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stol Beaufighter
1. 제원
제원 Beaufighter TF Mk X 전장: 12.6 m 전폭: 17.65 m 전고: 4.84 m 익면적: 46,73 m² 엔진: 브리스톨 14기통 성형엔진, 출력 1,600 hp 자체중량: 7,072 kg (전비중량 11,521 kg) 최대속도: 515 km/h (고도 10,000 ft) 항속거리: 2,816 km 무장:250파운드 폭탄 2발 혹은 18인치 어뢰 1발 마크 13 어뢰 1발 RP-3 '60파운드' 로켓 8발 장착 가능 |
2.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중 개발한 영국의 브리스톨 항공기 회사의 다목적 쌍발 중전투기.같은 브리스톨사의 폭격기인 '보포트(Beaufort)'를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름도 'Beaufort'와 fighter의 혼성어이다. 말하자면 '보포트 전투기'라는 의미.
2차 대전 초반 야간전투기로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으고, 이후 뇌격 임무 및 지상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전폭기로도 다수 사용되었다.
쌍발의 경폭격기를 모체로한 기체였기 때문에 전쟁 초기부터 20mm 기관포 4문을 장비한[1] 강력한 화력과 나름 쓸만한 폭장능력을 지녔으며, 다른 지상공격기에 비해서는 빠른 속도를 지녀 범용성이 높은 기체였다. 때문에 유럽에서 태평양 전선까지 영국군 및 영연방 군에서 두루 사용되었다. 또한 작전반경이 비교적 넓어 지중해 및 태평양에서 해상공격에도 많이 활용되었다.
유럽 전선에서 보파이터는 전쟁 초반 1941년에서 42년에는 야간전투기로서 그리고 북해와 영불해협과 비스케이 만 등에서 독일공군의 Fw 200와 Ju 88 등을 요격하거나 U보트를 추적하는 장거리 초계기/요격기로서 운용되었다. 또한 북아프리카 전역에도 투입되어 주로 대지 기총소사 등으로 지상군을 지원하는 역할을 했다.
1942년 중반, 영국공군 연안사령부의 Mk. VIC형 기체들을 시작으로 어뢰 운용능력 등이 추가되었고, 1942년 말에는 엔진을 150m 고도에서 최대 1725마력의 출력을 낼 수 있는 브리스톨 허큘리즈 엔진으로 엔진을 교체한 TF Mk.X (TF는 "torpedo fighter"의 약자이다)으로 발전하며, 어뢰 혹은 RP-3 '60파운드' 로켓 등으로 무장하고 보다 본격적으로 전폭기로 활동하기 시작한다. 어뢰 탑재가 가능한 버전의 보파이터들을 "Torbeau"라고 불리기도 했다.
연안사령부 산하, 노스코트 공격 항공대 소속의 보파이터 부대들은 어뢰를 탑재한 기체들이 뇌격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보파이터들이 기총소사와 로켓 공격으로 대공화력을 무력화시키는 합동 전술을 통해 1943년 중반부터 약 10개월 동안 29,762톤의 선박을 격침하며 위용을 떨쳤다.
또한 태평양 전선에서도 보파이터는 영국공군 및 영연방 국가의 공군에 배치되어 널리 운용되었다. 주로는 전폭기로서, 대함 공격 및 해상초계에 사용되었다.
