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21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F-21 보라매에 대한 내용은 KF-21 보라매 문서 참고하십시오.현대 이스라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001E50> 이스라엘 공군 (1948~현재) זְרוֹעַ הָאֲוִיר וְהֶחָלָל | ||||
회전익기 | <colbgcolor=#001E50> 경헬기 | <colbgcolor=#fefefe,#191919>SA 313B 알루에트 IIR, MD500 TOWR | |||
다목적 헬기 | UH-1DR, AS565 | ||||
수송헬기 | CH-53(D/{K}), UH-60A | ||||
공격헬기 | AH-1(G/Q/F), AH-64(A/D) | ||||
전투기 | 프롭 | F-51(D, J26)R, 스핏파이어 Mk IXcR, S-199R, 브리스톨 보파이터R | |||
1세대 | 미티어(NF.13, F.8)R, M.D.450B 우라강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AR, F-84FL/R | ||||
2세대 | SMB2R | ||||
3세대 | F-4ER/ | ||||
4세대 / 4.5세대 | |||||
5세대 | F-35I | ||||
공격기 | A-4(E/F/M/N)R | ||||
폭격기 | B-17GR, S.O.4050 보투르(IIA, IIB, IIN)R | ||||
수송기 | 아라바R, C-130J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G550 CAEW | |||
정찰기 | DH.98(FB.IV/NF.30/T.3/PR.16/TR.33)R, RF-4E | ||||
공중급유기 | KC-707, KC-130H, {KC-46} | ||||
무인기 | UAV | 헤론, 헤르메스 450, 헤르메스 900, 헤르메스 1500 | |||
UCAV | 하피, 에이탄 | ||||
훈련기 | 프롭 | T-6R, G 120A, T-6A | |||
제트 | M-346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스라엘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כְּפִיר |
1. 개요
이스라엘이 1970년대에 개발한 전투기. 이름인 '크피르(כְּפִיר, Kfir)'는 히브리어로 '새끼 사자'라는 뜻이다. 미라주 V의 이스라엘 마개조판 전투기라고 볼 수 있으며 생소하지만 '미라주의 아들'이라고도 불리운다. 간단히 말하면 미라주 V에 F-4 팬텀 II의 제너럴 일렉트릭 J79 엔진을 장착한 전투기라고 해도 무방하다.2. 제원
כפיר 1 IAI Kfir | ||
<colbgcolor=#c1c1c1><colcolor=black> 승무원 | 1명 | |
길이 | 15.65 m | |
너비 | 8.22 m | |
높이 | 4.55 m | |
날개면적 | 34.8 m² | |
공허중량 | 7,285 kg | |
탑재중량 | 11,603 kg | |
최대이륙중량 | 16,200 kg | |
엔진 | IAl Bedek-built General Electric J-79-J1E turbojet ×1 | |
최고 속도 | 2,440 km/h | |
상승한도 | 17,680 m | |
상승률 | 233 m/s | |
하드포인트 | 9 | |
무장 | <colbgcolor=#cfcfcf><colcolor=black> 고정 | 30 mm DEFA 553 ×2, 140 발 |
로켓 | SNEB 68 mm ×19 | |
미사일 | AIM-9 Sidewinder ×2 Shafrir ×2 Python ×2 Shrike ×2 AGM-65 Maverick ×2 | |
폭탄 | Mark 80 Paveway Griffin LGB SMKB TAL-1 · TAL-2 CBU BLU-107 |
3. 개발사
