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21:36:38

서구(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서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f4123>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광주광역시청|
시청
]] 서구
파일:남구(광주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광주광역시) CI.svg
북구
파일:광산구 CI.svg
광산구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c499c>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8f3d> 양동, 양3동 양동
농성1, 2동
구청
농성동
광천동 광천동
유덕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내방동 덕흥동 쌍촌동 유촌동 치평동 }}}
치평동 치평동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
상무1, 2동
화정1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내방동
}}} 화정동
화정2~4동
서창동 마륵동 매월동 벽진동 서창동 세하동 용두동
금호1, 2동 금호동
풍암동 풍암동
동천동 동천동 }}}}}}}}}
광주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서구
西區
Seo-gu
}}}
<colbgcolor=#0c499c><colcolor=#fff> 구청 소재지 경열로 33 (농성동)
광역자치단체 광주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8[1]
면적 47.74㎢
인구 279,050명[2]
인구 밀도 5,851.26명/㎢[3]
구청장
파일:zsdkl3gasdg.svg
김이강 (초선)
구의회
파일:zsdkl3gasdg.svg
11석[4]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석[5]

1석[6]
시의원
파일:zsdkl3gasdg.svg
4석[7]
국회
의원
<colbgcolor=#0c499c><colcolor=#fff>
파일:zsdkl3gasdg.svg
조인철 (초선)

파일:zsdkl3gasdg.svg
양부남 (초선)
상징 구화 목련
구목 느티나무
구조 해오라기
지역번호 062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밴드 아이콘.svg
1. 개요2. 지역 특징3. 인구4. 교통5. 경제
5.1. 금융
6. 교육7. 의료기관8. 정치9. 하위 행정구역10. 기타11.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00403686101_20110906_1.jpg
광주광역시 서구청
파일:광주행정구역.jpg
광주광역시중심부에 위치한 자치구.

지도를 놓고 봤을때 광주광역시의 중남부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서쪽의 송정시광산군이 광주직할시(현 광주광역시)로 편입되어 광산구가 되면서, 옛 광주시의 서쪽이었던 서구가 광주광역시 중심부에 위치하게 되었다. 그래서 광주광역시의 다른 구와는 달리 유일하게 전라남도 타 시/군과 맞닿아 있지 않다. 그리고 반대로 광주광역시의 모든 구와 직접 맞닿아 있다.

1973년에 구제 실시로 개청되었고 1979년에 농성동으로 이전한다. 1980년에 북구가 개청되어 일부 지역을 북구로 넘긴다.[8] 1995년에 일부 지역이 남구로 분리되었으나, 한 달 후에 광산구에 있던 서창동을 편입하였다.[9] 그리고 2011년에 북구 동림동 일부 지역을 분리, 편입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2. 지역 특징

상무지구, 금호지구, 풍암지구 등 광주광역시의 대규모 주거지역들을 관할하고 있다. 또한 광주광역시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유스퀘어가 있기 때문에 주요 고속도로로 나가는 길이 있는 북구와 더불어 교통의 요지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운천저수지, 풍암저수지 등은 호수공원으로 단장되어 주민들의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광주광역시 광 엑스포를 기념해 운천저수지에 설치된 레이저쇼 공연은 새로운 명물이 되어 가고 있다.

광주광역시청상무지구[10]로 옮겨오면서 사실상 광주광역시의 새로운 중심지가 되었다.

양동에는 양동시장이 있는데 이곳이 광주광역시의 지리적인 중심점이다. 광산구를 제외한 광주광역시 4개 구의 모든 주요 시설 및 장소가 이 곳에서 자가용으로 30분 안에 도착할 수 있다. 광산구라고 해도 차가 막히지 않으면 이 곳에서 길어야 30분, 대개 20분 내로 끊을 수 있다. 지금은 양동시장 근처가 몰락해서 태는 안 나지만 이 근처에서 살다 보면 왜 이곳에 시장이 생겼는지 바로 알 수 있다. 차 한 대만 있으면 광주광역시 어디를 가더라도 서두를 이유가 없다.

