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23:50:59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니시테쓰 클리퍼스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5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2025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센트럴 리그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
요미우리 자이언츠 한신 타이거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히로시마 도요 카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주니치 드래곤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로고.svg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svg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치바 롯데 마린즈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오릭스 버팔로즈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과거 참가 구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43d69><tablebgcolor=#143d69>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000,#e5e5e5
<colbgcolor=#143d69><colcolor=#ffffff>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세이부철도 로고.svg 세이부 철도
과거 모기업 파일:서일본 철도 로고.svg 서일본 철도
일본시리즈 우승
★★★★★★★★★★★★★
1956 · 1957 · 1958 · 1982 · 1983 · 1986 · 1987 · 1988 · 1990 · 1991 · 1992 · 2004 · 2008
리그 우승
(23회)
1954 · 1956 · 1957 · 1958 · 1963 · 1982 · 1983 · 1985 · 1986 · 1987 · 1988 · 1990 · 1991 · 1992 · 1993
1994 · 1997 · 1998 · 2002 · 2004 · 2008 · 2018 · 2019
퍼시픽리그
전·후기 우승
(1회)
1982전기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8 · 2010 · 2011 · 2012 · 2013 · 2017 · 2018 · 2019 · 2022
시즌 문서 2013-2021 · 2022 · 2023 · 2024월별문서 · 2025월별문서
현역 선수 경력 쿠리야마 타쿠미/선수 경력 · 겐다 소스케/선수 경력 · 이마이 타츠야/선수 경력 · 나카무라 다케야/선수 경력
타이라 카이마/선수 경력
경기장 1군 베루나 돔 · 2군 CAR3219 필드 · 지방 홈구장 사이타마현영 오미야공원 야구장 · 조모 신문 시키시마 구장 · 오키나와 셀룰러 스타디움 나하
과거 헤이와다이 야구장
홈 중계 채널 파일:후지테레비2 로고.jpg 후지 테레비 2
주요 인물 구단주 고토 타카시 · 단장 공석 · 감독 니시구치 후미야 · 선수회장 토노사키 슈타 · 주장 겐다 소스케
구단 상세 정보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10.19(야구) · 미스터 레오
틀 문서
세이부 그룹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영구 결번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미스터 레오
}}}}}}}}}}}}}}} ||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colbgcolor=#143d69><colcolor=#fff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Saitama Seibu Lions
[ruby(埼玉, ruby=さいたま)][ruby(西武, ruby=せいぶ)]ライオンズ
구단 법인명 ㈜세이부 라이온즈
株式会社西武ライオンズ
창단 1949년 11월 26일([age(1949-11-26)]주년)
연고지 사이타마현 토코로자와시
연고지 변천 후쿠오카현 (1950~1978)
사이타마현 (1979~)
구단명 변천 니시테츠 클리퍼스 (1950)
니시테츠 라이온즈 (1951~1972)
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즈 (1973~1976)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 (1977~1978)
세이부 라이온즈 (1979~2007)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2008~)
홈구장 가스가하라 구장 (1950)
헤이와다이 구장 (1951~1978)
베루나 돔[1](1979~)
2군 구장 CAR3219 필드 (1979~)
모기업 서일본 철도 (1949~1972)
후쿠오카 야구 주식회사 (1973~1978)
세이부 철도 (1979~)
감독 74 니시구치 후미야 (西口文也)
선수회장 5 토노사키 슈타 (外崎修太)
주장 6 겐다 소스케 (源田壮亮)
키트 스폰서 Fanatics[2]
마스코트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마스코트.svg
레오 & 라이나
구단기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구단기.svg
역대
한국인 선수
백인천 (1975~1976)
송재박[3] (1975~1982)
역대
한국인 코치
정대현 (2018)[4]
홈경기 중계 채널(CS) 파일:후지테레비2 로고.jpg
링크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심볼(흰색).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일본시리즈 우승 (13회)
1956, 1957, 1958, 1982, 1983, 1986, 1987, 1988, 1990, 1991,
1992, 2004, 2008
퍼시픽 리그 우승 (23회 / 최다 우승)
1954, 1956, 1957, 1958, 1963, 1982, 1983, 1985, 1986, 1987,
1988, 1990, 1991, 1992, 1993, 1994, 1997, 1998, 2002, 2004,
2008, 2018, 2019
전, 후기 리그 우승 (1회)
1982 전기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1회)
2008
플레이오프 우승[5] (2회)
1982, 2004
아시아 시리즈 우승 (1회)
2008
포스트시즌 진출 (31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bfff> 일본시리즈 1954년, 1956년, 1957년, 1958년, 1963년, 1982년, 1983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7년, 1998년, 2002년, 2004년, 2008년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8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2년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 1982년, 2004년, 2005년, 2006년
}}}}}}}}}}}} ||

1. 개요2. 구단 역사3. 관중 수 추이4. 홈구장5. 2군 시설 및 클럽 하우스6. 유니폼7. 응원8. 마스코트9. 팬덤10. FA 최다 배출 구단11. 이야깃거리12. 영구 결번13. 선수단14. 역대 선수15. 역대 감독16. 역대 성적1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소속 프로야구단. 연고지는 사이타마현 토코로자와시. 홈구장은 베루나 돔. 그리고 모기업은 세이부 철도이다.

라이온즈는 195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총 3차례나 일본시리즈 3연패를 차지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6] 특히 80년대~90년대 라이온즈는 이 기간 동안에만 퍼시픽 리그 우승 9회, 일본시리즈 우승 8회를 달성하며 요미우리의 V9 시대에 버금가는 세이부 라이온즈 왕조를 구축했었다. 23회 퍼시픽 리그 우승, 13번의 일본시리즈 우승으로 일본 야구 그 자체인 요미우리 자이언츠 다음가는 성적으로 퍼시픽 리그에서는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제외하면 독보적인 기록이다.

한국 언론에는 예전에도 그랬고 현재도 '세이부 라이온즈'라고 쓰지만, 현지 매체 등에서는 '세이부', '사이타마 세이부' 식으로 쓴다. 하지만 그냥 일반적으로는 오랫동안 익숙해져서 저 식으로 부르는 사람이 대다수이고 굳이 귀찮게 사이타마까지 붙이는 사람은 많지 않다.

