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3 15:40:41

그라제니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000> 파일:코단샤 로고.svg파일:코단샤 로고 화이트.svg코단샤 만화상 종합부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6회부터 부문 신설 | 제43회까지는 일반부문 | 이후 현재 명칭
1982년
제6회
1983년
제7회
1984년
제8회
1985년
제9회
1986년
제10회
사냥꾼의 별자리 P.S. 잘 있습니다, 슌페이 AKIRA 이상한 두 사람 아돌프에게 고한다
왓츠 마이
1987년
제11회
1988년
제12회
1989년
제13회
1990년
제14회
1991년
제15회
액터 보노보노
비밥 하이스쿨
미즈키 시게루의 일본 현대사 고릴라맨
침묵의 함대
귀여운 악녀
시마 과장
1992년
제16회
1993년
제17회
1994년
제18회
1995년
제19회
1996년
제20회
나니와 금융도 기생수 아이언맨 하나다 소년사 이나중 탁구부
1997년
제21회
1998년
제22회
1999년
제23회
2000년
제24회
2001년
제25회
드래곤헤드 도박묵시록 카이지
창천항로
완간 미드나이트 배가본드 20세기 소년
2002년
제26회
2003년
제27회
2004년
제28회
2005년
제29회
2006년
제30회
지팡구 천재 유교수의 생활 바질리스크 코우가인법첩 드래곤 사쿠라 충사
2007년
제31회
2008년
제32회
2009년
제33회
2010년
제34회
2011년
제35회
크게 휘두르며 모야시몬 오! 나의 여신님 자이언트 킬링 우주형제
3월의 라이온
2012년
제36회
2013년
제37회
2014년
제38회
2015년
제39회
2016년
제40회
빈란드 사가 그라제니
감옥학원
쇼와 겐로쿠 라쿠고 신쥬 시도니아의 기사 코우노도리
2017년
제41회
2018년
제42회
2019년
제43회
2020년
제44회
2021년
제45회
더 페이블 프래자일
80세 마리코
어제 뭐 먹었어? 블루 피리어드 유리아 선생님의 붉은 실
2022년
제46회
2023년
제47회
하코즈메 ~파출소 여자들의 역습~ 스킵과 로퍼
소년부문 | 소녀부문 }}}}}}}}}
그라제니
グラゼニ
파일:그라제니1_정발.jpg
작품 정보
장르 스포츠, 야구, 드라마
작가 모리타카 유지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코단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산문화사
연재처 모닝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 모닝 K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산코믹스
그라제니
작화 아다치 케이지
연재 기간 2011년 2·3호 ~ 2014년 39호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17권 (2015. 01. 23.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7권 (2015. 05. 07. 完)
그라제니 ~도쿄돔 편~
작화 아다치 케이지
연재 기간 2014년 43호 ~ 2018년 11호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15권 (2018. 05. 23.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발매
그라제니 ~퍼시픽 리그 편~
작화 아다치 킨타로
연재 기간 2018년 17호 ~ 2021년 38호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13권 (2021. 08. 19.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발매
그라제니 ~메이저 리그 편~
작화 아다치 킨타로
연재 기간 2022年2・3호 ~ 연재 중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1권 (2022. 04. 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발매

1. 개요2. 줄거리3. 발매 현황4. 등장인물
4.1. 등장 구단들4.2. 진구 스파이더즈4.3. 다른 팀 선수4.4. 기타 야구인4.5. 일반인
5. 평가6. 미디어 믹스
6.1. 애니메이션
6.1.1. 주제가6.1.2. 회차 목록
7.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야구 만화. 스토리는 원작자인 모리타카 유지(森高夕次)[1]가 담당했으며, 작화는 아다치 케이지(アダチケイジ)→아다치 킨타로(足立金太郎)[2]가 담당했다.

좌완 원 포인트 릴리프 투수인 본다 나츠노스케를 주인공으로, 그 외에도 여러 구단의 프로 야구선수 및 해설자, 불펜 투수, 기자, 부상으로 은퇴한 선수, 야구를 소재로 하기 위해 취재하는 만화가 등 다양한 인간 군상을 다루고 있다. 지금까지의 주인공 중심의 스포츠 만화나 열혈물들과는 달리, 주인공이 은퇴 후의 진로를 걱정하거나, 연봉 협상하는 장면까지 나오는 등 현실의 모습을 보여주는 인간 드라마에 가깝다.