3. 인구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광주광역시 서구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3년 7월 1일 광주시 서구 설치
1975년 253,624명
1980년 4월 1일 광주시 서구 일부 지역 + 광주시 동구 일부 지역 → 광주시 북구 승격 분리
1980년 289,945명
1985년 383,153명
1990년 472,336명
1995년 3월 1일 광주광역시 서구 일부 지역[11]남구 승격 분리
1995년 4월 20일 광산구 서창출장소 → 광주광역시 서구 편입
1995년 226,007명
2000년 280,810명
2005년 313,863명
2010년 303,219명
2015년 305,028명
2020년 296,576명
2024년 10월 279,67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풍암동 34,864명
치평동 29,439명
금호2동 27,251명
상무1동 23,988명
상무2동 22,642명
화정2동 19,841명
금호1동 19,506명
화정4동 19,500명
화정1동 15,501명
동천동 15,469명
농성1동 11,564명
유덕동 10,472명
화정3동 9,235명
광천동 6,975명
서창동 5,721명
농성2동 4,502명
양3동 4,284명
양동 3,237명
2023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 행정동별 인구 #===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양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57년 12월 1일 양동 → 양1동, 양2동 분리
1966년 23,486명(양1동 15,686명 + 양2동 7,800명)
1970년 7월 1일 양1동 → 양1동, 양3동 분동
1970년 21,276명(양1동 12,791명 + 양2동 8,485명)
1975년 19,268명(양1동 12,420명 + 양2동 6,848명)
1980년 18,003명(양1동 10,393명 + 양2동 7,610명)
1985년 17,952명(양1동 9,589명 + 양2동 8,363명)
1990년 17,790명(양1동 8,727명 + 양2동 9,063명)
1995년 11,167명(양1동 5,079명 + 양2동 6,088명)
1999년 1월 18일 양1동 + 양2동 → 양동 합동
2000년 7,836명
2005년 6,288명
2010년 5,661명
2015년 4,789명
2020년 4,015명
2023년 12월 3,23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양3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70년 7월 1일 양1동 → 양1동, 양3동 분동
1970년 9,896명
1975년 12,641명
1980년 13,657명
1985년 13,758명
1990년 13,150명
1995년 8,135명
2000년 6,654명
2005년 5,649명
2010년 5,522명
2015년 5,302명
2020년 4,765명
2023년 12월 4,28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농성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57년 12월 1일 농성동(법정동) → 농성동(행정동)
1966년 4,021명
1970년 6,151명
1975년 12,086명
1980년 26,463명
1983년 10월 1일 농성동 → 농성1동, 농성2동 분동
1985년 18,058명
1990년 18,420명
1995년 14,572명
2000년 11,410명
2005년 10,473명
2010년 8,787명
2015년 8,545명
2020년 11,071명
2023년 12월 11,56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농성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10월 1일 농성동 → 농성1동, 농성2동 분동
1985년 14,150명
1990년 13,771명
1995년 10,551명
2000년 7,528명
2005년 6,607명
2010년 5,984명
2015년 5,886명
2020년 5,125명
2023년 12월 4,50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광천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57년 12월 1일 광천동(법정동) → 광천동(행정동)
1966년 7,662명
1970년 12,861명
1975년 15,857명
1980년 18,769명
1985년 21,239명
1990년 20,043명
1995년 14,302명
2000년 10,100명
2005년 9,962명
2010년 11,036명
2015년 10,242명
2020년 8,639명
2023년 12월 6,97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유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57년 12월 1일 유림동 + 덕흥동 → 유덕동 신설
