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 ]]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0em; min-height:2em" {{{#!folding [ 게임 관련 정보 ] {{{#!wiki style="margin:0 0 -25px; padding-bottom:10px"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정보 | 문명 · 지도 · 유닛(연대기) · 영웅 · 건물 · 기술 · 도전 과제 · 방어 유형 | |||||
시리즈 목록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에이지 오브 킹| 에이지 ]]오브 킹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정복자| 정복자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포가튼| 포가튼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아프리카 왕국| 아프리카 ]]왕국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라자의 부흥| 라자의 ]]부흥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s-5| 마지막 ]]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2| 서쪽의 ]]군주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3| 군주들의 ]]여명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4| 인도 ]]왕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로마의 귀환| 로마의 ]]귀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6| 마운틴 ]]로열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7| 승자와 ]]패자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8| 연대기: 그리스 전쟁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9| 삼국지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0em; min-height:2em" {{{#!folding [ 캠페인 목록 ] | {{{#!wiki style="margin:-15px -10px" | 결정판 이전 캠페인 공략 목록 | 에이지 오브 킹 · 정복자 · 포가튼 · 아프리카 왕국 · 라자의 부흥 | }}} | |||
결정판 캠페인 공략 개괄 | |||||||
아프리카 | |||||||
아메리카 | |||||||
아시아 | |||||||
유럽 | |||||||
서유럽 | |||||||
동유럽 | |||||||
남아시아 | |||||||
코카서스 | |||||||
중국 | |||||||
역사적인 전투 | |||||||
승자와 패자 | |||||||
로마의 귀환 |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 |||||||
그리스 전쟁 |
- [ 문명 목록 ]
- ||
1. 개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에 나오는 기병양성소에서 양성할 수 있는 중기병 유닛.(일부 문명 제외)에이지 오브 킹스부터 결정판까지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의 역사를 통틀어 궁사와 더불어 주력 병종의 자리를 차지한 유닛으로, 거의 에오엠2의 철밥통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실전에서 주력 병종의 자리를 벋어난 적이 없는 유닛이다.
기사가 실전에서 주력으로 쓰이는 이유는 기사가 다른 병종들과 비교시 범용성이 제일 크기 때문이다. 높은 체력에다가 근접/원거리 방어력도 높고, 공격력도 높으며, 준수한 이동 속도 등 스펙상으로는 딱히 흠을 잡을 것이 전혀 없는 병종이 기사다. 다른 병종들은 이동 속도가 빠른 대신 내구력이 약하거나 체력과 공격력은 높지만 이동 속도가 느려 기동성이 꽝인 병종이 있는 등 뚜렷한 강점이 있으면 뚜렷한 단점이 존재하는 반면, 기사는 내구력과 기동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병종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강점이 뚜렷한 반면 단점은 비싼 비용 말고는 뚜렷한 단점이 없는 병종이다.
이런 높은 범용성 덕분에 기사는 대부분의 유닛에게 우위를 점해 많은 유저들이 선호하는 유닛이며, 그만큼 실전에서 자주 쓰이는 유닛이다. 기사를 아예 사용 불가능한 문명이 아닌 이상 대부분의 문명은 기사를 주력으로 자주 많이 사용한다. 기사에 보너스가 있는 기병 문명은 말할것도 없고, 기병 문명이 아니더라도 중국이나 포르투갈 처럼 기병 성능이 준수한 문명들도 기사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켈트 같은 기병 성능이 나쁜 문명도 범용성 때문에 기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실전에서 기사는 매우 활용도가 높은 유닛이다.
물론 이런 기사에게도 카운터는 존재한다. 일단 창병 계열 유닛에게 엄청난 보너스 데미지를 받는데, 장창병은 스펙 차이로 어느 정도 커버가 가능하지만 미늘창병 쯤 되면 보너스 데미지가 32나 되기 때문에 약 2배 이상의 창병 물량이 쌓여있으면 기사만 내보내는 건 금을 버리는 짓이다. 왕정 시대쯤에는 금 안드는 창병이 초당 몇마리씩 쏟아져 나오는 것도 다반사인 관계로 창병에 대처할 유닛, 예를 들어 척후병이나 중스콜, 총통병 등과 조합을 해줘야 한다.