크피르의 뿌리는 제3차 중동전쟁 이후 미라주 III의 성능에 대단히 만족한 이스라엘이 프랑스에 미라주 V 75대를 주문했으나, 아랍 연맹 국가들의 정치적인 압력에 굴복한 프랑스가 對이스라엘 무기금수조치를 내리며 수출을 취소하면서 등장한 IAI 네셔(Nesher)다.[1]물론 아랍 연맹이 석유를 무기로 압력을 가한다면야 프랑스로서도 어쩔 도리가 없었겠으나 문제는 이스라엘이 프랑스에 이미 미라지5 75대의 대금을 선금으로 지불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는 입씻고 말았다는 것이었다. 한마디로 먹튀 짓을 한 것이다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 밝혀진 바로는 미라지의 제작사인 다쏘 항공 (Dassult Aviation)에서 이스라엘 쪽에 관련 정보와 설계도를 넘겨주고, 생산 설비 및 기술 지원까지 몰래 해주었다고 밝혀졌다. 일종의 비공식 면허생산을 시켜준 셈이다.[2]
거기다 이 과정에서 프랑스 국내에 있던 미라주 V 시제기 2대가 감쪽같이 사라지는데, 이는 공식적으로는 도난으로 발표되었으나 수사는 흐지부지되었다. 완성된 전투기 2대, 생산시설, 부품, 기술인력들이 왔다갔다하는데 프랑스 정부가 아무것도 몰랐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말이 안된다. 프랑스 정부는 처음부터 이스라엘과 체결한 계약을 어길 생각이 없었다는 추론이 힘을 받는 이유다.[3]
이런 일도 있었다. 이스라엘이 정보기관 모사드를 동원해서 미라주 III를 면허생산중인 스위스의 한 기술자를 돈으로 포섭, 총 20만장의 도면이 5개의 가방에 담긴채로 건네졌다. 그러나 이웃 주민의 신고로 모사드와의 연결고리가 들통난 슈미츠는 마지막 5개째의 가방을 넘기기 직전에 경찰에 붙잡혔고, 마지막 5개째의 가방을 압수당하고 산업 스파이 혐의로 감옥에 갔다. 그러나 기술자가 넘긴 설계도 덕분에 이스라엘은 스네크마 아타 9C 엔진의 재현에 성공했고, 그 노고에 보답하기 위해 이스라엘 국방부는 후일 크피르의 초도비행에 그 기술자를 초청하여 국방장관의 옆자리에 특별히 배석시켰다고 한다.
어떤 자료에서는 이 기술자가 먼저 이스라엘 대사관의 무관에게 제의했다고 한다. 당시 이스라엘에 동정적이던 그 기술자는 금수조치로 이스라엘이 신규 전투기 구입은 물론 기존 전투기의 부품입수까지 애를 먹는 상황이 되자 안면이 있던 이스라엘 무관에게 "중고라도 이미 있는 부품을 구입하기는 힘드니 아예 당신네들이 직접 만드는게 낫다."며 필요한 공작기계 목록과 스위스가 면허생산으로 가지고 있던 설계도를 빼돌려 넘겨주었으며, 이 과정에서 기술자가 돈을 요구하기는 했지만 이것은 만약 자신이 체포될 경우에 대비해 남은 가족들을 위해서라고 밝혔다고 한다. 빼돌린 것도 회사 창고에 보관하고있던 종이 설계도들(부피와 무게가 상당했다.)을 처분하면 창고를 다른 용도로 쓸 수 있어 회사에 이득이라며 사장을 꼬드겨 설계도를 마이크로 필름으로 촬영해 보관하고 종이 설계도는 폐기(소각장에서 소각함)하도록 한후 자신이 직접 나서 폐기될 종이 설계도들을 파지들로 바꿔쳤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빼돌린 종이 설계도 상자들을 잠시 보관하던 곳의 이웃 주민이 이를 수상(평소 인적이 거의 없던 창고에 갑자기 사람이 분주하게 드나들면서 뭔가 상자들을 나르니 수상하게 여겼다.)하게 여겨 경찰에 신고, 가볍게 조사하러 나온 경찰을 보고 제발 저린 운반책이 도망(조사나온 경찰관이 창고주인인 운반책과 안면이 있었기에 가볍게 인사하면서 다가오는데 운반책이 당황하면서 도망치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한 경찰관이 꼼꼼하게 조사하면서 스위스 국가기밀 스탬프가 찍힌 것을 확인)치면서 일이 커져 결국 들통났다고 한다.
그런데 이 일화도, 애초에 이스라엘이 입수하는데 성공한 도면이 70% 정도에 불과했다는 점과 엔진이라는 것이 불완전한 설계도로 어떻게 해볼 수 있는 물건이 아니라는 점에서[4] 여기에도 프랑스 정부가 개입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Atar09C 엔진의 개발사인 스네크마(Snecma)는 프랑스 국영기업이다.