2. 구단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관중 수 추이

<rowcolor=#ffffff> 연도별 총 관중 일일 평균
2009년 1,515,045명 21,042명
2010년 1,591,303명 22,101명
2011년 1,591,651명 22,106명
2012년 1,526,028명 21,195명
2013년 1,600,841명 22,234명
2014년 1,498,365명 20,811명
2015년 1,616,827명 22,456명
2016년 1,618,194명 22,791명
2017년 1,673,219명 23,239명
2018년 1,763,174명 24,833명
2019년 1,821,519명 25,299명
2020년[7] 300,120명 5,002명
2021년[8] 620,346명 8,737명
2022년 1,212,233명 16,837명
2023년 1,422,853명 20,040명

일본 프로야구에서 가장 관중 수가 적은 구단 중 하나로 롯데, 라쿠텐과 꼴찌를 치열하게 경쟁하는 구단이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첫째로는 홈타운이 사이타마라는 점이 꼽힌다. 사이타마는 원래 도쿄의 베드타운으로 발달한 도시로, 여기 사람들은 대부분이 지방 상경민으로 도쿄에 직장을 가지고 사이타마에 집을 사서 도쿄로 출퇴근을 하는 사람들이다. 심지어 여기 사람들은 놀 때도 이케부쿠로로 가서 놀지 사이타마에서는 안 논다. 다들 도쿄의 번화가로 가서 일부터 놀이까지 모든 것을 해결하고 사이타마에서는 잠만 자니 아무것도 없다고 다사이타마라는 별명까지 붙었을 정도. 당연히 사이타마 거주민들은 사이타마에는 별로 애정이 없으니 어렸을 적부터 보고 자란 고향 팀을 응원하거나, 도쿄 팀이자 전국구 팀인 교진을 응원하는 것.

이런 사이타마현의 특성상 분명히 사이타마임에도 사이타마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사이타마시 등의 아라카와강 동쪽에서 접근성이 좋지 않다는 것도 문제다. 일본 수도권의 철도망이 야마노테선을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뻗어나가기 때문에 외곽지역을 연결해주는 철도노선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지역에서는 그나마 무사시노선 정도가 외곽지역끼리 연결해주는 철도노선의 역할을 하고 있는데, 무사시노선 자체가 원래는 화물철도로 건설된 노선에 여객열차를 굴리다보니 타 노선과의 연계가 다소 좋지 않은 것도 있고, 특히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과 무사시노선의 환승역인 아키츠역-신아키츠역은 역을 나와서 한참 걸어야 환승이 가능한 간접환승역이다.

70년대 후반에 이주해와 80년대에 전성기를 맞았기 때문에 그때부터 사이타마에 지역 밀착 마케팅을 진행했으면 7~80년대생들이 성인이 된 2010년대쯤부터는 성과가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세이부 구단 자체도 사이타마에 별 애착이 없었다. 세이부(西武)가 서부 무사시노의 약자라 우리의 팬베이스는 도쿄라고 줄기차게 주장해왔을 정도로 사이타마를 등한시했고 설상가상 90~2000년대에는 모기업인 세이부 철도의 경영사정이 별로 좋지 않아 마케팅조차 잘 안 했으니 시민들이 좋아해 줄 리가. 세이부 라이온즈가 지역밀착 마케팅을 실시한 것은 2010년대에 와서야부터였다.

또한 홈구장인 베루나 돔은 관람 여건이 별로 좋지 않은 구장이라 보러 가고 싶지 않은 구장이라는 점도 있다.

두 번째로는 재미없는 야구를 하는 팀이라는 점. 홈구장도 중립구장이라 투타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은 무난무난한 야구를 해서 팀 컬러도 무색무취한데, 프랜차이즈 스타도 없다. 정확히는 있어도 FA되면 다 미국이든 교진이든 팀을 나가버리니 팬들이 정 붙이고 응원할 만한 구심점이 될 선수가 없다. 그렇다고 카프처럼 아예 빡세게 허리띠를 졸라매서 가난하지만 젊은 친구들 이미지도 아닌, 적당한 준척급은 몇 명 또 잡는다.

세 번째 이유로는 이 지역은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때문에 축구 인기가 굉장한 곳이다. 우라와는 투자도 많이 받고 성적도 좋기 때문에 팬덤이 아예 정착되어 버렸고 조금 있던 야구팬들도 대부분 점점 우라와로 넘어가는 추세여서 라이온즈의 인기가 있을 수가 없는 구조이다. 게다가 오미야 아르디자도 성적이 좋진 않지만 역사가 깊은 팀이기 때문에 인기가 나쁜 편은 아니다. 라이온즈보다 많으면 많지 절대로 적은 편은 아니다.

성적 역시 80년대 세이부 황금기 시절에는 대단했지만 그 이후로는 별볼일이 없다. 잘 나갈 때는 가끔씩 리그 우승도 하고 뜬금없이 십수년에 한 번 정도 잊어버릴만 하면 일본시리즈도 먹는데 압도적인 강팀은 아니라 B클래스로 떨어지기도 한다. 잘해도 최고는 못 되고, 못해도 꼴찌는 아닌 정도의 무난무난한 시즌을 반복중이다. 엄청나게 잘하면 그 압도적인 강함에 반한 팬이 생기고, 엄청나게 못해버리면 세리그의 베이스타즈나 옆 나라의 한화 이글스, 꼴데라는 별명을 지닌 롯데 자이언츠처럼 놀림감이 되며 컬트적인 팬이 생기는데, 정말 이도저도 아닌 것.

10년간 스토리도, 스타도 없는 팀이다. 단순히 구장이 접근성이 별로라 보러 가는 사람이 적은 게 아니라 경기의 시청률조차 낮다. 여튼 그래서 인기가 많이 없는 구단. 비슷한 처지인 라쿠텐은 그냥 도호쿠 지방 인구수 자체가 적어서 어쩔 수 없는 경향이 있고(대신 타향살이하는 도호쿠 사람들이 봐 주니까 시청률은 관중 수에 비해서는 약간 낫다), 롯데는 구장 시설 개보수 및 마케팅, 스타선수 영입과 발굴에 적극적인 편인데, 세이부는 개선의지도 별로 없는 팀이다. 애초에 그룹 자체에서 구단을 매각하고 싶어하는데[9] 조건이 안 맞아 못 하는 것에 가까운지라 선수들도 별로 팀에 남고 싶어하질 않는다. 당장 팬들이 보고 좋아해줘야 할 선수들마저 팀에 애정이 없고 FA일수 채워서 나갈 생각만 하는데 인기가 있을 수가 없고 그렇게 그냥 인기 없는 채로 적당히 시즌을 때워가는 중인 팀. 그나마 2010년대 들어 뒤늦게나마 사이타마 지역 밀착 마케팅을 시작해 사이타마 현민들의 마음을 얻어가고 있기는 하다.

