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6 00:10:16

파랏파 더 래퍼 시리즈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본 시리즈의 주인공}}}에 대한 내용은 [[파랏파 랏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파랏파 랏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파랏파 랏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본 시리즈의 주인공: }}}[[파랏파 랏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파랏파 랏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파랏파 랏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상세3. 시리즈 일람
3.1. 파랏파 더 래퍼
3.1.1. 파랏파 더 래퍼(2006)3.1.2. 파랏파 더 래퍼 PS4
3.2. 엄재머 래미3.3. 파랏파 더 래퍼 2
4. 애니메이션
4.1. OP/ED4.2. PJ 베리의 우물우물 중얼중얼
5. 등장인물
5.1. 파랏파 일행5.2. 조연5.3. 단역5.4. 애니메이션판 등장인물
6. 기타7. 외부 링크

1. 개요

파랏파 더 래퍼 / パラッパラッパー[1] / PaRappa the Rapper

나나온샤[2]에서 제작하고 SCEA에서 유통한 게임 시리즈. 장르는 리듬 게임. beatmania보다 1년 더 일찍 나온 세계 최초의 리듬 게임이다.

등장인물들이 전부 종이인형인 것으로 유명하며[3][4] 게임성 이외에도 개성있는 캐릭터와 화풍으로 인상을 남긴 작품.

영어식[5]으로는 발음 상 "파라파 더 래퍼"로 표기하는 것이 옳으나, SIEK(舊 SCEK) 공식 한국판은 파랏파의 일칭인 パラッパ의 발음을 직역하여 "파랏파 더 래퍼"로 표기한다. 하지만 인지도가 부족하여[6] 앞서 언급된 "파라파 더 래퍼"나 "파라파 더 랩퍼", "파랏파 더 랩퍼" 등으로 잘못 불리는 경우가 잦다.

2. 상세

기본적으로 주인공이자 래퍼강아지 파랏파 랏파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사건들을 을 통해 헤쳐나간다는 뭔가 기상천외한 스토리라인을 가진 리듬 게임이다. 캐치 프레이즈는 "믿으면 되는 거야!". 일본어판에서는 「ボクならできるさ!(나라면 할 수 있어!)」, 영어판에서는 "I gotta believe!(믿으면 이루어져!)"로 이는 2편에서도 똑같이 이어진다.

게임 시스템은 대다수의 리듬겜이랑 다를 바 없이 정해진 타이밍에 맞춰 화면 상단에 나타나는 노트 배열을 누르면서 진행하는 시스템이지만 노래가 몇 개의 파트(여기선 LESSON이란 이름)로 나누어져 있으며 노트가 지나가면 죽어라 누르는 게 아니라 일단 제시되는 프레이즈를 듣고 나서 주인공이 똑같이 따라하는, 타 리듬 게임과는 뭔가 같으면서도 다른 방식을 가졌다.[7][8]

이런 탓에 처음에는 쉬워 보이지만 그렇지 않은 게, 비록 버튼은 6개뿐이지만 구절이 흐르는 속도 또한 빨라지며 눌러야 할 버튼이 늘어나기에 점점 어려워진다. 구절간 간격이 짧고 패턴도 적잖이 난해한 특성상 시스템을 모르면 처음 몇 단계에서부터 폭사에 이를 수도 있다. 가장 큰 애로점은 바로 판정의 애매함으로, 코나미에서 나오는 BEMANI 시리즈류 (DDR, 비트매니아 등)가 화면에 나오는 표시를 정확한 타이밍에 맞춰 누르면 좋은 판정을 얻을 수 있지만, 본 게임의 경우는 노트마다 어떤 판정을 받았는 지 나오지 않고 전체 판정만 뭉뚱그려 보여줘 판정 감을 잡는 것이 쉽지 않다. 게다가 최고 단계인 COOL 은 판정 자체와 무관하게 보이지 않는 애드립을 추가로 쳐야 판정이 올라간다. 그나마 2에서는 얼마나 기존 음을 따라가느냐, 얼마나 리듬감이 있냐, 얼마나 독창적이냐로 3가지 판정을 제시해 줘서 방향성이 생겼지만 여전히 판정은 제 마음대로. 다만 최대한 엇박에 맞춰서 독창적으로 갈 수록 COOL 기준 점수에 충족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관련 영상

3. 시리즈 일람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1. 파랏파 더 래퍼

파랏파 더 래퍼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33,#555><bg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MP.svg

파랏파 더 래퍼
PaRappa the Rapper
パラッパラッパー
<nopad> 파일:external/e421f082058043b86162c6e7917531b3625fa88f96d91c45b55c6969a89b2b49.jpg
<nopad> 유럽 패키지 이미지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000000,#e0e0e0> 개발 나나온샤
유통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PlayStation(1세대)
장르 리듬 게임
출시 파일:일본 국기.svg 1996년 12월 6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1997년 9월 26일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1997년 11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발매
한국어 지원 미지원


초대작이자 파랏파의 데뷔작. 스토리라인은 대충 파랏파가 짝사랑하는 인 '써니 퍼니'의 마음을 얻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내용이며, 어린이용 만화와 같이 유쾌하면서도 약 한 사발 들이킨 패턴이 다수 보인다.[9]

총 6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엔딩에서는 써니의 마음을 얻는 데 성공한 듯.