1966년 5,803명
1970년 7,342명
1975년 7,799명
1980년 8,562명
1985년 10,239명
1990년 10,766명
1995년 7,985명
2000년 11,840명
2005년 13,261명
2010년 12,495명
2015년 11,777명
2020년 10,770명
2023년 12월 10,47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치평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2월 17일 상무1동 → 상무1동, 치평동 분동
2005년 32,957명
2008년 31,024명
2009년 30,365명
2010년 30,471명
2011년 31,035명
2012년 31,072명
2013년 30,577명
2014년 30,564명
2015년 30,588명
2016년 31,172명
2017년 31,270명
2018년 31,268명
2019년 31,153명
2020년 30,602명
2021년 30,293명
2022년 29,433명
2023년 12월 29,4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상무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57년 12월 1일 쌍촌동 + 화정동 + 치평동 + 내방동 → 상무동 신설
1966년 7,691명
1970년 10,663명
1975년 17,228명
1979년 5월 1일 상무동 → 쌍촌동, 화내동 분동
1980년 17,108명
1985년 23,032명
1990년 28,459명
1993년 12월 1일 쌍촌동 → 상무1동, 상무2동 분동
1995년 13,355명
2000년 49,105명
2003년 2월 17일 상무1동상무1동, 치평동 분동
2005년 25,387명
2010년 25,279명
2015년 23,931명
2020년 25,076명
2023년 12월 23,98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상무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3년 12월 1일 쌍촌동 → 상무1동, 상무2동 분동
1995년 31,271명
2000년 29,763명
2005년 27,922명
2010년 25,375명
2015년 25,330명
2020년 24,062명
2023년 12월 22,64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화정1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5월 1일 상무동 → 쌍촌동, 화내동 분동
1980년 17,807명
1983년 10월 1일 화내동 → 화정1동, 화정2동 분동
1985년 18,504명
1990년 23,379명
1995년 18,640명
2000년 16,007명
2005년 18,672명
2010년 16,583명
2015년 16,473명
2020년 15,838명
2023년 12월 15,50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화정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화내동 → 화정1동, 화정2동 분동
1985년 26,412명
1990년 1월 1일 화정2동화정2동, 화정3동 분동
1990년 24,319명
1995년 23,322명
2000년 22,879명
2005년 20,920명
2010년 17,857명
2015년 11,834명
2020년 20,945명
2023년 12월 19,84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화정3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90년 1월 1일 화정2동 → 화정2동, 화정3동 분동
1990년 29,891명
1994년 7월 1일 화정3동화정3동, 화정4동 분동
1995년 17,934명
2000년 14,676명
2005년 13,256명
2010년 12,840명
2015년 12,109명
2020년 10,317명
2023년 12월 9,23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화정4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4년 7월 1일 화정3동 → 화정3동, 화정4동 분동
1995년 26,886명
2000년 25,580명
2005년 23,599명
2010년 22,145명
2015년 19,740명
2020년 15,833명
2023년 12월 19,50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서창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640명
1970년 12,452명
1975년 13,411명
1980년 12,946명
1985년 14,470명
1988년 1월 1일 광산군 → 광주직할시 편입
광산군 서창면 → 광산구 서창출장소 전환
1990년 10,689명
1995년 4월 20일 광산구 서창출장소 → 서구 편입 및 서창동 전환
1995년 27,887명
2000년 67,432명