제목인 '그라제니'는 5~60년대 난카이 호크스 감독이었던 츠루오카 카즈토가 한 'グラウンドにはゼニが落ちている' (그라운드에는 제니(돈)가 떨어져 있다.)라는 말에서 따 왔다. 선수들의 동기부여를 위해 했던 말이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2012년 이 만화가 굉장해! 남성편 2위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 만화. 야구인들에게도 인기인 듯. 2012년 테레비 아사히의 연말 특집 프로그램 '나카이 마사히로의 프로야구 혼'에서 주인공 본다가 연봉협상을 하는 장면을 소개하기도 했다. 또 터치, H2아다치 미츠루와 일본 프로야구 전설의 명 포수인 후루타 아츠야의 대담에서도 화제로 오르기도 했다.

2. 줄거리


아래로는 240만 엔에서 위로는 수억 엔까지,
연봉에 따라 완전히 등급이 정해지는 초계급사회 프로야구.
본다 나츠노스케는 고졸로 프로에 입단한 8년차 중간계투요원.

좌완 사이드스로라는 색다른 무기와
전 구단 1군 선수의 연봉을 달달 외는 묘한 특기로
험난한 세계에서 필사적으로 생존경쟁을 펼친다!
― 학산문화사

3. 발매 현황

일본의 모닝 KC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2011년부터 연재되었는데 초기에는 부정기연재작이었다가 주간연재로 고정되어 2022년까지 꾸준히 연재중이다. 2021년 누계부수가 300만권을 돌파했다.

한국어판은 2013년 6월 학산문화사가 판권 계약을 했고, 2014년 3월부터 네이버 만화, 다음 만화속세상 만화마켓을 통해 볼 수 있는데 2014년 4월 25일에 1, 2권 초판이 발행됐다.

번역가는 서현아인데 번역의 질은 야빠들 기준으로 야구 용어 쪽에서 어색한 부분이 있다.[3] 단행본 3권부터 등장하는 유키의 경우, 오사카 템프터즈팬에 오사카 사람이라 원본에도 칸사이벤을 쓰는데, 일반적으로는 동남 방언으로 번역하지만 단행본에서는 표준어로 번역했다.

사실 야구용어 번역이 어색한 건 애니메이션(애니맥스 자막판)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면 AAA를 3A라고 하거나 삼자삼진 같이 한국에선 잘 안 쓰는 표현을 쓴다든가 하는 식으로.

네이버/다음에선 거의 2~3일에 한 화가 올라와서 정발 단행본보다 훨씬 앞섰다. 번역본이 많이 퍼졌던 것을 의식한 전략인 듯하다.

4. 등장인물

4.1. 등장 구단들

실제 NPB 구단들의 연고지와 이름을 약간씩 비슷하게 바꾸었다.
작중 구단명 실제 구단명
센트럴 리그
진구 스파이더즈 야쿠르트 스왈로즈
분쿄 몹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오사카 템프터즈 한신 타이거즈
카와사키 블루코메츠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세토우치 카나비스 히로시마 카프
나고야 와일드원즈 주니치 드래곤즈
퍼시픽 리그
삿포로 퍼플쉐도우즈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고베 옥스 오릭스 버팔로즈
토코로자와 재규어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센다이 골든카프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즈
마쿠하리 새비지 치바 롯데 마린즈
큐슈 샤프호크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4.2. 진구 스파이더즈

진구 스파이더즈 문서 참고.

4.3. 다른 팀 선수

4.4. 기타 야구인

4.5. 일반인

5. 평가

그래서 세이버매트릭스나 야구를 데이터로 해석하는 팬들에게는 불편하게 느껴질만한 부분이 있다. 좌완 원 포인트 릴리프가 주인공인 만화라지만 작중 내내 좌타자는 좌투수에 약하고, 우타자는 우투수에 약하다는 극심한 좌우놀이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투수의 연봉 고과를 논하는데 승/패만으로 정한다거나,[17] 팀의 주축 로테이션 투수가 자기 등판일정을 이틀 전까지도 모를 수 있다는 전개가 나오는 것도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18] 그러나 일본야구의 한 구단이 배경이므로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어도 딱히 이렇다 저렇다 말하기도 어렵다. 기상천외한 일화는 한국에도 많다. 통계적으로 크게 의미를 부여하기 힘든 득타율에 대한 맹신, 결승타에 대한 과도한 의미 부여등을 포함해서 '결과만 났다면 직선타보다 땅볼이 낫다'는 결과론적 분석이나, '포수 방어율'로 포수를 결정한다거나, '승리를 향한 집념' 같은 말에 대한 정신론적인 집착도 보인다.

