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16:17:54

고령군

고령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고령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나이가 많음'이라는 뜻의 단어에 대한 내용은 노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70bb>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
파일:경주시 CI.svg
경주시
파일:구미시 CI.svg
구미시
파일:김천시 CI.svg
김천시
파일:문경시 CI.svg
문경시
파일:상주시 CI.svg
상주시
파일:안동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fe0000 21%, #ed1c24); font-size: 1em"
]] 안동시
파일:영주시 CI.svg
영주시
파일:영천시 CI.svg
영천시
파일:포항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00B1EB 21%, #00a4da); font-size: 1em"
]] 포항시
자치군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 파일:고령군 CI.svg
고령군
||<width=25%> 파일:봉화군 CI.svg
봉화군
||<width=25%> 파일:성주군 CI.svg
성주군
||<width=25%> 파일:영덕군 CI.svg
영덕군
||
파일:영양군 CI.svg
영양군
파일:예천군 CI.svg
예천군
파일:울릉군CI임시.png
울릉군
파일:울진군 CI.svg
울진군
파일:의성군 CI.svg
의성군
파일:청도군 CI.svg
청도군
파일:청송군 CI.svg
청송군
파일:칠곡군 CI.svg
칠곡군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9944><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고령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대가야읍
개진면다산면덕곡면성산면
{{{#!wiki style="margin: -16px -11px"쌍림면우곡면운수면}}}
}}}}}}}}} ||
경상북도 자치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 파일:고령군 CI.svg고령군
高靈郡
Goryeong County
}}}
<colbgcolor=#039c4a> 군청 소재지 대가야읍 왕릉로 55 (지산리)
광역자치단체 경상북도
하위 행정구역 1 7
면적 384.06㎢[1]
인구 30,154명[2]
인구밀도 78.51명/㎢[3]
군수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남철 (초선)
군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석[4]

1석[5]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석[6]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정희용
지역번호 054 - 95X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인구4. 교통5. 경제6. 관광7. 특산물8. 금융9. 교육10. 정치11. 하위 행정구역12. 기타13. 출신 인물
13.1. 고령이 본관인 유명인
1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의 서남쪽에 있는 .

가야 시절에는 대가야의 중심지였다. 동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달서구와 접해있고 서쪽으로는 경상남도 합천군, 남쪽으로는 경상남도 합천군, 창녕군과 접하며 북쪽으로는 성주군과 접한다.

고령군(高靈郡)이 도자기의 원료인 고령토(高嶺土)로 유명한 지역이긴 하지만, 고령토와는 관계가 없다. 나이가 많다는 고령(高齡)과도 관계가 없다.

2. 역사

일명 대가야로 불리는 옛 반파국(伴跛國)의 중심지로서 16대 520년 간을 계승했다. 그러다가 신라 진흥왕 때 신라에 병합되었고 대가야군(大伽倻郡)이 되었다. 757년(경덕왕 16) 때 전국 지명 한화정책에 따라 현대에 사용하는 이름인 고령군으로 바꿨다. 9주 5소경강주에 속했는데, 경북 다른 지역이 대부분 상주, 양주 관할인 것과 달리 지금의 경상남도 쪽 행정구역에 붙인 것이다. 강주 지역이 대부분 옛 가야 소국들이 있었던 땅이기에 그 쪽에 연관시켜 편입시킨 것으로 보인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영천현(靈川縣)으로 바꾸고 경산부(京山府:현재의 성주군)에 속하였다.

조선 태종 때 고양군의 고와 영천현의 영을 따서 고령현(高靈縣)이라 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이미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신라 경덕왕이 고령군이라고 이름지었다고 하고 있으므로 고려 때 잠시 달라졌던 옛 이름을 부활시킨 셈이다. 1895년(고종 32)에 성주군의 9개 면과 현풍군(현 대구광역시 달성군 남부 지역) 3개 면을 병합하여 고령군이 되었다. 1906년 성주군의 일부와 현풍군의 일부를 흡수하였다. 1930년 쌍동면과 임천면을 쌍림면으로 통합하였다.

1979년 고령면이 고령읍으로 승격하였다.

2015년 4월 2일 고령읍의 명칭을 대가야읍으로 바꾸었다. 4월 2일인 이유는 대가야국이 AD 42년에 건국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다. # 사실 대가야 멸망 이후 신라에서도 '대가야군'이던 것을 신라 경덕왕고령군으로 바꾼 것이므로 새로 만든 이름이 아니라 1,300여년 만에 원래 이름으로 되돌린 것이다.[7] 근데 기간이 기간이라 9년이 지난 지금도 고령읍이라 부르는 사람들이 많다.