심지어 2001년에 밝혀진 자료에 따르면, 내셔의 1차 생산분은 아예 이스라엘이 발주했던 미라주 V들을 프랑스가 겉으로는 이스라엘에 인도하지 않겠다고 해놓고는 비밀리에 분해해서 이스라엘로 보내고 프랑스에서 교육받은 미국 로크웰사 엔지니어들이 재조립해서 만든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기체와 엔진을 확보한 이스라엘이 생산에 돌입하여 얻어낸 결과물이 내셔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미라주 V의 불법 복제판이라고 할만한 대거(Dagger)가 개발되어, 이스라엘과 아르헨티나에 제공되었다.[5] 이스라엘은 여기에 더해서 대거에 F-4E 팬텀 II의 J79 엔진을 장착한 전투기를 개발한다. 이것이 바로 크피르다.
그러나 J79 엔진의 탑재로 인해 중량이 증가하고 무게중심이 이동한 크피르는 여러가지 사고를 내면서 신뢰성을 극도로 잃었으며, 심지어 중동전쟁의 에이스가 조종하는 크피르가 기체 밸런스의 문제로 추락하는 문제까지 발생했다. 결국 이스라엘 공군에서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저 먹튀를 모조리 IAI[6]에 돌려줘라", "우리가 타는 것은 전투기가 아니다. 벽돌이다" 같은 불만이 터져나왔다.
결국 IAI에서는 다쏘에 기술자문을 구하는데[7], IAI에서 "인테이크 옆면에 카나드를 붙이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하자 다쏘측은 "별로 좋은 생각이 아닌 것 같다"며 반대했다.[8] 그러나 IAI에서는 크피르의 인테이크 옆쪽에 고정형 카나드를 붙이기로 했고, 그 결과 크피르의 비행성능은 현격히 상승했다. 자그마한 2장의 삼각날개가 크피르를 먹튀에서 나는 사자로 뒤바꿔놓은 것이다. 그 덕분에 크피르는 다시 이스라엘 공군의 주목을 받게 되었고 주력의 위치를 차지했으나, F-15의 등장으로 인해 멀티롤 전투기로 물러난데 이어 결국 실전배치된지 10년이 조금 지나서 퇴역했다.
4. 해외 판매
해외에서의 수출실적은 많지 않다. 미국제 J79 엔진을 장착한 것이 문제로 미국이 자국산 엔진을 장착한 크피르의 수출을 허가하지 않음에 따라[9][10] 수출실적은 에콰도르(12대), 콜롬비아(23대), 스리랑카(14대)와 남아프리카 연방이 밀수해간 숫자 미상의 몇대 뿐이다.필리핀이나 불가리아[11]처럼 중고나 업그레이드 개수형이라도 사고 싶어하는 나라들도 있었지만 성사되지는 못했다.[12] 대만에도 40대 판매를 시도했지만 프랑스제 미라주 2000과 미국제 F-16에 밀려 실패했다.
아르헨티나 공군[13]에서 크피르 전투기 18기를 도입을 원했고, 이스라엘과 협상하여 2014년 1월에 계약을 눈 앞에 두었지만 이때는 영국의 방해로 성사되지 못하였다.[14]
특이한 사례로 미 해군이 중고기를 임대해 F-21 라이온이라는 이름으로 가상적기로 운용한 적이 있다. MiG-23의 대역을 맡길 생각으로 들여왔지만 외국제 기종을 운용하는데 따른 군수지원상의 문제 때문에 오래 쓰지 못하고 F-5E로 대체되었다. 이후 6대는 미국의 민간군사기업 ATAC가 가상적기 서비스 사업을 위해 인수했다.#
다만 기존의 미라지 계열을 크피르의 설계로 개량하는 사업은 꽤 성공적이었으며, 아르헨티나의 대거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치타(Cheetah)[15] 등이 대표적인 개수기에 해당한다.
이라크는 이스라엘과 사이가 안좋은 국가들에게 팔 목적으로 크피르의 외형을 본뜬 프로펠러 추진형 무인표적기를 만들기도 했다.
