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학수학능력시험 | ||||
2024 수능 | → | 2025 수능 (2024.11.14.) | → | 2026 수능 |
1. 개요2. 정보3. 6월 모의평가 (2024.06.04)4. 9월 모의평가 (2024.09.04)5. 대학수학능력시험 (2024.11.14)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6월 모의평가 수학 영역 21번 문제 오류 논란6.2. 과학탐구 Ⅱ과목 표준점수 폭등 사태6.3. 9월 모의평가 국어 영역 언어와 매체 37번 문제 오류6.4. 언어와 매체 지문 URL 주소 구매 및 윤석열 퇴진 집회 문구 삽입 사건6.5. 정읍 고사장 4교시 안내 방송 사고6.6. 숭실고등학교 고사장 4교시 2분 조기 타종 사고
7. 여담8. 의견9. 주요 영역 자료 및 통계10. 둘러보기 틀1. 개요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 발표 4년 예고제에 따라 2022년 8월 25일에 발표되었다.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계획 발표 2024년 3월 28일에 발표하였다. |
2024년 11월 14일에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이다. 성적은 2024년 12월 6일에 통보한다. 해당 연도 고3 재학생의 대부분인 2006년생이 응시했다. 그 이전이나 이후에 태어나도 조기입학, 유급/휴학, N수생, 만학도, 검정고시 합격자도 응시할 수 있다.
2. 정보
3. 6월 모의평가 (2024.06.04)
- 필적 확인란 문구는 「희망을 속삭이는 아침이 밝아오니」로, -의 '-'에서 발췌했다.
- 응시자 수: 392,783명 (접수자 수: 474,133명)
- 재학생: 318,906명 (81.2% / 접수자 수: 385,435명)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73,877명 (18.8% / 접수자 수: 88,698명)
- 주요 소식 및 사건
3.1. 국어 영역
과목 | 응시자 수 | 표준점수 최고점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1등급 인원 | 1등급 비율(%) |
독서 + 문학 (공통) | 390,603 | 언어와 매체 148 | 132 | 17,980 | 4.60% |
화법과 작문 | 237,901 | ||||
언어와 매체 | 152,702 |
국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2,418 |
구분 |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 | 소계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38,571 | 53,629 | 192,200 | |
비율(%) | 58.3 | 35.1 | 49.2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72,053 | 84,786 | 156,839 | ||
비율(%) | 30.3 | 55.5 | 40.2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22,214 | 11,909 | 34,123 | ||
비율(%) | 9.3 | 7.8 | 8.7 | |||
직업탐구 | 인원(명) | 3,395 | 1,628 | 5,023 | ||
비율(%) | 1.4 | 1.1 | 1.3 | |||
|
3.2. 수학 영역
과목 | 응시자 수 | 표준점수 최고점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1등급 인원 | 1등급 비율(%) |
수학Ⅰ + 수학Ⅱ(공통) | 386,972 | 미적분 152 | 135 | 17,703 | 4.57% |
확률과 통계 | 186,928 | ||||
미적분 | 188,466 | ||||
기하 | 11,578 |
수학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2,116 |
구분 | 확률과 통계 | 미적분 | 기하 | 소계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57,285 | 26,960 | 4,541 | 1,160 |
비율(%) | 84.1 | 14.3 | 39.2 | 48.8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4,151 | 137,360 | 5,420 | 156,931 | |
비율(%) | 7.6 | 72.9 | 46.8 | 40.6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11,141 | 21,830 | 1,160 | 34,131 | |
비율(%) | 6.0 | 11.6 | 10.0 | 8.8 | ||
직업탐구 | 인원(명) | 3,258 | 1,423 | 327 | 5,008 | |
