伐 칠 벌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人,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バツ, ハツ | ||||||
일본어 훈독 | う-つ, き-る, ほこ-る | ||||||
- | |||||||
표준 중국어 | fá, fā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伐은 '칠 벌'이라는 한자로, '베다', '(적을) 치다', '정벌(征伐)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치다 |
음 | 벌 | |
중국어 | 표준어 | fá[1], fā[2] |
광동어 | fat6 | |
객가어 | phat | |
민동어 | huăk[文] / puăk[白] | |
민남어 | hoa̍t[文] / hoa̍h [白] | |
오어 | vaq (T5) | |
일본어 | 음독 | バツ, ハツ |
훈독 | う-つ, き-る, ほこ-る | |
베트남어 | phạt |
유니코드에는 U+4F1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I(人戈)로 입력한다.
人(사람 인)과 戈(창 과)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원래 갑골문상에서는 창(戈)이 사람(人)을 관통하는 모습으로 그려졌으며, '적군의 목을 베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 의미가 확장되어 '정벌하다'라는 뜻을 가지는 한편, 일반적인 맥락에서의 '베다'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간벌(間伐)
- 간벌찬(干伐飡)
- 개벌(開伐/皆伐)
- 공벌(攻伐)
- 금벌(禁伐)
- 급벌간(級伐干/及伐干)
- 급벌찬(級伐飡/級伐湌)
- 긍벌(矜伐)
- 기벌포(伎伐浦)
- 남벌(南伐/濫伐)
- 다벌국(多伐國)
- 달벌(達伐)
- 당벌(黨伐)
- 도동벌(道同伐)
- 도벌(盜伐)
- 동벌(東伐)
- 말불버섯(馬夫乙伐士叱)
- 모벌(謀伐/毛伐)
- 몰벌(沒伐)
- 무프레조(茂伐羅粟)
- 방벌(放伐)
- 벌거목(伐去木)
- 벌곡(伐穀)
- 벌곡(伐谷)
- 벌곡대(伐曲大)
- 벌공(伐功)
- 벌구(伐區)
- 벌근(伐根)
- 벌기(伐期)
- 벌달기(伐月只)
- 벌대총(伐大驄/伐大騘)
- 벌덕궤(伐德跪)
- 벌도(伐倒)
- 벌라(伐羅)
- 벌목(伐木)
- 벌비(伐碑)
- 벌빙(伐氷)
- 벌상(伐喪)
- 벌석(伐石)
- 벌선(伐善)
- 벌성(伐性)
- 벌송(伐松)
- 벌수십작무궐(伐樹十斫無蹶)
- 벌수지(伐首只)
- 벌아(伐兒)
- 벌음지(伐音支)
- 벌이(伐異)
- 벌장(伐葬)
- 벌절라(伐折羅)
- 벌제(伐祭)
- 벌직(伐直)
- 벌채(伐採)
- 벌천(伐川)
- 벌초(伐草)
- 벌취(伐取)
- 범벌(犯伐)
- 북벌(北伐)
- 비벌수(比伐首)
- 삭벌(削伐)
- 산벌(山伐/傘伐)
- 살벌(殺伐)
- 서나벌(徐那伐)
- 서벌(徐伐)
- 서벌한(舒伐邯)
- 선벌(選伐)
- 섭벌(燮伐)
- 소벌(疏伐)
- 수광벌(受光伐)
- 양벌(攘伐)
- 우벌간(于伐干)
- 우벌찬(于伐飡)
- 윤벌(輪伐)
- 의벌포(依伐浦)
- 이벌간(伊伐干)
- 이벌지(伊伐支)
- 이벌찬(伊伐湌/伊伐飡)
- 이벌한(伊伐翰)
- 일벌(一伐)
- 자벌(自伐)
- 작벌(斫伐)
- 전벌(全伐/剪伐)
- 정벌(征伐)
- 제벌(除伐)
- 주벌(誅伐)
- 지벌지(只伐只)
- 참벌(斬伐)
- 채벌(採伐)
- 천벌(天伐)
- 침벌(侵伐)
- 택벌(擇伐)
- 토벌(討伐)
- 투벌(偸伐)
- 획벌(劃伐)
3.2. 고사성어/숙어
- 구주필벌(口誅筆伐)
- 극벌원욕(克伐怨慾)
- 금화벌초(禁火伐草)
- 남정북벌(南征北伐)
- 당동벌이(黨同伐異)
- 동당벌이(同黨伐異)
- 동정서벌(東征西伐)
- 백마벌기(百馬伐驥)
- 벌가(伐柯)
- 벌목정정(伐木丁丁)
- 벌성상은(伐性傷恩)
