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15:19:45

데스티니 라이징


파일:데스티니 시리즈 아이콘.png
데스티니 시리즈
{{{#!wiki style="margin:-3px -0px -5px"
{{{#!wiki style="word-break: keep-normal; 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본편 확장팩
파일:Destiny_icon_Black.png데스티니
Destiny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the-dark-below_icon.png
도사리는 어둠
파일:house-of-wolves_icon.png
늑대의 가문
파일:the-taken-king_icon.png
굴복자의 왕
파일:rise-of-iron_icon.png
강철의 봉기
}}} ||
}}}
||<|9><tablewidth=100%><width=10%><bgcolor=#ffffff,#191919>파일:Destiny2_icon_Black.png
데스티니
가디언즈

Destiny 2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redwar_icon_f.png
붉은 전쟁
1시즌
파일:curse_of_osiris_icon_f.png
오시리스의 저주
2시즌
파일:warmind_icon_f.png
전쟁지능
3시즌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forsaken_icon_f.png
포세이큰
무법자 시즌
4시즌
파일:forge_icon.png
검은 무기고
대장간 시즌
5시즌
파일:opulence_icon.png
조커스 와일드
방랑자 시즌
6시즌
파일:opulence_icon_f.png
어둠의 그림자
풍요의 시즌
7시즌
}}}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shadowkeep_icon.png
섀도우킵
파일:undying_icon_f.png
불멸의 시즌
8시즌
파일:dawn_icon.png
서광의 시즌
9시즌
파일:worthy_icon_f.png
자격의 시즌
10시즌
파일:arrivals_icon_f.png
출현의 시즌
11시즌
}}}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beyondlight_icon.png
빛의 저편
파일:hunt_icon_f.png
사냥
시즌
12시즌
파일:chosen_icon_f.png
선택받은 자 시즌
13시즌
파일:splicer_icon_f.png
융합의 시즌
14시즌
파일:lost_icon_f.png
잃어버린 자 시즌
15시즌
파일:30th_icon.png
번지 30주년 팩
}}}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witchqueen_icon_f.png
마녀 여왕
파일:risen_icon_f.png
되살아난 자 시즌
16시즌
파일:haunted_icon_f.png
망령의 시즌
17시즌
파일:plunder_icon_f.png
우주 해적 시즌
18시즌
파일:seraph_icon_f.png
세라프 시즌
19시즌
}}}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lightfall_icon_f.png
빛의 추락
파일:defiance_icon_f.png
대항의 시즌
20시즌
파일:deep_icon_f.png
심해의 시즌
21시즌
파일:witch_icon_f.png
마녀의 시즌
22시즌
파일:wish_icon_f.png
소원의 시즌
23시즌
}}}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final_shape_icon_f.png
최후의 형체
파일:echoes_icon_f.png
메아리
에피소드 I
파일:revenant_icon_f.png
망령
에피소드 II
파일:heresy_icon_f.png
이단
에피소드 III
}}}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Destiny_icon_White.png
운명의 경계
파일:Destiny_icon_White.png
저항자
}}} ||
{{{#!wiki style="margin:-16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10pt" 파일:Destiny_icon_White.png
부서진 순환
파일:Destiny_icon_White.png
연금술사
}}} ||
||<-2><tablewidth=100%><width=100%><color=#fff><rowbgcolor=#2d2f34> 외전 ||
파일:데라 아이콘.png
데스티니 라이징
Destiny Risin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c1d1f> 파일:데라 아이콘.png데스티니 라이징
Destiny Rising
}}}
파일:데스티니 라이징.jpg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4b4b4b,#b3b3b3> 개발 넷이즈
유통
플랫폼 iOS | iPadOS | Android
ESD App Store | Google Play
장르 FPS | RPG
출시 파일:미국 국기.svg 2025년 8월 28일
엔진 언리얼 엔진 5
한국어 지원 미정
심의 등급 15세 이용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시스템 요구 사양
3.1. iOS / iPadOS3.2. Android
4. 게임 플레이
4.1. PvE
4.1.1. 헤이븐 작전4.1.2. 아홉의 영역4.1.3. 건틀릿 작전4.1.4. 모르그란의 사냥감4.1.5. 유산
4.2. PvP
4.2.1. 이동 관문4.2.2. 강철 심판
4.3. 빛의 운반자4.4. 적 세력
4.4.1. 진화체
4.5. 오픈 월드
4.5.1. 헤이븐4.5.2. 강석 메트로4.5.3. 홍해 균열
4.6. 등장인물
4.6.1. 헤이븐4.6.2. 강석 메트로4.6.3. 홍해 균열
4.7. 스토리
5. 아이템 및 장비6. 평가7. OST8. 논란 및 문제점9. 기타10. 외부 링크

1. 개요

<bgcolor=#ffffff,#1c1d1f>
글로벌 런칭 트레일러 | "Fear Our Name"

데스티니 라이징은 넷이즈에서 개발 및 배급하는 데스티니 시리즈의 모바일 게임이다. 원작의 개발사 번지는 라이선스만 제공했다.