비율(%) | 0.6 | 0.5 | 1.1 | 0.5 | ||
|
3.3. 영어 영역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1등급 인원 (비율) |
392,110 | 90 | 5,764 (1.47%) |
영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2,466 |
구분 | 영어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93,143 | |||
비율(%) | 49.3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57,129 | ||||
비율(%) | 40.1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34,258 | ||||
비율(%) | 8.7 | |||||
직업탐구 | 인원(명) | 5,114 | ||||
비율(%) | 1.3 | |||||
|
3.4. 한국사 영역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1등급 인원 (비율) |
392,783 | 40 | 51,290 (13.06%) |
3.5. 탐구 영역
탐구 영역별 선택 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 | ||||||
사회·과학탐구 전체 응시자 (직업탐구 응시자 제외) | 선택 과목 수 | 사회탐구 | 과학탐구 | 사회+과학탐구 | ||
인원(명) | 비율(%) | 인원(명) | 비율(%) | 인원(명) | ||
385,075 명 | 1개 | 1,592 | 0.8 | 762 | 0.5 | - |
2개 | 191,941 | 99.2 | 156,483 | 99.5 | 34,297 | |
직업 탐구 | 전체 응시자 | 응시 방법 | 응시자 수(명) | |||
5,158 명 | 성공적인 직업생활(공통과목) + 선택 1과목 | 4,954 | ||||
공통과목을 제외한 선택과목 중 1과목만 응시 (직업탐구 영역을 1과목만 응시하면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응시할 수 없음) | 204 |
사회탐구 영역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 만점자 수(비율) |
생활과 윤리 | 131,917 | 45 | 71(100) | 792(0.6%) |
윤리와 사상 | 34,548 | 42 | 78(100) | 87(0.25%) |
한국지리 | 31,903 | 46 | 72(99) | 560(1.72%) |
세계지리 | 26,719 | 50 | 67(97) | 1,559(5.83%) |
동아시아사 | 15,249 | 46 | 73(99) | 201(1.32%) |
세계사 | 13,941 | 47 | 71(99) | 399(2.86%) |
경제 | 6,338 | 45 | 74(100) | 58(0.87%) |
정치와 법 | 27,329 | 48 | 69(98) | 891(3.26%) |
사회·문화 | 131,527 | 48 | 66(98) | 4,841(3.68%) |
과학탐구 영역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 만점자 수(비율) |
물리학Ⅰ | 50,395 | 48 | 68(98) | 1,903(3.78%) |
화학Ⅰ | 39,526 | 48 | 69(98) | 1,507(3.81%) |
생명과학Ⅰ | 112,800 | 48 | 68(98) | 4,034(3.58%) |
지구과학Ⅰ | 119,198 | 46 | 72(99) | 1,681(1.41%) |
물리학Ⅱ | 5,746 | 50 | 70(97) | 299(5.20%) |
화학Ⅱ | 5,541 | 45 | 77(99) | 66(1.19%) |
생명과학Ⅱ | 8,854 | 47 | 76(99) | 165(1.86%) |
지구과학Ⅱ | 5,965 | 48 | 76(98) | 229(3.84%) |
직업탐구 영역 (2과목을 응시할 경우, 국어·수학 영역과 동일하게 표준점수가 산출된다)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표준점수 |
성공적인 직업 생활 (공통과목, 2과목을 응시할 경우에만 해당) | 4,954 | 70 |
농업 기초 기술 | 527 | 72 |
공업 일반 | 1,250 | 70 |
상업 경제 | 1,735 | 74 |
수산·해운 산업의 기초 | 115 | 72 |
인간 발달 | 1,488 | 74 |
3.6. 제2외국어/한문 영역
과목 | 응시자 수 | 과목 | 응시자 수 |
독일어Ⅰ | 383 | 러시아어Ⅰ | 168 |
프랑스어Ⅰ | 605 | 아랍어Ⅰ | 193 |
스페인어Ⅰ | 757 | 베트남어Ⅰ | 47 |
중국어Ⅰ | 1,473 | 한문Ⅰ | 880 |
일본어Ⅰ | 1,540 |
4. 9월 모의평가 (2024.09.04)
- 필적 확인란 문구는 「싱그럽고 푸르른 젊음이어라」로, 배송제의 '저물지 않는 마음'에서 발췌했다.
