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20:42:18

제시 린가드

나도 미스코리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4 시즌 FC 서울에서의 경기와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제시 린가드/클럽 경력/2024 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백종범 · 2 황현수 · 3 권완규 · 6 기성용 파일:부상 아이콘.svg
C
· 7 임상협 · 8 이승모 · 9 김신진 · 10 린가드 · 11 강성진
14 술라카 · 15 강상우 · 16 최준 · 17 김진야 · 18 황성민 · 19 김경민 · 20 김현덕 · 21 최철원 · 23 허동민
24 조영광 · 25 백상훈 · 26 팔로세비치 · 27 민지훈 · 28 손승범 · 29 류재문 · 30 김주성 파일:부상 아이콘.svg · 32 조영욱
VC
파일:부상 아이콘.svg
33 배현서 · 36 안재민 · 39 강주혁 · 40 박성훈 · 41 황도윤 · 42 박장한결 · 44 함선우 · 50 박동진
66 한승규 · 70 호날두 · 73 최준영 · 77 이승준 · 88 이태석 · 90 일류첸코 · 94 윌리안 · 99 서주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기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대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광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승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호진 파일:브라질 국기.svg 주닝요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player_린가드 2024.png
FC 서울 No. 10
제시 린가드
Jesse Lingard
<colbgcolor=#b5191a> 본명 제시 엘리스 링가드[1]
Jesse Ellis Lingard
K리그 등록명 린가드
출생 1992년 12월 15일 ([age(1992-12-15)]세)
잉글랜드 체셔 주 워링턴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틀:국기|]][[틀:국기|]]
신체[2] 179cm / 체중 72kg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윙어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b5191a> 유스 펜케스 유나이티드 FC (1999~2000)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00~2011)
선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11~2022)
레스터 시티 FC (2012~2013 / 임대)
버밍엄 시티 FC (2013~2014 / 임대)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2014 / 임대)
더비 카운티 FC (2015 / 임대)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021 / 임대)

노팅엄 포레스트 FC (2022~2023)
FC 서울 (2024~ )
국가대표 32경기 6골 (잉글랜드 / 2015~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b5191a> 역대 등번호 잉글랜드 대표팀 - 7, 10, 11, 14, 19, 21, 22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4, 35
레스터 시티 FC - 23
버밍엄 시티 FC - 9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 9, 35
더비 카운티 FC - 16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 11
노팅엄 포레스트 FC - 11
FC 서울 - 10
가족 딸 호프 린가드[3]
사촌 개브리엘 조지
개인 브랜드 파일:JLingz Esports logo.webp
서명
파일:제시린가드서명.svg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논란 및 사건 사고7. 여담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잉글랜드 국적의 FC 서울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시 린가드/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잉글랜드 U-17 대표팀에서 3경기 U-21 대표팀에서 11경기를 소화했다. 2015년 UEFA U-21 챔피언십에 출전하여 조별리그 스웨덴전 결승골로 승리했지만 조 4위로 예선 탈락했다.

부상으로 국가대표팀 명단에서 제외된 제이미 바디 대신 2015년 11월 잉글랜드 국가대표팀 명단에 포함되면서 생애 처음으로 성인 국가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다.

2016년 10월 9일(한국시간 기준) 몰타와의 경기에서 선발로 출전해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한국시간 2018년 3월 24일 네덜란드와의 A매치 경기에서 결승골을 기록했다. A매치 첫 골.

그리고 2018 러시아 월드컵 최종 명단에 승선했다.
파일:C864F5C4-DC0B-4E55-A0F2-0765DA055A61.png파일:lingardengland1.gif
2018 러시아 월드컵 G조 2차전 파나마와의 경기에서 PK를 얻었으며 본인의 장기인 감아차기로 잉글랜드의 세번째 골을 성공시켰고 잉글랜드는 6-1로 승리했다.

G조 3차전 벨기에와의 경기에서는 주전 휴식차원으로 경기를 결장하였다.

8강 스웨덴과의 경기에서 날카로운 크로스로 델리 알리의 추가골을 어시스트했다. 이 경기에서 잉글랜드는 2-0으로 승리하여 28년 만에 준결승에 진출하는 대업을 이루었다.