스리랑카 공군의 크피르 전투기 2대가 현지시간 2011년 3월 1일에 스리랑카 공군 창설 60주년 기념식을 위한 연습을 하던 도중 공중에서 서로 충돌하여 조종사 1명은 탈출하고 1명은 사망하였다.
5. Kfir 계열기
- Kfir C1
초기생산형. 위에서도 설명했다시피 "F-4 팬텀 엔진을 단 미라지5"라고 생각하면 된다. 처음에는 J79 엔진의 성능이 크피르의 능력을 끌어낼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스네크마 아타르 엔진보다 훨씬 무거운 J79 엔진의 무게를 과소평가한 대가는 좋지 못했다. C2형의 등장 이후 C1에는 인테이크에 작은 판을 붙이는 개수가 이루어졌다.
- Kfir C2
인테이크에 카나드를 붙이고 F-4E의 주익에 채용된 주익에 연장 슬랫(slat)을 사용한 개량형. C2형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짝퉁, 그 이상의 짝퉁'인 크피르가 탄생한다.
- Kfir C7
최종생산형으로 전폭기형.
- Kfir C10
해외 수출을 염두에 둔 개량형으로 엘타 EL/M-2032 레이더의 도입과 조종사의 시각적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콜롬비아 공군이 이 기종을 가지고 미국에서 개최된 2018년 레드 플래그에 출전해 F-16과 F/A-18을 상대하여 상당한 실력을 뽐냈다.
- Kfir Block 60
최신 공대공 미사일과 유도폭탄을 탑재할 수 있으며, NATO 표준 전자장비를 사용하며, 전자장비는 F-16 Block 52 정도의 성능이다. EL/M-2032 레이더 기반 AESA 레이더(EL/M-2052), ELTA의 디지털 RWR, Link 16, 신형 미션 컴퓨터 등을 장착했다. 아르헨티나 공군과 불가리아 공군에 제안된 적이 있다.
- Kfir NG(Next - Generation)
2020년 기준 최신 개량형이며 기존의 J79 엔진을 F414로 교체했다. Block 60에서 개선된 AESA 레이더, 향상된 데이터 링크, 업그레이드 된 항전장비를 장착하였고, 연료 탑재량을 늘리기 위해 동체 후미를 재설계했다.
6. 한국 공군의 도입 시도
박정희 대통령 말기, 미국과의 관계 악화로 미국제 전투기 도입이 어려워지자 한국은 미라주 F1과 크피르를 도입하려고 했다. 그러나 박정희 대통령이 사망하면서 사업은 중단되었고, 이후 전두환 정권이 들어서면서 미국과 관계 개선을 하게 되자 도입 사업은 종료되었다.7. 매체에서의 등장
- 워 썬더 에 이스라엘 7랭크에 Kfir C.2 와 Kfir C.7이 나온다
- 1992년에 개봉된 영화 샷건(원제: Into the Sun)에서 적기로 등장하는 미라지 전투기의 대역을 맡았다.
- 애니메이션 에어리어 88에서는 에어리어 88의 사령관 사키 바슈탈을 비롯하여 에어리어 88과 아슬란 공군에서 주력기종으로서 많이 운용한다.[16] 아슬란 왕국이 친서방 왕가에다가 이스라엘과 우호국이기 때문에 많은 숫자의 크피르 전투기를 이스라엘로부터 공여받았다.