- 응시자 수: 386,652명
- 재학생: 295,071명 (76.3%)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91,581명 (23.7%)
- 주요 소식 및 사건
4.1. 국어 영역
과목 | 응시자 수 | 표준점수 최고점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1등급 인원 | 1등급 비율(%) |
독서 + 문학 (공통) | 384,362 | 언어와 매체 129 | 126 | 15,584 | 4.05% |
화법과 작문 | 237,543 | ||||
언어와 매체 | 146,819 |
국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2,459 |
구분 |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 | 소계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37,120 | 49,813 | 186,933 | |
비율(%) | 57.7 | 33.9 | 48.6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68,184 | 80,704 | 148,888 | ||
비율(%) | 28.7 | 55.0 | 38.7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27,653 | 14,541 | 42,194 | ||
비율(%) | 11.6 | 9.9 | 11.0 | |||
직업탐구 | 인원(명) | 2,777 | 1,111 | 3,888 | ||
비율(%) | 1.2 | 0.8 | 1.0 | |||
|
4.2. 수학 영역
과목 | 응시자 수 | 표준점수 최고점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1등급 인원 | 1등급 비율(%) |
수학Ⅰ + 수학Ⅱ(공통) | 380,307 | 기하 136 | 130 | 26,890 | 7.07% |
확률과 통계 | 173,215 | ||||
미적분 | 196,198 | ||||
기하 | 10,894 |
수학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2,166 |
구분 | 확률과 통계 | 미적분 | 기하 | 소계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47,699 | 31,823 | 3,616 | 183,138 |
비율(%) | 85.3 | 16.2 | 33.2 | 48.1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0,962 | 132,530 | 5,470 | 148,962 | |
비율(%) | 6.3 | 67.5 | 50.2 | 39.2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11,040 | 29,674 | 1,460 | 42,174 | |
비율(%) | 6.4 | 15.1 | 13.4 | 11.1 | ||
직업탐구 | 인원(명) | 2,374 | 1,257 | 236 | 3,867 | |
비율(%) | 1.4 | 0.7 | 2.2 | 1.0 | ||
|
4.3. 영어 영역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1등급 인원 (비율) |
385,949 | 90 | 42,212 (10.94%) |
영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2,520 |
구분 | 영어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87,940 | |||
비율(%) | 48.7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49,197 | ||||
비율(%) | 38.7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42,325 | ||||
비율(%) | 11.0 | |||||
직업탐구 | 인원(명) | 3,967 | ||||
비율(%) | 1.0 | |||||
|
4.4. 한국사 영역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1등급 인원 (비율) |
386,652 | 40 | 49,833 (12.89%) |
4.5. 탐구 영역
탐구 영역별 선택 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 | ||||||
사회·과학탐구 전체 응시자 (직업탐구 응시자 제외) | 선택 과목 수 | 사회탐구 | 과학탐구 | 사회+과학탐구 | ||
인원(명) | 비율(%) | 인원(명) | 비율(%) | 인원(명) | ||
380,044 명 | 1개 | 1,576 | 0.8 | 668 | 0.4 | - |
2개 | 186,796 | 99.2 | 148,631 | 99.6 | 42,373 | |
직업 탐구 | 전체 응시자 | 응시 방법 | 응시자 수(명) | |||
3,992 명 | 성공적인 직업생활(공통과목) + 선택 1과목 | 3,834 | ||||
공통과목을 제외한 선택과목 중 1과목만 응시 (직업탐구 영역을 1과목만 응시하면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응시할 수 없음) | 158 |
사회탐구 영역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 만점자 수(비율) |
생활과 윤리 | 130,967 | 47 | 66(98) | 3,934(3.00%) |
윤리와 사상 | 32,830 | 45 | 72(100) | 204(0.62%) |
한국지리 | 29,801 | 50 | 66(97) | 1,567(5.26%) |
세계지리 | 26,298 | 47 | 71(99) | 384(1.46%) |
동아시아사 | 14,674 | 47 | 67(99) | 382(2.60%) |
세계사 | 12,726 | 47 | 70(99) | 384(1.71%) |
경제 | 5,395 | 47 | 69(99) | 125(2.32%) |
