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7 21:17:41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이념 전반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cd0000,#cd0000><colcolor=#fed800,#fed800> 분파마르크스-레닌주의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 주체사상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그 외: 사회적 아나키즘 · 좌익공산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심영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 차루 마줌다르 · 푸슈파 카말 다할
이론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정당공산당
상징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분파 · 역사 · 서기장 · 적색 테러 · 탈공산주의 · 통일전선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파일:레닌_투명.svg 레닌주의 · 파일:스탈린_투명.png 틀:스탈린주의 · 파일:트로츠키_투명.svg 틀:트로츠키주의 · 파일:마오쩌둥 투명.svg 틀:마오주의}}}}}}}}}{{{#!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정당 · 조직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0.05em"
<colbgcolor=#cd0000,#cd0000><colcolor=#fed800,#fed800>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이탤릭체: 당 내 일부 분파가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 일본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자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파일:일본 국기.svg · 조선로동당 파일:북한 국기.svg · 대만 공산당 파일:대만 국기.svg · 베트남 공산당 파일:베트남 국기.svg · 라오 인민혁명당 파일:라오스 국기.svg · 버마 공산당 파일:미얀마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인도 공산당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스라엘 공산당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예멘 사회당 파일:예멘 국기.svg · 카자흐스탄 공산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노동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민중민주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레바논 공산당 파일:레바논 국기.svg · 이란 투데당 파일:이란 국기.svg
유럽유럽 좌파당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의회 좌파-GUE/NGL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 공산주의자 행동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그리스 공산당 파일:그리스 국기.svg (틀:그리스의 정당 참조) · 네덜란드 신공산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적색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노르웨이 공산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좌파당 파일:독일 국기.svg · 독일 공산당 파일:독일 국기.svg · 라트비아 사회당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 러시아 연방 공산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 마오주의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룩셈부르크 공산당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파일:몰도바 국기.svg · 벨기에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 벨라루스 공산당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불가리아 공산당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스위스 노동당 파일:스위스 국기.svg · 연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 스웨덴 공산당 파일:스웨덴 국기.svg · 스웨덴 공산당(1995) 파일:스웨덴 국기.svg · 수마르 파일:스페인 국기.svg · 아일랜드 공산당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이윤 이전에 인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오스트리아 공산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오스트리아 노동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파일:체코 국기.svg ·노동인민진보당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튀르키예 공산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튀르키예 노동자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트란스니스트리아 공산당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 포르투갈 공산당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프랑스 공산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노동자투쟁 파일:프랑스 국기.svg · 반자본주의신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신인민전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의 극적인 공산주의 르네상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혁명공산당(PRC)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혁명공산당(PCRF) 파일:프랑스 국기.svg · 헝가리 노동자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아프
리카
경제자유투사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이집트 공산당 파일:이집트 국기.svg · 케냐 공산당 파일:케냐 국기.svg
아메
리카
미국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혁명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사회주의해방당 파일:미국 국기.svg · 아메리카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캐나다 국기.svg · 쿠바 공산당 파일:쿠바 국기.svg · 베네수엘라 공산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인민진보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 자유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브라질 공산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회주의자유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칠레 공산당 파일:칠레 국기.svg · 사회주의 운동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공산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우루과이 공산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아르헨티나 공산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해산된 정당
소련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 세르비아 공산당·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헝가리 노동인민당 ·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 호주 공산당 · 조선독립동맹 · 티베트 공산당 · POUM · 네덜란드 공산당 · 소말리아 혁명사회당 ·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인터내셔널 · 제4인터내셔널 ·
탈피한 정당
몽골 인민당 파일:몽골 국기.svg · 카자흐스탄 인민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인민당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 사회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헝가리 사회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 모잠비크 해방전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앙골라 국기.svg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파일:앙골라 국기.svg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콩고 노동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 진보사회주의당 파일:모로코 국기.svg
국제 조직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가맹 정당) · 세계반제플랫포옴 · 공산당 연합 - 소련 공산당}}}}}}}}}{{{#!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3%; min-height:2em"
{{{#!folding [ 국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letter-spacing:-0.05em"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연립정부의 일원)
붕괴된 국가
}}}}}}}}}
}}}
파일:Emblem_Of_Tigray_People's_Liberation_Front.svg
ህዝባዊ ወያነ ሓርነት ትግራይ (ህወሓት, ወያነ)
슬로건
<colcolor=#FF0000> 영문 명칭 <colbgcolor=white,#010101>Tigray People's Liberation Front
한글 명칭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창당일 1975년 2월 18일 ([age(1975-02-18)]주년)
주소
에티오피아 메켈레
대표 XX
연방의회
0석 / 112석
하원
0석 / 547석
당 색
적색 (#FF0000, Red)
금색 (#FFD700, Gold)
이념 티그라이인 내셔널리즘
혁명적 사회주의
좌익 내셔널리즘
좌익대중주의
정치적 스펙트럼 좌익
당원 수 XXXX명
(XXXX년 XX월 XX일 기준)
국제조직
국내조직
청년조직 한국어 이름 (원어 이름)
기타 조직 한국어 이름 (원어 이름)
당기 파일:Flag_of_the_Tigray_People's_Liberation_Front.svg
1. 개요2. 역사3. 비판4. 여담