태평양 전선에서 보파이터가 활약한 대표적인 전투의 하나가 바로 비스마르크해 해전. 특히 보파이터의 강력한 화력이 유감없이 발휘된 전투였다.[2] 이 전투에서 호주공군의 보파이터는 '기총소사형 Strafer'형 B-25 폭격기[3]와 함께 투입되어 무자비한 저공 기총소사로 일본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보파이터 부대는 4문의 기관포와 기관총으로 일본군 구축함들의 대공포좌와 특히 함교를 집중공격해 함교시설을 대파시키고 호위함대 사령관 기무라 마사토미 제독에게 중상을 입히고, 다수의 함교요원을 사상시킨다. 덕분에 일본군 선단은 대공화력과 작전능력까지 거의 완전히 무력화 되어 버렸고 이어진 폭격에 그 대부분이 격침당한다.[4]
정확한 문서자료로 확인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태평양 전선에서 활동한 보파이터들을 일본군이 "죽음의 속삭임 Whispering Death"이라는 별칭으로 불렀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 이유는 '조용함' 때문이라고.# 보파이터에 탑재된 브리스톨 허큘리즈 엔진이 슬리브 밸브 방식이라, 당시 다른 항공기들의 엔진에 비해 소음이 적었고, 특히 다른 기종들에 비해 접근방향의 정면에서의 소음이 많이 적었다고 한다. 때문에, 일본군이 보파이터에게 공습을 당하는 경우 이미 근접한 후에야 뒤늦게 알아차리는 일도 종종 있었고, 그 때문에 그런 별명이 생긴 것 아닌가 추정하기도 한다고.
브리스톨사가 이 기체에 재미가 붙었는지, 브리스톨 블렌헤임도 보포트도 아닌 이 보파이터를 기반으로한 폭격기를 만들기도 했다. 이름은 브리스톨 버킹엄(Bristol Buckingham). 이 기체에 대해서는 브리스톨 브리건드 항목을 참조하자.
3. 대중 매체에서
- 월드 오브 워플레인에서 영국 5티어 중전투기로 등장한다. 비행성능은 5티어 중전투기 중 떨어지는 편이지만, 높은 내구성과 히스파노 4문의 파괘광선, 4연장 .303 + 360도 전방향 회전 터렛이라는 심히 돼지스러운 스펙으로 난전에서는 가장 강력하다. 저티어 입장에선 중전차가 한대 날아다니는 것으로 보일 지경.
- 워 썬더에서도 영국 공격기 트리에 등장한다. 등장 기체는 Beaufighter Mk. VIc, Mk. IX, 그리고 Mk. 21 이다. HS.404가 게임에서는 저위력으로 욕을 먹는 와중에도 기본적으로 HS.404를 4문이나 기수에 장착한 이 녀석은 화력 면에서는 좋은 평가를 듣고 있지만 비행 성능은 BR대비 좋은 편이 아니다.
- 미이라 3: 황제의 무덤에서 주인공 릭 오코넬의 외인부대 동료인 "매드 독" 맥과이어가 모는 기체로 등장한다. 기체 형식은 Mk.IC.
- 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코드: 화이트의 티저 비주얼 포스터에 실루엣으로 등장했으며, 극중에서도 로이드가 프리지스에 주기되어 있던 보파이터를 몰고 항공전함으로 향한다.
- 스틸 디비전 시리즈에서 연합군 중전투기/공격기로 등장한다. 선회가 너무 구려서 공중전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기관포 공격만으로 지상 보병이나 중화기, 경장갑차들을 제압하고 갈아버릴 수 있다. 그 외 고폭탄이나 대전차 로켓을 사용해 지상공격을 행한다.