기본적으로 판정이 좋을수록 점수가 높게 나오는 것 외에도 전체적으로 소절을 얼마나 잘 넘기느냐에 따라 GOOD, BAD, AWFUL이 갈린다. 이는 소절마다 실시간으로 바뀌며 2번 연속으로 판정이 어긋나면 BAD, 그 다음은 AWFUL로 떨어져서 (리듬 게임으로서는 상당히 드물게) 이미 획득했던 점수를 깎고 만회하지 못할 경우 스테이지를 재도전해야 한다. 통상적인 플레이로는 GOOD 이상으로 올릴 수 없고 한 번 클리어한 스테이지에 한해서 COOL에 도전할 수 있는데, 조건은 주어진 노트 외에 자신이 즉흥적으로 노트를 찍어서 추가로 누르는 것이다. 애드립은 앞서나오는 프레이즈에서 랩을 하는데 노트가 나오지 않는 빈 구간을 최대한 들리는 랩과 비슷하게 채워넣으면 된다.참고 계속 COOL 판정을 이어나가면 그 순간 무대의 모습이 변하며 노트 처리 방식이 완전한 프리스타일 랩으로 바뀐다. 이 상태에서 연속으로 좋은 판정을 받으면 스코어가 대폭 상승하며 판정을 망치면 다시 GOOD으로 떨어진다. COOL로 클리어하면 에필로그 영상이 좀 바뀐다. 차를 살때 더 멋있는 빨간색 차를 산다거나, 케이크를 만들고 잠들 때 써니와 함께 있는 망상을 한다거나. 올 스테이지 COOL로 클리어한 영상. 정신이 혼미해진다. 좋은 케이크를 만드는 방법은 오븐에 32번 굽는 것 이라는 영어댓글이 실로 압권.


물론 일부 고인물들은 Cool mode에서 제대로 프리스타일을 시도하기도 한다.

기준일:
2025-08-17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parappa-the-rapper/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parappa-the-rapper/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3.1.1. 파랏파 더 래퍼(2006)

파랏파 더 래퍼
PaRappa the Rapper
パラッパラッパー
<nopad> 파일:PSP랏파.png
<nopad> 한국 패키지 이미지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000000,#e0e0e0> 개발 나나온샤
유통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PlayStation Portable
장르 리듬 게임
출시 파일:일본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년 12월 7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7년 7월 6일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2007년 7월 17일
파일:호주 국기.svg 2007년 8월 9일
한국어 지원 미지원
공식 사이트 일본


1편의 이식작. PSP로 컨버팅되어 멀티플레이 기능 및 원곡의 리믹스를 추가한 사양으로 발매되었지만 전체적인 분위기가 원판에서 별로 발전한 것이 없기도 하고 여러모로 설계상의 문제점이 남아있는 채로 발매했던 터라[10] 원작만큼의 호평을 듣지는 못했다. 인지도는 적지만 한국에도 패키지와 메뉴얼만 한국어화된 일본어판이 발매되었다.

켠김에 왕까지 214회에 이 버전이 나왔다.

기준일:
2025-08-17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parappa-the-rapper/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parappa-the-rapper/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3.1.2. 파랏파 더 래퍼 PS4

파랏파 더 래퍼 PS4
PaRappa The Rapper Remastered
パラッパラッパーPS4
<nopad> 파일:리마스터.webp
<nopad> 유럽 패키지 이미지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000000,#e0e0e0> 개발 나나온샤
유통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PlayStation 4
ESD PlayStation Store
장르 리듬 게임
출시 파일:세계 지도.svg 2017년 4월 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4월 20일
한국어 지원 미지원
상점 페이지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공식 사이트 한국 일본 미국



PSP판 리마스터 발매로부터 10년이 지나 뜬금없이 PS4 이식판 발매를 발표. 당당하게 4K 해상도 지원을 어필하고 있다. 일단 PS1 원작에 비해서 해상도가 높아져 도트가 튀지 않는 점은 확실히 좋다. 데모는 2016년 12월 Playstation Experience와 함께 PSN에 공개됐으며 2017년 4월 4일 발매했다.

실제로는 위 PSP판을 내장 에뮬레이터 방식으로 구동하는 리마스터의 리마스터이다. 여기에 고해상도 텍스처를 넣어 원본 PSP판의 텍스처 대신 로딩하는 방식. 대부분의 스테이지에 적용된 지연 보정이 스테이지 4에서는 어째서인지 적용되지 않아 리듬 게임의 생명이나 다름없는 판정이 개판이 되어버려서 평이 별로 좋지 않다. PS5에서도 즐길 수 있다.