2. 발매 전 정보

<bgcolor=#ffffff,#1c1d1f>
공식 공개 트레일러

번지와 넷이즈의 협업 소식이 전해진 것은 지난 2022년 본편의 마녀 여왕 확장팩이 출시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시기로, 여러 관계자들과 웹진 등의 소식통을 통해 양사가 "바이퍼(Viper)"라는 내부 코드네임으로 모바일 게임을 협력하여 제작중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후 2024년 7월 경 번지 스튜디오가 구조조정으로 인력의 약 17%에 달하는 인원을 해고할 때 프로젝트가 아직 취소되지 않고 개발이 계속 진행중이라는 소식이 유출되었으며, 같은 해 10월달에 넷이즈 측에서 테스트를 준비하면서 정식으로 공식 홈페이지와 타이틀을 공개했다.

동부 표준시 기준 2024년 11월 1일에 미국과 캐나다 지역에서 알파 테스트가 진행되며, 메인 스토리의 캠페인을 대부분 즐길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플랫폼의 환경에 대응하여 1인칭과 3인칭 시점을 전부 지원하며 외부 컨트롤러 입력도 지원한다. 이듬해 6월에는 클로즈 베타가 진행되었으며 테스트 종료 후 2025년 8월 28일에 정식 출시가 결정되었다.

세계관 배경은 붕괴가 지나간 이후부터 최후의 도시가 세워지기 이전 사이의 시점이며, 본편에서는 자발라 프롤로그에서 잠깐 묘사되었던 인류의 암흑기와 최초의 타이탄들로 구성된 순례 수호단이 세운 장벽을 중심으로 초기 인류 공동체가 구성되던 시기에 대응된다. 다만 데스티니 라이징의 세계관은 본편인 데스티니 시리즈와는 다른 평행세계이다.

본작에서 수호자들이 집결하는 활동 거점은 최후의 도시의 전초 기지인 "헤이븐"이라는 장소로, 공식 소개 영상에서도 멀리 여행자 아래에서 최후의 도시가 건설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최후의 도시처럼 시장과 마당, 격납고 등의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또한 여행자와는 별개로 본편에는 등장하지 않았던 세계수같은 외형의 빛의 나무가 확인되는 것이 특징이다.[1]

3. 시스템 요구 사양[2]

3.1. iOS / iPadOS

iPhone iPad
<colbgcolor=#617ca3,#010101><colcolor=#ffffff,#dddddd> 기종 iPhone 7
iPad(7세대)
iPad mini(5세대)
iPad Air(3세대)
iPad Pro(10.5형)
iPad Pro(12.9형)(2세대)
iPad Pro(11형)
컨트롤러 지원 지원 지원
용량 최소 15GB

3.2. Android

최소사양
<colbgcolor=#617ca3,#010101><colcolor=#ffffff,#dddddd>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8.0 이상
프로세서 스냅드래곤 835, 디멘시티 700 이상
키보드, 마우스 지원 지원
컨트롤러 지원 지원
용량 최소 15GB

넷이즈가 개발 및 유통을 맡은 만큼 넷이즈의 Android 에뮬레이터인 뮤뮤 앱플레이어와 게임 클라이언트가 공식적으로 호환되며, 이를 이용해서 PC 환경에서 게임을 실행 시 자동으로 조작 설정 및 UI가 키보드와 마우스에 최적화되어 데스티니 가디언즈와 동일한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게임 내에서도 에뮬레이터 환경에서 실행 시 특별 보상을 지급하며 블루스택 또한 마찬가지로 최적화를 지원한다.

4. 게임 플레이

파일:external/mafiasquad.altervista.org/logo-destiny1.png
데스티니 라이징의 컨텐츠
PvE
헤이븐 작전
(Haven Ops)
일반/영웅 공격전 | 재앙 작전
건틀렛 작전
(Gauntlet Ops)
돌격 | 맹공격
아홉의 영역
(Realm of the IX)
특이성: 질서/혼돈 | 광활
전설 캠페인
(Legendary Campaign)
유산
(Legacy)
일반 활동 | 태양/전기/공허
모르그란의 사냥감
(Morgran's Prey)
PvP
강철 심판
(Iron Bar)
이동 관문
(Shifting Gates)
기타 활동
참새 레이싱
(Sparrow Racing)
섀도셰이퍼 결투
(Shadowshaper Duels)

작중의 시점은 어둠의 도래로 황금기가 끝을 맞이하고, 인류의 재건을 위해 수호자가 외부 세력들을 상대로 투쟁하던 시대를 다루기 때문에 여행자와 어둠의 대립보다는 본편에서 등장했던 외계 종족들과 수호자들간의 대립을 주로 다룬다.

