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국에도 유입된 일본식 외래어 표기를 올리는 문서.2. 유입 과정
일본식 표기가 나오는 근본적인 원인은 외래어를 많이 유입하는 일본어의 특성과 더불어, 아는 외국어는 일본어밖에 없으면서 일본에서 쓰는 외래어의 어원이나 관련 지식을 제대로 공부하지 않는 번역자, 언론인들의 무사안일주의이다. 번역이라는 작업이 해당 언어를 단순하게 읽을 줄 안다고 다 되는 게 아님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묠니르 → ミョルニル (묘르니르) → 묘르닐'에서처럼 가나 표기의 한계로 일본어는 외국어의 실제 발음을 구현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럼에도 하단의 리스트에 있는 ワルキューレ처럼 한국과 일본의 외래어 표기 방식이 다른데도[1] 한국의 번역가, 언론인들은 구태여 일본식으로 옮기기 마련이었다.
1990년대 이전에 출간된 서적이나 잡지, 신문 등을 보면 이러한 표기 오류를 쉽게 볼 수 있는데, 많은 출판사들이 원어 텍스트가 아닌 일본어 번역본을 중역해서 번역했기 때문이었다. 특히 일제강점기 동안에는 일본어가 한반도에서도 제2언어였고(물론 공식적으로는 제1언어였다.), 다른 외국 문헌을 접할 기회가 적었던 만큼 일본어의 영향이 그만큼 컸다. 흔한 패턴은 아래와 같다.
- r과 l의 혼동[2]
- 불필요한 촉음 ッ를 받침으로 남김.
- 실제로는 1번 발음하는 겹자음(mm, nn 등)을 2번 처리함.
- 단모음 뒤의 자음을 이중 처리함.
- 'ㅓ'에 해당하는 [ə]를 'ㅏ'나 'ㅗ'로 옮김.
- 'ㅚ'에 해당하는 [ø]를 'ㅔ'나 'ㅛ'로 옮김.
- 'ㅟ'에 해당하는 [y]를 'ㅠ'로 옮김.
- う단에 해당하는 'ㅜ'와 'ㅡ'의 혼동.
- f를 'ㅎ'으로 옮김.
- e의 실제 발음을 무시하고 え단으로 퉁치는 일본어 표기를 따라 'ㅔ'로 옮김.
- ne를 '-ㄴ느'로 옮김.(주로 프랑스어)
물론 일본어를 전공한 번역자가 세계의 모든 교양을 다 커버하기는 불가능하지만, 일본에서 쓰는 기본적인 외래어를 숙지하거나 하다 못해 잘 모르는 외래어 단어가 나왔을 때 조금이라도 추가 조사를 하는 노력을 기울였다면 손쉽게 교정할 수 있는 것들이었다.
예외적으로 다른 언어에서 차용한 것이지만 일본에서 고유명사가 되었거나 의미가 달라진 것이라면 일본어 한글 표기법에 따라 적는 것도 틀렸다고만은 할 수 없다. 태풍 곤파스는 원래 컴퍼스(Compass)에서 따온 말이지만, 일본에서 제출한 일본어 태풍 이름이라서 알파벳으로 Kompasu, 한글로는 곤파스로 적는다.
3. 현실
일본식 표기는 현지 발음과 괴리가 크고, 국립국어원의 표기 일람표 및 세칙과도 종종 충돌한다. 하지만 국립국어원은 "관용을 존중한다"는 외래어 표기법 1장 5항에 의거하여 라벨, 라지에타, 바란스 같은 일본식 표기들을 표준어로 승격시켰다. 심지어는 일본식 발음을 규범 표기로 삼은 채 표기 일람표와 세칙을 적용한 표기를 틀렸다고 규정하기도 한다. 예컨대 파라다이스가 옳은 표기이고, 영어 표기 세칙을 적용한 패러다이스는 틀렸다고 규정한 외래어 표기 용례 참고할 것.그 밖에 가젯, 네안데르탈, 다스, 도베르만, 라디에이터, 라디오, 라켓, 로켓, 마네킹, 마도로스, 마사지, 마켓, 마하, 몽고메리, 바스켓, 베란다, 베토벤, 베트남, 비로드, 시나리오, 실로폰, 싱가포르, 아스팔트, 아홀로틀, 에로틱, 카레, 콤마, 토마토, 판타지, 프로테인, 하이에나, 화이트, 히로인 등이 규범 표기로 올라왔다.
