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11:06:44

사복검

채찍검에서 넘어옴
1. 개요2. 설명3. 등장 사례
3.1. 영화3.2. 소설3.3. 게임3.4. 애니메이션3.5. 만화3.6. 특촬물
파일:173488b5c1633e68f.gif
퍼시픽 림에서 집시 데인저가 사복검 리스트블레이드를 전개하는 장면

1. 개요

, / Snake Sword, Whip Sword, Composite Sword

평소엔 평범한 장검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조작을 통해 여러 개의 조각이 와이어 등으로 이어진 채찍과 같은 모습을 취할 수 있다는 설정의 검. 물론 다시 조작해서 장검의 형태로 돌아올 수도 있다. 형태상 연결된 마디마디가 마치 처럼 보이기 때문에 사복검()이라 불린다. 윕 소드, 연결인, 접검 등으로 칭하기도 한다. 사복검과 비슷한 성질을 가졌지만 칼날 자체가 원래부터 흐물거리는 형태로 길게 늘어져 채찍처럼 다룰 수 있는 검은 연검으로 분류된다. 이건 주로 무협 계열에서 많이 묘사된다.

2. 설명

와이어는 조각나 있는 검의 가운데를 실로 구슬을 꿴 것마냥 관통해 지나며 조각들을 연결해 주고, 검의 형태일 때는 와이어 길이가 줄어들어 꽉 잡아당겨 조각들이 팽팽하게 결합 조립되어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검 손잡이 안에서 어떤 장치가 끌어당겨주든, 마법 등의 힘으로 와이어 자체가 고무줄처럼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하든 간에 일단 줄어들었을 땐 아주 강력한 힘으로 팽팽하게 당겨서 검 조각들의 연결 부위가 꺾이거나 어긋나지 않고 검의 형태를 온전히 유지한다. 때문에 어떤 형식이든 간에 그냥 철이랑 와이어만 연결해서 만드는 건 없고, 모종의 기계 장치나 마법이 요구된다.

채찍 형태로는 중거리나 넓은 범위를 제압할 수 있고, 도검 형태일 때는 근접전에 대응할 수 있는 유용한 무기로 묘사된다. 특히 채찍 형태일 때는 마디마다 붙어있는 칼날 때문에 일반적인 채찍보다 훨씬 흉악한 위력을 낼 수 있을 것처럼 보이고, 또 살짝만 떨어뜨리면 톱처럼 보여서 닿기만 해도 썰려버릴 듯한 비주얼을 연출할 수도 있다.

물론 실존할 경우에도 뛰어난 성능을 보여줄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실존하지 않는 도검이니 실용성을 따질 것도 없지만, 현실에서는 아무리 장력으로 실을 팽팽하게 당긴다고 해도 형태를 유지하는 실이나 와이어는 구조상 횡방향에서 충격을 받으면 손쉽게 휘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전통적인 도검보다는 금속으로 된 채찍 혹은 연검에 가깝다고 봐야 한다. 이런 구조의 무기가 통 금속 칼날과 부딪힌 후 형태를 유지하려면 구조를 붙잡아주는 역장을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차라리 그 역장으로 라이트세이버파워 웨폰을 만드는 것이 더 실용적이다.

다만, 그래도 날이 서 있는 무기다 보니 똑같이 철로 된 방어구에 부딪치는 게 아니라면 스치는 것만으로도 상처를 낼 수는 있다. 꺾인다는 특징도 여기서는 장점으로 작용해서, 방어구로 막아도 그게 꺾이면서 방어구가 있지 않는 부위로 날아가 예상치 못한 2차 공격의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즉, 칼날이 박힌 채찍 같은 효과는 얼마든지 낼 수 있다는 뜻. 다만 반대로 검일 때는 그 꺾이는 특징이 독이 되어서 근접전 시 상대의 검을 방어하는 역할을 제대로 해낼 수 없다. 따라서 실제로 사용하게 된다면 후술할 우르미처럼 소형 방패와 함께 운용할 가능성이 높다.

