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02:23:13

J-50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의 제트전투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92>
1940년대
<colbgcolor=#EEE,#3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colbgcolor=#fefefe,#191919>Ku-4 | J9Y 킷카 | Ki-201 카류 | R2Y2 케이운 改 | J7W2/3 신덴 改
1950년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2 파곳 | J-5 프레스코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HF-24 마루트
1960년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6 파머 | J-7 피쉬캔
1970년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미쓰비시 F-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12 | Q-5 판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내셔 | 크피르
1980년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8 핀백 | J-9 | J-7(E/G) 피쉬캔-D | J-13 | Q-6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라비
1990년대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F-CK-1 징궈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H-7 플라운더 | J-11 플랭커-L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아자라크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나메르
2000년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F-2 "바이퍼 제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10 파이어버드 | JL-9 샨잉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사에케 | M-ATF | 샤파크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중국-파키스탄
JF-17 썬더 / FC-1 샤오룽
2010년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FA-50 파이팅 이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15 플랭커-X2 | J-16 플랭커-G | J-20 페이긴 | FC-31 궈잉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LCA 테자스 Mk.1(A)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카헤르 313 | 코우사르
2020년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KF-21 보라매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35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MWF 테자스 Mk.2 | TEDBF | FGFA
2030년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F-3
GCAP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J-36 | J-50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ADF 프로젝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AMCA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현대 중국 인민해방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0000> 중국인민해방군 (1948~현재)
中国人民解放军 / 中國人民解放軍
회전익기 <colbgcolor=#ff0000> 다목적 헬기 Z-5R, AS350, Mi-8, Mi-8T, Mi-17V7, Mi-171(V, V5), Mi-172, Mi-6, S-70C2, Z-9, Z-15, Z-20, SA-316이상 육
수송헬기 Mi-26, Z-8, Z-18
공격헬기 WZ-10, Z-19, Z-11, {Z-21}
대잠헬기 Ka-27, Z-8, Z-9, Z-20이상 해
전투기 1세대 MiG-9(I-307, J-1)R, J-2R, J-4R, J-5R
2세대 J-6R, J-7해, 공
3세대 J-7(E/G), J-8(A/B)해, 공, J-9
4세대 / 4.5세대 J-10(A/B/C)해, 공, J-11(A/B/BS)해, 공, J-15, J-16, Su-27(UBK/SK)해, 공, Su-30(MkK/Mk2)해,공, Su-35, F-16/79
5세대 J-20, {J-35}
6세대 {J-36}, {J-50}
공격기 Il-10R, Q-5(B, L)
전폭기 JH-7(A/B), Q-6
전략폭격기 Tu-4R, H-5R, H-6, H-6K, {H-20}
수송기 Y-5, CRJ200, CRJ700, Il-76, Y-7, Y-8, Y-9, Y-11, Y-12, Y-20
지원기 공중조기경보통제기 KJ-1R, KJ-2000, KJ-500, KJ-200, {KJ-600}, {KJ-3000}
전자전기 Y-9(G/X), J-16D
대잠초계기 Y-8FQ, Y-9Q
정찰기 Tu-154MD, JZ-6R, JZ-8
공중급유기 Il-78, H-6U, YU-20
무인기 UAV 샹룽, WZ-7, WZ-8, WZ-10
UCAV GJ-1, GJ-2, {GJ-11}, TB-001
훈련기 JL-8, JL-9, L-15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1. 개요2. 특징

1. 개요

파일:j-50.jpg

중국에서 개발중인 6세대 전투기이며 2024년 12월 선양 상공에서 시험비행중인 것이 포착되었다. 같은날 청두에서는 또다른 6세대기인 J-36의 시험비행이 있었는데, 6세대기의 시험비행으로는 세계 최초이다. 중국의 밀덕들은 "삼지창"(三叉戟)이라는 별명으로 부르고 있다.

프로토타입을 2종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데, 위의 사진중 왼쪽 버전은 2025년 1월 4일 포착된 것이고 오른쪽 버전은 2024년 12월 26일 촬영된 것이다.

2. 특징

중국J-20의 개발이 끝난 이후부터 6세대기를 개발한다고 공언했으며, 2010년대 후반 이미 중국의 주요 군용기 제작사인 청두항공기제작공사와 선양항공기제작공사가 각각 개발을 시작했다고 보도되었다.

두 회사는 1960년대부터 라이벌 관계에 있었으며, 2000년대 중국 공군은 청두항공사에 5세대기인 J-20의 개발을 의뢰했는데, 라이벌 제작사인 선양항공사는 이에 발끈하여 공군 예산이 아닌 자체 예산[1]으로 스텔스기를 꾸역꾸역 만들어서 J-35를 개발했고, 결과적으로 함재기를 찾던 해군 항공대는 이를 채택한다고 보도되었다.

6세대기도 비슷하게 양사가 서로 제작을 서두른 듯 하며, J-36이 청두에서 날았다는 보도가 나오자마자 이 기체도 선양 상공에서 목격되었다. 중국과 해외 밀덕들은 이를 J-50이라는 가칭으로 부르고 있다.

이 기체는 돌고래형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J-36이 엔진 3개를 탑재한 것과 달리 엔진 2개 탑재로 보인다.

[1] 이 회사는 러시아로부터 받은 라이센스로 Su-27 계열 전투기를 600여대 이상 뽑아내 중국공군과 해군항공대에 납품했기에 돈이 부족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 회사가 스텔스기 개발 자금마련을 위해 아파트 분양에 뛰어들었다는 밀덕계의 설이 있는데, 시진핑 집권 이래 군수기업이나 군대의 부업행위는 군개혁 조치의 일환으로 금지되었기에 이 기체의 개발이 본격화된 2010년대 이후에는 그랬을 가능성은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