일반적인 상식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 장면들도 여러 보이는데, 감독과 코치가 경기 내용에 대해 상당히 일희일비하며 조금만 부진하면 1군의 주전급 선수를 감정적으로 2군에 내리는 등 마치 야구게임을 하는듯한 모습이 자주 나온다. 다른 에피소드에서는 결정구가 없다지만 1군 투수의 공을 주인공인 원 포인트 릴리프가 타석에 서서 홈런을 치는 등 현실성보다는 일반적인 야구팬이 공상할 법한 내용들이 나오는 편이다.

또 아쉬운 점은 작가가 한국의 사정에 대해서는 무지하다는 것이다. 만화에서 한국에 대한 이야기는 한 대목 정도밖에 찾아볼 수 없는데, 작중에서 실적은 좋고 이번 시즌만 부상으로 부진한 한국인 불펜투수가 5천만엔 정도면 일본으로 와 줄 것이다라는 대목이 있는데 KBO 리그에서 일본으로 진출할만한 수준의 불펜 투수 중에 연봉 5천만엔을 받고 일본으로 진출할 투수는 아무도 없다는 사실. 만화가 그려지기 10여년이나 전에 이미 5천만엔을 넘었던 것.
이미 90년대 중반에 일본에 불펜투수로 진출했던 선동열의 첫 연봉이 1억엔[19]이었다. 일본에 진출할 실력이 되는 특급 불펜 선수면 한국에 남아도 그것보다 훨씬 많은 연봉을 받을 수 있다. 오승환은 한신 이적때 2년 9억엔 계약했고 임창용처럼 뭔가 꼬여서 오는 케이스도 연봉 30만달러(3억원)은 받았다. 보기보다 NPB에서 뛰었던 한국 선수들의 계약은 낮은 수준도 아니었고 그런 수준의 선수가 오지도 않았다. 김무영이나 신성현같이 무명의 선수는 아예 1군 최저연봉수준으로 계약하기 때문에 5천만엔급은 없다. 작가가 상대적으로 취재에 소홀했던 듯.

이렇듯 통계를 바탕으로 한 분석보다는 정신론을 바탕으로 한 분석이 많은데, 가장 심한 것은 현재 일본의 하드 야구팬들에게도 지적되는 '장타와 팀 베팅은 반비례한다'는 고정관념으로, 장타를 노리는 스윙을 위주로 하는 선수를 '동네 야구 아저씨'라며 폄하하기까지 하고, 스윙을 고쳤을 때 비로소 프로다워졌다고 칭찬하는 부분까지 있다. 이 외에도, 이러한 일본 특유의 야구 문화에서 비롯된 병폐를 미화하고 당연한 것인 양 떠드는 부분이 무진장 많다.

전체적으로 작가 편의주의가 심한 작품이다. 특히 후반부의 포스팅으로 미국에 진출했다가 돌아오는 과정은 리얼리티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황당함의 연속. 취재와 정보수집 면에서 일본 밖의 정보에 대해서는 미흡한 면이 보인다. 또한 초반부의 '토마스'라는 2군 외국인 투수의 에피소드에서는 야스쿠니등장하며 그 외에 외국인 선수들의 등장시 '일본 최고'라는 국뽕의 내용을 표현하는 부분도 은근히 많은 편이다.

위의 내용들은 대부분 야구팬들의 시점에서 보여지는 불편함을 지적하고 있는데, 그들의 시점을 떠나 이 작품의 만화적 재미를 논한다면 상당히 재밌다는 주장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만화로서의 재미가 떨어진다면 위의 비판자들도 구태여 불편함을 감수하면서까지 이 만화를 보지 않았을 것이다. 야구를 모르는 독자가 봐도 술술 읽히는 내용이고 무엇보다 위의 지적들은 이 만화의 주제가 현실적인 야구시합의 묘사가 아니라 현실적인 야구선수를 그리고 있다는 점을 망각한 주장들이다. 주인공 본다 나츠노스케는 노력으로 재능을 뛰어넘거나 마구를 던져대거나 고교생이면서 태연하게 150/km를 던지는 캐릭터가 아니다.
일본 고등학생들이 NBA급 기량을 보이는 슬램덩크는 현실적인가? 터치H2를 보며 야구묘사가 현실적이지 못하다고 비평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비현실적이고 작가편의주의라는 평가 역시도 만화라는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지적으로 볼 수 있다. 영화도 마찬가지지만 만화 역시 다큐멘터리가 아니고 현실을 반영하는 것은 좋을 수 있지만 그것이 만화적 재미보다 우선돼야 할 이유도 없기 때문이다.