게다가 몇몇 언어의 표기법엔 일본식 흔적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다. 예컨대 독일어 표기법은 독일어 현지 발음과는 아무 관련이 없지만 일본어 표기와는 일치하는 조항들이 꽤 있는데, 외국어를 옮길 때 철자를 먼저 따지는 일본식 관행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대표 사례로 Doppelgänger가 있는데, 독일어 표기법에 따르면 도펠겡거이지만 현지 발음(ˈdɔpl̩ˌɡɛŋɐ)을 한글로 적절히 옮기면 도플겡어 혹은 도플겡아가 된다. 대중의 표기인 도플갱어와 큰 차이가 없다. 국립국어원의 표기는 오히려 일본식 표기인 ドッペルゲンガー(돗페루겐가)에 가깝다.
4. 실제 사례
왼쪽부터 한국에 정착했던 표기[3], 원인이 된 일본어 표기,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세칙을 적용한 것이다. 국립국어원이 따로 정한 규범 표기가 있다면 맨 오른쪽에 기재한다. 규범 표기는 한국어 어문 규범 페이지의 외래어 표기법 용례 찾기에서 검색할 수 있다.한국 정착 표기 | 일본어 표기 | 외래어 표기 세칙 | 규범 표기 |
가젯, 가제트 | ガジェット gajetto 가젯토 | 개짓(gadget) | 가젯[4] |
고호 | ゴッホ gohho 곳호 | 호흐(Gogh) | 고흐 |
굿즈[5] | グッズ guzzu 굿즈 | 구즈(goods) | |
그라함, 그라햄 | グラハム gurahamu 구라하무 | 그레이엄(Graham)[6] | 그레이엄 |
기아 | ギア gia 기아 | 기어(gear) | 기어 |
나레이션, 나레이숀 | ナレーション narēshon 나레숀 | 너레이션(narration) | 내레이션[7] |
나팜 | ナパーム napāmu 나파무 | 네이팜(napalm) | 네이팜 |
남바 | ナンバー nanbā 난바 | 넘버(number) | 넘버 |
낫씽, 낫띵 | ナッシング nasshingu 낫신구 | 너싱(nothing) | |
네안데르탈 | ネアンデルタール neanderutāru 네안데루타루 | 네안더탈독일어, 니앤더탈영어(Neanderthall) | 네안데르탈 |
다스 | ダース dāsu 다스 | 더즈(doz)[8] | 다스 |
데빌 | デビル debiru 데비루 | 데블(devil) | |
데자뷰 | デジャヴュ dejavyu 데자뷰 | 데자뷔(Déjà vu) | 데자뷔 |
도베르만 | ドーベルマン dōberuman 도베루만 | 도버만(Dobermann) | 도베르만 |
라디에이터, 라지에타 | ラジエーター rajiētā 라지에타 | 레이디에이터(radiator) | 라디에이터, 라지에타 |
라디오, 라지오 | ラジオ rajio 라지오 | 레이디어(radio)[9] | 라디오 |
라벨 | ラベル[10] raberu 라베루 | 레이블(label) | 레이블, 라벨 |
라비린스 | ラビリンス rabirinsu 라비린스 | 래버린스(labyrinth) | 래버린스 |
라이센스 | ライセンス raisensu 라이센스 | 라이선스(license) | 라이선스 |
라켓, 라켓트 | ラケット raketto 라켓토 | 래킷(racket) | 라켓 |
락카 | ラッカー rakkā 랏카 | 래커(lacquer) | 래커 |
럭키 | ラッキー rakkī 랏키 | 러키(lucky) | 러키[11] |
런닝 | ランニング ranningu 란닌구 | 러닝(running) | 러닝 |
레오파드 | レオパード reopādo 레오파도 | 레퍼드(leopard) | |
로켓, 로켓트, 로케트 | ロケット roketto 로켓토 | 로킷(rocket) | 로켓 |
레자 | レザー rezā 레자 | 레더(leather) | 레더 |
레코딩 | レコーディング rekōdingu 레코딘구 | 리코딩(recording) | 리코딩 |
레포트[12] | レポート repōto 레포토 | 리포트(report) | 리포트 |
렉카 | レッカー rekkā 렛카 | 레커(wrecker) | 레커[13] |