4.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군 항공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전투기 | <colcolor=#373a3c><colbgcolor=#b0e000> 복엽기 | CR.30, CR.32, CR. 42 팔코, Ro.44 | ||
단엽기 | C. 20x 시리즈, Re. 200x 시리즈, G.50 프레치아, G.55 첸타우로, D.520F, Bf 109G, | ||||
중전투기 | |||||
폭격기 | 경폭격기 | 블렌헤임 Mk.IVC | |||
中폭격기 | Ca.311, Ca.135, BR.20 치코냐, SM.79 스파르비에로, SM.84, SM. 81 피피스트렐로, Z.1007 알치오네, Z.1018 레오네, Z.515, | ||||
重폭격기 | SM.82, P.108B, | ||||
급강하 폭격기 | Z.501, SM.85, | ||||
공격기 | Ba.65, Ba. 88, | ||||
수송기 | SM. 79, SM. 75, SM. 82, SM. 95, P.108T, AL-12P, Ju 52G | ||||
정찰기 | Fi 156G | ||||
※ 윗첨자 F: 프랑스 기체, G: 독일 기체, Z: 제트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현대 이스라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001E50> 이스라엘 공군 (1948~현재) זְרוֹעַ הָאֲוִיר וְהֶחָלָל | ||||
회전익기 | <colbgcolor=#001E50> 경헬기 | <colbgcolor=#fefefe,#191919>SA 313B 알루에트 IIR, MD500 TOWR | |||
다목적 헬기 | UH-1DR, AS565 | ||||
수송헬기 | CH-53(D/{K}), UH-60A | ||||
공격헬기 | AH-1(G/Q/F), AH-64(A/D) | ||||
전투기 | 프롭 | F-51(D, J26)R, 스핏파이어 Mk IXcR, S-199R, 브리스톨 보파이터R | |||
1세대 | 미티어(NF.13, F.8)R, M.D.450B 우라강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AR, F-84FL/R | ||||
2세대 | SMB2R | ||||
3세대 | F-4ER/ | ||||
4세대 / 4.5세대 | |||||
5세대 | F-35I | ||||
공격기 | A-4(E/F/M/N)R | ||||
폭격기 | B-17GR, S.O.4050 보투르(IIA, IIB, IIN)R | ||||
수송기 | 아라바R, C-130J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G550 CAEW | |||
정찰기 | DH.98(FB.IV/NF.30/T.3/PR.16/TR.33)R, RF-4E | ||||
공중급유기 | KC-707, KC-130H, {KC-46} | ||||
무인기 | UAV | 헤론, 헤르메스 450, 헤르메스 900, 헤르메스 1500 | |||
UCAV | 하피, 에이탄 | ||||
훈련기 | 프롭 | T-6R, G 120A, T-6A | |||
제트 | M-346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스라엘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현대 도미니카 공화국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
<colbgcolor=#002D62> 회전익기 | <colbgcolor=#002D62> '''[[무장헬기| 경헬기 ]]''' | OH-58(A/C) 카이오와■■ | |
''' 다목적 헬기 ''' | AW169M | UH-1H 휴이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P-51D 머스탱R | P-47D 썬더볼트R | P-38 라이트닝R | 보파이터 Mk.VIfR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뱀파이어 (F.1/FB.50)R | ||
공격기 | EMB 314 슈퍼 투카노 | A-37B 드래곤플라이 | A-26 인베이더 | ||
폭격기 | B-25 미첼R | B-17 플라잉 포트리스R | 모스키토 FB.6R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C-212-400E | |
전술 | C-47B 스카이트레인R | C-46(D/F) 코만도R | ||
수상기 | PBY 카탈리나R | ||
다목적기 | U-27A | 세스나 550 · 501 · 411 · 404 · 210■ · 182 | PA-34 세네카 | PA-31 나바호 | O-2 스카이마스터R | ||
''' 지원기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2006T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TP-75 둘루스 | T-35(B/C) 필란 | T-41D 메스칼레로 | PA-28 체로키■ | T-34 멘토R | T-28 트로젼R | AT-6 텍산R | BT-13 발리언트R | PT-13 카뎃R | |
제트 | AT-33A 슈팅스타R | ||
헬기 | 슈바이처 S333 | TH-67A 크릭■ | R44■ | R22■ | ||
VIP 탑승기 | 에어로 커맨더 690B | 벨 430 | EC155B1 | EC120 콜리브리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도미니카 공화국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버전에 따라선 주익에도 4~6정의 7.7mm 혹은 12.7mm 기관총을 장착하기도 했다.[2] 이 전투에 투입된 보파이터는 기수에 4문의 기관포 외에 날개에도 7.7mm 기관총 6정을 장착한 버전이었다. 총합 10문의 기관포와 기총으로 무장한 때문에 "Ten Gun Terror"라는 별칭도 있다.[3] 기수의 전방기총을 12.7mm M2 중기관총 8~12정으로 증설한 버전. 비스마르크해 해전 당시에는 현지개수로 8정의 중기관총을 탑재하고 출격했다.[4] 심지어 이 비스마르크해 해전에선 보파이터와 자매기인 보포트가 외형상 빨리 구분하기 힘들다는 점조차도 일본군을 크게 엿먹이는 요인이 되었다. 자세한 것은 해당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