기준일:
2025-08-17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parappa-the-rapper/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parappa-the-rapper/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XX-08-17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오픈크리틱#s-2|
#!if (+average) >= 84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width=50px]]
#!if (+average) <= 83 && (+average) >= 75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50px]]
#!if (+average) <= 74 && (+average) >= 66
[[파일:오픈크리틱 fair-man.png|width=50px]]
#!if (+average) <= 65 && average != null &&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weak-man.png|width=50px]]
{{{#!if average == null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man.png}}}]]
[[https://opencritic.com/game/4137/parappa-the-rapper-remastered|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60) * 1.8deg)), #fc430a 60%, #2e2e2e 6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60}}}}}}}}}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60) * 1.8deg)), #9e00b4 60%, #2e2e2e 6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60}}}}}}}}}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60) * 1.8deg)), #4aa1ce 60%, #2e2e2e 6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60}}}}}}}}}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60) * 1.8deg)), #80b06a 60%, #2e2e2e 6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60}}}}}}}}}
평론가 평점]]
[[https://opencritic.com/game/4137/parappa-the-rapper-remastered|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4) * 1.8deg)), #fc430a, #fc430a, #ffd86f, #ffd86f, #ffd86f, #fc430a, #fc430a 14%, #2e2e2e 1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4%}}}}}}}}}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4) * 1.8deg)), #b370df, #e566b1, #e566b1, #ff6ec4, #a871e3, #7973f5, #706bdf 14%, #2e2e2e 1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4%}}}}}}}}}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4) * 1.8deg)), #478c77, #76c8ff 14%, #2e2e2e 1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4%}}}}}}}}}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4) * 1.8deg)), #6c9059, #627f50 14%, #2e2e2e 1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4%}}}}}}}}}
평론가 추천도]]
[[https://opencritic.com/game/4137/parappa-the-rapper-remastered|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fc430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9e00b4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4aa1ce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80b06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유저 평점]]


3.2. 엄재머 래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엄재머 래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엄재머 래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엄재머 래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파랏파 더 래퍼 2

파랏파 더 래퍼 2
PaRappa the Rapper 2
パラッパラッパー2
<nopad> 파일:PaRappa_the_Rapper_2_Coverart.png
<nopad> 유럽 패키지 이미지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000000,#e0e0e0> 개발 나나온샤
유통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PlayStation 2
장르 리듬 게임
출시 파일:일본 국기.svg 2001년 8월 30일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2002년 1월 23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2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발매
한국어 지원 미지원
공식 사이트 일본 미국


5년만에 PS2로 출시된 파랏파 더 래퍼의 직계 후속작. 등장인물들은 여전히 종잇장으로 나온다. 스토리는 그래도 망상을 제외하고선 비교적 평범했던 전작과 달리 대놓고 병맛을 표방해놨다. 대충 요약하면 국수[11]에 너무나도 싫증이 난 파랏파가 써니가 내온 요리를 내치고서 써니에게 아기같다는 핀잔을 듣게 되고 이에 충격을 먹게 되는데, 그 이후 마을의 음식들이 죄다 국수로 갈아치워진 것을 발견하게 되고 이 이변을 해결하러 떠나는 이야기다. 이외에 몸이 멋대로 줄어들었다 커지거나 뜬금없이 군인이 되는 등 일상과 비일상을 넘나드는 내용이 많다.[12]

스테이지 수가 8개로 늘었다. 점수 시스템도 약간 변경되었는데, 1에서처럼 조건부로 발생했던 COOL이 2에서는 통상에서도 판정을 연속으로 우수하게 소화해내면 올라갈 수 있게 되었으며 (다만 판정을 100% 만족시키는 것이 대단히 힘들다.) 반대로 AWFUL 상태에서 랩을 계속 틀리면 때때로 방금 했던 소절을 뒤로 되돌리며 쉬워지기도 하는 등 제한이 많이 줄어들었다. 또한 전작에서는 상대의 소절이 지나가야지 내 쪽의 소절이 보이고, 소절의 길이를 알려주지 않아 헷갈렸지만, 본작에서는 두 줄로 나뉘어 처리중인 소절이 돌출되었다 다시 들어갔다 하는 식으로 변경되었다. 어디까지 부를 건지 소절의 길이를 정해 놓는 것은 덤. 전작에서 소절이 일찍 끊기면 바로 내 페이즈로 넘어가는 데서 판정을 놓치기 쉬웠다는 걸 생각하면 상당히 개선되었다.
스테이지 중간중간에 미니게임 격인 합판 부수기가 추가되었다.[13] 1에서도 나왔던 양파 선생의 문하생들이 들고 나오는 합판을 부숴서 점수를 최대한 많이 얻는 식이며 합판이 아닌 허공을 때리면 당연히 미스 처리. 그 외에 클리어했던 곡으로 CPU 혹은 다른 사람과 랩배틀(?)을 해서 전부 다 이기면 특전[14][15]이 주어지는 등의 요소도 있다.

추가요소가 붙고 여러모로 깔끔해진 게임[16][17]이었고 전반적으로 보아도 전작보다 발전했지 딱히 못나진 않은 게임이었지만 이상하게도 평은 전반적으로 좋지 않다. 사실 초대작의 위치가 워낙 넘사벽이라는 점도 한몫 했다. 하지만 하다못해 스핀오프인 엄재머 래미도 그럭저럭 인기를 끌었는데 정식 후속작이 이렇게 생겨먹은 데다 애니메이션과 PSP판까지 좋은 평을 듣지 못하면서 1편의 명성에 걸맞지 못하게 파랏파 시리즈의 빛이 바랬다.[18] 그래도 리듬 게임이기에 각 스테이지 곡은 상당히 훌륭한 편. 메타크리틱 평론가 점수가 노란불 67점이다. 그나마 유저 평점은 8.0으로 초록불.