8. 외부 링크
9. 둘러보기
현대 콜롬비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콜롬비아군| 콜롬비아군 (1945~현재) ]]''' Fuerzas Militares de Colombia | ||
<colbgcolor=#FCD116>회전익기 | <colbgcolor=#FCD116> '''[[무장헬기| 경헬기 ]]''' | AS555 SN 페넥■ | Bo 105CB■ | OH-6A · 휴즈 500ER | OH-13(H/S) 수우R | |
''' 다목적 헬기 ''' | Mi-17(-1V/MD)■ | S-70i 블랙 호크■ | UH-60(A/L) "알콘"■■ | UH-1(B/D/H) 휴이■■ | UH-1N 트윈 휴이■■ | 벨 212 "라파즈"■■ | 벨 412(HP■/EPI■) | AS365 N3 도팽■ | 벨 204 · 205 | HH-34 허스키 | ||
공격헬기 | AH-60L 아르피아 III | ||
'''[[전투기| 전투기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F 세이버 | CL-13B Mk.6 세이버 | P-80 슈팅스타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크피르 (C.2/C.7/C.12) | ||
4(.5)세대 | 크피르 C.10 | ||
공격기 | A-37B 드래곤플라이 | A-29(A/B) 슈퍼 투카노 | 미라주 5(COA → COAM) | OV-10A 브롱코 | A-26C 인베이더 | ||
건쉽 | AC-47T "판타스마"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OT-47B 사이테이션 트래커 | 세스나 208■■■ | 미라주 5COR | OA-37B | |
전자 | ECN-235 ELINT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C-295M | CN-235M-100 | C-212(-100■■/-300M) | EMB 110P1A 반데이란치 | C-26A 메트로 III | An-32A■ | IAI 아라바 | C-47(A/D) 스카이트레인 | DC-3S | |
전술 | C-130(B/H) 허큘리스 | B737-400F | B727-2X3 | DC-7C | DC-6B | C-54(B/G) 스카이마스터 | ||
수상기 | PBY-6A 카탈리나 | ||
다목적기 | PA-44 세미놀 | PA-42 샤이엔 | PA-34 세네카 | PA-31 나바호 | 에어로 685 커맨더■ | 비치 B(90/200/350C) 킹에어■ | PA-28 체로키 크루저■ | 세스나 404 | 가빌란 G358 | DHC-2 비버 | ||
''' 지원기 ''' | 전자전기 | B737-732 EW | 비치 B(200/350i) EW 슈퍼 킹에어■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CN-235M-300 MPA■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KC-767 MMTT | KC-707-373C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초소형 RQ-11 레이븐■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헤르메스 450클래스 3 - MALE급 헤르메스 900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T-6C 텍산 II | AT-27M 투카노 | T-90(C/D) 칼리마 | T-41D 메스칼레로 | T-34A 멘토 | AT-6D 텍산 | AT-11 캔전 | |
제트 | 크피르 (TC.2 → TC.7/TC.12) | 미라주 5CODM | T-37(B/C) 트윗 | T-33A 슈팅스타 | ||
헬기 | TH-67 크릭 · 벨 206B-3 제트레인저 III | 엔스톰 280F | OH-23B 레이븐 | ||
VIP 탑승기 | B737-74V BBJ | 포커 F28-(3000/1000C) 펠로우십 | ERJ-135BJ 레거시 600 | AW139 | 세스나 550 사이테이션 2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콜롬비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에콰도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에콰도르군| 에콰도르군 (1945~현재) ]]''' Fuerzas Armadas del Ecuador | ||
<colbgcolor=#FCD116>회전익기 | <colbgcolor=#FCD116> '''[[무장헬기| 경헬기 ]]''' | AS555 페넥 II■ · AS550 C3 페넥■ | AS350 (B/B2/B3) 에큐워이■ | SA.342L1 가젤■ | SA.315B 라마■ | 벨 407■ | 벨 206B 제트레인저 II■ | H145M | AW119Ke | 벨 206B-3 제트레인저 III | SA.316B 알루에트 III | OH-13 수우 | |