창작물에서 사복검의 초기 등장 사례로 미국에서 1966년부터 1988년까지 연재한 소설 시리즈이자 판타지 ip인 고르(Gor)시리즈에서 나오는 채찍칼(Whip Knife)이 있다. 항구도시인 포트 카(Port Kar)의 사람들이 쓰는 무기로 작중 서술된 내용에 따르면 채찍같은 외형에 20개의 날이 박혀있다고 한다. 단 현재 사복검의 이미지 처럼 일반적인 검의 형태로 유지하는 방법은 없다.

파일:galientsword.jpg

사복검이 현재 이미지로 정립된 가장 오래된 예는 일본거대로봇물기갑계 가리안이다.[1] 때문에 일본에서는 아예 사복검을 '가리안 소드(ガリアンソード)'라고 부르기도 했다. 사복검 상태로 뽑아서 칼로 완성되는 모습이 상당히 인상적. 당초에 발굴되었을 때 사격무장이 없던 가리안이 장비하고 있던 유일한 무기였으며, 칼날을 늘어트리는 것으로 그나마 짧은 사정거리를 보완할 수 있었다. 여담으로 가리안 소드는 정식 명칭이 아니라 팬들이 부르던 애칭이며, 설정화에서는 그냥 "검" 아니면 "가리안의 검"이라고 표기되어 있다.[2] 가리안 소드 이외에 "채찍검", "윕 소드"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사복검을 창시한 타카하시 료스케의 말로는 고향의 불량배들이 자전거 체인을 휘두르는 것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했다고 한다.[3] # 인디아나 존스의 채찍 액션도 참고했다고 한다. 농담조로 사복검을 특허 냈으면 지금 버는 것보다 몇 배는 더 벌었을 거라고 말하기도 했다.

가리안이 정식으로 수입된 적이 없는[4] 한국에서는 드래곤 퀘스트 다이의 대모험흉켈이 초반에 사용한 갑옷 마검소울 칼리버이자벨라 발렌타인이 사용하는 무기들이 사복검의 인지도를 높였다.

판타지 소설 가즈 나이트에서도 '맨 이터'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데, 채찍처럼 늘어난 상태에서 적의 몸을 휘감은 다음 다시 장검의 형태로 돌아오도록 잡아당기면 칼날에 믹서처럼 갈려버린다는 묘사가 있었다.

블러드본에서는 칼날 지팡이와 DLC 무기인 야수 절단기가 사복검 구조로 되어있다. 실전성과는 별개로 기계적인 구조를 신경 쓰면 어느 정도 실제 제작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추측 결과가 있다. 링크.

파일:attachment/사복검/image.jpg

현실에 존재하는 무기 중에서 사복검과 가장 유사한 것은 아마도 "우르미"일 것이다. 가트카, 앙감포라, 칼라리 파야트 등의 무예에서 쓰는 전통 무기로서 인도 남부나 스리랑카 등에서 쓰였던 물건인데, 면도날처럼 예리하게 날을 세운 유연하고 긴 금속 채찍이다. 상상할 수 있겠지만 엄청나게 위험한 물건이라(사용자 본인에게도), 웬만큼 무예를 숙련한 고수가 아니면 쓰는 법도 가르쳐주지 않는다고 한다. 칼라리 파야트 기준으로 무기술인 제 3단계의 마지막 부분이 이 우르미 사용법.

가트카용 우르미는 길이가 아주 길어서 평소엔 벨트처럼 허리에 감아서 숨겨뒀다가 갑자기 꺼내서 쓰는, 일종의 암기 같은 무기라고 한다(칼자루는 보이지만 그냥 검이라고 생각하므로).

앙감포라용 우르미는 양 손에 하나씩 들고 휘두르는 무기인데, 칼날이 하나가 아니라 칼자루에 30개 정도가 붙어있다. 면도날처럼 날카로운 금속 채찍 60개로 동시에 공격하는 것이다...