4.1. PvE

4.1.1. 헤이븐 작전

Haven Ops

본편의 선봉대 작전 및 공격전을 통합한 컨텐츠다. 3인용 활동이며 일반 및 영웅 공격전은 메인 캠페인 챕터 2-1을 완료하면 해금되는 공격전, 본편의 황혼전과 비슷한 점수제 활동은 팀 레벨 70을 달성하면 해금되는 재앙 작전 (Calamity Ops)으로 나뉜다. 재앙 작전은 특수 모디파이어 및 진화체가 등장하며, 특정 점수에 도달해 해당 주간의 리더보드에 오르는 것이 목표다. 주요 보상은 공격전 무기와 개조 부품이다.

4.1.2. 아홉의 영역

Realm of the IX

로그라이트 컨텐츠로 메인 캠페인 챕터 2를 개방한 이후 아홉의 초대를 받아 시장에 위치한 술집인 끔찍한 기억의 창고에 나타난 시공간 균열에 들어가면 신규 소셜 스페이스가 오픈된다. 여기서 쥴을 통해 원하는 컨텐츠를 진행할 수 있다. 아홉의 영역 활동을 통해 스킬트리 업그레이드 및 유물 금박에 필요한 원소 열매를 얻을 수 있으며 클리어 보상으로 나오는 이상한 동전을 사용해 초월 우주 특성을 해금해 아홉의 영역 플레이 중 여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아홉의 영역의 공통점은 격분 타이머로, 주어진 시간이 떨어지면 아홉의 인내심이 바닥나 적들이 격분, 플레이어가 받는 모든 피해가 2배로 늘어난다. 거참 3분 못기다리는 쪼잔한 놈들 격분 페이즈에 들어가고도 시간안에 클리어를 못하면 지루해진 아홉이 플레이어를 죽여버린다. 이러한 탓에 아홉의 선물 버프를 적절하게 조합해 각 라운드를 빠르게 클리어하는 것이 아홉의 영역의 기본이다.

4.1.3. 건틀릿 작전

Gauntlet Ops

본편의 리바이어던전시장과 비슷한 6인 협동 임무이다. 본편의 시즌 활동 및 공세의 난이도와 비슷한 건틀릿: 돌격이 있으며, 데스티니 라이징의 레이드 포지션인 건틀릿: 맹공격이 있다. 건틀렛 작전 활동은 메인 캠페인 4-2를 완료하면 해금된다.

4.1.4. 모르그란의 사냥감

Morgran's Prey

본편의 결단의 장소 1페이즈와 갬빗을 섞은 3인용 컨텐츠로, 메인 캠페인 챕터 2-2를 완료해야 해금되며 모르그란의 사냥터에서 제한 시간안에 최대한 많은 적을 잡아 최종보스 소환 지점까지 점수를 채워야 한다. 만약 제한 시간이 떨어지면 다음 섬으로 이동해야 하며, 각 섬에 도달할 때 마다 점수 배수 모디파이어를 골라야한다. 모디파이어는 상대적으로 약한 너프와 상당한 너프로 나뉘며, 너프의 강도가 심할수록 점수 배수가 올라간다. 또한 매판마다 점수 보너스를 주는 처치 유형도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클리어를 위해선 높은 배수의 모디파이어와 올바른 처치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르게 말하면 점수를 채우는데 너무 오래걸려 다른 지역을 더 많이 방문할수록 해당 판이 여러 너프로 떡칠되어 난이도가 올라가게 된다.

주요 보상은 강화 프리즘 및 개조 부품 연마 재료다. 강화 프리즘은 이것저것하다 모이는 무기를 갈거나 상점에서 교환할 수 있는 선택형 프리즘으로 수급이 가능하나 개조 부품 연마 재료는 은근히 부족하기 때문에 가끔가다 들리는 컨텐츠다.

4.1.5. 유산

Legacy

본편의 갬빗과 동일한 3인용 컨텐츠로, 메인 캠페인 챕터 2를 개방하면 해금되며 적들과 원소 수정을 파괴해 파편을 얻고, 이를 모아 파수병의 잔해에 반납하는 것이 주요 기믹이다. 일정 이상의 파편을 반납하면 고위험 지역으로 통하는 포탈이 열리며, 여기서 고가치 표적을 잡아 대량의 파편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에 파편을 훔치는 약탈자들이 나타나며 이들을 저지해야 한다.