정치와 법 | 25,726 | 48 | 66(99) | 556(2.16%) |
사회·문화 | 139,124 | 46 | 68(99) | 1,695(1.22%) |
과학탐구 영역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 만점자 수(비율) |
물리학Ⅰ | 49,511 | 50 | 62(93) | 6,788(13.71%) |
화학Ⅰ | 37,032 | 50 | 67(98) | 1,657(4.47%) |
생명과학Ⅰ | 111,527 | 46 | 69(99) | 1,302(1.17%) |
지구과학Ⅰ | 120,580 | 46 | 69(100) | 1,196(0.99%) |
물리학Ⅱ | 4,976 | 50 | 68(96) | 407(8.18%) |
화학Ⅱ | 5,052 | 47 | 71(99) | 141(2.79%) |
생명과학Ⅱ | 6,877 | 45 | 73(99) | 80(1.16%) |
지구과학Ⅱ | 4,748 | 47 | 74(99) | 91(1.92%) |
직업탐구 영역 (2과목을 응시할 경우, 국어·수학 영역과 동일하게 표준점수가 산출된다)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표준점수 |
성공적인 직업 생활 (공통과목, 2과목을 응시할 경우에만 해당) | 3,834 | 83 |
농업 기초 기술 | 401 | 82 |
공업 일반 | 1,124 | 72 |
상업 경제 | 1,106 | 78 |
수산·해운 산업의 기초 | 71 | 85 |
인간 발달 | 1,252 | 74 |
4.6. 제2외국어/한문 영역
과목 | 응시자 수 | 과목 | 응시자 수 |
독일어Ⅰ | 428 | 러시아어Ⅰ | 160 |
프랑스어Ⅰ | 707 | 아랍어Ⅰ | 260 |
스페인어Ⅰ | 870 | 베트남어Ⅰ | 70 |
중국어Ⅰ | 1,512 | 한문Ⅰ | 1,463 |
일본어Ⅰ | 1,602 |
5. 대학수학능력시험 (2024.11.14)
- 필적 확인란 문구는 「저 넓은 세상에서 큰 꿈을 펼쳐라」로, 곽의영 시인의 '하나뿐인 예쁜 딸아'에서 발췌했다.
- 응시자 수: 463,486명 (접수자 수: 522,670명)
- 재학생: 302,589명 (65.3% / 접수자 수: 340,777명)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160,897명 (34.7% / 접수자 수: 181,893명)
- 주요 소식 및 사건
5.1. 국어 영역
과목 | 응시자 수 | 표준점수 최고점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1등급 인원 | 1등급 비율(%) |
독서 + 문학 (공통) | 461,252 | 언어와 매체 139 | 131 | 20,150 | 4.37% |
화법과 작문 | 290,372 | ||||
언어와 매체 | 170,880 |
국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11,823 |
구분 |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 | 소계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66,761 | 57,497 | 224,258 | |
비율(%) | 57.4 | 33.6 | 48.6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80,600 | 93,488 | 174,088 | ||
비율(%) | 27.8 | 54.7 | 37.7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31,461 | 16,069 | 47,530 | ||
비율(%) | 10.8 | 9.4 | 10.3 | |||
직업탐구 | 인원(명) | 2.730 | 823 | 3.553 | ||
비율(%) | 1.0 | 0.5 | 0.8 | |||
|
5.2. 수학 영역
과목 | 응시자 수 | 표준점수 최고점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1등급 인원 | 1등급 비율(%) |
수학Ⅰ + 수학Ⅱ(공통) | 443,233 | 미적분 140 | 131 | 18,199 | 4.11% |
확률과 통계 | 202,266 | ||||
미적분 | 227,232 | ||||
기하 | 13,735 |
수학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9,729 |
구분 | 확률과 통계 | 미적분 | 기하 | 소계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70,541 | 35,268 | 3,659 | 209,468 |
비율(%) | 84.3 | 15.5 | 26.7 | 47.3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0,944 | 155,142 | 7,860 | 173,946 | |
비율(%) | 5.4 | 68.3 | 57.2 | 39.2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12,489 | 32,648 | 1,749 | 46,886 | |
비율(%) | 6.2 | 14.4 | 12.7 | 10.6 | ||
직업탐구 | 인원(명) | 1,835 | 1,192 | 177 | 3,204 | |
비율(%) | 0.9 | 0.5 | 1.3 | 0.7 | ||
|
5.3. 영어 영역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1등급 인원 (비율) |
459,352 | 90 | 28,587 (6.22%) |
영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11,299 |
구분 | 영어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223,191 | |||
비율(%) | 48.6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74,051 | ||||
비율(%) | 37.9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47,357 | ||||