3. 인구

파일:고령군 CI.svg 고령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6,093명
1970년 66,265명
1975년 63,005명
1980년 48,953명
1983년 2월 15일 고령군 덕곡면 성동 → 성주군 수륜면 편입
1985년 41,188명
1990년 35,280명
1995년 31,664명
2000년 35,517명
2005년 35,145명
2010년 34,678명
2015년 34,594명
2020년 31,361명
2024년 10월 30,15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만 명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가야읍 9,566명
다산면 8,249명
쌍림면 3,268명
성산면 2,491명
개진면 1,872명
운수면 1,748명
우곡면 1,541명
덕곡면 1,455명
2024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 ||

계속하여 인구가 감소하다가 2024년 2월 30,006명으로 저점을 찍으며 3만명 선마저 무너지기 직전까지 갔으나, 다산면 상곡리 지역에 다산월드메르디앙엔라체(631세대)가 입주를 시작하여 일단은 3만명 선 자체는 당분간 지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름답게 평균연령이 매우 높은 축에 속해 소멸고위험지역에 해당되기도 한다.

===# 읍면별 인구 #===
파일:고령군 CI.svg 대가야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417명
1970년 14,021명
1975년 14,238명
1979년 5월 1일 고령군 고령면 → 고령읍 승격[8]
1980년 12,850명
1985년 11,541명
1990년 11,263명
1995년 10,290명
2000년 10,518명
2005년 10,568명
2010년 10,686명
2015년 4월 2일 고령군 고령읍 → 대가야읍 개칭
2015년 10,903명
2020년 10,077명
2024년 4월 9,56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고령군 CI.svg 덕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124명
1970년 5,901명
1973년 7월 1일 고령군 덕곡면 성동 → 성주군 수륜면 편입
1975년 5,293명
1980년 3,734명
1985년 2,748명
1990년 2,076명
1995년 1,699명
2000년 1,721명
2005년 1,650명
2010년 1,523명
2015년 1,478명
2020년 1,433명
2024년 4월 1,45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고령군 CI.svg 운수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579명
1970년 6,497명
1975년 5,963명
1980년 4,424명
1985년 3,477명
1990년 2,699명
1995년 2,389명
2000년 2,359명
2005년 2,326명
2010년 2,151명
2015년 2,030명
2020년 1,883명
2024년 4월 1,74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고령군 CI.svg 성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030명
1970년 6,895명
1975년 6,365명
1980년 5,112명
1985년 4,401명
1990년 3,944명
1995년 3,550명
2000년 3,324명
2005년 3,229명
2010년 2,954명
2015년 2,898명
2020년 2,594명
2024년 4월 2,49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고령군 CI.svg 다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688명
1970년 7,562명
1975년 6,787명
1980년 5,256명
1985년 4,071명
1990년 3,515명
1995년 3,170명
2000년 6,986명
2005년 7,594명
2010년 8,957명
2015년 9,578명
2020년 8,445명
2024년 4월 8,24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고령군 CI.svg 개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384명
1970년 7,168명
1975년 6,513명
1980년 4,616명
1985년 3,997명
1990년 2,875명
1995년 2,693명
2000년 2,701명
2005년 2,748명
2010년 2,284명
2015년 2,222명
2020년 1,941명
2024년 4월 1,87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고령군 CI.svg 우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338명
1970년 7,450명
1975년 7,349명
1980년 5,135명
1985년 4,133명
1990년 3,068명
1995년 2,561명
2000년 2,475명
2005년 2,368명
2010년 2,023명
2015년 1,786명
2020년 1,591명
2024년 4월 1,54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고령군 CI.svg 쌍림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528명
1970년 10,771명
1975년 10,479명
1980년 7,826명
1985년 6,820명
1990년 5,840명
1995년 5,312명
2000년 5,433명
2005년 4,662명
2010년 4,100명
2015년 3,699명
2020년 3,397명
2024년 4월 3,26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4.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령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경제

산업단지는 대구근교권답게 대부분 성산면과 개진면, 다산면에 조성되어 있다. 고령 1,2일반산업단지와 개진일반산업단지, 동고령일반산업단지가 들어서 있고 농공단지는 유일하게 개진농공단지가 들어서 있다.