주요 보상은 백열 다발이다. 백열 다발은 스킬 트리 업그레이드가 끝나면 부캐를 키우는 게 아닌 이상 굳이 모을 필요가 없고, 유산 활동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선택형 백열 다발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잘 가지 않게 되는 컨텐츠다. 다만 찬사 레벨을 올리기 위해선 3캐릭 육성이 필수이고, 선택형 백열 다발을 제외하면 백열 다발 파밍에 있어 가장 효율이 좋으므로 중간에 여러 캐릭터를 문어발식으로 키워 선택형 백열 다발을 모두 소모했다면 필수적으로 돌아야 하는 컨텐츠다.

4.2. PvP

4.2.1. 이동 관문

Shifting Gates

시기상으로 등장할 수 없는 갬빗 대신 갬빗과 동일한 포맷의 PvPvE 컨텐츠로 상시로 플레이 가능한 PvP 모드이며 배틀로얄의 특징 또한 가지고 있다. 입장하면 3인으로 이루어진 6개의 팀이 경기장에 투입되며, 적들을 처치하거나 목표를 완료해 데이터 파편을 모아 전송 터미널에 반납해야 한다. 전용맵은 강석 메트로 전역을 사용하는 거대한 맵이며, 동기화 관문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중간에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주는 프라임 이상 현상을 사냥할 수 있는데, 프라임 이상 현상을 잡으면 다량의 데이터 파편 및 데이터 핵이라는 아이템이 드랍된다. 설정상 데이터 핵은 해독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데이터 핵을 획득한 플레이어는 60초 동안 핵을 노리고 오는 적군 플레이어들로 부터 살아남아야 한다. 8분안에 가장 많은 데이터를 반납한 팀이 우승하게 된다.

4.2.2. 강철 심판

Iron Bar[4]

시련의 장에 대응하는 컨텐츠로 주말에만 열린다. 기본 룰은 점령이며 맵은 보스토크와 붕괴 고정이다.

4.3. 빛의 운반자[5]

파일:external/mafiasquad.altervista.org/logo-destiny1.png
데스티니 시리즈의 클래스
파일:external/img11.deviantart.net/destiny_class_banners_by_wolfeyedhero-d77x7cn.png
헌터 워록 타이탄
{{{#!folding [ 데스티니 ]
{{{#!wiki style="border:0px; margin:-11px; margin-top:-8px; margin-bottom:-7px"
Gunslinger Voidwalker Striker
Bladedancer Sunsinger Defender
Nightstalker Stormcaller Sunbreaker }}}}}}
{{{#!folding [ 데스티니 가디언즈 ]
{{{#!wiki style="border:0px; margin:-11px; margin-top:-8px; margin-bottom:-7px"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공허.png
공허
밤추적자 공허방랑자 파수병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태양.png
태양
총잡이 새벽칼날 태양파괴자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전기.png
전기
전기질주자 폭풍소환사 돌격자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시공.png
시공
망령 그림자결속자 거수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 초월.png
초월
곡예질주자 무리직조공 폭한
프리즘
헌터 워록 타이탄 }}}}}}

데스티니 라이징의 주인공은 늑대(Wolf)라고 불리는 인물로, 트레일러에서도 늑대의 머리 모양의 헬멧을 착용하고 있으며 스토리와 서사의 중심 캐릭터가 된다. 플레이어는 늑대의 외모와 성별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으며, 데스티니 1과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주인공 수호자도 작중에서 등장 인물들에게 늑대라고 불린 적이 있지만 본작은 평행세계가 배경인 만큼 본편의 주인공 수호자와는 별개의 인물이다. 본편의 주인공 수호자와 마찬가지로 늑대도 작중 시점 이전에 이미 사망했었으나, 고스트에게 선택받아 부활한 뒤 혼란스러운 종말 이후의 세계에서 헤이븐의 요원이자 빛의 운반자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악랄한 과금구조로 악명높은 넷이즈의 개발작답게 직접 장비를 파밍해 나만의 수호자를 성장시키는 루터 슈터 장르인 본편과는 달리, 데스티니 라이징에서는 루터 슈터에 코레류 게임의 매커니즘과 확률형 아이템 수익 구조가 추가되어 늑대 외에도 본편에서 직접 등장했거나 설정상으로 존재하던 데스티니의 다양한 등장인물들을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캐릭터들은 본편의 클래스 구분을 따르지 않고[6] 빛을 사용하는 고유한 방식과 스토리를 가지고 있으며[7], 보유한 캐릭터는 싱글, 협동, 경쟁 멀티플레이어 모드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플레이어블 수호자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4.4. 적 세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스티니 시리즈/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스티니 시리즈/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스티니 시리즈/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붕괴로 황금기의 인류가 보유했던 비행 및 우주 관련 기술과 인프라들이 초기화된 본작의 시점에서는 인류의 활동 반경이 지구로 한정되어 있는 상태로, 따라서 수호자들이 지구에서 대립하는 주적들은 몰락자, 벡스, 군체, 기갑단 4종족이 주가 된다.[29] 대부분 본편에서 등장했던 적 개체들과 리더 및 미니 보스들이 그대로 등장하므로, 약점과 공략 방법도 본편과 동일하다.