''' 다목적 헬기 ''' | Mi-171E · Mi-17-1V■ | AS532 (AL/UL) 쿠거■ | AS332 B 슈퍼 퓨마■ | SA.330(C/H) 퓨마■ | 벨 412■ | 벨 214B■ | 벨 212■ | 벨 430■ | 벨 230T■ | HAL 드루브 | UH-1B 이로쿼이 | UH-19B 치카소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P-47 썬더볼트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P-80C 슈팅스타 | 미티어 (FR.9/FR.5)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판테라(C/D) | 미라주 F1(JA/JE) | 크피르 (C/C2/CE) | ||
공격기 | A-29B 슈퍼 투카노 | 재규어 (ES/EB) | 미라주 50(DV/EV)D | 스트라이크마스터 Mk.89(A) | A-37B 드래곤플라이 | ||
폭격기 | 캔버라 B.6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세스나 550 사이테이션 II■ · 206■■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C-295M | DHC-6 트윈 오터 | C-212(-300■/-400■) | PZL M28■ | IAI 아라바■ | HS.748 | DHC-5D 버팔로 | C-53D 스카이트루퍼 | C-47(A/B) 스카이트레인 | C-45G 익스퍼다이터 | |
전술 | L-100-30 · C-130(A/B/H) 허큘리스 | ||
수상기 | PBY-5A 카탈리나 | ||
다목적기 | PC-6B2-H2 터보 포터■ | 비치 B200 킹 에어■■ | 세스나 337 · 150 | ||
''' 지원기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CN-235M-100 MP■ | CATPASS 250MP■ | |
''' 연락기 ''' | PA-34-220T 세네카 | ||
''' 의무후송기 ''' | 비치 B350i 슈퍼 킹에어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극소형 DJI 매빅■ · 팬텀■ · 인스파이어■클래스 1 - 초소형 엘빗 마그니■ | 스카이레인저 R70■ | ALTI 트랜지션■ | DJI 매트리스 100■클래스 1 - 소형 UAV-2 하빌란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서쳐 3■클래스 3 - MALE급 헤론■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T-35B 필란■■ | G 120TP | DA20C-1 이클립스 | T-6C 텍산 II | T-41(A/D) 메스칼레로 | T-34C-1 터보 멘토■■ | 난창 PT-6A■/D | T-28(A/D) 트로젼 | T-6(D/G) 텍산 | |
제트 | 크피르 TC.2 | T-37(B/C) 트윗 | AT-33A · T-33A 슈팅스타 | ||
헬기 | TH-57A 시 레인저■■ | ||
VIP 탑승기 | B737-236/Adv | 엠브라에르 레거시 600 | 다쏘 팰컨 7X | 걸프스트림 G-II SP | 세이버라이너 60 · 40AR | B727(-230/-134) | HS.748 | DC-6B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D: 공여받은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에콰도르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스리랑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ffbe29> 회전익기 | <colbgcolor=#ffbe29> 다목적 헬기 | Mi-17, 벨 206, 벨 212, 벨 412EP | |
공격 헬기 | Mi-24/35 | |||
전투기 | 2세대 | F-7BS/GS | ||
3세대 | 크피르 C10 | |||
대잠초계기 | Y-12, An-32, C-130K | |||
훈련기 | CJ-6, FT-7, K-8, 세스나 150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리랑카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아시아의 제트전투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92> 1940년대 | <colbgcolor=#EEE,#333> 일본 제국 | <colbgcolor=#fefefe,#191919> |
1950년대 | 중국 | J-2 파곳 | J-5 프레스코 | |
인도 | HF-24 마루트 | ||
1960년대 | 중국 | J-6 파머 | J-7 피쉬캔 | |
1970년대 | 일본 | 미쓰비시 F-1 | |
중국 | |||
이스라엘 | 내셔 | 크피르 | ||
1980년대 | 중국 | J-8 핀백 | | |
이스라엘 | |||