현실에서 사복검을 만들어낸 사람도 등장했다! https://m.youtube.com/watch?v=8pnNTV105go

3. 등장 사례

3.1. 영화

3.2. 소설

3.3. 게임

3.4. 애니메이션

3.5. 만화

3.6. 특촬물



[1] 타카하시 료스케는 사복검 외에도 후대의 대중매체에서 자주 오마주되는 특이한 근접 무기들을 많이 만들었다. 검신이 드릴처럼 회전하는 드릴 소드라던가, 전기 충격을 위력을 더하는 너클인 너클 샷이라던가... 파일 벙커도 이 사람 작품.[2] 당시 스탭들은 "ジャラジャラ剣(줄줄이 검)"이라고 불렀다고 한다.[3] 이는 김성모의 만화 체인빡의 주인공이 자전거 체인을 주 무기로 잘 써먹는 장면이 등장하는데, 여기서도 평소에는 채찍처럼 쓰다 체인을 눕혀 빳빳하게 세우면 검처럼 휘둘러서 쓸 수도 있는 매력적인 무기라고 언급해 악역 측 검사 캐릭터와 진검승부를 겨루기도 한다.[4] 가리안 자체는 아카데미제 프라모델로 잘 알려져 있었으나 사복검은 그 시절 기술로는 구현이 어려웠는지 거의 장비되지 않았다.[5] 모델명은 GD6 체인소드. 양팔의 손목 부분에 내장되어 있으며 전개 시 사복검 같은 모습을 보이지만, 그냥 붙여서 일반 검처럼 사용한다. 다른 용도로 쓰기 위한 게 아니라 보관이나 사출 등의 목적으로 그런 구조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사복검 자체의 용도보단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다. 즉 사복검의 유연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드럽게 꺼내서 다시 빳빳하게 고정하기에 사복검으로도 부르지 않고 후속기 집시 어벤져의 경우 체인소(전기톱) 집시 데인저의 경우 국내에선 체인소드로 부른다.[6] 8명 중 둘이서 이 무기를 쓴다.[7] 현재는 영혼 상태로, 생전에 사복검을 사용했다. 검과 채찍을 모두 마스터하고 익스퍼트급 이상으로 오러를 다뤄야 쓸 수 있는 까다로운 무기라는 설정이 붙어있어서, 사용자는 창시자인 아그네스와 그녀의 제자인 아일렛 단 둘 뿐이다.[8] 리메이크 이전에만 해당. 리메이크 이후에는 일반 대검.[9] DLC 무기 중에 소드윕이 있다.[10] 이쪽은 사복검 뿐만 아니라 검, 장창, 대검까지 사용하며 검, 장창, 사복검은 기본 공격으로 교체하면서 공격하고 대검은 필살기를 사용하면 기본 공격이 대검으로 바뀐다.[11] 보통 사복검과는 조금 다르게 생겼으며 검보다는 지팡이에 더 가깝다.[12] 사실 이쪽은 사복검이라기보다 촉수검(...)에 가깝다.[13] 장춘화, 법정은 진삼국무쌍 8부터. 정확한 무기 명칭은 강편검이다. 다만 외형에 대해 정확히 얘기한다면 대중매체의 보편적인 사복검이라기보다는 연검 쪽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특히 우르미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14] 이쪽은 수많은 사복검을 한번에 다루는 굉장히 능숙한 모습을 보여주며 게임적 허용이지만 무려, 수많은 사복검을 자신의 몸 속에 나온 촉수처럼 자유자재로 조종하는 엄청난 위엄을 보여준다![15] 말 그대로 사복검이라는 이름 그대로 출시한 초월 근접무기이다.이쪽은 사복검을 휘둘러서 생겨난 힘으로 날아다니기 까지 한다.[16] 12화 한정[17] 원래는 귀도현만 사용했으나, 시즌 4 마지막에 귀도현이 최강림에게 물려주면서 최강림도 사용하게 되었다.[18] 초반 한정. 마갑과 마검이 소실된 이후는 창으로 무기 변경. 더불어 집시 데인저의 경우처럼 사복검 형태는 보관 상태로 쓰이고, 전투시는 일반 검의 형태로 주로 사용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