4강 크로아티아와의 경기에서 역시 본인의 장점인 폭넓은 활동량을 바탕으로 왕성하게 움직였으나 특유의 영점조절 미스로 슈팅이 골대에서 많이 빗나갔고 케인과 스털링을 비롯한 다른 잉글랜드 공격수들이 부진하면서 1-2라는 뼈아픈 역전패를 당하고 말았다. 여담으로 이 경기에서 마리오 만주키치의 역전골이 나온 직후, 크로아티아의 필드 플레이어들이 모두 세리머니를 위해 라인 밖으로 나왔을 때 린가드와 래시포드가 그라운드에 상대 선수가 없다면 킥오프가 가능하다는 룰을 이용하고자 킥오프해서 볼을 몰고 갔는데, 그들이 간과한 점은, 골키퍼도 나가 있어야 성립이 되지만 골키퍼 다니엘 수바시치는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는 점이다.

미국과의 친선경기에서 환상적인 감아차기로 선제골을 넣었다.

2018-19 유럽 네이션스리그에서 크로아티아와 월드컵에 이어 다시 만나 해리 케인의 슛이 골키퍼에게 맞고 굴절된 것을 잘 따라가 침착하게 밀어넣었다.

2018-19 유럽 네이션스리그 4강전 네덜란드와의 경기에서 교체 출전하여 기가 막히는 침투를 하여 골을 기록했지만 오프사이드로 처리되어 팀은 1-1로 연장까지 돌입하여 연이어 2골을 실점한 뒤 패배하게 되었다.

2019년 초 이후 국대와는 인연이 없었던 린가드였으나 2021년 보여준 웨스트햄에서의 활약 덕분에, 2021년 3월 18일 발표된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 잉글랜드 대표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4] 린가드 자신도 다시 근면과 믿음으로 시작하겠다는 다짐을 밝혀 팬들의 심금을 울렸다.#

3월 25일 런던에서 열린 산마리노와의 2022 월드컵 지역예선 경기에서 중원을 휘젓고 공격을 주도하며 크랙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멋진 1도움도 기록하면서 팬들의 엄청난 호응을 받았다. 팀은 5:0으로 승리했고 린가드에게 우호적인 매체들은 린가드가 수비에게 5:1 상황으로 둘러싸여있는 사진을 메시와 마라도나의 5:1 상황 사진과 붙여 극찬하기도 했다. 10회 슈팅 중 5회가 유효 슛이었는데 이걸 다 막아낸 엘리아 베네데티니 골키퍼도 덩달아 주목을 받았다.

그렇게 유로 2020 본선 명단에도 이름을 올리는 듯 했으나, 6월 1일에 발표된 최종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2021-22 시즌 시작 후, 소속팀에선 교체로만 단 한 경기를 뛰었을 뿐인데도[5] 2021년 9월 월드컵 예선 명단에 포함되었다. 9월 3일 헝가리전은 교체로 출전했다.

그리고 9월 6일 안도라전, 선발출전해 2골 1도움을 기록하며 경기를 캐리했다.

그러나 2022년 이후로는 국가대표에 좀처럼 뽑히지 못하고 있으며 24년부터는 변방중의 변방인 K리그로 이적하면서 사실상 그의 국가대표 경력은 막을 내린상태다.

4. 플레이 스타일

많은 활동량을 바탕으로 감독이 지시하는 전술을 효과적으로 이행하는 능력이 장점이다. 특히 오프더볼 움직임이 매우 뛰어난 편으로, 공 받을 위치를 잘 알고 움직이기 때문에 상대의 진영을 붕괴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발목 힘이 좋아서 중거리 슛으로 득점하는 경우가 많고, 속력도 꽤나 빨라서 간간이 수준급의 템포 드리블을 보여주고는 한다. 특히 중원에서 공을 몰고 상대팀 박스까지 가는 드리블은 린가드의 장기 중 하나다.