여담으로 로드니 그린블랫의 오너캐가 이 작품에 직접 등장한다. 뉴스 기자로 등장하며 그린블랫 본인이 직접 더빙했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기준일:
2025-08-17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parappa-the-rapper-2/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parappa-the-rapper-2/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4. 애니메이션

파랏파 더 래퍼 (2001~2002)
パラッパラッパー
PaRappa the Rapper
<nopad> 파일:MV5BNGE4MjQxNzQtZTNjNi00ZDZiLThjZmMtMGMzNGViNjdhNjgxXkEyXkFqcGc@._V1_.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장르 코미디
원작 로드니 앨런 그린블랫(Rodney Alan Greenblat)
마츠우라 마사야(松浦雅也)
캐릭터 원안 로드니 앨런 그린블랫
기획 시미즈 켄지(清水賢治)
시라카와 류조(白川隆三)
감독 사쿠라이 히로아키
시리즈 구성 우라사와 요시오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고토 타카유키
캐릭터 어드바이저 마츠우라 키리(松浦季里)
미술 감독 오구라 히로마사(小倉宏昌)
색채 설정 이노우에 카츠에(井上佳津枝)
촬영 감독 사쿠마 미키(佐久間末希)
편집 아사노 마키코(浅野真樹子)
더빙 연출 나카노 토오루(中野徹)
녹음 스튜디오 KSS 스튜디오(KSSスタジオ)
음향 제작 HALF H・P STUDIO
음악 마츠우라 마사야
스즈키 요시히사(鈴木禎久)
쿠로바네 야스시(黒羽康司)
음악 감독 나가사키 유키오(長崎行男)
나카타케 타카후미(中武敬文)
프로듀서 오사베 소스케(長部聡介)
카츠마타 히데오(勝股英夫)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마츠쿠라 유지(松倉友二)
니시자와 마사토모(西沢正智)
애니메이션 제작 J.C.STAFF
제작협력 Production I.G
제작 후지 테레비, SME 비주얼웍스
방영 기간 2001. 04. 14. ~ 2002. 01. 1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테레비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30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공식 사이트 일본
}}}}}}}}}}}} ||

파랏파 더 래퍼의 TV판 애니메이션. J.C.STAFF, Production I.G, 그리고 SME 비주얼 웍스가 합작해서 만든 작품이지만 일단 대외적으로는 J.C.STAFF가 제작한 것으로 되어 있다. 감독은 사쿠라이 히로아키, 시리즈 구성은 우라사와 요시오, 캐릭터 디자인은 고토 타카유키. 후지 테레비에서 방영했으며 2002년 총 30부작으로 완결. 배경인 파랏파타운에서 일어나는 소동에 파랏파 일행이 휘말리면서 겪는 일을 그리고 있다.

사실 그냥 원작의 등장인물들과 세계관만 따와서 만든 별개의 작품에 가깝다. 래퍼 강아지가 애니에 나오더니 하라는 랩은 안하고 스케이트보드만 죽어라 타는 파격적인 구성도 그렇지만 다른 등장인물들도 어딘가 나사가 빠진 채로 등장하며[19], PJ가 여전히 클럽의 DJ를 맡고 있다는 것 정도가 그나마 원작을 존중해준 부분일 듯. 그 외에 제작 당시의 후속작인 엄재머 래미도 외면받았다. 일단 2스테이지 담당이었던 퍼들 소방서장이 7화에서 주역으로 나오거나 9화에서 래미가 카메오 출연하는 등의 요소가 있긴 하지만 그 외에는 사실상 다루어 주지 않았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거기다 은근 광기 넘치는 내용물을 가지고 있는데, 파랏파 6인방을 포함한 대부분의 등장인물은 로켓(!)이 자기들 머리 바로 위로 떨어졌는데 그 짓뭉개진 잔해에서 상처 하나 없이 튀어나오거나,#[20]타고 있던 버스가 깎아지른 절벽에서 떨어졌는데 멀쩡하게 뛰어나오거나# 하는 등 그야말로 만렙 불사신들이다. 이것만 보면 그냥 개그 애니라고 봐줄 수 있겠지만 무슨 위험천만한 짓을 해도 피해가 확산되지 않고 멀쩡히 이변이 해결되는 건 어른의 머리로도 이해가 불가능하다. 차라리 원작처럼 랩의 힘으로 벗어난다고 할 것이지 이건 뭐