- 벌성지광약(伐性之狂藥)
- 벌성지부(伐性之斧)
- 벌제위명(伐齊爲名)
- 벌죄조민(伐罪弔民)
- 불벌기장(不伐己長)
- 불벌부덕(不伐不德)
- 살벌지성(殺伐之聲)
- 선양방벌(禪讓放伐)
- 십벌지목(十伐之木)
- 이이벌이(以夷伐夷)
- 조민벌죄(弔民伐罪)
- 표동벌이(標同伐異)
- 필주묵벌(筆誅墨伐)
3.3. 인명
- 나타기리 진(山刀伐 仁)
- 벌지(伐智)
- 벌휴왕(伐休王)
- 벌휴 이사금(伐休 尼師今)
- 세키레이 나타미(瀬伐井 鉈美)
- 소벌도리(蘇伐都利)
- 오례사벌(汚禮斯伐)
- 이벌어려제(伊伐於慮鞮)
- 이치몬지 바츠(一文字 伐)
- 후사벌왕(後沙伐王)
3.4. 지명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로(榛伐路)
- 경기도 여주시 북벌로(北伐路)
- 경기도 오산시 벌음동(伐音洞)
- 경상북도 경주시 서라벌대로(徐羅伐大路)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벌지로(伐知路)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沙伐國面) 사벌로(沙伐路)
- 골벌국(骨伐國)
- 급벌산(及伐山)
- 달구벌(達句伐)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達句伐大路)
- 대전광역시 서구 벌곡로(伐谷路)
- 비사벌(比斯伐)
- 사량벌국(沙梁伐國)
- 사벌(沙伐)
- 서라벌(徐羅伐)
- 서야벌(徐耶伐)
- 음즙벌국(音汁伐國)
- 잉벌노(仍伐奴)
-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伐谷面) 벌곡로(伐谷路)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원벌리(元伐里)
-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벌천로(伐川路)
- 충청북도 충주시 목벌동(木伐洞)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牫(뭇뿔 가)
- 𦨜[⿰舟戈](작은배 가)
- 鈛/𩰭[⿰鬲戈](노구솥 과)[7]
- 㳀(물이름 과)
- 䣬(술빛깔 과)
- 代(대신할 대)
- 䇅(우두커니서있을 벌)
- 䴰(성씨 속, 보릿겨 익)
- 𧥾[⿰言戈](알 식)[8]
- 𨈟[⿰身戈](나 아)[9]
- 𣧌[⿰歹戈](다할 월)
- 𦐂(날개 익)[10]
- 𦣣[⿰臣戈](착할 장)[11]
- 𣏾(재목 재)[12]
- 𡃣[⿰嘼戈](싸움 전)[13]
- 𥾮[⿰糸戈](끊을 절)
- 找(채울 조)
- 䰹(오징어 즉)[14]
- 聀(직분 직)[15]
- 𪗠[⿰齒戈](이갈 츤/친)[16]
- 䂝(땅을치는소리 타, 칠 책, 나무이름 탁)
- 䄀(재앙 화)[17]
- 𠯫(과)
- 𩢅[⿰馬戈](과)
- 𧔼[⿰蟲戈](아)
- 𡛏[⿰女戈]
- 𪥅[⿰大戈]
- 𪦷[⿰子戈]
- 𰏈[⿰工戈]
- 𭍡[⿰回戈]
- 𭨜[⿰曲戈]
- 𠶶[⿰启戈]
- 𭝞[⿰快戈]
- 𰒕[⿰愄戈]
- 𢶩[⿰𢰦戈]
- 𫼉[⿰戶戈]
- 𰓂[⿰手戈]
- 𭬐[⿰楷戈]
- 𰡯[⿰⺩戈]
- 𭻀[⿰田戈]
- 𫏳[⿰車戈]
- 𮙦[⿰豸戈]
- 𩚧[⿰𩙿戈]
- 𩫅[⿰高戈]
- 𩯷[⿰⿱髟崔戈]
- 𩿙[⿰鳥戈]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筏/栰/𦨷[⿰舟伐](뗏목 벌)
- 閥(문벌 벌)
- 浌(물이름 벌)
- 㘺(밭갈 벌)
- 䣹(술빚을 벌)
- 𥩱[⿰立伐](우두커니서있을 벌)[18]
- 垡(일굴 벌)
- 䤦(도끼 월)[19]
- 𥑼[⿱伐石](받쳐줄 점)
- 茷(풀잎무성할 패)
- 𠲎[⿰口伐](벌)
- 𨀳[⿰𧾷伐](벌)
- 𰀿[⿱伐乙]
- 𭃝[⿰刀伐]
- 𰁚[⿰亞伐]
- 𢬩[⿰扌伐]
- 𣑡[⿱伐木]
- 𤇰[⿱伐火]
- 𭭣[⿰⿻止一伐]
- 𫼂[⿰重伐]
- 𥅩[⿰目伐]
- 𭾬[⿱罒伐]
- 𨠰[⿱伐酉]
- 𲉷[⿱雨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