직접적인 공격 포인트가 아주 많지는 않으나, 공격의 기점이 되는 패스, 일명 서드 어시스트, 세컨드 어시스트를 뿌려주는 데에는 다른 능력치에 비해 이상할 정도로 매우 능통한 모습을 보인다. 실제로 프리미어리그에서의 린가드의 기록을 보면 이상할 정도로 다른 선수들에 비해 서드 어시스트, 세컨드 어시스트의 빈도와 성공률 둘 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의외로 큰 경기에서 존재감을 보여주는데, 2015-16 시즌 첼시 원정 경기, FA컵 결승전, 2016-17 시즌 커뮤니티 실드, 리그컵 결승에서 중요한 골들을 기록하면서 FA컵 트로피와 리그컵 트로피, 커뮤니티 실드 방패를 맨유에게 안겨준 전례가 있다.

허나, 단점들도 상당히 뚜렷하다. 우선 주력은 상당히 빠른 편이지만 볼 컨트롤이 그다지 뛰어나지 않아서 볼을 온전히 소유하는 과정이 길다. 그 여파로 드리블 스피드도 그렇게 빠르지가 않아서 린가드는 뛰어난 오프 더 볼과 스피드로 패스경로를 창출해 줄 능력이 있음에도, 볼을 소유하고 다시 치고 나가는 사이에 수비수가 금방 따라잡아 버리는 상황이 자주 나온다.

특히 큰 문제는 다혈질에 기분파적인 성격과 다소 터프한 면모로 인하여 안정성에 이슈가 많으며, 볼 터치와 컨트롤이 부족해 컨디션에 따른 기복이 심하다는 점이다. 기복이 있는 선수는 많지만 린가드의 경우는 특히나 못하는 날과 잘하는 날의 편차가 극심한데, 어느 정도냐면 못하는 날은 이 선수가 정녕 프리미어리그 수준의 선수인가 의심이 되는 플레이를 보여준다[6]. 전술 이해도와 오프 더 볼 하나만큼은 뛰어나서 한때 선발로 많이 나서기도 했지만, 사실 슈팅 능력과 활동량을 바탕으로 한 헌신적인 플레이 정도를 제외하면 선수 자체가 좁은 육각형의 선수다[7]. 가끔씩 환상적인 중거리 슛을 곧잘 넣지만, 테크닉이 모자라기 때문에 세밀한 볼 터치나 밀집 수비를 부수는 드리블 능력 같은 플레이는 보기 힘들어서 맨유라는 빅클럽의 선수에게 기대하는 화려한 플레이를 보여 주지는 못한다. 이로 인해 생산성도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다.

그래서 주로 공격형 미드필더, 오른쪽 윙어로 출전하는 데 비해 턱없이 부족한 공격 포인트 때문에 애초에 감독들이 린가드에게 공격포인트를 바라고 선발로 꾸준히 기용하기보단 뛰어난 오프 더 볼로 공격의 활로를 열어주면서 많은 활동량으로 상대 선수를 압박, 역습의 물꼬를 트는 역할을 맡긴다. 문제는 가진 실력에 비해 넘쳐나는 자신감 덕에 컨디션과 운이 받쳐주는 날에는 큰 임팩트를 보이지만 기본기가 굉장히 부족한지라 시즌 전체를 보면 사실상 로또를 기대하고 기용하는 꼴이 되어버린다.

여러모로 현역 시절 맨유에서 뛰었던 박지성과 비교되는 편인데, 같은 윙어이자 미드필더로서 성실하고 활동량이 풍부하지만 기술적인 측면은 다소 부족하고, 큰 경기에 강하고 감독이 원하는 전술적 역할 수행에 충실하다는 점에서 비슷한 점이 많다.[8] 박지성이 큰 경기에 중용되었던 것처럼 온 더 볼이 좋지 못함에도[9] 오히려 큰 경기에 중용된다. 다만 박지성에 비해 린가드의 자기 어필과 스타성은 더 강하다.[10]

허나 2019-20 시즌부터는 본인의 경기력이 급락했고, 결정적으로 공을 받은 직후 경기장 전체를 바라보는 룩업(look-up)속도가 박지성에 비해 너무 느리다. 박지성의 발기술이 당시 내로라 하던 동료들에 비해 부족한 감은 있었어도 탈압박이 나름 괜찮았다고 평가받았던 이유는, 공을 소유한 직후 특유의 빠른 판단력으로 동료에게 안정적으로 공을 건네줬기 때문이다. 허나, 린가드는 잡생각이 많은지 공을 받고 우물쭈물 하다가 턴오버 당한 적이 부지기수다.

