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김해 버스 140 한정으로 시내버스도 운행 중[2] 원래 2012년 9월에 태영운송그룹이 인수하여 홈페이지에 계열사로 기재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홈페이지에서도 사라지고 관계사로 남아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단 참고.[3] 2016년 말에 태영운송그룹에서 분리되었다.[4] 김해공항리무진 운영[5] 태영운송그룹 소속 시티투어 노선 운영[6] 태종대 노선 한정[7]볼보버스의 대한민국 내 수입 대리점이다.[8]골든드래곤의 대한민국 내 수입 대리점이다. 본업은 부산·김해 시내버스의 광고 대리점이다.
태영버스의 전국 최초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F/L와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에 이어 5년 만에 출고하는 현대 도시형버스로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좌석 2대를 출고해 220번에 투입했으며,[3] 그린시티 개선형도 5대 출고해 상동공영1번, 상동공영2번, 10번, 31번, 35번에 1대씩 투입했으며, 오른쪽 맨 앞창문이 통유리이며, 스펀지 시트와 롱 기어가 장착되었다.[4]
유독 해당 업체 노선이 운행 도중에 BIS에서 사라지는 일이 많다.[5] 읍면 지역을 다니는 노선들이 대부분 그렇다.
[1] 김해BUS는 일반형/신인운수, 신촌교통은 저상형. 참고로 디젤은 통영교통에서 2019년 6월 말까지 굴렸다. 이로써 전국 최후의 페이스리프트 되기 이전 도시형버스는 53번에서 예비차량으로 굴리고 있는 부천 부일교통 2009년식 BS090 1대가 되었으나 2020년 7월 1일에 대차되었다.[2] 대우차는 스타렉스의 경쟁모델이 없으며, 현대차 이외 제조사에서 수소전기버스를 개발하지 않는 이상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를 뽑을 가능성도 있다. 계열사인 태영버스에서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 차량 통일 문제로 유니버스를 출고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는 FX를 투입함에 따라 차량통일은 더 이상 없는 것으로 보인다.[3] 여태까지 대머리로 출고하던 태영운송그룹이 전면 행선판이 달린 차량으로 출고했다.[4] 가야IBS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입석 1대 출고했으며, 태영버스와 마찬가지로 로우백 시트와 숏 기어가 장착되었다.[5] 약 10분 내외로 다시 나타나지만, 그동안 뭘 했는지 몰라도 끊긴 시점 그 자리 그대로에서 다시 나타난다.[6] 차종은 BS110CN F/L. 무려 2대나 남아있었다. 하지만, 내구연한이 만료되어 휴차 상태에 있다가 8월에 폐차되었다.[7] 다른 하나는 같은 지역 업체인 동부교통이 예비 차량으로 운행했으며, 2024년 12월에 폐차되었다.[8] 관계사까지 포함하면 마창여객과 신어BTS가 더 먼저 도입했다.[R] 레스타 차량 운행 노선[R][11] 그래도 이 노선은 코로나19 이전에는 배차간격이 조금 좋았다. 옛날에는 더 좋은 배차간격으로 다녔으나. 지속적인 감차로 30분 간격으로 늘어났다. 그래도 김해BUS의 주력 노선이며, 부산 128-1번과 김해 8번에도 밀려도 열심히 달려주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이젠 다른 노선들처럼 50~60분에 1대씩 온다.[R][R][R][R][R][R][R][S] 스타렉스 운행 노선[M] 르노마스터 운행 노선[M] 르노마스터 운행 노선[M] 르노마스터 운행 노선[23] 914번 전용[24] 전국 최후 가스 동글이 고상형을 운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