여기서 알 수 있듯 전체적으로 개연성이 심각하게 결여되어 있으며, 가장 큰 문제는 넘쳐나는 뜬금포. 애들 보라고 만든 애니라는 걸 감안하면 깊이 따질 것도 없겠지만 나중에 살펴보면 왜 그런 일이 벌어졌는지 알 수 없는 부분은 예사고 존재의의 자체가 불투명한 자잘한 장면들이 많이 나온다. 그 외에 주인공들이 일 터지면 "적극적으로" 해결하려 들긴 하는데 그냥 시간이 지나면 어떻게든 해결되는 식이라서 그다지 흥미나 통쾌함이 없다. 이 모양인 탓에 저런 현상이 없는 몇몇 화들은 평범하다 못해 매우 개념찬 에피소드인 경우가 많다. 이런 에피소드에서도 뜬금포가 자주 터지는 걸 보면 이 애니가 전반적으로 얼마나 정신머리 없는지 알 수 있다. 개그 센스도 뭔가 비정상적인데 작화 수준까지 오락가락한다. 이들이 모두 어우러져 뭐라 형언할 수 없는 엽기를 자랑하며 아무리 내용이 들쭉날쭉해도 거의 모든 화에서 엽기 요소가 두 번 이상은 꼭 등장한다. 처음부터 작정하고 넣은 엽기로 보이는 것도 여럿 있어서 뭐라 할 수도 없는 부분.[21] 그럼에도 오프닝곡과 엔딩곡은 수준급인데 대놓고 팝송 인기곡들을 가져다 썼으니 이 정도 실속은 당연하다고 봐야 한다. 게다가 분위기 또한 여러모로 아동용 애니와는 영 거리가 멀어 의문을 자아낸다.

...한마디로 막장 애니메이션의 본좌의 가호를 받은 게 아닌가 의심되는 물건이다. 하지만 그만큼의 컬트적 인기마저도 못 일궈내고 무관심 속에 종영된데다 해외 수출도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원작 발매 후 20여년이 넘은 현재는 소수의 양덕들[22]에 의해 매니악한 고전작 등으로 가끔씩 언급되는 실정. 게다가 시청율[23]도 저조해 후술할 목표 고객에게 어필하는 데도 실패했다.

이렇게 된 것도 사실 다 이유가 있는데, 이 애니메이션은 애초에 파랏파 시리즈의 완구를 위한 판촉 작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것이었다. 즉 굳이 게임 원작을 따라갈 필요 없이 아동용 애니메이션으로 노선을 잡고 나아간 것이다. 그냥 평범한 아동용 애니였다면 그래도 원작 팬들을 외면한 처사라는 것을 제외하고 별 문제가 없었을지도 모르지만 어른의 사정이 지나치게 개입되어 원작과 컨셉 둘 다 못 살린 망작으로 나온 것. 상기한 삽입곡들 분위기 외에도 등장인물들이 시도때도 없이 클럽에서 춤추고 놀질 않나(원작의 활기찬 공연장 느낌이 아니라 대놓고 나이트클럽 분위기.), 9화에서는 뜬금없이 바니걸 의상 이야기가 나오고, 11화에서는 열차 사고 장면[24]이 너무 생생하게 나온다거나 1화,[25] 5화, 그리고 12화의 유령의 집 에피소드에서는 아예 대놓고 그로테스크한 장면이 나왔다. 하여튼 아동용이라고 하기엔 확실히 애매한 것들이 은근 튀어나온다. 그나마 16화 이후에서는 코믹 활극 비스무리한 분위기로 이런 현상이 덜한 편.

파랏파 시리즈 전체의 캐릭터 원안을 담당한 로드니 그린블랫(Rodney Greenblat)[26]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본 작품의 제작은 게임에 참여한 스탭이 제작에 일절 관여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루어졌다고 하며, 본인 역시 청소년층을 위한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고 싶어했지만 제작 당시부터 철저히 아동용으로만 기획되어 있었기에 그 의견이 묻혔다고 밝혔다.[27] 이유야 뭐 당연히 완구의 주 소비층이니까. 게다가 기획은 그렇다 치고 에피소드 별로 제작진이 왔다갔다 바뀌는 일도 많았다고 한다. 이러니 어떻게 보면 뒤틀린 망작이 탄생하는 게 당연했다.

4.1. OP/ED

4.2. PJ 베리의 우물우물 중얼중얼

PJ 베리의 우물우물 중얼중얼 / PJ Berri's Munching Mumbling / PJベリーのもぐもぐむにゃむにゃ

이로부터 약 15년이 지난 2016년 8월에는 PJ 베리 주연의 단편 애니메이션인 "PJ 베리의 우물우물 중얼중얼(PJベリーのもぐもぐむにゃむにゃ)"이 후지 테레비를 통해 방영되었다. 파랏파 더 래퍼 탄생 20주년 기념작이자 애니판 방영 15주년작으로서 에피소드당 2분 이내의 러닝타임을 가지고 있으며, 파랏파와 PJ, 양파 선생이 주연으로 출연[40]한다. 주요 소재는 PJ 베리의 꿈 속 세계,[41] 그리고 식당[42]에서 겪는 주연 3인방의 일상극. 2017년까지 총 2 시즌이 제작되었다.#

2001년 애니메이션판과 같이 본작도 그저 일본에서 열린 20주년 카페를 홍보하기 위한 수단이었으며, 역시 해외 수출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성우진은 전부 교체되었으며 전부 무명의 언더성우들로 이루어져있다. 이들은 전부 1회성 임시 성우진이다.