1990년대 | 대만 | F-CK-1 징궈 | |
중국 | JH-7 플라운더 | J-11 플랭커-L | ||
이란 | 아자라크쉬 | ||
이스라엘 | |||
2000년대 | 일본 | F-2 "바이퍼 제로" | |
중국 | J-10 파이어버드 | JL-9 샨잉 | ||
이란 | 사에케 | | ||
중국-파키스탄 | JF-17 썬더 / FC-1 샤오룽 | ||
2010년대 | 대한민국 | FA-50 파이팅이글 | |
중국 | J-15 플랭커-X2 | J-16 플랭커-G | J-20 페이긴 | FC-31 궈잉 | ||
인도 | LCA 테자스 Mk.1(A) | ||
이란 | |||
2020년대 | 대한민국 | KF-21 보라매 | |
중국 | J-35 | ||
인도 | MWF 테자스 Mk.2 | TEDBF | | ||
2030년대 | 일본 | F-3 | |
GCAP | |||
대만 | |||
인도 | AMCA | ||
※ |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내셔(נשר, Nesher)'는 히브리어로 '새끼 독수리'를 뜻한다.[2] 게다가 공식적으로는 도와준 것이 없으니 독자개발인 셈이 되어서 지적재산권까지 양도해준 셈이다. 이 사실이 알려지기 전까진 이스라엘이 모사드를 시켜 설계도를 빼냈다는 헛소문도 돌았을 정도였다.[3] 무기 시장의 큰 손인 미국과 소련(러시아)제 무기의 경우 정치적인 사정때문에 구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 때문에 멀쩡히 사용하던 병기의 부품수급이 어려워지기도 하기 때문에 미국과 소련 이외의 국가에서 병기를 사는 것은 중동이나 제3세계에서는 흔히 있는 일이었으며 프랑스는 그러한 틈새를 잘 파고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프랑스 입장에서는 돈많은 고객인 이스라엘을 놓치는 것은 아쉬운 일이고 그렇다고 군사물자들을 파는데 큰 시장인 중동에 밉보이는 것은 잠재적 고객을 놓치는(당장 중동에 동구권 무기가 공급되고 있었으니까), 세일즈상 좋을 것이 없는 일이라는 점이 이러한 설들의 뒷받침이 되고 있다.[4] 완전한 설계도가 있다고 해도 그것만으로는 어려운 일이다, 수많은 시행착오에서 나온 노하우와 기술이 필요하며 게다가 이스라엘은 항공기용 엔진을 개발해본 경험도 없는 국가였다. - 스위스 기술자의 의도는 전투기 자체를 생산하라는게 아니라 이미 보유하고 있는 기체들의 정비를 위한 부품들을 직접 만들어 쓰라는 것이었다. 기술자가 스위스 주재 이스라엘 대사관의 무관에게 먼저 연락을 취하자 이스라엘이 기대한 것도 당장 필요한 정비용 부품들을 스위스 공군용의 중고품이라도 구할 수 있게 해주려나 하는 것이었다...[5] 이 대거가 바로 포클랜드 전쟁에 참가한 아르헨티나 공군의 주력이었다. 이후 살아남은 대거들은 IAI의 협력으로 개수되었다.[6] Israel Aerospace Industries, התעשייה האווירית לישראל.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 항공기 생산을 담당하는 국영 방위산업체.[7] 사실 프랑스 정부 당국에서는 금지했지만 다쏘에서는 IAI에 은밀히 기술협력을 하고 있었다. 물론 프랑스 정부도 다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지만[8] 이 당시 다쏘에서는 미라주 III에 가변식 카나드를 장착시킨 실험기 밀란을 제작해서 실험 중이었는데 카나드가 너무 작아서 그런지 실험결과가 별로였다고 한다.[9] 기본적으로 미국제이기 때문에 엔진을 수출하려면 미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는 러시아나 프랑스 등도 마찬가지다.[10] 전투기 엔진뿐 아니라 차량 엔진도 마찬가지라 K1 전차도 시제품은 미국제 엔진을 실었지만 양산형에서는 수출 및 독일에 대한 보상(원래 미국의 M60 전차의 판매거부로 독일과 전차개발을 논의하게 되자 미국이 개입해서 K-1이 탄생했다.)으로 독일제 엔진으로 변경했다고 한다. K-9 자주포의 기술과 부품을 터키에 수출할때도 쿠르드족 문제로 독일이 엔진 판매에 제동을 건 적도 있다.[11] 실제로 불가리아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위협과 압력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의 주민족인 유대인들을 제2차 대전이 끝날 때까지 나치의 홀로코스트로부터 적극 보호한 적이 있었다.[12] 필리핀의 경우 미국의 압력이 있었던 것은 아니고, 예산이 부족해서 도입하지 못했다.[13] 크피르 이전에 생산한 기종인 내셔를 대거(Dagger)라는 이름으로 도입하여 운용했다.[14] 대신 2024년에 F-16A/B형 개수형 전투기를 덴마크를 통해 새로 도입하였다.[15] 아파르트헤이트의 영향으로 내려진 무기 금수조치로 인해 밀수해와 복제한것이 치타이다.[16] 원작 만화판과 OVA판에서는 많이 등장하지만, TVA판에서는 1대도 등장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