈피한 정당
몽골 인민당 파일:몽골 국기.svg · 카자흐스탄 인민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인민당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 사회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헝가리 사회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 모잠비크 해방전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앙골라 국기.svg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파일:앙골라 국기.svg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콩고 노동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 진보사회주의당 파일:모로코 국기.svg
국제 조직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가맹 정당) · 세계반제플랫포옴 · 공산당 연합 - 소련 공산당}}}}}}}}}{{{#!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국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0.05em"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연립정부의 일원)
붕괴된 국가
}}}}}}}}}
}}}
파일:Tjen Folket 로고.jpg
Tjen Folket – Kommunistisk Forbund
Folkets kamp for kommunisme
공산주의를 위한 인민의 투쟁
영문 명칭 Serve the People – Communist League
한문 번역 명칭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 공산주의 동맹
약칭 Tjen Folket, TF
창립일 1998년
분리된 정당 노동자공산당(AKP)
청년조직 혁명적 공산주의 청년단 (RKU, Revolusjonær Kommunistisk Ungdom)
이념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반수정주의
혁명적 사회주의
정치적 스펙트럼 극좌
국제조직 ICOR(~ 2013),
ICL[1] (2022~ 현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성향4. 선거 불참5. 둘러보기

1. 개요

Tjen Folket – Kommunistisk Forbund(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 공산주의 동맹)은 노동자공산당 내 "우경화"를 비판하며 출당된 세력들이 결성한 노르웨이의 정당이다.

2. 역사

1998년 AKP에서 출당된 활동가들이 기존 당의 우경화를 비판하며 구성한 조직에서 시작된 정당으로 조직 초창기에는 "마르크스-레닌주의 그룹"(ML-gruppe)이라는 부제명을 사용했으나, 2009년부터는 현재의 명칭인 "공산주의 연맹"으로 바뀌었다.

당대표 헨리크 오르모센(Henrik Ormåsen)은 1997년 AKP와 붉은 청년단(Rød Ungdom)에서 제명된 인물이며, 2008년에 이오시프 스탈린을 "위대한 이론가"라고 옹호하여 적색당(Rødt)에서도 퇴출되었다.

한편 좌익 반인종주의 단체 SOS Racisme와 관련이 있는 정당이기도 하며 공적 자금 유용 의혹으로 논란을 빚었다. #

3. 성향

카를 마르크스, 엥겔스에 의한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와 블라디미르 레닌, 이오시프 스탈린에 의한 레닌주의, 그리고 마오쩌둥의 사상을 근거로 한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를 주창한다. 또한, 인민전쟁을 사회주의·공산주의 혁명을 위한 유일한 방법으로 주장하며, 폭력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입장이다.

정당 내 민주주의는 민주집중제에 기반하며, 활동성과 이론학습에 의지를 가진 자만을 구성원으로 인정하며 다른 노르웨이 좌파 정당이 수정주의적 입장에 처해있다며 비판한다. 이 때문인지 Taggere for Tjen Folket라는 조직은 사회주의좌파당적색당 당사에 마오쩌둥, 스탈린, 레닌, 마르크스, 엥겔스를 그린 그림과 이 정당의 웹사이트 주소를 낙서한 사건도 있었다. [2]

프롤레타리아 여성주의를 주장한다. 여성 해방은 단순한 성차별 반대가 아닌 계급 해방과 직결되어 있다고 보며, 자유주의 여성주의와 급진적 여성주의 모두를 비판한다. 그 대신 여성 스스로가 조직되고 성차별, 저임금, 성적 대상화에 맞서 투쟁하며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통해 완전한 해방을 달성할 수 있다고 본다. 성매매에 대해서도 강력히 반대하며 성매매를 구조적 억압의 형태로 간주한다.

4. 선거 불참

이 정당은 2009년 이래 모든 총선 및 지방선거가 부르주아들의 권력 수단이라고 주장하며, 선거에 불참하고 있다.

5. 둘러보기

<colcolor=#ff0,#ff0> 파일:마오주의 깃발.svg
마오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이념 <colcolor=#000,#ddd>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 레닌주의 · 마르크스-레닌주의) · 농본주의 · 반수정주의 · 신민주주의 · 반제국주의 · 반파시즘 · 포퓰리즘
분파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곤살로 사상 · 프라찬다 노선
관련 조직 중국공산당 · 홍위병 (홍위당) · 낙살라이트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 노동자공산당 · 미국 혁명공산당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 아프가니스탄 공산당(마오이스트) · 필리핀 국가민주전선 (신인민군 · 필리핀 공산당) · 호주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 태국 공산당 · 튀르키예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인물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화궈펑 · 류사오치 · 린뱌오 · 4인방 (장칭 · 왕훙원 · 장춘차오 · 야오원위안) · 천보다 · 밥 아바키안 · 차루 마줌다르 · 아비마엘 구스만 · 테드 힐 · 피에르 뮬레 · 모한 바이디야
선전 가창조국 · 동방홍 · 마오쩌둥 어록 · 레이펑의 좋은 점을 배우자 · 삼대기율 팔항주의 · 지도자를 의지하며 큰 바다로 나아가자 · 인민일보
관련 주제 봉건 파시즘
관련 틀 마오쩌둥 틀 · 공산주의 틀 · 마르크스-레닌주의 틀
중국의 경우 1978년 이전에만 해당함.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파일:스탈린_투명.png 마르크스-레닌주의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1] International Communist League (ICL)[2] 사회주의좌파당 대표는 유치한 짓이며 낙서를 닦는 노동자를 진심으로 존중하지 않았다고, 적색당 대표는 반(反)민주적이 일이라며 스탈린과 마오주의를 지향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