2001년 8월 6일 서창동서창동, 금호풍암동 분동
2005년 5,211명
2010년 6,467명
2015년 6,624명
2020년 5,944명
2023년 12월 5,72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금호1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1년 8월 6일 서창동 → 서창동, 금호풍암동 분동
2003년 2월 17일 금호풍암동 → 금호동, 풍암동 분동
2005년 7월 4일 금호동 → 금호1동, 금호2동 분동
2005년 25,622명
2008년 24,823명
2009년 25,054명
2010년 25,000명
2011년 25,359명
2012년 25,211명
2013년 24,983명
2014년 24,313명
2015년 23,581명
2016년 23,014명
2017년 22,504명
2018년 21,944명
2019년 21,284명
2020년 20,570명
2021년 20,012명
2022년 19,982명
2023년 12월 19,50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금호2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5년 7월 4일 금호동 → 금호1동, 금호2동 분동
2005년 27,950명
2008년 30,122명
2009년 29,868명
2010년 30,032명
2011년 29,647명
2012년 29,753명
2013년 29,807명
2014년 29,231명
2015년 28,791명
2016년 29,173명
2017년 30,538명
2018년 30,308명
2019년 29,582명
2020년 29,122명
2021년 28,572명
2022년 27,531명
2023년 12월 27,2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풍암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2월 17일 금호풍암동 → 금호동, 풍암동 분동
2005년 40,127명
2008년 41,267명
2009년 41,248명
2010년 41,685명
2011년 41,690명
2012년 41,895명
2013년 42,581명
2014년 41,913명
2015년 41,395명
2016년 40,543명
2017년 39,827명
2018년 39,473명
2019년 38,391명
2020년 37,513명
2021년 36,781명
2022년 35,593명
2023년 12월 34,86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동천동 인구 추이
(2011년~현재)
2011년 10월 1일 북구 동림동 일부 + 운암1동 일부 → 동천동 신설
2011년 17,907명
2012년 18,231명
2013년 18,399명
2014년 18,282명
2015년 18,091명
2016년 17,950명
2017년 17,472명
2018년 17,363명
2019년 17,022명
2020년 16,369명
2021년 16,245명
2022년 15,828명
2023년 12월 15,46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4.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5b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5ba2>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5ba2> 2 <colbgcolor=#ffffff,#191919> 2순환로
경열로 · 계수로 · 군분2로 · 군분로 · 금부로 · 금화로 · 김치로
내방로 · 눌재로
독립로 · 동천로
마륵로 · 마륵복개로 · 마재로 · 매월1로 · 매월2로 · 매월3로 · 매월4로
발산로
상무공원로 · 상무누리로 · 상무번영로 · 상무버들로 · 상무민주로 · 상무시민로 · 상무연하로 · 상무오월로 · 상무자유로 · 상무중앙로 · 상무평화로 · 상일로 · 서광주로 · 송암로 · 송풍로 · 시청로 · 시청서편로 · 쌍촌로 · 쌍학로
양동로 · 운천로 · 월드컵4강로 · 월드컵남로 · 월드컵동로 · 월드컵서로 · 월산로 · 염화로 · 유덕로 · 유림로
천변좌로 · 천변우하로 · 천변좌하로 · 치평로 · 칠성로
풍금로 · 풍서우로 · 풍서좌로 · 풍암1로 · 풍암2로 · 풍암공원로 · 풍암순환로 · 풍암신암로 · 풍암신흥로 · 풍암운리로 · 풍암중앙로
학생독립로 · 화개1로 · 화개2로 · 화개중앙로 · 화운로 · 화정로 · 회재로
광주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노후 주택가가 있는 양동, 농성동과 아예 개발이 되지않은 마륵동, 서창동 쪽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택지개발로 정비된 신시가지라서 도로상황은 상당히 좋은 편이다. 동서로 하남대로, 무진대로, 상무대로가 관통하고, 남북으로는 빛고을대로-운천로, 화운로, 죽봉대로[12] 등이 관통하며, 남서쪽으로 광주제2순환도로가 지나간다. 고속도로는 접속해있지 않지만 빛고을대로, 제2순환도로 등을 이용하면 빠르게 고속도로로 진입할 수 있다.