비율(%) | 10.3 | |||||
직업탐구 | 인원(명) | 3,454 | ||||
비율(%) | 0.7 | |||||
|
5.4. 한국사 영역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1등급 인원 (비율) |
463,486 | 40 | 90,950 (19.62%) |
5.5. 탐구 영역
탐구 영역별 선택 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 | ||||||
사회·과학탐구 전체 응시자 (직업탐구 응시자 제외) | 선택 과목 수 | 사회탐구 | 과학탐구 | 사회+과학탐구 | ||
인원(명) | 비율(%) | 인원(명) | 비율(%) | 인원(명) | ||
447,507명 | 1개 | 1,954 | 0.9 | 483 | 0.3 | - |
2개 | 223,181 | 99.1 | 174,166 | 99.7 | 47,723 | |
직업 탐구 | 전체 응시자 | 응시 방법 | 응시자 수(명) | |||
3,628명 | 성공적인 직업생활(공통과목) + 선택 1과목 | 3,512 | ||||
공통과목을 제외한 선택과목 중 1과목만 응시 (직업탐구 영역을 1과목만 응시하면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응시할 수 없음) | 116 |
사회탐구 영역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 만점자 수(비율) |
생활과 윤리 | 157,938 | 41 | 77(100) | 85(0.05%) |
윤리와 사상 | 39,787 | 42 | 73(100) | 87(0.22%) |
한국지리 | 34,933 | 47 | 69(100) | 343(0.98%) |
세계지리 | 30,002 | 47 | 68(100) | 215(0.72%) |
동아시아사 | 17,521 | 48 | 67(99) | 459(2.62%) |
세계사 | 15,457 | 47 | 68(99) | 349(2.26%) |
경제 | 6,030 | 46 | 72(99) | 82(1.36%) |
정치와 법 | 29,915 | 48 | 66(99) | 798(2.67%) |
사회·문화 | 164,456 | 45 | 69(100) | 1,033(0.63%) |
과학탐구 영역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 만점자 수(비율) |
물리학Ⅰ | 58,049 | 48 | 67(99) | 1,701(2.93%) |
화학Ⅰ | 44,074 | 50 | 65(97) | 2,599(5.90%) |
생명과학Ⅰ | 129,818 | 45 | 70(100) | 689(0.53%) |
지구과학Ⅰ | 142,672 | 44 | 72(100) | 483(0.34%) |
물리학Ⅱ | 5,148 | 48 | 70(98) | 196(3.81%) |
화학Ⅱ | 5,360 | 45 | 73(99) | 69(1.29%) |
생명과학Ⅱ | 6,909 | 44 | 72(100) | 52(0.75%) |
지구과학Ⅱ | 4,508 | 47 | 72(99) | 63(1.40%) |
직업탐구 영역 (2과목을 응시할 경우, 국어·수학 영역과 동일하게 표준점수가 산출된다)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표준점수 |
성공적인 직업 생활 (공통과목, 2과목을 응시할 경우에만 해당) | 3,512 | 68 |
농업 기초 기술 | 234 | 65 |
공업 일반 | 1,294 | 65 |
상업 경제 | 1,049 | 68 |
수산·해운 산업의 기초 | 17 | 66 |
인간 발달 | 1,034 | 66 |
5.6. 제2외국어/한문 영역
과목 | 응시자 수 | 과목 | 응시자 수 |
독일어Ⅰ | 1,801 | 러시아어Ⅰ | 563 |
프랑스어Ⅰ | 2,403 | 아랍어Ⅰ | 3,869 |
스페인어Ⅰ | 3,276 | 베트남어Ⅰ | 434 |
중국어Ⅰ | 6,967 | 한문Ⅰ | 11,750 |
일본어Ⅰ | 13,012 |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6월 모의평가 수학 영역 21번 문제 오류 논란
위: 2025학년도 6월 모의평가 21번 문항/아래: 2008년 4월 학력평가 수리 가형 20번 문항. 위의 문항은 평가원의 이의 제기 심사 결과 "이상 없음" 으로 이의제기가 기각되었으나, 아래의 문항은 당시 위의 문항에서 제기된 논란과 동일한 사유로 정답 변경처리되었다. |
해당 문항에서 주어진 집합 [math(\{x|f(x)=k\})]의 원소의 개수를 논할 때 [math(x)]가 실수라는 조건을 빼먹어 오류 논란이 제기되었다.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의 모든 교과서에서도 사차방정식의 허근을 다루기 때문에 허근을 집합의 원소의 개수에 포함시킨다면 [math(k)]의 최솟값 자체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평가원이 고등학교 1학년 수준의 기초적 실수를 저지른 셈으로, 여러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메가스터디의 현우진을 비롯한 일부 강사들은 [math(f(x))]가 사차함수이므로 다항함수의 정의역이 실수라는 전제 조건 하에[1] [math(x)]가 실수라는 조건을 다시 넣지 않은 것이라는 견해를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의견을 표한 이들 역시 '실수 조건을 붙여야 더 엄밀하다'에는 대부분 동의하였다. 이전 문서에는 [math(f(x)=k)]가 방정식이기 때문에 실수 조건을 붙이는 게 옳다고 서술되어 있었으나 정확하게 해석하면 [math(f(x))]라는 표기를 사용했다는 것에서 실수 조건 하에서의 방정식이라고 봐야 하므로, 실수 조건이 없어도 실수라고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또한 2008년 4월 학력평가 수리 가형은 평가원 주최 시험이 아니므로 비교 대상으로 삼기 어렵다.