현재 팬덤은 사이타마에서 태어나 사이타마가 고향이면서 80년대 세이부 황금기를 함께한, 70년대 후반~80년대생 정도의 40대와 00년대 전국구 스타였던 마쓰자카 다이스케마쓰이 카즈오로 유입된 약간의 90년대생, 2010년대 들어 사이타마 지역 밀착 마케팅을 시작한 이후로 팬이 된 어린이들이 주축이 되고 있다.

4. 홈구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루나 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5 시즌 홈경기 일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143d69> 베루나 돔 68경기
사이타마현영 오미야공원 야구장 2경기
조모 신문 시키시마 구장 1경기
오키나와 셀룰러 스타디움 나하 2경기
도쿄 돔 1경기
}}}}}}}}} ||
니시테츠로부터 구단을 인수한 후 베루나 돔을 홈구장으로 쓰고 있다. 세이부 연선과 유원지에 있어 구장에 올 때 자차 이동이 아니라면 세이부 철도 이용이 강제되는 구장이다. 문제는 세이부 철도는 오미야시 쪽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10] 그래서 주중과 주말 관중 편차가 크다.

그 외에 사이타마현영 오미야공원 야구장제2 홈구장이다. 여기서 1년에 3경기 정도를 개최하는데, 최근엔 아예 베루나 돔보다 더 흥행이 잘 되기도 한다.

과거에 2000년부터 삿포로 돔에서[11] 매해 3경기 이상씩 개최, 2002년 홈 개막전은 아예 이곳에서 개최하기까지 했지만 2004년에 닛폰햄 파이터즈가 홋카이도로 연고지 이전을 했기 때문에 이후로는 홋카이도가 닛폰햄의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홈경기를 개최할 수 없게 됐다. 그리고 나가노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매 시즌 1~2경기 정도를 개최했으나 2008년을 끝으로 개최하지 않고 있다. 그 대신 2017년부터 오키나와 셀룰러 스타디움 나하오키나와현에서 지방경기를 정기적으로 개최 중.

이외에도 XX주년 기념 행사가 있는 해엔 도쿄 돔에서 경기를 개최한다.

5. 2군 시설 및 클럽 하우스

세이부 제2구장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한때 공단에 있는 컨테이너 기숙사나 군부대의 BEQ처럼 생겼었다. 열악했던 세이부의 선수 기숙사 현지에서는 도호쿠 대지진 등으로 집을 통째로 날린 이재민들을 수용하는 가설 주택이라고 까였었다. 사진에는 안 나와 있지만 세이부 돔 안에 있는 1군 라커룸도 열악함의 극치를 달리고 있었다. 한 때 구리기로 유명했던 요코하마 스타디움만 하더라도 DeNA가 구단을 인수한 후로 적극적인 투자의 일환으로 대대적으로 개수가 이루어져 지금은 메이저리그가 부럽지 않은 클럽하우스가 됐는데 이 팀의 클럽하우스는 팬들로부터 "만화 가게냐"라면서 까였을 정도.

츠츠미 일가가 그룹 총수 자리에서 야구단에 아낌없이 투자하던 80년대만 하더라도 선수들이 야구에만 전념할 수 있는 12개 구단 중에서 손꼽히는 시설이었으나 츠츠미 일가가 그룹 경영에서 손을 뗀 이후로는 시설이 낡아가는데도 그냥 방치하는 바람에 현재는 일본 프로야구에서 중 열악한 쪽으로 선두를 다투는 기숙사, 훈련 시설이 되어버렸다.[12] 경영 주체가 바뀐 이후로 모기업인 세이부 측에서 야구단을 짐짝으로 보고 있는 시선이 많아지다 보니[13] 제대로 된 개/보수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홈구장인 세이부 돔의 개/보수에도 적극적이지 않았으나 키시 타카유키의 FA 이적, 세이부 선수단의 집단 성명 등이 이어지자 그제서야 공조 시설 확충 등의 시설 개선을 하였다.

그리고 2017년 시즌 종료 이후 세이부 돔과 2군 시설, 기숙사 시설 리모델링에 180억 엔을 투자해 2021년까지 완공하기로 했다. 2019년 7월 현재 스토어 샵, 실내 연습장, 기숙사가 최신 시설로 완비되어 있는 상태. 이젠 더 이상 컨테이너가 아니다. 기사+탐방 동영상

6. 유니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유니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응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응원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마스코트

파일:seibulions_m.jpg

예전에 쓰던 로고는 밀림의 왕자 레오의 레오를 로고 겸 마스코트로 사용했다. 지금은 마스코트만 레오와 라이나로 사용 중.

이에 대해서 나오는 이야기 중 유명한 것이 데즈카 오사무가 자신은 마스코트로 판쟈를 그렸는데, 세이부 라이온즈 측에서 멋대로 레오라고 주장한다더라는 카더라 통신이다. 그런데 이 부분은 일본위키백과에서도 언급은 하지만 출처제시가 안되는 부분이고, 세이부는 레오라고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정글대제 출판본을 기준으로 보면 미묘하게 다르게 생겼다 같은 이야기를 제외하고 보면, 판쟈와 레오의 외모 차이를 두는 부분은 귀 끝의 검은 부분이 있느냐 없느냐이다. 물론 판쟈의 귀끝도 검게 그리는 예가 없지는 않지만[14], 전집을 포함해서 둘의 차이를 둘 때는 판쟈는 그야말로 순백으로 그려진다. 이런 점에서 보면 마스코트는 판쟈보다는 레오의 성체 버전일 가능성이 높다...기 보다는 판쟈라는 근거가 저 카더라와 느낌적 느낌밖에 없다. 사실 이런 것 다 필요없이 세이부 측이 레오라고 사용하고 있고, 이름 들어가는 부분은 다 레오라고 하고 있기 때문에 마스코트는 레오가 맞다.

프로야구 초창기 삼성 라이온즈 어린이 회원 점퍼의 마스코트가 저 마스코트를 약간 정면으로 바라보게 하는 수준에서 모방한 것이었다. 어느 어린이 회원은 삼성 라이온즈 점퍼를 입고 민속촌에 갔다가 일본 관광객들이 '세이부 라이온즈네' 하는 바람에 약간 상처를 입었다고 한다.