광천동에 광주의 관문이라 할수 있는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이 있다.[13] 개발이 전혀 안된 서창동 일대를 제외하면 대부분 택지개발이 이뤄져서 버스교통은 훌륭한 편이다.

철도 교통으로는 남서쪽으로 경전선이 지나가며, 매월동서광주역이 있다. 다만 이용률이 매우 낮고, 하루 몇 차례만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상무대로를 따라 쌍촌동, 화정동, 농성동, 양동을 지나간다.

이후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고 나면 그간 지하철 사각지대였던 서구 택지지구의 중심(상무, 금호, 풍암지구)과 시청, 월드컵경기장을 지나가게 되어서 대중교통체계가 크게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5. 경제

기아 광주공장(오토랜드 광주)의 영향으로 광주에서 가장 잘 사는 동네. 광주광역시청이 위치한 상무지구를 필두로 광주의 행정, 경제를 책임지는 곳이며 유스퀘어와 상무지구가 있어 상권도 가장 발달한 동네이다. 당연히 광주에서 제일 가는 부촌.[14]

다만 최근 들어 광산구에게 부촌 타이틀을 빼앗길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광주가 광산구 일대도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과거 대전의 경우도 서구가 굉장히 잘 살았지만 유성구에게 타이틀을 빼앗긴 사례가 있듯이 광주 역시 그러한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대전 중심지인 둔산신도시의 경우 행정와 금융 등 대부분을 총괄하는 지역이지만, 광주 중심지인 상무지구의 경우 행정만 총괄하고 금융은 금남로(구 전남도청 일대) 일대가 총괄하고 있기 때문이다.

5.1. 금융

광주 서구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중앙은행
한국은행 (1)
국가기관
서광주우체국 (13)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4)
특수은행
수협은행 (2) 농협은행(중앙회) (8)
시중은행
신한은행 (3) 우리은행 (2)
SC제일은행 (1) 하나은행 (3)
국민은행 (5)
지방은행
광주은행 (15)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서창농협 (9) 서광주농협 (11) 광주원예농협 (2) 남광주농협 (1)
광주축협 (2)
수산업협동조합
장흥군수협 (1)
새마을금고
광주새마을금고(2) 양동새마을금고 (3) 온누리새마을금고 (2) 푸른새마을금고 (1)
무등새마을금고(2) 화정새마을금고 (2) 상무새마을금고 (3) 염주새마을금고 (1)
신흥새마을금고(3) 동광새마을금고 (1) 기아자동차광주공장새마을금고 (1) 광주광역시청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광주웨슬리신용협동조합 광주우리신용협동조합 광주원광신용협동조합 광주와이신용협동조합
광주향림신용협동조합 광주치과의사신용협동조합 양동행복신용협동조합 광주미래신용협동조합
광주중부신용협동조합 북동신용협동조합 삼애신용협동조합
화정신용협동조합 광주신우신용협동조합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페퍼저축은행 (1) 한국투자저축은행 (1) 대한상호저축은행 (1) OK저축은행 (1)

6. 교육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광주광역시 서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계수초등학교 광림초등학교 광주광천초등학교 광주극락초등학교 광주상무초등학교
광주서초등학교 광주양동초등학교 광주화정초등학교 금당초등학교 금부초등학교
금호초등학교 마재초등학교 만호초등학교 빛고을초등학교 살레시오초등학교
서광초등학교 성진초등학교 송학초등학교 신암초등학교 염주초등학교
운리초등학교 운천초등학교 유덕초등학교 유촌초등학교 주월초등학교
치평초등학교 풍암초등학교 화개초등학교 화정남초등학교 효광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광주광역시 서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광덕중학교 광주동명중학교 광주서석중학교 광주중학교 광주화정중학교
광주효광중학교 금호중학교 대자중학교 상무중학교 상일중학교
운리중학교 유덕중학교 전남중학교 치평중학교 풍암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광주광역시 서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광덕고등학교 광주대동고등학교 광주서석고등학교 광주여자고등학교
상무고등학교 상일여자고등학교 전남고등학교 풍암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여담으로 광주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대학교가 존재하지 않는 자치구이다.[18]

7. 의료기관

광주광역시의 경우 지역 내 최대 병원이 모두 동구에 몰려 있어 다른 자치구들은 중형 종합병원들이 굉장히 발달했다는 특징이 있다. 서구도 마찬가지여서 광주한국병원(쌍촌동, 249병상), 상무병원(치평동, 202병상), 서광병원(금호동, 198병상), 선한병원(광천동, 196병상), 미래로21병원(화정동, 192병상), 광주동림병원(동천동, 124병상) 등 중형 종합병원들이 산재해 있다.