렌저, 렌쟈, 레인자 | レンジャー renjā 렌자 | 레인저(ranger) | 레인저 |
로타리 | ロータリー rōtarī 로타리 | 로터리(rotary) | 로터리 |
록키 | ロッキー rokkī 롯키 | 로키(Rocky)[14] | 로키[15] |
루팡 | ルパン rupan 루판 | 뤼팽(Lupin) | |
링게루, 링겔 | リンゲル ringeru 린게루 | 링어(Ringer)[16] | 링거 |
마네킹 | マネキン manekin 마네킨 | 매너킨영어, 만캥프랑스어(mannequin) | 마네킹 |
마도로스 | マドロス madorosu 마도로스 | 마트로스(matroos) | 마도로스 |
마켓 | マーケット māketto 마켓토 | 마킷(market) | 마켓[17] |
마하 | マッハ mahha 맛하 | 마흐(Mach) | 마하[18] |
마후라 | マフラー mafurā 마후라 | 머플러(muffler) | 머플러 |
맘모스 | マンモス manmosu 만모스 | 매머스(mammoth) | 매머드[19] |
맛사지 | マッサージ massāji 맛사지 | 머사지영어, 마사주프랑스어(massage) | 마사지 |
맛세이, 맛세 | マッセ masse 맛세 | 마세(massé) | 마세 |
머레이, 마레이 | マーレイ mārei 마레이 | 머리(Murray) | 머리 |
메다, 메터 | メーター mētā 메타 | 미터(meter) | 미터 |
메론 | メロン meron 메론 | 멜런(melon) | 멜론 |
메비우스[20] | メビウス mebiusu 메비우스 | 뫼비우스(Möbius) | 뫼비우스 |
메세지, 멧세지, 메쎄지 | メッセージ messēji 멧세지 | 메시지(message) | 메시지 |
몽고메리 | モンゴメリー mongomerī 몬고메리 | 먼트거머리(Montgomery) | 몽고메리 |
미리 | ミリ miri 미리 | 밀리(milli-) | 밀리 |
미스테리 | ミステリー misuterī 미스테리 | 미스터리(mystery) | 미스터리 |
바께쓰 | バケツ baketsu 바케츠 | 버킷(bucket) | 버킷 |
바란스, 바란쓰, 발란스 | バランス baransu 바란스 | 밸런스(balance) | 밸런스, 바란스 |
바세린, 와세린[21] | ヴァセリン vaserin 바세린 ワセリン waserin 와세린 | 배설린(Vaseline) | 바셀린 |
바스켓 | バスケット basuketto 바스켓토 | 배스킷(basket) | 바스켓 |
바톤, 바통 | バトン baton 바톤 | 배톤, 배튼(baton) | 배턴[22] |
바하 | バッハ bahha 밧하 | 바흐(Bach) | 바흐 |
뱃지, 뺏지 | バッジ bajji 밧지 | 배지(badge) | 배지 |
베란다 | ベランダ beranda 베란다 | 버랜더(veranda)영어, 베랑다(véranda)프랑스어 | 베란다 |
베토벤 | ベートーベン bētōben 베토벤 | 베트호펜(Beethoven)[23] | 베토벤 |
베트남 | ベトナム betonamu 베토나무 | 비엣남(Việt Nam베트남어, Vietnam영어) | 베트남 |
본네트, 본넷 | ボンネット bonnetto 본넷토 | 보닛(bonnet) | 보닛 |
부라보 | ブラボー bravō 부라보 | 브라보(bravo) | 브라보 |
부라자 | ブラジャー burajā 부라자 | 브라시에르(brassière)프랑스어, 브래지어(brassiere)영어 | 브래지어 |
부레끼, 브레끼 | ブレーキ brēki 부레키 | 브레이크(brake) | 브레이크[24] |
부르스 | ブルース burūsu 부루스 | 블루즈(blues) | 블루스 |
브륜힐데 | ブリュンヒルデ buryunhirude 부륜히루데 | 브륀힐트(Brünhild) | |
부저, 부자 | ブザー buzā 부자 | 버저(buzzer) | 버저 |
브릿지 | ブリッジ burijji 부릿지 | 브리지(bridge) | 브리지 |
비로도, 비로드, 빌로드 | ビロード birōdo 비로도 | 벨루두(veludo) | 비로드 |