4.4.1. 진화체

Shinka/進化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용사 시스템과 비슷하지만 좀 더 발전된 형태의 강화 유닛이다. 대용사 개조가 특정 원소 효과가 없으면 사실 상 대처가 불가능한 용사와는 달리, 해당 진화체의 카운터가 아닌 무기군을 사용해도 결국엔 스턴이 가능하다는 파격적인 기믹을 가지고 있다. 대신 진화체는 스턴 상태가 아닐땐 모든 능력 피해에 면역이다.

4.5. 오픈 월드

원작처럼 허브 월드 및 정찰 구역이 있으며 각 정찰 구역에 숨겨진 비밀을 해결해 상인의 평판을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정찰 구역에서 해결하는 비밀의 경우 캐릭터 육성에 필요한 무기 강화 재료가 나오기 때문에 어느정도 해놔야한다.

매일 각 정찰 구역의 지역 중 하나가 최전선 지역으로 지정된다. 최전선의 경우 빛의 추락에서 선보인 터미널 과부화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며 총 3번의 미니 이벤트를 완료하면 보스 이벤트가 열린다. 최전선이 활성화된 지역은 공개 이벤트가 나오지 않으며 무조건 최전선 이벤트가 고정으로 진행된다. 보스 라운드를 완료하면 상자가 나오는데, 여기서 제대로된 보상을 얻기 위해선 최전선 열쇠가 필요하다. 최전선 열쇠는 현상금을 완료해 얻은 포인트로 매주 총 6개의 열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정찰 구역의 상인이 일일 의뢰를 주며 총 3개의 의뢰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2개의 비교적으로 간단한 정찰 수준의 의뢰만이 나타나며, 2개의 의뢰를 끝내면 보스가 나타나는 마지막 의뢰가 주어진다. 일일 의뢰의 경우 한 정찰 구역에서 완료하면 당일 다른 지역의 일일 의뢰를 수주가 불가능하다.

4.5.1. 헤이븐

Haven

남아메리카에 위치해 있으며, 최후의 도시로 진입하는 관문이자 최후의 도시가 건설되어지는 동안 빛의 운반자들의 본부로 활용되는 요새이다. 빛의 나무 아래에 위치해있으며 근처에는 옛 도시라고 불리는 황금기의 시가지가 있지만 도시의 이름은 잊힌지 오래 되었다. 헤이븐 근처에는 황금기 때 타케토리 공업에서 개발한 파수병이라는 거대 로봇이 순찰을 하고 있으며[30] 해당 파수병은 붕괴 이후에도 살아남아 활동 중인 유일한 파수병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파수병이 사용하던 무기인 망치가 옛 도시 중심부에 떨어져 있으며 망치의 부품들은 아직도 여행자의 빛을 품고 있다.

작중에선 헤이븐이 탑의 역할을 하며, 옛 도시는 퀘스트 전용 공간으로만 사용되어서 메인퀘 및 보조퀘 때만 입장이 가능하다. 설정상 라데가스트와 그를 따르는 강철 군주들이 여행자와 여행자의 아래에 건설중인 최후의 도시를 발견하고 나서 이를 보호하기 위해 옛 도시 인근의 최후의 도시로 진입하는 관문에 강철 깃발의 본부를 이전해서 요새 도시를 건설한 것이 오늘날의 헤이븐이라고 한다. 또한 헤이븐의 부근에는 폐허가 되어 버려진 황금기의 비행기 격납고를 개수한 "늑대굴(Wolf Den)"이라는 시설이 있으며 인게임에서는 클랜 유저들의 회관으로 이용된다. 실제 설정상으로도 늑대를 비롯한 빛의 운반자들의 휴식처로 이용되는 곳이라고.[31]

헤이븐의 연못에서는 낚시를 진행할 수도 있으며, 매일 한번씩 맵 곳곳에 있는 고양이를 찾아 쓰담아주고 고양이가 원하는 부류의 생선을 먹이로 주면 선물 상자 하나를 건네준다.

4.5.2. 강석 메트로

Jiangshi Metro[32]

동아시아에 위치한 발사 기지로 황금기 때 수 많은 우주선들이 발사되었다. 때문에 황금기 시절 항공 우주 관련 과학기술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는 장소로, 이를 노리고 침입한 몰락자들에 맞서 정착지의 주민들이 헤이븐과 빛의 운반자들의 지원을 받으면서 게릴라 활동으로 저항 중에 있는 상황. 강석 메트로의 주요 시설은 남월(濫月) 프로젝트 부지로, 지구 궤도에 있는 남월 우주 정거장으로 이어지는 우주 엘리베이터 및 우주선 발사를 순탄하게 만들기 위한 날씨 통제소가 존재한다. 현재는 악마의 가문한테 점령당한 상태로, 융합자 이사키스 주도하에 남월 우주 정거장은 확장되어 일식의 대첨탑으로 개조된 상태다.