낙타 기병 또한 창병과 마찬가지로 기사에게 강한 유닛으로, 낙타 기병는 1:1에서 기사를 상대로 이길 수 있으며, 왕정 시대에서도 풀업 중형 낙타는 풀업 팔라딘을 상대로 1:1에서 이긴다. 혈통, 용광로 업그레이드가 지원되지 않는 풀업 비잔틴 중형 낙타도 비잔틴 문명 보너스인 낙타 양성자원 소모 -25% 때문에 더 많은 낙타 기병을 뽑을 수 있으므로[1] 동 자원에서 기사를 압도할 수 있다. 그 외로 전투 코끼리와 수도사 또한 주의해야 할 유닛으로, 전투 코끼리는 스펙상으로 기사를 가볍게 이기고, 수도사는 전향을 통해서 비싼 기사를 빼앗을 수 있어 기사를 운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1.1. 게임 내 성능
<colbgcolor=#00B5E3><colcolor=white> 초상화 | | | | | |||||
명칭 | 기사 Knight | 고급 기병 Cavalier | 팔라딘 Paladin | 사바르 Savar | |||||
업그레이드 비용 | - | | | | |||||
HP | 100 | 120 | 160 | 145 | |||||
공격력 | 10 | 12 | 14 | ||||||
추가 공격력 | {{{#!wiki style="margin:0px -10px -6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추가 공격력 목록]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colcolor=white><rowcolor=white><colbgcolor=#00B5E3> | 기사 | 고급 기병 | 팔라딘 | 사바르 | |||
궁사 | - | - | - | 2 |
방어력 (근접/원거리) | 2/2 | 2/3 | 3/4 | ||
이동 속도 | 1.35 | ||||
시야 | 5 | ||||
양성 시간 | 30초 | ||||
공격 속도 | 1.8 | 1.9 | 1.8 | ||
방어 유형 | 기병 | ||||
양성 비용 | |
- 기사 Knight
- 양성 불가능 문명: 금, 요, 힌두스탄, 드라비다, 구르자라, 아즈텍, 잉카, 마야, 위, 촉, 오
- 고급 기병 Cavalier
- 양성 불가능 문명: 사라센
고급 기병이 특출나게 강한 문명은 시칠리아인, 불가리아인, 말리인, 로마인이 있다. 우선 시칠리아는 풀업이 지원되고, '호버크'라는 특수 업그레이드를 통해 최종적으로 팔라딘보다 단단한 방어력 6/8의 고급기병을 뽑으며, 무엇보다 문명 보너스로 카운터 데미지가 33% 감소되어 중기병의 공포라는 미늘창병을 상대로도 그럭저럭 싸울 수 있기 때문에 주력 유닛으로 활약한다. 불가리아는 역시 풀업인데다 '등자' 업그레이드로 공격 속도를 25% 증가시킬 수 있어 일반 풀업 팔라딘[2]에 살짝 못 미치는 전투력을 자랑한다. 말리인은 비록 용광로가 없지만, 특수업 '파림바'로 공격력이 5나 증가해 팔라딘과 비견되는 공격 능력을 갖게 된다. 로마인은 '기동 야전군' 특수 업그레이드를 통해 +5의 차징 공격과 함께 프랑크의 기사도보다도 빠른 +50%의 양성 속도를 통해 고급 기병을 이론상 허스칼급으로 바글바글 모을 수 있다.
