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18:57:02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구광역시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청 부산광역시청 대구광역시청 인천광역시청 광주광역시청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청 울산광역시청 세종특별자치시청 경기도청
북부청사
강원특별자치도청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청 충청남도청 전북특별자치도청 전라남도청 경상북도청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 하양.svg 파일: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청 제주특별자치도청 이북5도청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대구광역시청 옛날.jpg
파일:대구광역시청산격동청사.jpg
동인청사 산격청사
중구 공평로 88 (동인동1가) 북구 연암로 40 (산격동)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청 동인청사
大邱廣域市廳 東仁廳舍 | Daegu City Hall in Dongin
파일:대구광역시청 옛날.jpg
<colbgcolor=#008837><colcolor=#fff> 슬로건 자유와 활력이 넘치는 파워풀 대구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 88 (동인동1가)
대구광역시 달서구 당산로 176 (두류동)[예정]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광역시도 대구광역시
직원 수 1,762명[2]
예산 10조 7,419억 원 (2023년)
광역시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홍준표 (초선)[3]
부시장 김선조 (행정)
정장수 (경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역대 부윤 및 시장4. 조직
4.1. 청사 구조
5.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인 대구광역시청의 2개의 청사 중 한 청사.

2. 역사

파일:대구부청.jpg
<colcolor=#fff> 대구이사청(1909~1910) | 대구부청(1910~1949)
동인청사의 역사는 구한말 대구이사청(大邱理事廳)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6년 8월 대구이사청 설치가 확정되고 그해 12월, 동상면 포정동 경상북도관찰부의 선화당에서 대구이사청 개청식을 개최하고 이사청 업무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얼마 못간 1909년 6월 현 부지인 동인동1가로 이전하게 되고,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그해 10월 1일부로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가 발표됨에 따라 대구군이 대구부(大邱府)로 승격됨으로서 대구부청이 된다.

1945년 광복 후에도 대구부청으로 사용되다가 1949년 목조 건물인 청사에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전소되어 바로 옆의 부립도서관 건물을 임시청사로 사용하게 되었고, 그런 와중 그 해 광복절을 기해 전국의 모든 부(府)가 시(市)로 개칭됨에 따라 대구시청으로 같이 개칭되었다.

이후 1956년 5월, 미군의 원조를 받아 시청 청사를 신축하여 입주하였다.

1981년 7월, 경상북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 경상북도에서 분리됨에 따라 대구직할시청이 되었다. 이후 1991년에 직할시 승격으로 인한 업무공간 부족에 따라 시청사 동편 주차장 부지[4]에 지하 2층, 지상 10층의 신 청사인 현재의 동인청사를 착공하여 1993년 완공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쓰던 시청사는 대구시의회로 전환되었고, 산격청사가 신설된 후에도 대구광역시의회와 관련된 부서는 여전히 동인청사에 있다.

1995년, 대구직할시가 대구광역시로 개칭됨에 따라 대구광역시청이 되었다.

경상북도청이 2016년 2월 안동시로 이전한 후 빈 건물이 된 구 도청 건물을 별관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본 청사에 입주하지 못한 채 주변에서 세들어 살던 부서들이 별관으로 대거 입주했다. 기획조정실을 포함한 상당수의 실/과들이 별관으로 이전하면서, 별관이 실질적인 시정 헤드쿼터 역할을 맡아왔다.

이후 홍준표 시정이 들어서면서 이러한 기조는 더욱 강화되어 산격동 별관이 본청인 시청 산격청사로 승격하게 되면서, 기존 본청인 동인청사가 시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대폭 축소되었다.

3. 역대 부윤 및 시장

파일:대구광역시 휘장(일제강점기~1996)_White.svg
경상북도 대구부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일제치하 경상북도 대구부윤
초대
다케자키 로쿠지로
제2대
나가노 타이사로
제3대
마쓰이 신스케
제4대
미야다테 데이이치
제5대
가미우치 히코사쿠
제6대
야마자키 마사오
제7대
구와하라 이치로
제8대
이타가키 신지
제9대
다가 히데토시
제10대
가도와키 마코이치
제11대
후루이치 스스무
제12대
스기야마 무이치
제13대
야마모토 미노루
제14대
우에노 히코하치
미군정 조선 경상북도 대구부
군정부윤 민정부윤
초대
존 콘치
제2대
쥬라-듸
제3대
필립스
초대
이경희
제2대
권영세
미군정 조선 경상북도 대구부윤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부윤1
제2대
권영세
제3대
한보용
서리
조용해
초대
허억
경상북도 대구시장·대구직할시장·대구광역시장
<rowcolor=#ffffff> 1 : '49.08.15. 대구부 → 대구시 개칭, 부윤 → 시장 개칭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허억
제2대
이호석
제3대
김종환
제4대
허흡
제5대
조준영
제6대
이종왕
제7대
박기서
제8대
김종환
제9대
강원채
제10대
강계원
제11대
태종학
제12대
김수학
제13대
이규이
제14대
김무연
제15대
정채진
제16대
박창규
제17대
장병구
제18대
정채진
제19대
이상희
제20대
이상연
제21대
박배근
제22대
박성달
제23대
이해봉
제24대
한명환
제25대
이의익
제26대
조해녕
제27대
이종주
제28·29대
문희갑
제30대
조해녕
제31·32대
김범일
제33·34대
권영진
제35대
홍준표
일제치하·미군정 경상북도 대구부윤
파일:대구광역시 시정슬로건.svg
}}}}}}}}} ||


4. 조직

4.1. 청사 구조

5.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5.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대구시동인청사/동인찜갈비골목/태평상가/2.28기념중앙공원/CGV대구한일
(02061·02169·20060·20101·20105·20106·20116·20117·20118·20119·20120)
||
급행
간선
지선

5.2. 철도

5.2.1. 도시철도

무궁화호}}}]] 대구역[5]
[예정] 옛 두류정수사업소 터로 이 곳에 신청사를 착공해 통합 이전할 예정이다.[2] 국가직 공무원 제외, 산격청사 포함[3] 민선 8[4] 해당 부지에는 일제강점기 시기 건립된 무술 도장인 대구부립무덕전이 위치해 있었으나 1987년 철거되고 주차장이 되었다. 철거 직전에는 회의실로 사용 중이었다.관련 게시물[5] 약 800m 정도 떨어져 있다.[6] 약 580m 정도 떨어져 있다. 3번 출구로 나온 뒤 우회전 한 후 계속 직진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