강석 메트로의 자원은 에테르 연꽃으로, 기차역에서 아타와 여러 강화 프리즘으로 교환 가능하다.

4.5.3. 홍해 균열

Red Sea Rift

원래는 홍해였으나 과거 홍해의 파수병이 모종의 거대한 괴수와 전투를 벌인 여파로 바닷물이 완전히 증발하고 해저 지형과 산호초가 지상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그 결과 홍해를 항해하던 수많은 화물선들이 좌초되었고, 그중에서도 가장 거대한 선박인 베리디아 호가 인류의 정착지가 되어 현재의 베리디아가 되었다.[33] 현재는 기갑단 모래 포식자 군단의 공격을 받고 있으며 베리디아의 주민들은 파괴된 파수병의 팔에서 나오는 방어막으로 기갑단의 공격을 막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쓰러진 파수병의 잔해에서 흘러나오는 빛 때문에 주변의 광물이 변형되어 광채석(Radiancite)이라는 특수한 자원이 만들어졌고, 베리디아는 이 광채석을 채굴해서 방어막을 생성하고 있는 파수병의 팔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홍해 균열에 있는 거대한 괴수의 뼈는 근처에 다가가면 이상한 속삭임이 들린다고 한다.

홍해 균열의 자원은 홍해 젤로, 베리디아에서 아흐메드와 백열 다발 계열 자원 및 유물 모래로 교환 가능하다.

4.6.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스티니 시리즈/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스티니 시리즈/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스티니 시리즈/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1. 헤이븐

4.6.2. 강석 메트로

4.6.3. 홍해 균열

4.7. 스토리

파일:Destiny_icon_White.png
데스티니 라이징의 스토리
몰락자 대장 바노크를 피해 여행자의 빛에 선택받은 자를 찾아다니던 고스트 제브(Zev)는 한 강철 늑대의 사원에서 몰락자들과 함께 쓰러진 인간을 발견하고 빛의 운반자로 부활시킨다. 부활한 빛의 운반자는 자신의 전생과 이름, 정체가 기억나지 않아 혼란스러워 하나, 이곳은 몰락자들의 영역이라 안전하지 않다는 제브의 말에 일단 안전지역을 찾기로 한다. 주변의 몰락자들을 처치하고 이동하면서 제브에게서 빛의 나무 아래에 위치한 인류와 빛의 운반자들의 도시, 헤이븐(Haven)에 대한 설명을 들은 빛의 운반자는 그곳을 목적지로 하기로 결정하고 자신의 이름을 늑대로 정한다. 늑대와 제브는 오래 전 쓰러진 이름 모를 빛의 운반자가 지니고 있던 태양 빛의 힘이 담긴 검을 획득해 이를 이용해서 폐허가 된 황금기의 옛 도시와 몰락자들이 점거한 황금기 시설을 돌파해 빠져나오나, 마침 순찰 도중에 몰락자 소형선 및 보행 탱크와 마주쳐 공격을 받고 있는 헤이븐의 일반인 병력을 만나고 이들을 지원해서 보행 탱크를 격파하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몰락자들은 포기하지 않고 다시금 보행 탱크를 재투하했고, 탄약이 바닥나 늑대와 일반인 병력들이 보행 탱크의 화력 앞에 수세에 몰린 순간 헤이븐을 다스리는 강철 군주들의 지도자인 라데가스트(Radegast)가 빛의 운반자들을 이끌고 나타나 대혼란의 주먹 궁극기로 보행 탱크를 격파하고 이들을 구해낸다.

||
[ 챕터 1 ]
[ 챕터 2 ]
[ 챕터 3 ]
[ 챕터 4 ]
[ 챕터 5 ]
[ 챕터 6 ]
[ 챕터 7 ]
전체 시네마틱 스토리 컷신

5. 아이템 및 장비

총 3개의 무기를 장비할 수 있었던 본편과는 달리 데스티니 라이징의 수호자들은 물리/에너지 주 무기와 파워 무기 두개만이 장비 가능하며, 플레이어블 수호자에 따라 장비할 수 있는 무기의 타입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늑대는 주 무기로 자동소총, 파워 무기로 유탄발사기를 장비할 수 있는 식이다. 사용 가능한 무기가 하나 줄어든 대신 각각의 수호자들은 개별 스토리나 인게임 로어와 관련된 고유한 유물(Relic)을 장비하고 있으며 이 유물들은 유저가 직접 퍽을 세팅해서 궁극기와 직업 능력을 사용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유물과는 별개로 본편에서 등장했던 경이 무기와 본작에서만 등장하는 신규 경이 무기들도 등장한다.