작가의 야구관이 상당히 낡아보인다는 점에는 큰 이견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로인해 본 작이 상술된 것처럼 일방적으로 야박한 평가를 받을 이유도 없다. 매 투구를 전력으로 던져야만 간신히 프로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B급 중간계투 본다 나츠노스케라는 주인공은 충분히 참신하고 매력적이다. 모든 결과가 연봉 곧 돈으로 귀결되는 프로선수들의 애환과 짧은 수명을 가진 특수한 환경의 직장인으로서의 야구선수를 그려내는 것이 이 작품만의 참신함이며 매력이다.

6. 미디어 믹스

6.1. 애니메이션

그라제니 (2018)
グラゼニ
파일:bottom_image_OIMaTm.jpg
{{{#010101,#01010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스포츠, 야구, 드라마
원작 원안: 모리타카 유지(森高夕次)
그림: 아다치 케이지(アダチケイジ)
감독 와타나베 아유무
시리즈 구성 타카야시키 히데오(高屋敷英夫)[20]
캐릭터 디자인 오오누키 켄이치
서브 캐릭터 디자인 타카오카 준이치(高岡淳一)
미술 감독 카토 히로시(加藤 浩)
사카가미 히로후미(坂上裕文)
색채 설계 마츠모토 신지(松本真司)
촬영 감독 코시야마 아사히코(越山麻彦)
3D 감독 하마무라 토시로(濱村敏郎)
편집 오노데라 케이코(小野寺桂子)
음향 감독 츠지타니 코지
음향 제작 Ai Addiction
음악 타다 아키후미(多田彰文)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와타나베 야스히로(渡部康弘)
마츠시타 타쿠야(松下卓也)
프로듀서 나가우치 아츠시(長内 敦)
야마자키 요시히코(山崎慶彦)시즌 1
카토 칸무리(加藤 冠)시즌 2
이토 요헤이(伊藤洋平)시즌 2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우라사키 노부미츠(浦崎宣光)시즌 1
이치오카 다이스케(市岡大輔)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딘
제작 스카파!
코단샤
방영 기간 2018. 04. 06. ~ 2018. 06. 23.시즌 1
2018. 10. 05. ~ 2018. 12. 21.시즌 2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BS 스카파! / (금) 22: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맥스 코리아
(수) 00:00시즌 1
(화) 00:30시즌 2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4화 (분할 2쿨)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TV 애니메이션이 제작되어 분할 2쿨 체제로 총 24화가 방영되었다. 감독은 와타나베 아유무, 방영 시기는 2018년 4월2018년 10월.

6.1.1. 주제가

6.1.1.1. OP
OP
メリゴ feat.SKY-HI
메리고 feat.SKY-HI
TV ver.
Full ver.
Live ver.
<colbgcolor=#afe6fa,#afe6fa><colcolor=#010101,#010101> 노래 사이프레스 우에노와 로베르트 요시노
(サイプレス上野とロベルト吉野)
작사 사이프레스 우에노(サイプレス上野)
SKY-HI
작곡 이와사키 타이세이(岩崎太整)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fe6fa,#afe6fa><colcolor=#010101,#010101> 콘티 와타나베 아유무
연출 우치다 신고(内田信吾)
작화감독 야마다 마사키
쿠도 유카
타카오카 준이치(高岡淳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6.1.1.2. ED
ED
SHADOW MONSTER
[21]
시즌 1 TVA ver.
시즌 2 TVA ver.
Full ver.
<colbgcolor=#afe6fa,#afe6fa><colcolor=#010101,#010101> 노래 토키 아사코
작사
작곡 토오미 요우(トオミヨウ)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시즌 1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fe6fa,#afe6fa><colcolor=#010101,#010101> 콘티 와타나베 아유무
연출 무라타 나오키(村田尚樹)
작화감독 ALBACROW
원화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시즌 2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fe6fa,#afe6fa><colcolor=#010101,#010101> 콘티 모리타카 유지(森高夕次)
연출 무라타 나오키(村田尚樹)
작화감독 야마다 마사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
2018년 10월 방영분에서는 엔딩의 그림만 바뀌었다.