그리고 2008년 팀명을 바꾸면서 사이타마현 캐릭터인 코바톤을 비공식 마스코트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레오는 무려 기네스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데, 공중제비를 30초에 31개를 해서 30초 안에 가장 많은 공중제비를 돈 마스코트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9. 팬덤





팀명에 연고지 사이타마가 들어가 있으나 정작 사이타마시즈오카와 함께 일본 축구의 성지라고 불릴 정도로 축구의 인기가 야구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지역이라 세이부는 비인기 구단에 속했으며[15] 실제로도 사이타마현에서 세이부는 과거 현대 유니콘스보다는 낫고 현재 kt wiz보다 못한 수준의 대접을 받고 있다. 물론 이는 입지 문제[16][17]가 있다지만 도쿄 지역의 팬들만 중시하고 연고지인 사이타마는 별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던 구단의 업보라고 할 수 있다.

그래도 2010년대 들어서는 지역 밀착 마케팅과 사이타마 배경의 만화와의 콜라보[18]나 2008년부터 시작한 오미야구장 홈경기, 2017~2018 시즌의 호성적으로 인해 세이부 구단의 홍보물이 오미야역 근처에도 걸리는 등 사이타마현 동부 지역에서도 인기가 늘어나는 중. # 실제로 우승을 차지한 2018시즌에는 구름 관중이 모여들었다. 이후 2019 시즌에도 관중이 더 늘어 총관중 180만명 및 평관 25000명 시대를 열었고 2005 시즌 이래 최다 관중 수를 갱신했다. 다만 이 시즌 이후로는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친 데다 팀 성적까지 나빠진 탓에 관중석에 빈 자리가 훤히 보일 정도로 다시 관중동원수가 최하위로 떨어지고 말았다.

유니폼 교체 이후 응원 문화가 점차 바뀌고 있다. 과거 1루 외야 홈 시절엔 작은 배트를 사용한 비교적 전통적 응원이었는데, 서포터즈들은 배트를 놓고 손뼉응원을 많이 하고 있으며, 한 손으로 드는 작은 깃발이 완전히 정착되었다. 거기다 게이트기도 심심찮게 보여 축구장이 다 되어가고 있다. 누가 응원으로 경쟁하는 팀 아니랄까 봐 롯데처럼 점프 응원도 즐겨 한다. 그러나 응원콜을 좋아해서 응원가를 안 부르는 타석도 많은 롯데와는 다르게 응원가를 많이 부르며 선발 라인업 발표 직후에 모든 선수의 응원가를 한번씩 불러주는 것도 여전히 하고 있다.[19]

2013년에 비교적 가까운 치바 롯데 마린즈와 라이벌전을 선포하고 양 측 홈에서 3연전을[20] '사이타마 vs 치바 라이벌 시리즈'로 각각 1번씩 개최했다. 그리고 거짓말 같이 클라이맥스 퍼스트 스테이지에서센다이행 티켓을 놓고 붙게 되었다. 그리고 3위였던 롯데에게 하극상[21]

2010년부터 세이부 선수들이 FA로 탈출하자 베루나돔 첫방문때 야유를 쏟는데[22] 이때만큼은 일본프로야구 극성팬으로 유명한 한신,주니치 버금갈 정도로 야유를 쏟는다.

특이하게 본거지인 사이타마현에서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에게 한참 밀리지만 유일하게 가장 인기있는 곳이 있는데, 바로 칸사이 지역의 시가현이다. 사이타마현에서 멀리 떨어진 시가현에서 왜 인기가 많은 건가 싶겠지만 시가현이 과거 세이부 그룹의 창립자인 츠츠미 야스지로의 출신지에다 지금도 세이부 계열의 오미 철도가 영업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사

10. FA 최다 배출 구단

2023년 종료 시점에서 FA 제도로 21명의 선수를 유출하며 일본프로야구에 1993년 FA 제도가 도입된 이후 가장 많은 선수를 유출한 구단이기도 하다. 공교롭게도 팀의 황금기의 종식과 FA 제도의 도입 기간이 겹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아래 명단을 보면 팀의 주축 선수들이 모두 다른 팀 유니폼으로 갈아입었음을 알수 있다.
이적년도 선수명 이적구단
1994年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1994年 이시게 히로미치 다이에
1996年 키요하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2003年 마츠이 카즈오 MLB
2005年 토요타 키요시 요미우리
2007年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2010年 도이 요시히로 美 독립리그[23]
2010年 호소카와 토오루 소프트뱅크
2011年 호아시 카즈유키 소프트뱅크
2011年 쉬밍치에(허명걸) 오릭스
2012年 나카지마 히로유키 MLB
2013年 와쿠이 히데아키 롯데
2013年 카타오카 야스유키 요미우리
2015年 와키야 료타[24] 요미우리
2016年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2017年 노가미 료마 요미우리
2018年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2018年 스미타니 긴지로[25] 요미우리
2019年 아키야마 쇼고 MLB
2022年 모리 토모야 오릭스
2023年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2022년 11월 16일 주전 포수 모리 토모야가 오릭스로 이적하면서 세이부에서 FA로 팀을 떠난 20번째 선수가 됐다. 아키야마 쇼고의 이적 후 3년 만의 사례.

선수들의 계속된 유출은 노후화된 시설, 돔구장 전환 이후 선수들에게 쾌적하지 못한 구장 환경과 구단의 좋지 않은 경영 사정이 맞물린 결과다. 우선 팀 자체가 황금기가 끝난 이후는 인기가 없고, 구장 자체가 근처에 자연환경만 가득하지 별로 놀거리가 없는 토코로자와시 산지에 위치해 바로 옆은 산뿐만 아니라 호수까지 있는 것도 모자라 어설프게 을 덮어놓은 탓에 벌레가 들끓는 것은 물론, 봄이 지나 여름이 되면 매우 덥고 습한 반면 가을 이후엔 매우 추울 정도로 양극단의 최악의 환경밖에 없는 탓에[26] 선수들이나 관중들이나 야구를 제대로 즐기기 힘든 환경이다. 그래도 돈이라도 많이 주면 남을 텐데 모기업도 경영난을 겪고 있어서 연봉도 많이 못 준다. 이러다 보니 뛰기도 힘들고 연봉도 적게 주는 팀에 굳이 있을 이유를 못 느껴서 FA가 되는 족족 나가버리는 것.

그렇다 보니 매년마다 FA 선수가 나오면 나카무라 타케야, 쿠리야마 타쿠미, 토노사키 슈타처럼 팀에 대한 사랑이 무한대가 아닌 이상 거의 "아. 얘도 다른 팀에 가겠구나."라는 반응이 나오는 팀이다.