1. 개요

【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cdcdc,#1f2023> 티그리냐어 ህዝባዊ ወያነ ሓርነት ትግራይ
Hǝzbawi Wäyyanä Ḥarǝnnät Təgray
암하라어 ሕዝባዊ ወያኔ ሐርነት ትግራይ
Ḥǝzbawi Wäyyane Ḥärǝnnät Təgray
영어 Tigray People's Liberation Front }}}}}}}}}
에티오피아정당으로 영문 약칭은 TPLF, 티그리냐어 약칭은 두문자어인 흐와하트(ህወሓት / Hǝwäḥat)와 '투쟁'을 뜻하는 와이야나(ወያነ / Wäyyanä)이다. 티그리냐어 명칭을 직역하면 '티그라이 자유인민투쟁'인데, 이렇게 부르는 경우는 전무하고 십중팔구 영어명을 번역해서 사용한다.

성향은 좌파, 티그라이인 민족주의. 사회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한 티그라이인 권익 향상을 목표로 한다. 과거에는 공산주의의 분파인 호자주의를 표방했으나, 냉전 종식 이후 상당히 온건화되었다. 현재 대표는 다브라츠욘 가브라미카엘이다.[1]

2. 역사

공식 기록에 따르면 1975년 2월 18일 티그라이주 북부의 데데비트에서 창당되었다. 시작은 정당이 아니라 반군으로 출발하였다. 본디 이 정당은 에티오피아 인민민주공화국 정권에 대항하기 위해 조직된 반군조직이었으며, 초기 인원 수는 10명 남짓에 불과했으나 1년 뒤 120명, 이후에는 만 명을 넘어서는 거대한 조직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그 만큼 티그라이 지역에서 활약했는데, 아프리카 전체를 뒤져봐도 이만한 조직력을 갖춘 반군은 없었다.

그 후 1989년 쿠데타를 일으켜 인민민주공화국 정권을 무너뜨리고 에티오피아 인민혁명민주전선(EPRDF)의 일원으로 새 정권에 참여해 2019년까지 권력을 누리고 있었다. 하지만 2018년 취임한 아비 아머드 총리[2]의 주도로 EPRDF는 번영당으로 재창당되었는데, 이 때 TPLF 혼자 불참했다. 이로서 현재 에티오피아 국회에 의석을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야당이 되었다.

하지만, 티그라이 전쟁으로 인해 2021년 1월 20일부로 불법 정당으로 지정됐다. # 이에 TPLF가 반발하며 휘하 병력으로 반정부 투쟁을 벌이고 있다.

3. 비판

기존의 공산독재정권을 엎어버리고 집권했지만, 새 EPRDF 정권 또한 구 공산독재 정권 못지않게 독재 통치를 펼쳤다. 그 중 1995년부터 2012년까지 17년간 장기집권한 멜레스 제나위의 독재가 가장 악명 높은데, 그가 TPLF 소속이라는 점이다. 즉 바꿔 말하면 TPLF가 에티오피아 독재 체제의 중심축이었다는 것.

비록 냉전이 종식되고 공산주의를 포기했지만, 이것이 곧 독재 포기는 전혀 아니라서, 냉전 이후에도 에티오피아를 사실상 일당 독재 체제로 운영해 왔다. 특히 독재 정권의 축이었던 TPLF의 부정부패와 인권유린은 매우 악명 높으며, 미국에서도 이 정당을 테러조직으로 규정했을 정도.

그나마 여태까지 다른 나라가 에티오피아의 일개 정당에 대해 관심을 가져다 줄 사안은 아니었으나, 2020년에는 다른 의미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유는 다름 아닌 코로나 19 사태에서 비판받은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WHO 사무총장이 바로 이 정당 출신이기 때문이다. 그는 멜레스 제나위 독재 정권 하에서 보건장관을 지낸 바 있는데, 이때부터도 각종 부정부패를 일삼고 전염병 사태에 대해서도 태업 논란을 일으키는 등 싹수가 보였다고 한다. 이 때문에 이 정당도 덩달아 까이고 있는 중.

게다가 이 정당 대표이자 현재 티그라이 주지사 권한대행인 다브라츠욘 가브라미카엘 또한 테드로스의 악명에 가려져 있을 뿐, 그 역시 각종 스캔들과 부패로 악명이 높은 인간이다.

4. 여담

티그라이인을 대변하는 정당이자 구 반군이라서 구 에리트레아 인민해방전선[3]과 협력한 적도 있지만 대체적으로는 사이가 좋지는 못했다. 다만 1991년 티그라이인들이 멩기스투를 축출하여 정권을 잡은 후 1993년 에리트레아가 독립했다는 점을 들어서, 완전 원수지간은 아니라는 평가도 있다. 현재 티그라이 주는 에리트레아와 함께 분리독립한 것은 아니지만, 대신 2018년까지 에티오피아의 실세 자리를 맡았다.


[1] 티그리냐어: ደብረጽዮን ገብረሚካኤል / Däbräṣǝyon Gäbrämikaʾel, 영어: Debretsion Gebremichael[2] 오로모 민주당 출신[3] 현재 에리트레아의 유일 합법 정당이자 집권당인 민주정의인민전선의 모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