한편, 시대인재 학원의 강기원 강사는 본인 모의고사였으면 오류를 인정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오류가 맞다고 한 셈이다.
2024년 6월 18일, 6월 모의평가 문제 및 정답 이의신청 관련 답변 자료를 통해 21번 문항에 문제가 없음으로 판정되며 해당 주장은 기각되었다.
6.2. 과학탐구 Ⅱ과목 표준점수 폭등 사태
이 사태는 2024학년도부터 서울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에서 마지막까지 유지하고 있던 Ⅱ과목 필수제도를 폐지하면서 상위권 학생이 전부 Ⅰ과목으로 빠져버리자 벌어진 일종의 제2의 아랍어 사태이다.
2024학년도보다는 상위권 유입이 많아져서 1컷~2컷은 I과목 수준으로 높게 나오게 되었으나 3컷부터 20점대로 떨어졌다.
6.3. 9월 모의평가 국어 영역 언어와 매체 37번 문제 오류
들녘을의 표준 발음을 [들녀클]로 제시했는데,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른 표준 발음은 [들려클]이다. 평가원은 오류는 맞으나 문제 푸는 데 지장은 없다는 식으로 답변했다.6.4. 언어와 매체 지문 URL 주소 구매 및 윤석열 퇴진 집회 문구 삽입 사건
국어 영역 언어와 매체 지문에 삽입된 URL 주소에 들어가보면 윤석열 퇴진 관련 사이트로 이동되어 논란이 일었다. # 보통 시험을 출제할 때는 사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URL 주소를 먼저 선점하고 사용하는데, 이를 누락해버린 것. 덕분에 한 유저가 시험 진행 당시에 해당 도메인을 구입하여[2] 윤석열 퇴진 집회 문구를 걸어두었고 이를 더불어민주당 마이너 갤러리와 자신의 X에 게시하였다. # (원글 삭제로 인한 캡쳐본 대신) 이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측은 수사 의뢰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시험 당일 국어 문제지 파일을 내린 뒤, 해당 링크를 수정하여 다시 업로드하였다.[3]
제작자는 "지난 모의고사 때처럼 QR코드를 접속하면 정보를 심었던 것처럼 뭔가 있을 줄 알고 접속했다"며 "해당 주소의 도메인을 사전에 점유하지 않은 게 문제"라고 말하였다. 이후 "수험생에게 수고했다는 내용을 전하고자 한 것"이고 논란이 된 후 사이트를 폐쇄했으며 이유를 막론하고 논란을 일으켜 반성한다면서 평가원이 요청한다면 해당 도메인을 양도하겠다고 밝혔다. #
현재 한창 수사가 진행중이다.
6.5. 정읍 고사장 4교시 안내 방송 사고
정읍의 한 고등학교 고사장에서 오후 3시 50분쯤 시험 시간 종료 5분 전을 알리는 안내 방송이 예정보다 10분 일찍 울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전북교육청에 따르면 방송실을 담당하는 교사의 실수로 예비 타종이 10분 빨리 울린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학교 측은 1분 뒤 타종 오류가 발생했다는 안내 방송을 했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시험 시간을 1분 추가했다.6.6. 숭실고등학교 고사장 4교시 2분 조기 타종 사고
숭실고등학교 고사장에서 4교시 탐구영역에서 종료 타종이 2분 일찍 울려 논란이 되었다. 해당 고사장은 수동으로 종료벨을 울렸는데, 타종 담당자가 실수로 일찍 울린 것으로 확인됐다.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학교 측은 타종 실수를 바로 인지하고 1분 뒤 안내방송을 한 후 학생들에게 시험 시간을 2분 더 줬다고 한다.