6.1.2. 회차 목록

<rowcolor=#010101,#010101> 회차 제목[22]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rowcolor=#010101,#010101> 시즌 1
제1화 「僕の職場」
나의 직장
「谷間」
땜빵
와타나베 아유무 요시다 슌지
(吉田俊司)
마루오 하지메
(丸尾 一)
오오니시 요이치
쿠도 유카 日: 2018.04.06.
韓: 2018.04.11.

하이라이트
제2화 「習性」
습성
「友達(ダチ)」
친구
사이토 노리아키
(齋藤徳明)
무라타 나오키
(村田尚樹)
아오노 아츠시 야마다 마사키 日: 2018.04.13.
韓: 2018.04.18.

하이라이트
제3화 「県人会」
향우회
후지와라 료지
(藤原良二)
마타노 히로미치
(又野弘道)
시게마츠 신이치
(重松普一)
오다 마유미
(小田真弓)
쿠도 유카 日: 2018.04.20.
韓: 2018.04.25.

하이라이트
제4화 「引退へのレール」
은퇴로 가는 레일
「プロになれなかった男」
프로가 되지 못한 남자
시무라 히로아키 요시다 슌지 나카쿠마 타이치
(中熊太一)
아오노 아츠시
모리 에츠히토
(森 悦史)
야마다 마사키 日: 2018.04.27.
韓: 2018.05.02.

하이라이트
제5화 「安全な株・危険な株」
안전주・위험주
사이토 노리아키 카도타 히데히코
(門田英彦)
권용상
(權容祥)
쿠도 유카 日: 2018.05.04.
韓: 2018.05.09.

하이라이트
제6화 「倍数」
배수
후지와라 료지 무라타 나오키 와다 신이치
(和田伸一)
아오노 아츠시
오오니시 요이치
오카도 치가이
(岡戸智凱)
야마다 마사키 日: 2018.05.11.
韓: 2018.05.16.

하이라이트
제7화 「二軍なのに一軍」
2군이지만 1군
보브 시라하타
(ボブ白旗)
마타노 히로미치 시게마츠 신이치
오다 마유미
야나기노 타츠오
(柳野龍男)
쿠도 유카 日: 2018.05.18.
韓: 2018.05.23.

하이라이트
제8화 「球場までの通勤事情」
구장까지의 통근 사정
사이토 노리아키 마에조노 후미오
(前園文夫)
아오야기 켄지
(青柳謙二)
오가사와라 리에
(小笠原理恵)
이카이 카즈유키
야마다 마사키 日: 2018.05.25.
韓: 2018.05.30.

하이라이트
제9화 「教師or反面教師」
교사 or 반면 교사
후지와라 료지 츠치야 히로유키
(土屋浩幸)
나카쿠마 타이치
야마무라 토시유키
(山村俊了)
모리 에츠히토
日: 2018.06.01.
韓: 2018.06.06.

하이라이트
제10화 「高卒と大卒」
고졸과 대졸
사이토 노리아키 카도타 히데히코 권용상 日: 2018.06.08.
韓: 2018.06.13.

하이라이트
제11화 「投げるタマがない」
던질 공이 없어
시무라 히로아키 코가 카즈오미 아오야기 켄지
오가사와라 리에
이카이 카즈유키
日: 2018.06.15.
韓: 2018.06.20.

하이라이트
제12화 「コドクなグルメ」
고독한 미식가
니시자와 스스무 요시다 슌지 아오노 아츠시
오오니시 요이치
모리 에츠히토
日: 2018.06.22.
韓: 2018.06.27.

하이라이트
<rowcolor=#010101,#010101> 시즌 2
제13화 「一軍復帰」
1군 복귀
후지와라 료지 무라타 나오키 나카쿠마 타이치
오다 마유미
키노시타 유키
아오노 아츠시
모리 에츠히토
오카도 치가이
쿠도 유카 日: 2018.10.05.
韓: 2018.10.09.