지난 몇년간의 활약을 볼때 린가드에게 가장 적합한 포지션은 왼쪽 윙어로 보인다. 국대와 맨유에서 한창 좋았을 때[11]는 물론 심지어 가장 부진한 시즌인 2019-20 시즌에도 왼쪽 윙어에서는 그나마 좋은 모습을 보였다. 다른건 몰라도 축구 지능과 가운데로 치고들어오는 드리블, 감아차기 능력은 준수한 편인 것과 왕성한 활동량으로 역습의 시발점의 역할을 왼쪽 윙에서 가장 훌륭하게 소화했다. 아마도 맨유에서는 왼쪽에서 강점을 띄는 앙토니 마르시알마커스 래시포드가 있어서 오른쪽과 중앙에서 뛰는 등 맞지 않는 옷을 입다보니 폼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12]

2020-21 시즌에는 지난 시즌 부진으로 인해 맨유에서 리그는 단 한 경기도 나서지 못하고 리그컵 2경기밖에 출전하지 못하며 결국 웨스트 햄으로 임대가게 되었다.[13] 그 후 데이비드 모예스가 그를 데리고오자마자 바로 선발 라인업에 포함시켰고 10번 롤로 기용하여 팀의 플레이메이커로 내세웠다. 그리고 예상치 못하게도 대부분의 경기에서 공격포인트를 휩쓸며 웨스트햄의 공격을 이끌고 있다.[14] 맨유에서의 장점이였던 활동량, 주력과 오프 더 볼이 더 발전했을뿐 아니라 단점으로 지적받았던 볼 터치, 기본기와 룩업(look-up), 판단력이 눈에 띄게 개선되며 팀의 확고한 에이스로 자리를 잡았다.

맨유로 복귀한 2021-22 시즌에도 시즌 초 교체 위주로만 기용되며 많은 기회를 받지 못했음에도 공격포인트를 기록하거나 좋은 경기력을 보이며 지난 시즌 후반기의 모습이 일시적인 활약이 아님을 보여주었으나 호날두, 산초 등 스타플레이어들이 영입되면서 완전히 주전 경쟁에서 밀리고 벤치를 달구게 되자 실전 감각을 잃으며 폼이 다시 하락했고, 2022-23 시즌 노팅엄으로 이적한 후에도 폼이 회복되지 않으면서 결국 방출되었다.

사실 상기에 언급된 장단점은 어디까지나 프리미어리그 기준이기에 린가드가 K리그로 합류한 이후로는 정상적인 폼만 보여준다면 위의 단점들은 상쇄되고 장점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긍정적인 부분은 서울의 김기동 감독은 선수의 장점을 파악하고 본인 전술에 녹이는 역량은 K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감독이기 때문에[15] 감독에게 낮은 자세로 다가가면서 서로의 시너지를 잘 맞춘다면 충분히 리그를 폭격하고도 남을 기량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논란 및 사건 사고

2023년 9월 22일 영국 현지 아침 시각에 20만 파운드(약 3억 2,000만 원) 상당의 람보르기니를 몰고 운전을 하다가 음주운전으로 적발되었다. 5만 7,000파운드(약 9,300만 원)의 벌금 부과 및 18개월 면허 중지 처분을 받았다.[16]# 이때 남은 기록 때문에 한국에서는 국제운전면허증 발급이 불가능하며 K리그에 있는 동안은 개인 기사를 고용하거나 대중교통 위주로 이동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24년 5월 기준으로는 린가드 크루원이나 통역이 대신 운전해주고있다.

