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18:51:58

프로스트 세나 라이벌리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00><tablebgcolor=#f00> 파일:포뮬러 1 로고 (화이트).svg포뮬러 1 월드 챔피언십
역대 드라이버 챔피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fff
1950 1951 1952 195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54 1955 1956 195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58 1959 1960 196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1962 1963 1964 196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1966 1967 1968 1969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1970 1971 1972 1973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1974 1975 1976 1977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1978 1979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1982 1983 1984 1985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1986 1987 1988 1989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0 1991 1992 1993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4 1995 1996 1997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1998 1999 2000 2001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2002 2003 2004 2005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6 2007 2008 2009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2010 2011 2012 2013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2014 2015 2016 201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2018 2019 2020 202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22 2023 202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


1. 개요2. 팀메이트 시절
2.1. 1988 시즌2.2. 1989 시즌
3. 팀메이트 시절 그 이후
3.1. 1990 시즌3.2. 1991 시즌3.3. 1992 시즌3.4. 1993 시즌3.5. 프로스트 은퇴 후

1. 개요

포뮬러 원 드라이버 알랭 프로스트아일톤 세나간의 경쟁을 서술한 문서.

프로스트와 세나의 라이벌리는 아직까지도 포뮬러 원에서 가장 치열한 라이벌 관계로 널리 알려져 있고[1] 두 드라이버 모두 포뮬러 원에서 최고의 선수로 꼽힌다. 1988년 맥라렌 경영진을 설득해 세나와 계약을 주도한 것도 프로스트였다[2]. 그렇게 1988 시즌부터 세나가 프로스트 라이벌리가 본격화 되었다. 1989 시즌에는 편애에 관해 둘 간의 갈등이 고조되면서 결국 1990년 프로스트는 페라리로 이적했다.

2. 팀메이트 시절

세나 vs 프로스트
17 레이스 승리 13
28 퀄리파잉 승리 4
14 그랑프리 우승 11
26 폴 포지션 4
154 포인트 186
표 출처: 아일톤 세나 2.4.7. 알랭 프로스트와의 경쟁

프로스트와 세나는 팀 동료로서 1988년과 1989년 시즌에 열린 32번의 레이스 중 25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세나는 14번의 우승과 26번의 폴 포지션을 기록했고, 프로스트는 11번의 우승과 4번의 폴 포지션을 기록했다. 하지만 프로스트는 163(186)점[3], 25번의 포디움, 12번의 패스티스트 랩을 기록했고 세나는 150(154)점, 18번의 포디움, 6번의 패스티스트 랩을 세웠다. 1988, 1989 시즌 동안 둘은 각각 월드 챔피언십에서 한 번씩 우승했다.

2.1. 1988 시즌

2.2. 1989 시즌

1989년 맥라렌의 차 성능은 1988년 시즌만큼 압도적이진 않지만 그래도 프로스트와 세나가 선두에서 경쟁할 만큼 뛰어났다.
세나와 프로스트는 산 마리노 그랑프리에서 크게 갈등을 겪었다. 두 드라이버는 원래 스타트 후 첫 코너를 먼저 들어가는 순서로 경기가 끝날 때까지 유지하기로 합의 했는데, 그날 재출발에서 세나가 이를 무시하고 프로스트를 추월해버린 것이다. 세나는 그런 합의가 이루어진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덕분에 팀 분위기가 정말 좋았다.

얼마 후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주에 프로스트는 다음 시즌 페라리로 이적하겠다고 폭탄선언을 했다. 이 경기에서 세나는 엔진 이슈로 리타이어했고, 프로스트는 우승을 차지한 뒤 티포시들에게 트로피를 ‘선물’하는 과감한 행동으로 맥라렌 팀을 경악시켰다.

그해 일본 그랑프리는 포뮬러 원 역사상 가장 악명 높은 레이스 중 하나일 것이다. 레이스 막바지에 세나는 마지막 시케인에서 무리한 추월을 시도하다 프로스트와 충돌했다. 프로스트는 리타이어했지만 세나는 기적적으로 차량을 재출발시켜 레이스를 우승했다. 하지만 경기 후 세나는 옳지 않은 코스로 트랙에 재진입 했다는 이유로 실격 처리됐고, 결국 챔피언십은 프로스트의 품으로 돌아갔다. 세나는 FISA에 항의했지만 협회 회장이 장마리 발레스트르라 허사로 돌아갔다. 발레스트라가 프랑스 사람이라 프로스트 편을 들어줬다는 말도 있다.

3. 팀메이트 시절 그 이후

3.1. 1990 시즌

3.2. 1991 시즌

3.3. 1992 시즌

3.4. 1993 시즌

1993년 시즌에 프로스트는 포뮬러 원에 복귀해 윌리엄스-르노 드라이버로서 네 번째 월드 챔피언쉽을 우승하였다. 프로스트는 윌리엄스 계약에 세나와 팀메이트를 하지 않다는 조건을 걸었기 때문이다. 다시 맥라렌-혼다 시절 같은 팀내 경쟁적인 환경을 겪고 싶지 않아했다. 결국 프로스트는 은퇴를 하게 되고 세나가 윌리엄스에서 프로스트 자리를 대신했다. 르노는 프로스트가 대사로 일하게 했다.

3.5. 프로스트 은퇴 후

세나는 프로스트 은퇴한 프로스트를 복귀시키려고 온갖 노력을 다했다고 한다. 수시로 전화를 하며 프로스트가 복귀하도록 설득했다고 한다. 물론 프로스트는 세나와 다시 팀을 이룰 수 없었다.
[1] 일단 두 팀메이트가 경쟁하는 구도는 잘 나오지 않는다. 보통 드라이버 월드 챔피언을 위해 팀에서 드라이버를 밀어주는 게 대부분이다. 다른 드라이버는 서포트인 셈. 프로스트 왈 2007년 시즌도 그렇고 론 데니스가 너무 욕심이 많다나 뭐라나.[2] 피케와 세나 중에 고를 수 있었는데 젊은 드라이버가 더 나아보였다고.[3] 열여섯 그랑프리 중 가장 좋은 11개의 기록만 챔피언십에 반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