11. 이야깃거리

12. 영구 결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43d69>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영구 결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ccac00> No.24
<rowcolor=#ffffff> 이나오 카즈히사
}}}}}}}}} ||

13. 선수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선수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역대 선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역대 선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143d69><tablebgcolor=#143d69>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미야자키 카나메
(1950)
미하라 오사무
(1951~1959)
카와사키 토쿠지
(1960~1961)
나카니시 후토시
(1962~1969)
이나오 카즈히사
(1970~1974)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에토 신이치
(1975)
키토 마사이치
(1976~1977)
네모토 리쿠오
(1978~1981)
히로오카 타츠로
(1982~1985)
모리 마사아키
(1986~1994)
<rowcolor=#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히가시오 오사무
(1995~2001)
이하라 하루키
(2002~2003)
이토 츠토무
(2004~2007)
와타나베 히사노부
(2008~2013)
이하라 하루키
(2014)
<rowcolor=#fff>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타나베 노리오
(2014~2016)
츠지 하츠히코
(2017~2022)
마츠이 카즈오
(2023~2024)
니시구치 후미야
(2025~)
: 일본시리즈 우승 / : 퍼시픽리그 우승
1951년부터 1952년까진 명목상으론 미야자키 카나메가 감독, 미하라 오사무가 총감독을 맡는 체제였으나
실질적으로는 미하라가 단독으로 팀을 지휘했다.
}}}}}}}}}}}}}}} ||


12대 감독인 히가시오 오사무(1995~2001)부터 현임 감독인 20대 감독 니시구치 후미야(2025~)까지 계속 세이부 OB만 감독을 맡고 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순수혈통주의와 유사한 면이다.

16. 역대 성적

­ 리그 우승[53]
­ 2위
­ 3위
B클래스
<rowcolor=#ffffff> 연도 정규시즌 순위 최종순위 팀이름 경기 수 승률 포스트시즌
1950 5위/7팀 <colbgcolor=#0066b3><colcolor=#ffffff> 5위 니시테츠 클리퍼스 120 51 67 2 .432
1951 2위/7팀 2위 니시테츠 라이온즈 105 53 42 10 .558
1952 3위/7팀 3위 120 67 52 1 .563
1953 4위/7팀 4위 120 57 61 2 .483
1954 1위/8팀 우승 140 90 47 3 .657 일본시리즈 (3-4 vs 주니치)
1955 2위/8팀 2위 144 90 50 4 .643
1956 1위/8팀 우승 154 96 51 7 .646 일본시리즈 (4-2 vs 요미우리)
1957 1위/7팀 우승 132 83 44 5 .648 일본시리즈 (4-1-0 vs 요미우리)
1958 1위/6팀 우승 130 78 47 5 .619 일본시리즈 (4-3 vs 요미우리)
1959 4위/6팀 4위 144 66 64 15 .508
1960 3위/6팀 3위 136 70 60 6 .539
1961 3위/6팀 3위 140 81 56 3 .589
1962 3위/6팀 3위 136 62 68 6 .477
1963 1위/6팀 우승 150 86 60 4 .589 일본시리즈 (3-4 vs 요미우리)
1964 5위/6팀 5위 150 63 81 6 .438
1965 3위/6팀 3위 140 72 64 4 .529
1966 2위/6팀 2위 138 75 55 8 .577
1967 2위/6팀 2위 140 66 64 10 .508
1968 5위/6팀 5위 133 56 74 3 .431
1969 5위/6팀 5위 130 51 75 4 .405
1970 6위/6팀 6위 130 43 78 9 .355
1971 6위/6팀 6위 130 38 84 8 .312
1972 6위/6팀 6위 130 47 80 3 .370
1973 전기 4위/6팀
후기 5위/6팀
4위 다이헤이요클럽
라이온즈
130 59 64 7 .480
1974 전기 3위/6팀
후기 4위/6팀
4위 130 59 64 7 .480
1975 전기 2위/6팀
후기 4위/6팀
3위 130 58 62 10 .483
1976 전기 6위/6팀
후기 6위/6팀
6위 130 44 76 10 .367
1977 전기 6위/6팀
후기 5위/6팀
6위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
130 49 73 8 .402
1978 전기 4위/6팀
후기 5위/6팀
5위 130 51 67 12 .432
1979 전기 6위/6팀
후기 5위/6팀
6위 세이부 라이온즈 130 45 73 12 .381
1980 전기 6위/6팀
후기 4위/6팀
4위 130 62 64 4 .492
1981 전기 2위/6팀
후기 5위/6팀
4위 130 61 61 8 .500
1982 전기 1위/6팀
후기 3위/6팀
우승 130 68 58 4 .540 플레이오프 (3-1 vs 닛폰햄)
일본시리즈 (4-2 vs 주니치)
1983 1위/6팀 우승 130 86 40 4 .683 일본시리즈 (4-3 vs 요미우리)
1984 3위/6팀 3위 130 62 61 7 .504
1985 1위/6팀 우승 130 79 45 6 .637 일본시리즈 (2-4 vs 한신)
1986 1위/6팀 우승 130 68 49 13 .581 일본시리즈 (4-1-3 vs 히로시마)
1987 1위/6팀 우승 130 71 45 14 .612 일본시리즈 (4-2 vs 요미우리)
1988 1위/6팀 우승 130 73 51 6 .589 일본시리즈 (4-1 vs 주니치)
1989 3위/6팀 3위 130 69 53 8 .566
1990 1위/6팀 우승 130 81 45 4 .643 일본시리즈 (4-0 vs 요미우리)
1991 1위/6팀 우승 130 81 43 6 .653 일본시리즈 (4-3 vs 히로시마)
1992 1위/6팀 우승 130 80 47 3 .630 일본시리즈 (4-3 vs 야쿠르트)
1993 1위/6팀 우승 130 74 53 3 .583 일본시리즈 (3-4 vs 야쿠르트)
1994 1위/6팀 우승 130 76 52 2 .594 일본시리즈 (2-4 vs 요미우리)
1995 3위/6팀 3위 130 67 57 6 .540
1996 3위/6팀 3위 130 62 64 4 .492
1997 1위/6팀 우승 135 76 56 3 .576 일본시리즈 (1-4 vs 야쿠르트)
1998 1위/6팀 우승 135 70 61 4 .534 일본시리즈 (2-4 vs 요코하마)
1999 2위/6팀 2위 135 75 59 1 .560
2000 2위/6팀 2위 135 69 61 5 .531
2001 3위/6팀 3위 140 73 67 0 .521
2002 1위/6팀 우승 140 90 49 1 .648 일본시리즈 (0-4 vs 요미우리)
2003 2위/6팀 2위 140 77 61 2 .558
2004 2위/6팀 2위 133 74 58 1 .561 퍼스트 스테이지 (2-1 vs 닛폰햄)
세컨드 스테이지 (3-2 vs 다이에)
일본시리즈 (4-3 vs 주니치)
2005 3위/6팀 3위 136 67 69 0 .493 퍼스트 스테이지 (0-2 vs 롯데)
2006 2위/6팀 2위 136 80 54 2 .597 퍼스트 스테이지 (1-2 vs 소프트뱅크)
2007 5위/6팀 5위 144 66 76 2 .465
2008 1위/6팀 우승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144 76 64 4 .543 세컨드 스테이지 (3-2 vs 닛폰햄)
일본시리즈 (4-3 vs 요미우리)
2009 4위/6팀 4위 144 70 70 4 .500
2010 2위/6팀 2위 144 78 65 1 .546 퍼스트 스테이지 (0-2 vs 롯데)
2011 3위/6팀 3위 144 68 67 9 .504 퍼스트 스테이지 (2-0 vs 닛폰햄)
파이널 스테이지 (0-4 vs 소프트뱅크)
2012 2위/6팀 2위 144 72 63 9 .533 퍼스트 스테이지 (1-2 vs 소프트뱅크)
2013 2위/6팀 2위 144 74 66 4 .529 퍼스트 스테이지 (1-2 vs 롯데)
2014 5위/6팀 5위 144 63 77 4 .450
2015 4위/6팀 4위 143 69 69 5 .500
2016 4위/6팀 4위 143 64 76 3 .457
2017 2위/6팀 2위 143 79 61 3 .564 퍼스트 스테이지 (1-2 vs 라쿠텐)
2018 1위/6팀 우승 143 88 53 2 .624 파이널 스테이지 (2-4 vs 소프트뱅크)
2019 1위/6팀 우승 143 80 62 1 .563 파이널 스테이지 (1-4 vs 소프트뱅크)
2020 3위/6팀 3위 120 58 58 4 .500 [54]
2021 6위/6팀 6위 143 55 70 18 .440
2022 3위/6팀 3위 143 72 68 3 .514 퍼스트 스테이지 (0-2 vs 소프트뱅크)
2023 5위/6팀 5위 143 65 77 1 .458
<rowcolor=#000000> NPB 통산 74시즌 리그우승 23회 9993 5074 4528 391 .528 일본시리즈 우승 13회