7. 여담

7.1. 별명

7.2. 세리머니

린가드는 세리머니가 유독 독특하며 화려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선수이다. 그의 대표적인 세리머니들은 다음과 같다.
파일:lingardce1.gif
린가드의 상징과도 같은 피리 세리머니. 린가드 본인 설명으로는 드레이크의 곡 Portland의 플루트 인스트루멘탈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해외 팬들도 플루트 세리머니(Flute Celebration)로 부르며 FIFA 18부터 게임 속 세리머니로 구현되었다. 이 세리머니 덕분에 한국에 입국했을때 한 한국 팬에게 단소를 선물받기도 했다(...).
파일:lingardblackpather7.gif
첼시전에서 선보인 일명 블랙팬서 세리머니.
파일:lingadongza.gif
“Milly Rock” 댄스. 한국에서도 꽤 많이 알려진 일명 인싸춤이다. 이 양반이 빡쳐했던 그 세리머니 맞다.
파일:린가드망치춤.gif
러시아 월드컵 파나마전에서 보여준 망치춤 세리머니. 우리가 알던 그 망치춤이다.

2021년 9월 6일 월드컵 지역예선 안도라전 선제골 후 Siuuuu 세리머니를 선보였다. 호날두맨유이적 기념인 듯.

이 세리머니들 말고도 디 어벤져스의 멤버 인지라 A 세리머니도 자주 하는 편이다. 또한 폴 포그바의 세리머니를 따라하는 경우도 많으며, 팀 동료가 세리머니를 하면 거기에 자신의 손동작을 섞어 넣는 기괴한 세리머니도 자주 보여준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a38848>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영문 성명 생년월일 신체 조건 비고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백종범 BAEK Jongbeom 2001.01.21 190cm, 85kg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황현수 HWANG Hyunsoo 1995.07.22 183cm, 80kg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권완규 KWON Wankyu 1991.11.20 183cm, 80kg 임대
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기성용 KI Sungyueng 1989.01.24 189cm, 75kg 주장
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임상협 LIM Sanghyub 1988.07.08 180cm, 74kg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이승모 Lee Seungmo 1998.03.30 185cm, 70kg
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김신진 KIM Shinjin 2001.07.13 186cm, 82kg
1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FW 린가드 Jesse LINGARD 1992.12.15 175cm, 65kg
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강성진 KANG Seongjin 2003.03.26 178cm, 76kg
14 파일:이라크 국기.svg DF 술라카 Rebin SULAKA 1992.04.12 192cm, 83kg
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강상우 KANG sangwoo 1993.10.07 190cm, 79kg
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최준 CHOI Jun 1999.04.17 177cm, 72kg
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진야 KIM Jinya 1998.06.30 177cm, 68kg
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황성민 HWANG Sungmin 1991.06.23 188cm, 83kg
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김경민 KIM Kyungmin 1997.01.22 186cm, 81kg
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현덕 KIM Hyeondeok 2004.11.05 187cm, 75kg
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최철원 CHOI Chulwon 1994.07.23 194cm, 87kg
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허동민 HEO Dongmin 2004.03.09 182cm, 74kg
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조영광 CHO Youngkwang 2004.03.11 173cm, 67kg
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백상훈 PAIK Sanghoon 2002.01.07 173cm, 62kg
26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MF 팔로세비치 Aleksandar PALOČEVIĆ 1993.08.22 180cm, 70kg
2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민지훈 MIN Jihoon 2005.03.31 173cm, 68kg
2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손승범 SON Seungbeom 2004.05.04 180cm, 65kg
2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류재문 RYU Jaemoon 1993.11.08 185cm, 79kg
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주성 KIM Jusung 2000.12.12 186cm, 76kg
3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조영욱 CHO Youngwook 1999.02.05 181cm, 73kg 부주장
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배현서 BAE Hyunseo 2005.02.16 172cm, 66kg
3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안재민 AHN Jaemin 2003.01.23 176cm, 67kg
3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강주혁 KANG Juhyeok 2006.08.27 178cm, 71kg
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박성훈 PARK Seonghoon 2003.01.27 183cm, 72kg
4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황도윤 HWANG Doyoon 2003.04.09 176cm, 73kg
4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박장한결 PARK Janghangyeol 2004.02.15 176cm, 64kg
4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함선우 HAM Sunwoo 2005.01.28 190cm, 81kg
5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박동진 PARK Dongjin 1994.12.10 185cm, 75kg
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한승규 HAN Seunggyu 1996.09.28 173cm, 63kg
7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W 호날두 RONALDO Tavares 1997.07.22 194cm, 86kg 임대
7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최준영 CHOI Junyeong 2005.06.26 183cm, 82kg
7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이승준 LEE Seungjoon 2004.05.04 170cm, 61kg
8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이태석 LEE Taesuk 2002.07.28 174cm, 61kg
90 파일:독일 국기.svg FW 일류첸코 Stanislav ILJUTCENKO 1990.08.13 189cm, 82kg
94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윌리안 WILLYAN da Silva Barbosa 1994.02.17 170cm, 62kg
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서주환 SEO Juhwan 1999.06.24 190cm, 79kg
대표이사: 여은주 / 감독: 김기동 / 홈구장: 서울월드컵경기장
출처: FC 서울 웹 사이트
}}}}}} ||