비스켓, 비스켙 | ビスケット bisuketto 비스켓토 | 비스킷(biscuit) | 비스킷 |
빗치 | ビッチ bicchi 빗치 | 비치(bitch) | |
빠꾸 | バックbakku 밧쿠 | 백(back) | 백 |
빠다 | バター batā 바타 | 버터(butter) | 버터 |
빳데리, 밧데리 | バッテリー batterī 밧테리 | 배터리(battery) | 배터리 |
살라만다, 사라만다 | サラマンダ saramanda 사라만다 | 샐러맨더(salamander) | 샐러맨더 |
사벨, 샤벨[25] | サーベル sāberu 사베루 | 세이버영어, 사브르프랑스어(sabre) | 사브르 |
사테라이트[26] | サテライト sateraito 사테라이토 | 새털라이트(satellite) | 새틀라이트 |
샌달 | サンダル sandaru 산다루 | 샌들(sandal) | 샌들 |
샤베트, 샤벳트, 샤벳 | シャーベット syābetto 샤벳토 | 셔벗(sherbet) | 셔벗 |
샤쓰 | シャツ shatsu 샷츠 | 셔츠(shirts) | 셔츠 |
샤콘느 | シャコンヌ syakonnu 샤콘누 | 샤콘(chaconne) | 샤콘 |
샷따, 샤타, 셧터 | シャッター shattā 샷타 | 셔터(shutter) | 셔터 |
세이버 | セイヴァー seivā 세이바 | 세이비어(savior) | |
센치, 쎈치 | センチ senchi 센치 | 센티(centi-) | 센티 |
셋트 | セット Setto 셋토 | 세트(set) | 세트 |
소세지, 쏘세지 | ソーセージ sōsēji 소세지 | 소시지(sausage) | 소시지 |
스칼렛 | スカーレット sukāretto 스카렛토 | 스칼럿(Scarlet, Scarlett) | 스칼릿[27] |
스폰지 | スポンジ suponji 스폰지 | 스펀지(sponge) | 스펀지 |
시나리오 | シナリオ shinario 시나리오 | 서나리어(scenario) | 시나리오 |
신나 | シンナー shinnā 신나 | 시너(thinner) | 시너 |
실로폰 | シロフォン shirofon 시로후온 シロホン shirohon 시로혼 | 자일러폰영어, 그질로폰프랑스어(xylophone)[28] | 실로폰 |
싱가포르 | シンガポール shingapōru 신가포루 | 싱거포(Singapore) | 싱가포르 |
썸머, 섬머 | サンマー Sanmā 산마 | 서머(summer) | 서머[29] |
아리사 | アリサ arisa 아리사 | 알리사(Алиса, Alisa) | 알리사[30] |
아스팔트 | アスファルト asufaruto 아스화루토 | 애스팰트(asphalt) | 아스팔트 |
아홀로틀 | アホロートル ahorōtoru 아호로토루 | 아숄로틀나와틀어, 액설로틀영어(axolotl)[31] | 아홀로틀 |
알보칠 | アルボチル arubochiru 아루보치루 | 알보틸(Albothyl) | |
악세사리 | アクセサリー akusesarī 아쿠세사리 | 액세서리(accessory) | 액세서리 |
어택커 | アタッカー atakkā 아탓카 | 어태커(attacker) | |
에디션 | エディション edishon 에디숀 | 이디션(edition) | |
에레베이터, 에레베타 | エレベーター erebētā 에레베타 | 엘리베이터(elevator) | 엘리베이터 |
에로틱 | エロチック erochikku 에로칫쿠 | 이로틱(erotic) | 에로틱 |
엔젤 | エンゼル enzeru 엔제루 | 에인절(angel) | 에인절 |
엔조이 | エンジョイ enjoi 엔조이 | 인조이(enjoy) | |
엠페러 | エンペラー enperā 엔페라 | 엠퍼러(emperor) | 엠퍼러[32] |
엣지, 에찌 | エッジ ejji 엣지 | 에지(edge) | 에지 |
오바 | オーバー ōbā 오바 | 오버(over) | 오버 |
왁찐[33] | ワクチン wakuchin 와쿠친 | 바크친(Vakzin)[34] | |
웨하스 | ウエハース uehāsu 우에하스 | 웨이퍼즈(wafers) | [35] |
자켓 | ジャケット jaketto 자켓토 | 재킷(jacket) | 재킷 |