수호자들의 생존력과 외형 커스터마이징을 책임졌던 방어구는 본작에서는 캐릭터 수집 요소가 추가된 플레이 특성상 수호자 자체의 전투력을 증가시키고 성능을 강화하는 식으로 간략화되었으며, 아이템 파밍은 무기에만 집중하는 방식이다. 수호자와 무기는 게임플레이를 통해 획득한 미광채와 지역 자원등을 이용해서 강화시켜 줄 수 있다. 상대적으로 약화된 외형 세팅 지원은 대신 수호자와 수호자의 유물, 고스트의 의체도 전용/공용 스킨을 지원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으며, 본편에서 수호자들이 주로 사용하던 이동 수단인 참새도 등장하여 오픈 월드에서 소환해 탑승할 수 있다.

또한 넷이즈 측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공개한 인게임 스크린샷에 따르면 데스티니 라이징에는 "최고급 장비 에너지(Pinnacle Energy)" 라는 개념의 재화가 존재하며, 인게임에서는 여러 활동들과 게임 모드들을 입장하는 데 사용되고 최대 상한치가 존재한다. 이는 원신이나 명조와 같은 원신라이크 게임의 행동력의 개념에 정확히 대응되기 때문에 스태미나 시스템으로 파밍과 보상 획득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냐는 유저들의 우려를 샀는데, 개발사 측에서도 이를 인지했는지 별도의 포스팅을 통해 최고급 장비 에너지가 없어도 컨텐츠를 즐기고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고 안내하면서 못을 박았다.

6. 평가

기준일:
2025-09-19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총 평점: [[https://apps.apple.com/us/app/destiny-rising/id1593326563|
★★★★★
4.9 /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21\; font-size:.9em"]]

기준일:
2025-09-19
파일:Google Play 로고.svg파일:Google Play 로고 화이트.svg
총 평점: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netease.g108na&pli|
★★★★★
4.7 /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64\; font-size:.9em"]]

7. OST

<bgcolor=#ffffff,#1c1d1f>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Part. 1 파일:Destiny_icon_Black.png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Part. 2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Part. 3