1 픽포드 · 2 워커 · 3 로즈 · 4 다이어 · 5 스톤스 · 6 매과이어 · 7 린가드 · 8 헨더슨 · 9 케인
10 스털링 · 11 바디 · 12 트리피어 · 13 버틀랜드 · 14 웰벡 · 15 케이힐 · 16 존스 · 17 델프
18 · 19 래시포드 · 20 델리 · 21 로프터스치크 · 22 알렉산더-아놀드 · 23 포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1] /ˈd͡ʒɛs.i ˈɛlɪs ˈlɪŋ.ɡɑːd/[2] 키와 체중 모두 FC 온라인 유튜브 채널과의 인터뷰에서 직접 언급하였다.#[3] 전 여자친구였던 영국의 피트니스 모델 '레베카 할리데이' 사이에서 혼외출산으로 태어난 딸이다.[4] 사실 잭 그릴리쉬의 부상 때문에 자리가 난 것으로 보이긴 하지만, 맨유 최악의 선수 소리를 듣던 린가드가 대표팀에 복귀한 것은 그의 현재 폼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5] 시즌 시작 직전 코로나 양성 반응이 나와 시즌 극초반 경기들을 놓쳤다.[6] 볼 트래핑을 못해서 밖으로 나간거나, 크로스가 박스 밖으로 나가거나, 드리블이 터치라인을 넘는다.[7] 특히 작은 신장 때문에 제공권은 몹시 좋지 않다.[8] 솔샤르 감독도 린가드를 보면 박지성이 떠오른다고 말한 바 있다.[9] 상술했듯, 경기장 중앙에서 상대 박스까지 치고 나가는 드리블은 꽤나 잘 하는 편이다. 2017-18 시즌부터는 볼 컨트롤이나 연계, 드리블 면에서 많이 발전했다. 1시즌만에 도로 원상복귀했다.[10] 개리 네빌은 린가드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박지성과 같은 선수가 필요하다는 이유를 댔으며, 영국 현지 기자도 린가드가 필 네빌, 박지성과 비슷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11] 국대와 맨유에서 잘할 때는 왼쪽 윙어라고 하긴 그렇고 왼쪽에 자주 머무는 공미 혹은 메짤라였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12] 사실 이는 아직까지도 맨유에게 고질병으로 남아있는 문제다. 2선 윙 자원 상당수가 오른쪽보다 왼쪽 윙에서 확연히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어느 순간부터 맨유는 늘 왼쪽 윙은 포화상태인데 오른쪽 윙은 항상 사람이 부족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산초와 안토니에게 거액을 썼으나 이 두 선수는 맨유가 원하는 유형이 아니거나, 그냥 PL 수준이 아니라서 맨유의 오른쪽 윙 문제는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13] 심지어 2번의 출전 중 한번은 후반 교체출전이다.[14] 사실 19-20시즌 최후반기에 부진에서 벗어나서 공격포인트를 기록하거나 좋은 드리블을 보여주는 등 약간 살아나는 기미를 보여줬다.[15] 특히 김기동은 폼이 떨어졌거나 커리어 중후반에 들어서면서 갈피를 잡지 못하는 20대 후반~30대 초반 나이의 2선 선수들을 정말 기가 막히게 잘 살리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대표적인 예로 허용준, 임상협, 정재희, 백성동 같은 선수들이 있다.[16] 다만 아침에 술을 마시고 운전을 한 것이 아니고 숙취운전으로 적발되었다.