17. 둘러보기

파일:SeibuGroup_logo.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acc 0%, #007acc 20%, #007acc 80%, #007ac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현행 계열사
지주회사 <colbgcolor=#fff,#1f2023>세이부 홀딩스
교통사업 세이부 철도 | 세이부 버스 | 세이부 관광버스 | 세이부 하이어 | 세이부 종합기획 | 오미 철도 | 오미 택시 | 코코쿠 버스 | 이즈하코네 철도 | 이즈하코네 교통 | 이즈하코네 버스 | 이즈하코네 택시
유통사업 츠치야마 고속도로서비스 | PePe | BIG BOX | Emio | TOMONY | 카루이자와 프린스 호텔프라자 | 나스 가든 아울렛 | 사야마 소바 | 이케부쿠로 쇼핑파크 | 치치부 소바 | 토와운수
호텔·리조트 사업 세이부 프린스 호텔 월드와이드 (프린스 호텔) | 카와나 호텔 | 도큐 쉐어링 | 이즈 관광호텔 | 르네사 | 우에다 도큐 REI 호텔
건설·정비 사업 세이부 전설공업 | 세이부 리얼티 솔루션즈 | 세이부 조원 | 세이부 SCCAT | 세이부 녹화관리 | 요코하마 녹지 | 에코다역 정비 | 시모이구사역 정비 | 노가타역 정비 | 히가시나가사키역·시나마치역 정비 | 타마가와 개발 | 고시샤 | 요도세이
레저사업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SEIBU 프린세스 라빗츠 | 프린스 아이스월드 | 세이부 레크리에이션 | 세이부엔유엔치 | 베루나 돔 | 사야마 스키장 | 토코로자와노 유리엔 | 세이부엔 골프장 | 세이부엔 경륜장 | 레이크사이드파크 미야자와코 | 토시마엔 니와노유 | 히가시후시미 아이스아레나 | 신요코하마 스케이트센터 | 오이소 롱 비치 | 하코네엔 나에바 스키장 | 이즈·미토 시 파라다이스 | 요코하마 아레나 | 센다이 우미노모리 수족관
서비스 사업 세이부 여행 | 세이부 애완동물 케어 | 세이부 철도 서비스 | 세이부 팔레트 | 타마가와 보트시스템 | 타마 리넨
과거 계열사
교통사업 세이부 코겐버스 | 줏고쿠토게 주식회사 | 아시노코 유람선
유통사업 세이부 백화점 | 세이부 타나시 스테이션 빌딩 | 세이부 사야마 스테이션 빌딩 | 세이부 무사시세키 스테이션 빌딩 | 세이부 식선시 | 세이부 DPE | 프린스 데리카
레저사업 세이부 철도 아이스하키부 | SEIBU 프린스 라빗츠 | 프린스 호텔 경식 야구부 | 유네스코무라 | 토시마엔 | 카루이자와 스케이트센터 | 치치부 뮤즈 파크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ed1c24><tablewidth=300><tablebgcolor=#ed1c24>
파일:사이타마현 문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일본프로야구 J1리그 J3리그 WE리그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로고.svg 파일:오미야 아르디자 로고.svg 파일: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로고.svg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오미야 아르디자 미쓰비시 중공업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레이디스
WE리그 B2리그 B3리그
파일:오미야 아르디자 로고.svg 파일:치후레 AS 엘펜 사이타마 로고.svg 파일:koshigayaalphas.webp 파일:사이타마 브롱코스 로고.webp
오미야 아르디자 VENTUS 치후레 AS 엘펜 사이타마 고시가야 알파즈 사이타마 브롱코스
사이타마현 연고 기타 구단 보기
}}}}}}}}} ||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역대 왕조
★★★★★★
1938추계~1943
도쿄 교진군*
★★★
1951~1953
요미우리 자이언츠
★★★
1956~1958
니시테츠 라이온즈
★★★★★★★★★
1965~1973
요미우리 자이언츠
★★★
1975~1977
한큐 브레이브스
★★★
1986~1988
세이부 라이온즈
★★★
1990~1992
세이부 라이온즈
★★★★
2017~202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단일리그 시절 기록
다른 틀 둘러보기: 한국프로야구 역대 왕조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대 왕조
한국프로축구 역대 왕조 · 프리미어 리그 역대 왕조 · LCK 역대 왕조