하이라이트
제14화 「甘チャン」
어리광쟁이
사이토 노리아키 카도타 히데히코 권용상 야마다 마사키 日: 2018.10.12.
韓: 2018.10.16.

하이라이트
제15화 「首位浮上」
수위 부상
마타노 히로미치 오오니시 요이치
야나기노 미요코
(柳野美代子)
쿠도 유카 日: 2018.10.19.
韓: 2018.10.23.

하이라이트
제16화 「祝・リーグ優勝」
축 리그 우승
후지와라 료지 마에야 토시히로
(前屋俊広)
마스이 잇페이
(桝井一平)
야마모토 미치코
(山本径子)
야마다 마사키 日: 2018.10.26.
韓: 2018.10.30.

하이라이트
제17화 「ココだけのおハナシ」
여기서만 하는 이야기
보브 시라하타 와타나베 마사히코
(渡辺正彦)
아오야기 켄지
오가사와라 리에
이카이 카즈유키
日: 2018.11.02.
韓: 2018.11.06.

하이라이트
제18화 「さびしい季節」
쓸쓸한 계절
요시다 슌지 야마무라 토시유키
시게마츠 신이치
오카도 치가이
日: 2018.11.09.
韓: 2018.11.13.

하이라이트
제19화 「戦力外通告」
전력 외 통고
사이토 노리아키 카도타 히데히코 권용상 쿠도 유카 日: 2018.11.16.
韓: 2018.11.20.

하이라이트
제20화 「ファン感謝デー」
팬 감사데이
후지와라 료지 마타노 히로미치 오다 마유미
오오니시 요이치
아오노 아츠시
야마다 마사키 日: 2018.11.23.
韓: 2018.11.27.

하이라이트
제21화 「無職で結婚…!?」
무직으로 결혼...!?
무라타 나오키 모리 에츠히토
나카쿠마 타이치
키노시타 유키
쿠도 유카 日: 2018.11.30.
韓: 2018.12.04.

하이라이트
제22화 「いきなり大逆転!」
갑자기 대역전!
후지와라 료지 이이무라 마사유키
(飯村正之)
마스이 잇페이
나스노 후미
(那須野 文)
야마다 마사키 日: 2018.12.07.
韓: 2018.12.11.

하이라이트
제23화 「契約更改・前編」
계약 갱신 전편
사이토 노리아키 와타나베 마사히코 아오야기 켄지
오가사와라 리에
이카이 카즈유키
쿠도 유카 日: 2018.12.14.
韓: 2018.12.18.

하이라이트
제24화 「契約更改・後編」
계약 갱신 후편
요시다 슌지 나카쿠마 타이치
오다 마유미
오오니시 요이치
오오누키 켄이치 日: 2018.12.21.
韓: 2018.12.25.