- 팔라딘 Paladin
- 양성 불가능 문명: 고트, 로마, 말레이, 말리, 몽골, 바이킹, 버마, 베르베르, 베트남, 보헤미아, 불가리아, 브리튼, 슬라브, 시칠리아, 아르메니아, 에티오피아, 이탈리아, 일본, 조선, 조지아, 중국, 크메르, 타타르, 튀르크, 포르투갈, 폴란드
결정판 인도 왕조 기준으로 가장 강력한 팔라딘을 가진 문명은 프랑크, 튜턴, 리투아니아 3개를 꼽을 수 있다. 단순하게 풀업 상태에서 서로 맞붙여보면 '유물 4개의 리투아니아 팔라딘 > 튜턴 팔라딘 ≒ 유물 3개의 리투아니아 팔라딘 > 프랑크 팔라딘'의 결과가 나오지만, 땡기사전만 벌어지는 게 아닌 실전에선 우열을 논하기가 쉽지 않다. 프랑크 팔라딘은 비록 저 셋 중 땡기사전에서 가장 약하지만, 문명 자체가 기사 올인인 덕분에 팔라딘 대부대를 꾸리는 게 가장 쉬우며 깡체력이 제일 높기 때문에 적의 원거리 화력이나 방어력을 무시하는 특수 유닛들을 가장 잘 상대할 수 있다. 튜턴족 팔라딘은 풀업 시 7의 엄청난 근접 방어력으로 근접전은 최강이지만, 반대로 원거리 방어력과 체력이 일반 풀업 팔라딘과 똑같은데다 사육술의 부재로 속도가 제일 느려 대원거리 성능은 가장 떨어진다. 리투아니아 팔라딘은 유물 4개를 다 모을 시 이론상으로 최고지만, 말 그대로 유물 4개가 모였을 때에만 능력치가 완성되기에 실제로 제 성능을 보기가 가장 어렵다. 앞의 두 문명은 팔라딘의 강점이 시대업만 해도 자동으로 갖춰지는 반면, 리투아니아는 유물을 제때 못 모으거나 상대의 유물 견제에 휘둘리면 일반 풀업 팔라딘만도 못한 계륵 유닛밖에 남을 수도 있다.
- 사바르 Savar
1.1.1. 기사 대체 유닛
- 솔로틀 전사 Xolotl Warrior
중남미 문명 전용 유닛으로 기병양성소를 전향하면 양성이 가능하다. 항목 참조.자세한 내용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유닛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유닛#s-|]]번 문단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유닛#솔로틀 전사|솔로틀 전사]][[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유닛#|]] 부분을
- 흑광 기병 Hei Guang Cavalry
위, 촉, 오에서 양성 가능한 기사 대체 기병 유닛. 양손검 모션을 사용하고 기사보다 공격력, 방어력이 높지만 체력이 더 낮다.# '정예 흑광 기병'으로 승급할 수 있다.
1.2. 문명 보너스
1.2.1. 고급 기병
※ 고급 기병까지만 양성 가능한 문명 중 적용되는 보너스나 관련 특수기술이 있는 경우.- 불가리아인 : 공격속도 +25%[3]
- 베르베르인 : 양성 가격 성주시대 부터 각각 -15%, -20%
- 말리인 : 공격력 +5[4]
- 시칠리아인 : 카운터 데미지 -33% / 근, 원거리 방어력 각각 +1, +2[5]
- 폴란드인 : 양성 시 금 소비량 -60%[6][7]
- 로마인 : 양성 속도 +50% 및 충전 공격[8]
- 중국인 : 기술 연구 비용 봉건 시대부터 각각 -5%, -10%, -15%
- 벵골인 : 척후병에 대한 공격력 +2
- 베트남인 : 징병 무료
- 버마인 : 궁사에 대한 공격력 +4[9]
- 타타르인 : 고지대에서 공격시 추가 데미지 +25%
- 조지아인 : 고지대에서 방어시 추가 피해 -15% / 봉건시대부터 분당 5, 10, 15의 체력 회복 / 인구수 -15%[10]
1.2.2. 팔라딘
※ 양성 가능하나 관련 보너스가 없는 문명: 비잔티움- 프랑크족 : 체력 +20% / 양성 및 업그레이드 속도 +40%[11] / 시야 +2
- 마자르족 : 단조물, 철 거푸집, 용광로 업그레이드 무료
- 스페인인 : 대장간 업그레이드에 금이 들지 않음
- 훈족 : 양성, 업그레이드 속도 +20%(팀)
- 페르시아인 : 궁사에 대한 공격력 +2(팀) / 팔라딘 대신 사바르 승급
- 튜턴족 : 근접 방어력 성주 시대 +1, 왕정 시대 +1 / (팀)전향에 대한 저항력 높음
- 쿠만인 : 봉건 시대부터 이동 속도 +5%, +10%, +15%
- 리투아니아인 : 수도원에 배치된 유물 한 개 당 공격력 +1(최대 +4)
- 부르고뉴인 : 고급 기병, 팔라딘 승급 비용 -50% / 성주 시대부터 고급 기병 승급 가능
- 켈트족 : 시야에 있는 가축은 전향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