[1] 개장 당시에는 야외 구장이었으나 이후에 지붕을 덮었다.[2] 2019년 오버워치 리그 유니폼 제작을 담당했던 적이 있다.[3] 일본식 이름은 요시모토 히로시(吉本博). 재일교포.[4] 2군 연수 코치[5] 1983-85시즌에 1, 2위의 게임차가 5게임차 이내일 시 플레이오프로 리그 우승팀을 결정할 예정이었으나 1983, 1985년 당시 1위였던 세이부와 1984년 당시 1위였던 한큐 모두 2위 이하 팀들과 10게임차 이상 격차를 벌리면서 플레이오프가 개최되지 않았다.[6] 다만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2010년대 들어 단 10년간의 기간 동안 총 7번의 우승과 센트럴리그 전 구단 격파, 특히나 2020년 일본시리즈의 우승으로 세이부조차 이뤄내지 못한 퍼시픽리그 구단의 JS 4연패를 달성함으로서 이 기록을 경신했다.[7]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관중 출입 제한[8]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관중 출입 제한[9] 원래 세이부 철도는 창립자 가문이자 야구에 관심이 많던 츠츠미 일가가 경영해오고 있었지만, 2004년 분식회계 스캔들로 인해 현재는 츠츠미 일가가 경영에서 손을 떼고 전문경영인 체제로 돌아가고 있다.[10] 세이부 신주쿠선혼카와고에역으로 연결되어 있어 카와고에역까지 걸어가서 카와고에선을 타면 되긴 하지만, 그런 고생을 사서 하는 사람은 별로 없는 듯하다.[11] 같은 세이부 철도 그룹 산하이자 예전 라이온즈의 모기업인 코쿠도가 건설한 구장이라 건설 당시 세이부가 삿포로를 준본거지로 삼으려 했지만 닛폰햄 파이터즈의 연고이전으로 무산됐다.[12] 세이부급으로 열악한 훈련 시설로는 비만 좀 오면 그라운드가 침수되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 토다 구장, 공장 부지의 자투리 땅에 대충 그라운드만 만든 치바 롯데 마린즈의 롯데 우라와 구장 등이 꼽힌다. 어째 전부 사이타마에 있다[13] 이는 세이부 구단에 투자를 아끼지 않은 츠츠미 가문이 분식회계, 허위 공시로 축출되고 전문 경영인 체제로 바뀐 때부터 이어져온 기조로, 매년 주주총회에서 한신만큼은 아니지만 야구단 운영에 대해 불만이 나온다. 이를 보다 못한 세이부홀딩스 주주가 2017년 구단 2군 시설 및 인재 육성 시스템에 대해 주주총회에서 GM, 그룹 오너 앞에서 항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구단 사장이 라쿠텐보다 연봉 많다는 개드립을 쳐서 세이부 팬들에게 까였다.[14] 데즈카 오사무 스스로 정글대제는 6번 단행본이 나왔고, 뭐가 맞다고 할 수 없다고 전집에서 언급했다.[15] 당연히 이곳을 연고지로 둔 J리그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는 일본의 인기 프로축구 팀이며, 서포터들의 규모 역시 일본 최대다.[16] 참고로 사이타마시세이부 철도의 영업구간이 아니라 토부 철도의 영업 구간이며, 야쿠르트와 롯데의 2군 구장인 야쿠르트 토다 구장롯데 우라와 구장이 오히려 사이타마시에서 더 가깝다. 그리고 세이부의 홈구장은 사이타마시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데, 평일에도 경기가 있는 야구는 경기장 접근성이 관중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히려 세이부를 지지하는 팬층은 사이타마현보다도 토코로자와시에 인접한 도쿄도 타마 지역, 특히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세이부 신주쿠선 연선에 더 많이 분포되어 있다.[17] 일각에서는 사이타마를 연고로 하는 J리그 최고의 인기구단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의 존재와 그에 못지 않은 오미야 아르디자의 인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는데(둘의 더비 매치는 '사이타마 더비'로도 불릴 정도다.) 실제로는 같은 사이타마현이어도 세이부 라이온즈가 있는 토코로자와시와 사방에서 우라와 레즈깃발이 펄럭이는 사이타마시는 완전히 다른 동네다. 베드타운인 사이타마현의 특징상 도쿄로 가는 교통 시설 잘 정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타마 동부와 서부는 같은 현이라도 교류가 별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당장 사이타마시에서 야구를 보러 가려면 도쿄 돔이 오히려 더 가깝고 가는 시간은 세이부 돔의 절반 정도밖에 안 걸린다(무사시노선 참조).[18] 동부와 서부를 가리지 않고 사이타마의 통합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위에서 서술했듯이 동부의 카스카베시를 배경으로 한 크레용 신짱, 러키스타와도 콜라보를 했다. 물론 서부를 배경으로 한 아노하나야마노스스메와도 열심히 콜라보를 했다.[19] 롯데는 현재 선발 라인업 발표 후에 응원가를 불러주지 않는다.[20] 당시 세이부가 아노하나, 롯데가 오레이모와 콜라보를 진행해서 뜬금없게 두 작품끼리의 대결(?)이 되었다.[21] 그러나 그 롯데도 파이널 스테이지에서 라쿠텐에게 패하면서 2010년의 하극상은 이루지 못했다.[22] 다만, 다른리그로 가거나 기회를 보장받아서 이적할때는 예외적으로 박수를 처준다. 대표적으로 스미타니 긴지로, 아키야마 쇼고[23] MLB 도전에 나섰으나 계약에 실패하고 독립 리그에서 뛰다가 은퇴했다.[24] 단, 이쪽은 2013년에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카타오카 야스유키의 보상 선수로 세이부로 이적해 2년간 뛴 후 2016년 FA로 요미우리에 복귀한 사례라 세이부 원클럽맨이었던 다른 FA 대상자들과는 차이가 있다.[25] FA로 세이부를 떠났다가 6년 뒤에 세이부로 다시 돌아왔다.[26] 그 와중에 개방형 돔이다 보니 비가 많이 오는 날엔 돔인데도 우산에 우비까지 구비하면서 야구를 보는 관중들이 많다. 심지어 폭우일 땐 돔을 타고 흐르는 #공 폭포(...)