5. 등장인물

5.1. 파랏파 일행

5.2. 조연

5.3. 단역

5.4. 애니메이션판 등장인물

성우진이 상당히 화려하다.

6. 기타

7. 외부 링크


[1] 재미있게도 모두 모음을 ㅏ로 맞춘 제목. "파랏파랏파"로 읽히는 것을 노렸다.[2] 초대 설립자인 마츠우라 마사야는 일본의 레전드급 프로그레시브 밴드 듀오인 Psy · S 출신의 뮤지션이자 DJ였다. 어떻게 이 게임이 탄생할 수 있었는지 알 수 있는 부분.[3] 캐릭터 원안 담당이었던 로드니 앨런 그린블랫(Rodney Alan Greenblat)은 2016년 인터뷰에서 당시 기술력 내에서 2D 카툰 스타일을 재현하기 위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덕분에 그린블랫의 독특한 캐릭터 작화 스타일을 살리면서 전반적으로 인상적이고 독특한 작품 분위기를 만드는 데 기여한 선택이 되었다.[4] 본작은 초대 페이퍼 마리오인 페이퍼 마리오보다 4년이나 일찍 나온 게임이었다.[5] 정확히는 PaRappa의 영어 외래어 표기법에 맞는 발음이다.[6] 파랏파 시리즈 중 유일하게 정발된 PSP판은 메뉴얼만 한국어화된 사실상 일본어판 그대로 발매되었고, 홍보도 크게 이루어지지 않아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다.[7] 1편은 언제 끝나는지를 알 수 없어 불안한 문제가 있었으나 엄재머 래미에서는 노트 표시가 계속 흘러가는 식으로 끝나는 위치를 표시했고, 2편에선 한번 더 나가 매 음이 끝날 때마다 줄을 정렬해 새 음을 보여주는 식으로 혼동을 줄였다. 참고로 비슷한 방식을 채택한 게임으로는 남코의 고전 리듬 게임 중 하나인 테크노베르크세가스페이스 채널 5 시리즈가 있다.[8] 한때 어뮤즈월드가 코나미에게서 소송을 당했을 때 이 게임을 근거로 신규성, 진보성 위반이라고 특허 무효 심판청구한 적이 있었으나 이는 부정되었다.[9] 작중에서 현실과 파랏파의 상상이 교차되어 나오는 연출이 많이 나오는데, 작품 자체가 어이가 없어 웃게 되는 개그를 채용한 만큼, 전체적으로 엽기적이라서 어느 게 망상이고 어느 게 현실인지 구별을 못 하겠다는 평이 많다.[10] 인풋렉이 생겼고 엄재머 래미와 파랏파 2에서 개선된 편의사항이 반영되지 않았다.[11] 동네 버거가게인 비어드 버거(Beard Burger)에서 상으로 100년어치의 라면을 경품으로 탔었다. 처음에야 좋아했지만 하도 많이 먹은 나머지 질려버렸다고. 버거 가게에서 왜 라면을 경품으로 걸었는지는 넘어가자[12] 로드니 그린블랫도 본래는 지난 편과 이어지는 스토리를 선호했으며 처음에는 2편의 스토리가 이상하다고 생각했었다고 밝혔다. 파랏파 게임 시리즈들의 스토리를 담당한 컨셉아트 작가 겸 각본가인 이토 가빈(Gabin Ito)이 스토리를 썼으며, 마츠우라 마사야의 신뢰를 받고 있었던데다가 마츠우라도 항상 새로운 걸 추구했기에 이런 스토리가 나올 수 있었다.[13] 스타트키로 스킵가능[14] 난이도 조절이 가능한 비니 모자들.[15] 비니모자는 한번얻으면 바꿀수가없다[16] 캐릭터의 디자인과 움직임이 조금 부드러워졌고, 음영이 추가되었다. 포터 장군처럼 디자인이 조금 더 바뀐 캐릭터도 존재한다.[17] 그린블랫 역시 제작진들과 함께 전작 대비 세련된 작품을 만들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18] 그나마 1편은 PS1 베스트셀러였기에 현재까지도 소니에서 꽤나 챙겨주지만 엄재머 래미, 2, 애니메이션은 외면받는다.[19] 일례로 PJ는 원작에서 단순한 헤타레였던 정도를 넘어서 아예 초월자가 되었으며, 이외 게스트로 나왔던 인물들도 일부 면모만 과장되어서 나왔을 뿐인데 다른 캐릭터 같이 보인다. 게다가 시시때때로 직업이 바뀐다.[20] 게다가 학교 선생님이 창문 밖으로 튀어나와 로켓을 붙잡고 대기권 바깥까지 나갔다왔는데도 멀쩡히 살아남아 도망가는 파랏파 일행을 쫓아가는 건 덤.[21] 예를 들면 21화에서 가스타, 그루버가 타고 있던 고양이의 몸빵으로 차가 날아가거나 둘을 추격하는 경찰차가 산을 이루며 추격하고, 살찐 고양이가 문틈에 끼었다고 건물 전체가 뜯겨나가 고양이에게 끌려나가는 장면이 나오는 등, 과거의 미국 카툰 수준으로 상당히 과장된 개그성 연출들이 많다.[22] 그나마도 원작 팬이 대부분이다. 사실상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이라는 유일한 가치를 걷어차버렸기에 원작 팬에게도 외면받은 작품이라는 것을 생각하면...