7. 여담
-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모의평가를 치는 날이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날과 모두 동일한 날짜이다. 2017 수능부터 현행 날짜로 바뀌면서 2014 수능보다는 1주일 늦다.
- 코로나19 이후로 다시 고사실당 인원수가 28명(7x4)으로 늘었다.
- 수능 성적 통지일 12월 6일 수능성적표가 배부되었고, 평상시였으면 매년 성적 통지일마다 만점자 수와 등급컷, 대학 합격컷 등 입시정보로 뉴스에 오르내려야 하지만, 12.3 계엄령 사태가 터지고 그 이후로도 여러 많은 사건들이 일어나 국가급 초대형 정치 이슈에 수능 소식은 묻히게 되었다.
- 2012 수능, 2023 수능과 같이 이상 고온이 심한 11월이라, 수능한파가 생길래야 생길 수 없는 해이고, 결국 심한 이상 고온이 찾아왔다.
- 최중철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장은 "수학 영역은 지나치게 복잡한 계산이나 반복 훈련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요소나 공식을 단순하게 적용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을 지양하고,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기본 개념에 대한 충실한 이해와 종합적인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문항을 출제했다"라고 밝힌 바 있다.#
8. 의견
9. 주요 영역 자료 및 통계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0.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2px" | 역량 | 언어(言語) | 수리(數理) | 추론·자료해석 | 자격·지식 | ||||
영역 | <nopad> 한국사 | <nopad> 제2외국어/한문 | |||||||
하위 문서 | 역사 · 등급 구분점수 · 문제점 및 해결 방안 · 출제 및 감독 · 논쟁 및 비판 · 기타 · 사건 사고 · 절대평가 전환 논란 · 학습 조언 · 시험장 | ||||||||
기타 | 시간표 · 9등급제 · 모의평가 · 수능 샤프 · 필적 확인란 문구 · 물수능 · 불수능 · EBS 수능(수능특강 · 수능완성)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 bgcolor=#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도입 이전 | 1994 | 1995 | 1996 | ||
▣ 1차 실험평가(1990년) ▣ 2, 3, 4차 실험평가(1991년) ▣ 5, 6, 7차 실험평가(1992년) | ▣ 2회 시행 8. 20.(금), 11. 16.(화) | ▣ 첫 수요일 수능 ▣ 인문·자연·예체능 구분 도입 | ▣ 본고사 시행 마지막 해 | |||
1997 | 1998 | 1999 | 2000 | |||
▣ 수리 영역 주관식 도입 ▣ 수능 만점 200점→400점 ▣ 오나타 사건 | ▣ (수시 모집 첫 시행) | ▣ 선택과목·표준점수 도입 ▣ 첫 수능 만점자 배출 | ▣ 응시 인원 최다 | |||
2001 | 2002 | 2003 | 2004 | |||
▣ 제2외국어 영역 신설 ▣ 전 과목 만점자 수 최다(66명) ▣ 듣기평가 방송 미디어 포맷이 EBS FM에서 카세트 테이프로 변경 | ▣ 성적표 등급 표기 첫 시행 ▣ ‘수리 · 탐구 영역 ( I )’은 ‘수리 영역’으로 명칭 변경, ‘수리 · 탐구 영역 (II)’는 ‘사회탐구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으로 분리 ▣ (정시 라군 폐지) ▣ (특차 전형 폐지) ▣ (수시 제도 30% 확대) | ▣ 9월 모의평가 도입(2002년 9월 3일) ▣ 소수점 배점 반올림 성적표 지급 소송 사태 발생 | ▣ 6월 모의평가 도입(2003년 6월 11일) ▣ 소수점 배점 전면 폐지, 정수 배점 전환 ▣ 첫 복수 정답 인정 | |||