6. 관광

파일:중화유원지.jpg
파일:대가야수목원2.jpg
중화유원지 대가야수목원
파일:고령 대가야 지산동 고분군.jpg
파일:대가야박물관.jpg
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 대가야박물관

유네스코 세계유산지산동 고분군, 대가야박물관, 우륵박물관, 연조리 추정 궁성 터, 대가야생활촌 등의 대가야 시대에 관한 관광지들이 있으며 매년 4월 초 대가야읍 역사 테마 관광지를 중심으로 대가야 체험 축제가 개최된다.[9] 개최되는 날에는 대표적으로 VR 체험 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역사 테마 관광지 주변에 있는 커다란 건물 뒤로 행사가 개최된다. 국수 등 여러 가지 음식을 맛볼 수 있다. 음식을 먹는 곳 앞에는 소형 미니 공연장 같은 것이 있는데, 그 곳에서 음악단이 노래를 하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등 공연을 하기도 한다. 곳곳에서 노래를 틀어놓고 축제 마지막 날에는 전통 의상을 입고 행진을 한다. 주로 마을의 촌장 이런 사람들이 참가한다. 그뿐만 아니라 미니 공연장 다음으로 미니 공연장 크기에는 버금가지 못 하는 엄청 거대한 하얀 공연장에서 옛날 이야기 뮤지컬을 하기도 하며, 연예인이 온 적도 있다. 아이들한테 가장 인기가 있었던 높은 풍선 미끄럼틀 타기 등 여러모로 참가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부모의 손을 놓고 마음대로 돌아다니는 아이들 때문에 아이를 잃어버리거나 귀중품을 잃어버리는 등 사건사고가 발생한다. 그래서 대가야 체험 축제가 열릴 때면 항상 아이나 다른 사람을 찾거나 귀중품을 찾는다는 방송이 울려퍼지는 공식이 있다. 가야에서 유일한 금관이 발견된 곳이 이 곳이지만, 정식으로 발굴한 게 아니라 도굴꾼에게 도굴당한 것이 돌고 돌아 현재 진품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리움미술관에 있으며,[10] 이 곳 고령군에는 모조품만 전시되어 있다. 미숭산 자연 휴양림, 대가야수목원도 휴양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7. 특산물

파일:고령딸기.jpg
파일:고령수박2.jpg
고령 딸기 고령 수박
파일:고령 성산멜론.gif
파일:개진감자.jpg
고령 성산메론 고령 개진감자

특산물로는 딸기, 수박, 멜론, 감자가 있다. 수박과 감자는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등록되어 있다.

8. 금융

고령군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
국가기관
고령우체국 (7)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시중은행
iM뱅크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고령농협 (3) 동고령농협 (3) 쌍림농협 (1) 고령성주축협 (2)
다산농협 (1)
새마을금고
고령새마을금고 (4)
신용협동조합
고령신용협동조합 (2)
산림조합
고령군산림조합 (1)

9. 교육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경상북도 고령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개진초등학교 고령초등학교 다산초등학교 덕곡초등학교 박곡초등학교
성산초등학교 쌍림초등학교 우곡초등학교 운수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경상북도 고령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고령중학교 고령중학교 개진분교 다산중학교
성산중학교 쌍림중학교 우곡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고령군 CI_White.svg 경상북도 고령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고령고등학교 대가야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령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령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타

13. 출신 인물

13.1. 고령이 본관인 유명인

14. 관련 문서



[1] 경상북도의 시·군 중에서 울릉군을 제외하고 가장 면적이 작은 곳이다.[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3] 2024년 10월 기준.[4] 고령군 가선거구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김기창, 성원환
고령군 나선거구 (성산면, 다산면): 성낙철
고령군 다선거구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김명국, 이철호
고령군 비례대표: 유희순
[5] 고령군 나선거구 (성산면, 다산면) 이달호 의원 사망으로 인한 공석[6] 고령군 선거구: 노성환 (초선)[7] 대가야 반파국설을 따른다면 반파읍으로 할 수도 있었겠지만, 인지도는 대가야가 더 높고, 장수가야 반파국설을 주장하는 장수군의 반발을 살 수도 있다. #[8] 군사무소 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할수 있다에 따라 승격[9] 하지만 2020년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축제가 개최되지 않았다.[10] 과거에는 경기도 용인시 호암미술관에 있었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13] 호남 동부 섬진강 유역까지 진출했기 때문이다. 1번은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한 국왕이라는 얘기가 나오니 백제 성왕이고, 2번은 울릉도(우산국, 울릉군 일원)를 정복했다는 얘기니 신라 지증왕이고, 4번은 고구려 광개토대왕 이야기이다.[14] 참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