[23] 로드니 그린블랫에 따르면 시간표 자체는 헌터×헌터의 시간대인 토요일 저녁 6시 30분이라는 유리한 시간대를 따냈지만, 비슷한 시간대의 야구 중계방송에 밀려 시청율이 저조했다고 한다.[24] 가스타, 그루버가 버스 내에서 팝콘을 튀기다가 그 소리에 놀란 운전수가 당황해하다가 버스가 추락했고, 추락한 버스가 다시 열차에 부딫혀 완파되었다. 버스와 기차가 충돌하는 장면이 다소 과할 정도로 리얼리티하게 묘사되었다.[25] 파랏파의 상상 속에서 폴라, 케이티가 서로 자기가 더 예쁘다며 화장 경쟁을 이어가다가 말 그대로 "얼굴이 무너져" 홍수를 이루는 장면이 나왔다.[26] 참고로 신 캐릭터인 폴라와 매트도 이 사람 작품이다. 본격 토사구팽[27] 캐릭터 디자인에 참여해달라는 제작사의 요청에 그린블랫은 몇몇 에피소드를 맡겠다는 조건의 타협책도 제시했지만, 이 타협책도 묵살되어 캐릭터 디자인에만 참여할 수 있었다. 결과물에 대해서도 상당히 부정적으로 평가했다.[유튜브] 유튜브에서 전편을 감상할 수 있다.[자막1] 한국어 자막의 경우 유튜브의 자동 번역 기능으로 지원한다.[30] 「自信!(자신감!)」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본편의 "I(You) gotta believe!"로 번역하는 등.[31]ナンなのこのオンナ?(뭐야 이 여자?)」를 "Who the hell does this bitch think she is?!(이 썅년은 대체 지가 뭐라고 생각하는거야?!"로 번역하는 등.[32]ルックスじゃないでしょ。恋した相手が悲壮の彼氏よ。(외모는 아니잖아. 사랑한 상대가 비장의 남자친구야.)」가 "I mean, they probably aren't having sex, but I'm certain she's trying to help her lover out of a tragic situation!(둘이 섹스를 하는건 아니겠지만, 연인을 비극적인 상황에서 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건 확실해!)"로 완벽하게 오역되었다. 번역가가 ルックス(룻크스/외모)를 セックス(셋쿠스/섹스)로 잘못 들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하게도 일본어 자막도 다른 건 다 정상이지만 이 대사는 영어/스페인어 자막과 마찬가지로 セックス로 적혀있다.[33] 댓글에서 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 대부분 일본은 이런 것에 관대하다고 답변되어있다. 당연히 이정도는 아니다.[자막2] 영상 화면에 기본적으로 붙어있는 형태이기에 자동 번역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한국어 자동 번역은 지원하지 않는다.[자막3] 한국어 자막의 경우 팟플레이어의 실시간 자막 번역 기능으로 지원한다.[유튜브] [자막2] [38] 원래 NONA REEVES가 2000년에 냈던 곡에 스크래치음과 이펙트를 추가했다.[39] 이렇게 가까이에서를 부른 그 사람.[40] 그 외에도 단역으로 써니, 케이티, 래미, 조 친을 비롯한 시리즈의 각종 주·조연들이 등장했으며, 애니판 캐릭터였던 매트와 폴라도 찬조출연했다.[41] 2000년에 발간된 단편만화집 로드니펀 중 PJ 편과 얼추 비슷하다. 따라서 꿈 속에서 PJ가 한 나라의 왕으로서 뭘 했는가를 보여준다. 시즌 2에서는 전반적으로 스케일이 축소되고 PJ의 꿈 속 세계에 대한 언급도 사라졌다.[42] 양파 선생이 식당을 차렸으며, 파랏파가 그 식당에서 일한다는 설정이다. 시즌 2에서는 푸드트럭으로 변경.[유튜브] [자막1] [자막2] [A] 2016년 1월 4일 사망.[47] PJ 베리의 우물우물 중얼중얼에서는 오오스카 준.[48] 단, 파랏파도 최종화 한정으로 랩 비슷한 것을 했다.#[B] 노래를 엄청 잘 부른다고 평가받았으나 아쉽게도 2016년 2월 5일에 뇌종양으로 사망했다.[50] "I lost my do-jo. But the do-jo remains in my mind. It even has a casino. Dojo... Casino.... It's all in the mind. You have nothing to lose..."[51] 그 때마다 매번 하는 대사는 "그래, 맞아! 내 기타는 내 마음 속에 있어! 래미에게 맡겨줘!"("Yeah, That's right! My guitar is in my mind! Leave it to Lammy!")[52] 아트 디렉터 로드니가 좋아하는 커플링이라고 밝혔다. 