2005 | 2006 | 2007 | 2008 | |||
▣ 첫 예비평가 실시(2003년 12월 4일) ▣ 수리 가형 선택 과목 도입 ▣ 탐구 선택 과목 도입 ▣ 직업 탐구 도입 ▣ 제2외국어/한문 영역 명칭 변경 ▣ 스페인어Ⅰ 명칭 변경 ▣ 아랍어Ⅰ · 한문 도입 ▣ 인문 · 자연 · 예체능 구분 폐지 ▣ 대규모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 발생 | ▣ 부산 APEC 정상회의로 인해 수능 1주일 연기 ▣ 시험 시 전자기기 압수 의무화, 수능 샤프 일괄 제공, 필적확인란 문구 도입 | ▣ 시험일 수요일 → 목요일 변경 | ▣ '수능 등급제' 시행 및 논란 ▣ 2008학년도 수능 물리Ⅱ 복수정답 사태 논란 ▣ (내신등급제 도입) | |||
2009 | 2010 | 2011 | 2012 | |||
▣ 수능 등급제 폐지 ▣ 표준점수 • 백분위 제도 환원 | ▣ 눈으로 미리 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제지에 겉표지 도입 ▣ (수시 1학기 모집 폐지) | ▣ G20 정상회담으로 인해 수능 1주일 연기 ▣ EBS 70% 연계 시행 (~2021) ▣ 듣기평가 방송 미디어 포맷이 카세트테이프에서 CD로 변경 ▣ 필적확인란 문구 사전 유출 사고 ▣ 중국산 수능 샤프 입찰 비리 논란 ▣ (수시 공통 지원서 도입) | ▣ '만점자 1%' 조정 정책 공표 ▣ 채점 시 이미지 스캐너 도입 ▣ 수리 영역 문제지 8면에서 12면으로 변경 ▣ 탐구 선택과목 수 4 → 3과목으로 축소, 과학탐구Ⅱ 과목에 대한 최대 선택 수 제한 폐지 | |||
2013 | 2014 | 2015 | 2016 | |||
▣ '만점자 1%' 조정 정책 2년 실시 후 폐지 ▣ (수시 모집 지원 6회 제한) | ▣ 두 번째 예비평가 실시 ▣ 언수외 → 국수영 명칭 변경 ▣ 국어 · 수학 · 영어 A / B 형 체제 도입 및 언어 영역 듣기평가 폐지 ▣ 탐구 선택과목 수 3 → 2과목으로 축소 ▣ 기초 베트남어 도입 ▣ 한문 [math(\rightarrow)] 한문 I 으로 명칭 변경 ▣ 수능 출제오류 관련 소송사태 최초 발생 | ▣ 영어 A / B 형 체제 1년 실시 후 폐지 | ||||
2017 | 2018 | 2019 | 2020 | |||
▣ 시험일 11월 셋째 주 목요일로 변경 ▣ 스마트 워치 등 전자시계 반입 및 착용 금지 ▣ 수능 모의평가 실물 정답지 미배부 ▣ 국어 A / B형 체제 폐지 ▣ 수학 A / B형 체제 폐지 및 가 · 나형 체제 환원 ▣ 수학 영역 세트 문항 폐지 ▣ 한국사 영역 필수응시 및 절대평가 전환 ▣ 기초 베트남어 [math(\rightarrow)] 베트남어Ⅰ으로 명칭 변경 | ▣ 포항지진 여파로 수능 1주일 연기 ▣ 영어 영역 절대평가 전환 | ▣ 국어 영역 정오표 지급 ▣ 국어 영역 난이도 조절 실패 사과 | ▣ 재수생 수능 성적표 사전 유출 파동 | |||
2021 | 2022 | 2023 | 2024 | |||
▣ 코로나19 펜데믹 영향으로 수능시험을 12월로 연기 ▣ 자연계 기하·벡터 제외 ▣ 수능 개편 1년 유예 ▣ 한국사 영역 2009개정교육과정 유지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한국사 영역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 ▣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 | |||
2025 | 2026 | 2027 | 2028 | |||
(시행 미정) | ▣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 국어•수학•탐구 영역 선택과목 폐지 ▣ 탐구 영역 통합사회, 통합과학 공통 응시 체제로 전환 ▣ 심화수학[미적분2(미적분), 기하] 수능 출제 배제 ▣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은 단일 시험지로 모든 수험생들이 응시 ▣ 소수점 배점 탐구 영역 한정 부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