[17] 박지성이 한참 활약 했을 때 린가드는 맨유의 유소년 선수였다.[18] 사실 한국에서는 혼외자에 대한 인식이 매우 안좋기 때문에 드물게 보여지고 부정적으로도 인식될 수 있는 일이지만, 유럽에서는 상당히 자주 있는 일이며, 특히 결혼을 하지 않았던 관계일지라도 법적으로 교섭권을 주는 경우도 꽤 잦은 일이다.[19] 심지어 레오닉 보렉이 린가드의 저택에 들어가자 마커스 래시포드 선수가 그곳에서 피자를 먹고 있었다고 폭로하여서 더불어 같이 까이게 되었다.[20] 이후 예나 프룸스는 잭 그릴리쉬 선수와 함께 누워서 셀카를 찍은 것을 자신의 SNS에 업로드하여서 많은 관심을 얻었으나, 그릴리쉬는 그냥 친구라고 해명하여 일단 화제는 마무리 되었다.[21] 린가드로 따져보면 그와 동갑인 한국의 아이돌 가수로 현아, 선미, 유라, 하니가 있다.[22] 사실 루카쿠가 아이유와 비교되었던 것은 유망주 이미지보다는 노안이 더 크다. 당시 루카쿠는 자신보다 17살이 많은 차태현과 닮은 꼴로 유명했다.[23] 여담이지만 튜닝이 다 똑같은데 맨유를 상징하는 무광 올블랙에 빨간색 엠블럼으로 되어있다.[24] 사실 코비를 추모하기 전에도 자그마치 한달이나 활동을 쉬었다.[25] 그 전 골은 11-12 시즌 38라운드 맨시티 대 QPR의 경기에서 나온 아구에로의 맨시티 리그 우승을 확정짓는 극장골(93분 20초)이었다.[26] 알렉스 퍼거슨 감독이 인정했을 정도로 잉글랜드 최고의 재능이였으나 축구에 불성실한 태도 및 사생활과 성격 문제로 전부 다 말아먹었고 결국 재능을 갈고닦지 못해 이적 간 팀에서도 임대만 다니거나 짧은 기간만 뛰고 FA로 이적하는 그저 그런 저니맨 선수로 전락했다.[27] 유소년 시절 맨유에서 두각을 보여주긴 했지만 본인이 프로선수로서 성공한건 유벤투스 시절이고 후에 월드클래스가 돼서 다시 돌아온 것이다.[28] 그리고 이 다음 세대부터 유스 투자를 줄이면서 맨유 유스의 암흑기가 시작된다. 이렇다 할 유소년 선수 영입은 없고, 괜찮은 선수들은 죄다 나가는 등 개판이었다. 암흑기 세대때 유스 팀에 영입되어 1군까지 올라와서 2021년 현재 맨유에서 뛰는 선수라곤 마커스 래시포드, 악셀 튀앙제브, 스콧 맥토미니, 딘 헨더슨 말고는 없다. 그나마도 튀앙제브는 FA로 풀렸고 딘 헨더슨은 주전 보장 문제로 인해 크리스탈 팰리스로 이적했다. 솔샤르 부임 이후 투자를 늘리면서 현재는 괜찮아진 상태다.[29] 하지만 맨유 팬들은 사업가 중에서 가장 축구를 잘하는 사람이라고 비아냥 거렸다.[30] 공교롭게도 마인어로 '바보 같다'라는 의미이다.[31] 에이전트와 친구, 사업 파트너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32] 2월 18일부터 2월 29일까지 김천, 수원 FC, 강원, 제주, 대전, 서울, 대구, 인천, 전북, 광주, 포항, 울산을 상징하는 선수들의 사진이 나온다.[33] 하지만 최초는 린가드가 활약할 때 맨유 팬이 커뮤니티에서 극찬의 의미로 쓰였던 별명이다.[34] 후술할 린가동자나 이 문서의 역사만 봐도 린가드가 얼마나 평이 나쁜 선수였는지를 잘 알 수 있다.[35] 사실 디시인사이드에펨코리아 같은 해축 용어를 만드는 곳이 아닌 파급력이 적은 유튜브 댓글에서 유래한 것치고는 매우 유명해져 신기하다는 의견이 많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어느덧 린가드의 어엿한 대표 별명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