잔느 | ジャンヌ jannu 잔누 | 잔(Jeanne) | 잔[36] |
쵸콜렛, 초코레트, 초코렛, 쪼꼬렛, 쪼코렛 | チョコレート chokorēto 초코레토 | 초컬럿, 초클럿(chocolate) | 초콜릿 |
치르치르와 미치르 | チルチルとミチル chiruchiru to michiru 치루치루 토 미치루 | 틸틸과 미틸(Tyltyl et Mytyl) | |
카레 | カレー karē 카레 | 커리(curry) | 카레 |
카모플라주 | カモフラージュ Kamofurāju 카모후라주 | 카무플라주(camouflage) | 카무플라주 |
카바 | カバー kabā 카바 | 커버(cover) | 커버 |
카방클 | カバンクル kabankuru 카반쿠루 | 카벙클(Carbuncle) | |
캇타, 컷터 | カッター kattā 캇타 | 커터(cutter) | 커터 |
캬라멜, 카라멜 | キャラメル kyarameru 캬라메루 | 캐러멜(caramel) | 캐러멜 |
커텐, 카텐 | カーテン kāten 카텐 | 커튼(curtain) | 커튼 |
컷트 | カット katto 캇토 | 컷(cut) | 컷, 커트 |
케키, 께끼 | ケーキ kēki 케키 | 케이크(cake) | 케이크 |
코메디 | コメディー komedī 코메디 | 코머디(comedy) | 코미디 |
콤마 | コンマ konma 콘마 | 코머(comma) | 콤마 |
크라이테리온 | クライテリオン kuraiterion 쿠라이테리온 | 크라이티어리언(Criterion) | |
크림존 | クリムゾン kurimuzon 쿠리무존 | 크림즌(crimson) | 크림슨 |
클렘페러 | クレンペラー kurenperā 쿠렌페라 | 클렘퍼러(Klemperer) | 클렘퍼러 |
키로 | キロ kiro 키로 | 킬로(kilo) | 킬로 |
타겟, 타게트 | ターゲット tāgetto 타겟토 | 타깃(target) | 타깃 |
토마토 | トマト tomato 토마토 | 터마토, 터마터(tomato)[37] | 토마토 |
파라다이스 | パラダイス paradaisu 파라다이스 | 패러다이스(Paradise) | 파라다이스 |
파반느 | パヴァーヌ pavānu 파바누 | 파반(pavane) | 파반 |
판타지, 환타지 | ファンタジー fantajī 환타지 | 팬터시(fantasy) | 판타지 |
팡파레 | ファンファーレ fanfāre 황화레 | 팡파르(Fanfare) | 팡파르 |
퍼센테이지, 퍼센테지[38] | パーセンテージ Pāsentēji 파센테지 | 퍼센티지(percentage) | 퍼센티지 |
포와로, 포아로 | ポワロ powaro 포와로 ポアロ poaro 포아로 | 푸아로(Poirot) | |
프로테인 | プロテイン purotein 푸로테인 | 프로틴(protein) | 프로테인 |
피규어 | フィギュア figyua 휘규야 | 피겨(figure) | 피겨 |
하이에나 | ハイエナ haiena 하이에나 | 하이이너(hyena) | 하이에나 |
함마 | ハンマー hanmā 한마 | 해머(hammer) | 해머 |
함머클라비어 | ハンマークラヴィーア hanmākuravīa 한마쿠라비아 | 하머클라비어(Hammerklavier) | |
핫세 | ハッセー hassē 핫세 | 허시(Hussey) | |
호일 | ホイル hoiru 호이루 | 포일(foil) | 포일 |
화이자 | ファイザー faizā 화이자 | 파이저(Pfizer) | |
화이트 | ホワイト howaito 호와이토 | 와이트(white) | 화이트 |
화일 | ファイル fairu 화이루 | 파일(file) | 파일 |
후라이 | フライ furai 후라이 | 프라이(fry) | 프라이 |
후라시, 후레쉬, 후레시 | フラッシュ furasshu 후랏슈 | 플래시(flash) | 플래시 |
후룸라이드 | フルームライド furūmuraido 후룸라이도 | 플룸라이드(flume ride) | |
후르츠 | フルーツ furūtsu 후루츠 | 프루츠(fruits) | [39] |