8.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구(광주광역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하위 행정구역

파일:서구.jpg
서구 행정구역 변천사
전라남도 광주시
(全羅南道 光州市, 1949)
광주시
(光州市, 1955)
광주시
(光州市, 1957)
광주시
(光州市, 1963)
광주시 서구
(光州市 西區, 1973)
광주직할시 서구
(光州直割市 西區, 1986)
광주광역시 서구
(光州廣域市 西區, 1995)
광산군 극락면
(光山郡 極樂面, 1935)
광산군 서창면
(光山郡 西倉面, 1935)
광산군 서창면
(光山郡 西倉面, 1963)
광주직할시 광산구
(光州直割市 光山區, 198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구(광주광역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기타

2023년 12월, 광주광역시의 지역사연구인이 조선시대 이전에 상무대 일대 고읍터로 추정되는 장소가 발견했다고 주장해 주목되고 있다.

2024년 8월 22일 오후 1시 14분경 광주 치과 사제폭탄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

11. 출신 인물


[1] 법정동과 행정동이 모두 일치한다.[2] 2024년 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2024년 11월 기준.[4] 서구 가선거구 (양동, 양3동, 농성1동, 농성2동, 화정1동, 화정2동): 김수영, 김형미, 전승일
서구 나선거구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동천동): 오광록, 임성화
서구 다선거구 (화정3동, 화정4동, 풍암동): 고경애, 백종한
서구 라선거구 (상무2동, 서창동, 금호1동, 금호2동): 안형주, 윤정민
서구 비례대표: 김균호, 오미섭
[5] 서구 나선거구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동천동): 김태진[6] 서구 라선거구 (상무2동, 서창동, 금호1동, 금호2동): 김옥수[7] 서구 제1선거구 (양동, 양3동, 농성1동, 농성2동, 화정1동, 화정2동): 강수훈 (초선)
서구 제2선거구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동천동): 명진 (초선)
서구 제3선거구 (화정3동, 화정4동, 풍암동): 이명노 (초선)
서구 제4선거구 (상무2동, 서창동, 금호1동, 금호2동): 심철의 (재선)
[8] 이때 동구에서 현 남구 소속인 양림동, 방림동, 봉선동을 편입하였다.[9] 서창동은 같은 시기에 남구로 편입된 대촌동과 함께 1957년부터 1963년까지 잠시 광산군에서 광주시로 편입되었다가 환원된 적이 있다.[10] 원래 육군부대와 보병학교 등이 있었던 상무대가 있었지만 장성군으로 이전하였고 그 자리에 상무지구를 개발하였다.[11] 양림동, 방림1동, 방림2동, 봉선1동, 봉선2동, 사구동, 서1동, 서2동, 월산1동, 월산2동, 월산3동, 월산4동, 월산5동, 백운1동, 백운2동, 주월1동, 주월2동, 효덕동, 송암동[12] 1번 국도[13] 터미널 앞의 무진대로무려 왕복 16차로이지만, 신세계백화점+유스퀘어문화관+터미널 조합으로 언제나 헬게이트(...)다.[14] 참고로 남구 역시 서구와 광산구에 버금가는 부촌이다. 의사들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이기 때문. 판사, 검사, 변호사 등 법조계 종사자들은 고법, 지법, 고검, 지검 등이 있는 법조단지동구 지산동에 있기 때문에 주로 동구에 많이 살고 있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8] 원래 광주가톨릭대학교와 호남대학교 쌍촌캠퍼스가 있었으나 각각 1998년 나주, 2015년에 광산구로 모두 이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