까지 볼 수 있을 지경.[27] 다만 세이부에선 특별한 활약이 없었고 1985년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트레이드된 이후 준주전, 백업 외야/유격수로 제법 쏠쏠한 활약을 하며 늦게나마 활약했다. 특히 1987년에 94경기에 출장해 69안타 .292의 타율로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다. 이후 1992년 요코하마 타이요 훼일즈로 트레이드된 뒤 팀명이 베이스타즈로 바뀐 1993년을 끝으로 일본에서의 선수생활을 마감하고 다음 해인 1994년 롯데 자이언츠의 외국인 타자로 뛰기도 했으며, 당시 등록명은 한국명 홍순기였다. 다만 롯데에서는 코치와의 불화로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진 못하고 몇 달 만에 방출당했다. 방출 후에는 회사원으로 일했다. 페이스북[28] 대타, 대수비, 대주자요원으로 쏠쏠한 활약을 했다.[29] 사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가 원조이다. 1966년 철완 아톰 사용 계약을 맺어 산케이 아톰즈-야쿠르트 아톰즈라는 이름을 썼고, 마스코트도 아톰을 사용했다.[30] 2011년 10월 21일 방영분인 나는 프로야구 선수라구(オラはプロ野球選手だゾ, 한국에서는 미방영)는 노하라 신노스케(짱구)가 세이부에 입단한다는 내용이었다. 실제로 세이부 돔이 배경으로 나왔고 나카무라 타케야, 와쿠이 히데아키, 기쿠치 유세이, 나카지마 히로유키가 출현했다. 특히 나카무라는 본인이 직접 본인의 캐릭터를 더빙하기도 했다. 물론 그 외 캐릭터 상품이나 일러스트 등의 콜라보도 하고 있다.[31] 배경이 사이타마현 한노시라서 역시 콜라보가 성사된 바 있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유니폼 항목에서 콜라보한 일러스트를 볼 수 있다. 해당 성우들의 시구 모습도 찾아보면 볼 수 있다. 실제 작중에서도 등장인물들이 세이부의 야구경기 결과가 어떻게 됐나고 묻는 장면이 나온다.[32] 콜라보를 맺고 상품을 판매하기도 했다.[33] 치어리더를 소재로 한 작품이라서 콜라보가 수월하게 이뤄진 듯하다.[34] 콜라보 상품이 꽤 자주 발매되고 있다. 2017년 사례 근데 정작 작중에서는 야구보다 축구가 더 많이 나오고 있고, 그나마 야구를 좋아하는 캐릭터인 핫토리 헤이지도 오사카 출신이라 이쪽이랑 연관이 더 있다는 게 아이러니다.[35] 2016년 드래곤볼 슈퍼데이를 지정했다. #[36] 다만 이쪽은 야구 소재 만화라 그런지 전국 순회 형식 콜라보를 했다.[37] 이쪽은 특히 성우 아이바 아이나, 아이미, 쿠도 하루카시구를 한 바 있다. 시구 항목에서도 해당 사진을 볼 수 있다.[38] 참고[39] 두 팀 모두 지금의 연고지에 정착하기 한참 전인 1970년대 초부터 헤이와다이 사건 등 여러 가지로 원한을 쌓으면서 마산아재들을 연상시키는 구장 난입이나 투척전까지 벌인 적이 있었다. 자세한 것은 카네다 마사이치 항목 참고. 물론 지금은 연고지도 옮기고 그런 막장팬들도 거의 없어진 데다 공공의 적이 있어서 옛날 이야기지만 여전히 사이가 안 좋은 건 마찬가지.[40] 일본프로야구 드래프트의 경우 1순위 지명은 중복 경합이 될 시 제비뽑기로 교섭권을 뽑는다. 자세한 내용은 일본프로야구 문서 참조.[41] 특히 키요하라가 있던 10년간 세이부는 퍼시픽리그 우승 8회에 일본시리즈 우승 6회를 차지하는 최고의 황금기를 누렸다.[42] 다만 오오이시 타츠야는 프로에서 전혀 성공을 거두지 못한 채 9년 만에 은퇴하고 말았고, 오히려 그 다음으로 뽑은 2순위 마키타 카즈히사와 3순위 아키야마 쇼고가 훗날 메이저리그까지 도전할 정도로 성공했다.[43] 대신 1990년대 세이부 불펜진의 핵심인 시오자키 테츠야를 지명했다.[44] 대신 와쿠이 히데아키를 지명했고 세이부의 에이스가 되었다. 그리고 다른 주축들처럼 FA로 팀을 떠났다[45] 한국에서는 개막 투수로 한국 선수를 내세우는 게 특이할 정도로 용병들이 에이스를 맡지만, 일본에서는 선발 용병은 보통 3~5선발을 맡는 경우가 많고 개막 투수는 어지간하면 토종 선발을 내세운다. 수준급 선발투수가 한국에 비해서 많다 보니 각 팀별로 못해도 토종 선발 3명 정도는 두기 때문. 세이부도 100이닝 이상 던져줄 토종 선발은 그래도 3~4명 가까이 있기는 하다.[46] 다만 2019년의 잭 닐이 특이한 거지 구단 자체가 용병 선발, 특히 대만인이 아닌 미국, 중남미 용병 선발은 죄다 망하기로 유명하다. 용병 선발 중 10승을 넘긴 미국, 중남미 출신 선수는 창단 이래 잭 닐이랑 디트릭 엔스가 유이할 지경이며, 당장 최근 세이부의 용병 선발들은 2015년의 웨이드 르블랑과 궈쥔린(2019년까지 일본에서 버텼지만 잘한 시즌이 거의 없었다.), 2016년의 앤디 밴 헤켄, 2017년의 알렉시스 칸델라리오와 스테판 파이프, 2018년의 파비오 카스티요(그나마 중박은 쳐서 1년 더 재계약했다.), 2020년의 션 놀린 등의 실패 사례만 수두룩했다.[47] 결국 마스다는 마무리에서 밀려나 2024년을 끝으로 은퇴했다.[48] 특히 야쿠르트는 한신 타이거스의 주전 포수우메노 류타로에게 척골 부상을 입혀 아예 잔여 시즌을 전부 날리게 하는 대형사고까지 쳤다.[49] 이 목록에 한신 타이거스도 있었으나 2023년 일본시리즈 우승으로 한을 풀었다.[50] 2018년 소프트뱅크와 히로시마의 맞대결이 성사되며 소뱅도 세리그 6팀을 모두 만난 팀이 되었다.[51] 요미우리 : 1956~1958, 1963, 1983, 1987, 1990, 1994, 2002, 2008 / 한신 : 1985 / 주니치 : 1954, 1982, 1988, 2004 / 야쿠르트 : 1992, 1993, 1997 / 히로시마 : 1986, 1991 / 요코하마 : 1998. 승리한 연도는 볼드체 표시.[52] 도쿄역에서조차 2번 환승해야 돼서 1시간~1시간 반이 걸린다.[53] 볼드체는 일본시리즈 우승[54] 코로나19로 인해 퍼스트 스테이지가 취소되었고, 그로 인해 3위임에도 불구하고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참가하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