훔멜스 | フンメルス funmerusu 훈메루스 | 후멜스(Hummels)[40] | |
훼리 | フェリー ferī 훼리 | 페리(ferry) | 페리 |
훼미리, 패미리 | ファミリー famirī 화미리 | 패멀리(family) | 패밀리 |
히로인 | ヒロイン hiroin 히로인 | 헤로인(heroine) | 히로인 |
5. 기타 사례
아래는 일본어 가나 표기의 한계로 원어를 착각하여 잘못 옮기는 사례들이다.한국 정착 표기 | 일본어 표기 | 올바른 표기 |
던필 | ダンピール danpīru 단피루 | 담피르(dhampir)[41] |
묘르닐 | ミョルニル myoruniru 묘루니루 | 묠니르(Mjöllnir)[42] |
스턴피드 | スタンピード sutanpīdo 스탄피도 | 스탬피드(stampede)[43] |
슬레이드게르밀 | スレードゲルミル surēdogerumiru 스레도게루미루 | 슬레이드겔미르(Sladegelmir)[44] |
알카드 | アルカード arukādo 아루카도 | 알루카드(Alucard)[45] |
알카디아 | アルカディア arukadia 아루카디아 | 아르카디아(Arcadia)[46] |
엘런 | エレン eren 에렌 | 에렌(Eren)[47] |
울드 | ウルド urudo 우루도 | 우르드(Urd)[48] |
이스칸달 | イスカンダル isukandaru 이스칸다루 | 이스칸다르(Iskandar)[49] |
코드 기어스 | コードギアス kōdogiasu 코도기아스 | 코드 기아스(Code Geass)[50] |
6. 관련 문서
[1] 일본어 자체도 2차대전 후 일본어 자체의 철자법이 바뀌고 외국과의 교류가 늘어나면서 2차대전 이전과 직후, 그리고 고도성장기 이후의 외국어 표기에 차이가 있다.[2] 더 나아가 -r-과 -ru-, -l-과 -lu-도 흔히 혼동된다. 다른 자음 또한 う단으로 처리된 자음을 혼동하기도 하지만 r, l만큼 두드러지지는 않는다.[3] 본 표에는 1990년대 이후로는 쓰이지 않는 표기들(고호, 나팜, 왁찐, 라지오, 와세린 등.)과 고연령층이나 특정 직업군 사이에서만 쓰이는 표기들(라지에타, 메다, 바하, 부라자, 브레끼 등)을 포함했다.[4] Gadget을 단독으로 다루진 않았지만, gadget plate를 가젯 플레이트로 확정했다.[5] 캐릭터 상품을 뜻하는 굿즈는 발음뿐 아니라 뜻도 원어를 왜곡한 재플리시 용법이다. 이 재플리시가 한국에 유입된 탓에 영단어를 발음할 때도 굿즈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6] 영어식이 아닌 게르만계 인명은 그라함이 맞다. 예컨대 카롤리네 그라함 한센.[7] 국립국어원은 외래어 규정에 안 맞게 미국식 발음(næréiʃən)을 기준으로 해서 내레이션을 규범 표기로 확정했다.[8] Doz는 dozen의 줄임말이다.[9] 일본국어대사전을 참고하면 알 수 있듯 일본의 사전들은 영어 radio를 어원으로 설명한다. 미국식 발음(réidiòu)을 반영해서 표기하면 레이디오.[10] 음반사 브랜드는 レーベル(레베루)라고 표기한다.[11] Lucky를 단독으로 다루진 않았지만, 합성어 안의 lucky를 러키로 확정했다.[12] 대학 과제를 의미하는 레포트는 발음뿐 아니라 뜻도 원어를 왜곡한 재플리시 용법이다.[13] Wrecker를 단독으로 다루진 않았지만, wrecker차를 레커차로 확정했다.[14] 미국식 발음으론 라키( ˈrɑːki).[15] Rocky를 단독으로 다루진 않았지만, 지명에 있는 Rocky를 전부 로키로 확정했다,[16] 영국인 Ringer의 현지 발음은 ˈrɪŋə이다.[17] Market을 단독으로 다루진 않았지만, market leader를 마켓리더로 확정했다.[18] 단위로는 마하를, 인명으로는 마흐를 규범 표기로 정했다.[19] Mammoth(ˈmæməθ)는 영어 표기법을 따르면 매머스가 되어야 하지만, 정작 국립국어원은 매머드를 규범 표기로 정했다.[20] 담배 메비우스는 고유명사이며, 영문 표기도 mevius이기 때문에 메비우스 표기가 맞다.