후속작이 나온다면 공식으로 만들고 싶다고까지 했을 정도. 하지만 로드니가 직접 말했다는 증거가 빈약하여 이 발언이 조작이라는 의혹이 있다. 게다가 정작 작중에선 그냥 친구 이상의 묘사가 나온 적이 없고 자신들의 밴드인 밀크캔의 노래 가사 중 남자친구에게 차였다는 내용이 있다.[53] 이쪽은 파랏파가 래미에게 반한 일본 엄재머 래미 광고와(로드니에게 직접 검수된 광고는 아님.) 로드니가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결혼 사진까지 있다.[54] 1편 내에서는 꽃잎과 입모양, 미간이 들쑥날쑥했다, 파랏파의 집에 있는 써니 퍼니의 그림은 1편일 때에도 꽃잎이 6개다.파일:스크린샷 2025-05-03 085359.png[82][55] 1편에서 대부분 붉은색으로 표현되던 입이 짙은 노란색으로 변했다.[56] 파일:스크린샷 2025-05-03 085426.png[57] 파일:화면 캡처 2025-05-03 090257.png[58] PJ 베리의 우물우물 중얼중얼에서는 우에다 요지.[59] 파랏파가 자기 차를 가져가자 면허를 딴 지 10분밖에 안 되었다며 만류하는 장면, 교통사고로 차가 완파되자 파랏파의 상상 속에서 "할부기간이 59개월이나 남았는데 엄마한텐 어찌 설명할 거니? 물어낼 준비는 되었겠지?"라며 울상짓는 장면에 등장한다.[A] [61] 야가미 이오리와 동일 성우.[62] 배경으로 등장할 때 간혹 광고로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엄재머 래미"의 초대형 노트북 광고나 환경보호재단 광고가 대표적인 사례. 단, "조 친 전동톱은 쓰지 마라"는 스테이지 5의 가사나 몇몇 개그성 컷씬들로 보아 품질은 기대 이하인 듯.#[63] 케이크를 발사해 누들 마스터 군단을 제압했다. 양파 선생의 TV 방송 파트너가 하나도 도움이 안 될거라고 디스했음에도 정말로 압도해버린 게 함정.[64] "Oh yes, I had a lot of lot of fun! I made a lot of bucks and now I'm on the run!"[65] 2022년 1월 29일 사망.[B] [67] 정확히는 몸을 쓰는 운동선수 같은 직업을 말하는 듯.[68] 웃긴 게, 이 아프로가 국수가락처럼 늘어난다.[69] 누들 마스터에 따르면 하도 햄버거만 식탁상에 올라와서 생일날마다 또래 아이들에게 외면당하고, 어머니가 햄버거를 너무 많이 먹은 나머지 햄버거가 될 지경이었다고 한다.[70] COOL 모드 클리어시의 멘트에서는 아예 아이스크림이나 파스타 등등의 음식을 먹고 싶다고 하다가, 그 버거까지 먹고 싶어졌다고 한다. 파랏파의 프리스타일 랩에는 사람마저 바꾸는 무언가가 있는 듯 하다(...).[71] 4화에서 폴라의 망상 속 슬롯머신을 가로챘는데, 망상 속 물건이라 당연히 없는 물건 처리. 덕분에 가스터도 경악해했다. 2화에서는 역으로 그루버가 가스터의 망상 속 아이스크림을 가로채가는 장면이 나온다.[72] 24화의 영화감독 사칭해서 은행 돈 털기, 10화의 유명 야구선수 납치하기, 6화의 은행에 폭탄 투척 등. 그 외에도 11화에서는 버스 안에서 팝콘을 튀기다가 버스가 절벽에서 떨어지는 계기를 마련하고, 15화에서는 복시 보이를 납치했다가 마을 주민 모두가 복시 보이를 찾으러 다니게 만드는 등, 의도찮게 큰 사건을 저지르기도 했다.[73] 애니판에서는 보라색 톤의 셔츠와 외투, 바지 차림인 반면, 스크린세이버나 배경화면 등의 타 매체에서는 초록색 니트를 입고 있다.[74] 덕분에 가게 유리창 값을 갚으려고 파랏파 일행 모두가 알바를 뛰는 에피소드가 나오기도 했다.[75] 그 때 써니는 PJ와 같이 붙어있었다. 사실상의 파트너 교환이라고 의도한 듯 싶지만 연출이 너무 작위적이고 성의없는 탓에 "PJ는 아무것도 안 했는데 써니가 별 이유도 없이 같이 손잡고 간 것"으로밖에 안 보인다. 결정적으로 PJ가 써니를 옆에 두고서 한다는 게 혼자 졸고 앉아있기.[76] 더 웃긴 건 가스타는 자기가 무죄석방되자 화를 냈다.(...) 악당이 무고하다니 있을 수 없는 일이라나.[77] 2008년 리듬 세상이 경신하기 전까지는 일본 내 최다 판매 리듬 게임이었다.[78] 그 중 하나는 50 Cent와의 랩배틀 에피소드다.[79] 컷씬의 작화 스타일이 2001년 애니판의 작화와 유사하다.[80] 말풍선 속 대사와 효과음은 영어로 적혀 있으며, 일본어 번역을 여백에 첨부했다.[81] 파랏파는 한 대 치면 대표대사인 "I gotta believe!"를 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