하이라이트

7. 기타



[1] 오랫동안 야구를 소재로 작품 활동을 해온 만화가 겸 스토리 작가로, 한국에 소개된 원작 담당 작품으로는 '숏바운드', '스트라이프 블루'가 있고 작화 담당 작품으로는 아는 사람은 아는 세기말의 괴작 '사막의 야구부'가 대표작이다.[2] 동일 작가로서, 2018년 무렵에 펜네임만 바꾼 것이다.[3] 예를 들어 마무리 투수를 한국에서는 2010년대부터 클로저라고 부르는 게 일반적이나 과거 미국이나 연재 당시 일본에서 부르는 명칭 그대로(즉 원본 그대로) 스토퍼로 적었다. 또한, 불펜투수 중 고정적인 보직 없이 이런저런 상황에 마구 써먹는 투수를 야구계 용어로 마당쇠라고 하는데, 이를 해결사라고 번역했다. 해결사는 야구계에서는 득점권 타율이 높은 타자를 말하는 단어로 투수에게는 어울리는 단어가 아니다. 또, 선발 투수라는 단어와 로테이션 투수라는 단어를 혼용하는 등 전반적으로 야구용어의 용법을 모르고 번역한 티가 너무 난다.[4] 센트럴 리그쪽이므로 지명타자가 없다.[5] 여담이지만 모티브가 된 히로시마 도요 카프는 2013년 22년만에 A클래스로 클라이맥스 시리즈 출전에 성공했다.[6] 성우는 마스다 토시키.[7] 본다가 2011시즌 교류전때 부상크리로 쉬는 바람에 교류전 묘사가 완전히 사라지면서 퍼시픽리그 팀은 이름만 스쳐지나가듯 나온다. 그나마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가 모델로 추정되는 2011 일본시리즈 준우승팀 토코로자와 재규어스 정도만 제대로 언급된 상태. 하지만 퍼시픽리그의 모든 팀의 이름이 10권에서 공개되었는데 2011년도 순위 순으로 고베 옥스(오릭스 버팔로즈), 마쿠하리 새비지(치바 롯데 마린즈), 토코로자와 재규어스(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센다이 골든카프스(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큐슈 샤프호크스(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삿포로 퍼플쉐도우즈(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이다. 세상에 고베 옥스가 파리그 1위라고?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날 했습니다[8] 성우는 토죠 히사코.[9] 고리는 이마에의 별명이다. 작중에서 일본시리즈에 강한 것도 실제 이마에와 닮았고.실제 이마에는 근데 일본시리즈 꼴랑 두번 갔다[10] 작중에선 쓰리심이라고 나왔는데, 그립으로 볼땐 커터로 보인다.[11] 부인의 이름은 아케미. 성우는 나가오 아키.[12] 한국이건 일본이건 운동부가 다른 학교 운동부와 싸움질해서 문제가 되면 징계가 크다. 특히 당시 학교 에이스였던 니시우라가 오오노 패거리와 싸움질을 했다가 걸리게 되면 진로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도 크다. 니시우라는 그럼에도 앞뒤 안보고 술담배를 하던 지역내 타학교 1학년 야구선수 오오노의 비행에 화를 내며 훈계하고 주먹다짐도 불사하려 했지만 다행히 그 직전에 본다가 말려서 넘어가게 된 것이다.[13] 오히려 열심히 살아서 통풍이 온 걸 수도 있다. 프로 실패후에 본다와 비슷한 20대 후반의 나이에 방송국까지 진로변경을 하는건 쉽지 않은 일로, 보수적인 일본 방송계, 야구계 문화를 봤을 때 니시우라 같은 고졸 야구선수가 1년에 만명은 넘게 나오는 이 바닥에서 빨리 일을 구하려면 열심히 술자리 따라다니면서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한 어렵기 때문.[14] 야마나시현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야마나시 사람들에게 다케다 신겐은 말 그대로 신겐공, 최고의 찬사이자 존경이다.[15] 정발판 단행본 번역에는 카와사키 블루코메츠로 되어있다.[16] 애니메이션에서는 전개가 약간 달라졌다.[17] 물론 연봉은 단순히 실력으로 줄세우는 게 아니고 그 해에 그 선수가 결과적으로 얼마나 팀에 기여를 했는가 하는 부분을 고려해야 하기에 클래식 스텟이 중요하게 고려될 수밖에 없기는 하다. 그리고 이대호 선수의 협상을 봐도 알 수 있듯, 선수가 직접 협상할 경우 데이터로 싸우면 팀을 이길 수 없고 팀의 결론에 대해서 반박할 수 있는 방향은 한정된 편이다. 다만 대리인을 세우고도 승패나 감정론으로 협상하는 부분은 아쉬운 부분.[18] 그때그때 바뀌거나 3~5이닝만을 기대하는 땜빵선발이 아닌 한 선발 투수는 정해진 루틴이 있으므로 미리 공개되지 않았을 뿐 자신의 등판일은 알 수밖에 없게 되어 있다. 감독이 경기 전날에 결정하는 경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경우에도 가능한 투수들 모두에게 루틴을 준비시키지 갑자기 "내일 너 선발" 식으로 통지하지는 않는다. 물론 그런 식으로 운영하는 감독이 아주 없지는 않았다[19] 심지어 진출 2년 뒤 연봉이 더 올랐다.[20] 시리즈 구성 대표작: 메종일각, 도박묵시록 카이지 등.[21] 대체로 원곡의 1절 부분만 차용하는 일본 애니 엔딩곡의 경향과는 다르게 2절 부분을 차용하였다. 아마도 메인 히로인이 등장하는 엔딩의 내용에 맞추기 위해서 인듯.[22]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23] 난카이 호크스의 명 감독이었던 츠루오카 카즈토가 한 말.[24] 센트럴리그에서 선발 예고제는 2012년 도입됨.[25] 참고로 그라제니와 자이언트 킬링 둘 다 주간 모닝에서 연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