[21] 한국 대중은 예전엔 와세린이라고 했지만 현재는 바세린이라고 발음하고 표기한다.[22] 현지 발음이 bǽtɒn 혹은 bǽtn이라서 영어 표기법에 따르면 배톤, 배튼으로 옮겨야 하지만 배턴을 규범 표기로 확정했다.[23] 원어 발음을 기준으로 하면 베트호펀 혹은 베트호픈.[24] 부레끼는 국립국어원의 우리말샘에 경남 방언으로 등재되었다.[25] 가장 유명한 표기는 빔 샤벨일 듯.[26]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고유명사이므로 이쪽으로 써도 문제되지 않는다.[27] Scarlet, Scarlett을 단독으로 다루진 않았지만, scarlet oak를 스칼릿 오크로, Scarlett Johansson을 스칼릿 조핸슨으로 확정했다.[28] 일본국어대사전을 참고하면 알 수 있듯 일본어 시로혼은 영어, 프랑스어를 따왔다고 설명한다.[29] Summer를 단독으로 다루진 않았지만, 합성어 안의 summer를 전부 서머로 확정했다.[30] Alisa를 단독으로 다루진 않았지만, 테니스 선수 Alisa Kleybanova를 알리사 클레이바노바로 확정했다.[31] 본래 나와틀어 axolotl가 원어인데, 일본인들이 이 생물을 들여오면서 axolotl을 스페인어 발음으로 처리했고, 이 표기가 한국에까지 영향을 끼쳤다. 스페인어로는 ajolote(아홀로테)라고 한다. 그런데 일본인들은 대체로 재플리시 명칭인 우파루파를 쓰며 이는 한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32] Emperor를 단독으로 다루진 않았지만, Emperor Range를 엠퍼러산맥으로 확정했다.[33] 북한 문화어에서도 왁찐으로 쓰나, 일본어 중역이 아닌 러시아어식 표기로 추측된다.[34] 영어로는 백신(vaccine)이라 한다.[35] 단수형 wafer의 규범 표기를 웨이퍼로 확정했다.[36] Jeanne을 단독으로 다루진 않았지만, Jeanne d'Arc를 잔 다르크로 확정했다.[37] 미국식 발음(təˈmeɪtoʊ)을 반영해서 표기하면 터메이토.[38] 한국에선 일본인들이 네덜란드어 procent를 줄인 일본식 외래어 プロ(프로)도 업어와서 쓰고 있다.[39] 단수형 fruit는 프루트로 확정했다.[40] 원어 발음을 기준으로 하면 후멀스 혹은 후믈스.[41] Dhampir의 일본어 표기 ダンピール의 ダン을 일본식 왜곡으로 착각해서 실제 모음 a를 반영하지 않고, 동시에 ル를 l로 지레짐작해서 던필이란 왜곡된 표기를 쓰게 된다.[42] Mjöllnir의 일본어 표기 ミョルニル에서 앞의 ル를 r로, 뒤의 ル를 l로 착각해서 묘르닐로 잘못 표기하곤 한다. 이런 한국식 표기는 원어를 완전히 뒤엎는 행동이다.[43] 이런저런 게임에서 기술명으로 가끔 쓰이는 단어인 スタンピード는 스탬피드(stampede)로 표기해야 하나, スタン을 stun으로 착각해서 스턴피드로 잘못 적는 사람들이 있다.[44] Sladegelmir의 スレードゲルミル의 첫 ル를 r로, 둘째 ル를 l로 착각하여 슬레이드게르밀이 되었다.[45] Alucard의 일본어 표기 アルカード의 アル를 Alu가 아니라 Al로 착각하여 알카드로 표기하곤 한다.[46] Arcadia의 일본어 표기 アルカディア의 ル를 l로 착각하여 알카디아로 잘못 표기한다.[47] 진격의 거인의 등장인물 예거의 이름인 Eren은 독일에서 터키계들이 흔히 쓰는 이름으로 '에렌'으로 표기해야 하나, 일본어 표기 エレン(에렌)을 Ellen으로 잘못 추정하는 바람에 엘런 예거가 되었다.[48] Urd의 일본어 표기 ウルド의 ル를 l로 잘못 추정하는 바람에 울드로 표기하는 사람들이 생겼다.[49] 일본어 표기 イスカンダル의 ル를 알파벳 l로 착각하여 이스칸다르가 아니라 이스칸달로 적는 사람들이 있다.[50] 코드 기아스의 ギアス는 작품에서 나오는 고유명사이기에 일본어 발음을 존중해서 기아스로 옮겨야 맞지만, 영어 gears로 착각해서 기어스로 잘못 옮기는 사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