8. 논란 및 문제점

9. 기타

10. 외부 링크


[1] 출현의 시즌에서 등장했던 은빛 날개의 나무를 연상시킨다는 의견도 있다.[2] IOS는 베타가 나오지 않았으며 안드로이드는 베타가 나오면서 sd845가 권장 사양에서 최소 사양으로 바뀌었다.[3] 일반에서 1개, 영웅에서 2개, 마스터에서 3개가 나온다.[4] 이름의 정확한 설명이 없어 난해한 이름이다. 설정상 스코리가 암흑기 때 빛의 운반자들이 결투로 서로의 분쟁을 해결했던 것에서 착안한 경기로, 고스트에게 피해가 가지 않는 규칙하에 서로와 싸워 훈련하는 경기이다. 이런 설정을 감안하면 Iron Bar는 말그대로 체력 훈련에 사용되는 강철봉이라는 뜻과 심판을 내리는 주체라는 뜻의 Bar라는 뜻 두개가 혼용될 수 있다.[5] 시점상 아직 선봉대가 창설되기 이전이므로, 대부분의 등장 인물들은 여행자의 빛으로 되살아난 이들을 암흑기에 사용하던 명칭인 빛의 운반자(Lightbearer)라고 부른다. 수호자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것은 메인 캠페인의 최후반부.[6] 다만 실제로는 기본 방어구 장비의 외형과 점프 방식에 따라 본편의 3직업 분류로 구분된다. 즉 추진식 점프와 중갑을 장비하고 있으면 타이탄, 2단 점프와 후드 및 망토를 장비하고 있으면 헌터, 활공형 점프와 로브, 코트를 장비하고 있으면 워록인 셈.[7] 이는 세계관 설정상으로는 오히려 정확한 묘사이기도 하다. 본편에서 등장한 방랑자의 언급에 따르면 암흑기의 수호자와 승천자들은 빛을 지금처럼 헌터, 워록, 타이탄의 정형화된 직업 능력이 아니라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대로 자유롭고 창의적인 형태로 사용했기 때문.[8] 히브리어로 늑대라는 뜻이다.[9] 이후 랜덤 대사로 왜 나만 이름을 동물로 지었냐며 후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래도 송골매보단 낫다[10] 인게임 상에서는 파수병의 빛을 이어받아서 캐릭터의 6번째 돌파 효과가 해금되는 것으로 처리된다.[11] 북아프리카 지역은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역사가 있어서 프랑스어가 거의 공용어로 쓰인다.[12] 이때 아탈은 자신이 그윈을 직접 치료하겠다며 크라우더가 그윈을 회복시키는 것을 막았고 크라우더는 엄청난 불만을 품었다고 한다.[13] 이후 그윈의 대사를 통해 사실 라데가스트의 허락 따윈 없었고, 그가 그냥 묵인해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난다.[14] 자신이 외계 종족 아이들을 끝까지 키울 수 없는 것을 알고 있기에, 아이들이 어느정도 자라면 케바르한테 보낼 예정이라고 한다.[15] 에스텔라가 꿈을 꾸면서 틴 캔의 기억을 보게되는데, 틴 캔이 화성에서 부상당한 빛의 운반자에게 다가갔다가 묻지마 총격을 당해 언어 장애가 생긴 것으로 밝혀진다.[16] 본편의 강철 늑대는 라데가스트가 전쟁군주에 대항해 강철 깃발을 창설하자 강철 깃발의 인원들의 동료들 또한 강철 군주가 되면서 만들어진 조직이다. 비록 2세대 강철 군주지만 세대를 나누는 것이 스승-제자 관계가 아닌 언제 가입했냐에 대한 기준이라 세대 간 상하관계가 없으며 본편 로어에서는 서로를 동등하게 대한다.[17] 핀날라의 일기를 읽어보면 아이나에게 갑자기 강림한 지름신 때문에 골치를 썩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드레스는 뭐 실수로 구매했다고 쳐도 핀날라가 소개팅을 하기 전날에 무단으로 광채석 커플링을 맞추거나, 살라딘도 인?증한 하룻밤 만에 벌크업이 가능한 강장제, 고스트는 쓸일 없는 헤이븐에서 유행하는 아이라이너와 립스틱 2세트, 그리고 홍해 균열 빛의 운반자 공식 트레이드 카드 핀날라 에디션을 10장이나 구매한 내역을 읽은 핀날라는 혼란함을 감추지 못한다. 거기다 마지막 트레이드 카드의 경우는 본인한테 허락도 안받고 무단으로 만든거라 초상권 침해 사실에 격분하며 살라딘이 이를 허가했을리가 없다며 당황해한다. 혼란하다 혼란해[18] 핀날라는 베이다-벵가지를 떠나기 전에 시민들을 훈련시키고 여러 보호책을 남기고 갔기 때문에 아직도 건재하다. 핀날라는 베이다-벵가지의 시민들에게 큰 존경을 받고 있다.[19] 핀날라는 주기적으로 베이다-벵가지에서 온 편지를 받는데, 핀날라가 좋아하는 과일을 말려 보낸 친구의 편지, 핀날라를 존경하는 아이가 보낸 편지, 그리고 현황을 보고하는 수비대의 편지를 읽을 수 있다.[20] 크리스가 알아낸 바에 의하면 당시 사건을 일으킨 주체는 아예 공장에 있지도 않았다. 모종의 정체가 파수병에 빙의해 나타나 실험실에 모종의 조작을 가했고 이것이 사고로 이어진 것. 인간도 기갑단도 아닌 이 모종의 존재를 늑대는 어느정도 눈치채지만 확실한 물증이 없기에 크리스는 조사를 이어간다.[21] 핀날라가 약속에 약간 늦었는데, 정작 식당에 들어가보니 테이블 위에는 여러 지표와 보고서가 쌓여있는 광경을 목격해 심히 당황한다(...) 그래도 식당이라고 라자냐와 소세지는 테이블 구석에 처박혀있었다 그렇게 자신이 내기로 한 저녁은 이미 크리스가 결제한 상태였고, 다음번에 만나면 자신이 사겠다며 기묘한 인연을 이어가게 된다.[22] 부하 중에도 그가 가장 잔혹했고, 그 잔혹함을 온화한 미소로 가렸다고 한다. 그래서 현재 그가 보이는 강직한 리더의 모습이 연기일 가능성을 의심한다.[23] 카일은 월터의 파멸 이후 붙어있을 곳이 없어서 그런것이 아닌, 진짜로 고스트의 부상을 통해 자신의 악행을 진짜로 참회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피난민들을 목숨걸고 지키는 이유도 이들이 자신이 지울 수 없는 과거를 씻을 유일한 방법이라고 믿었기 때문. 그래서 그는 과거의 자신이 어떤 존재였는지를 계속 자각하기 위해 일부러 월터의 휘장이 그려진 검을 유물로 그대로 쓰고 있었으며 이는 그윈에게 꼬리를 잡히는 계기가 된다.[24] 원래는 한 독일의 마을에 있는 수도원에서 보관하던 물건이였다. 아탈과 함께 해당 마을을 위협하던 몰락자들과 대치하는 과정에서 그윈은 도끼와 산탄총으로 예의바른(?) 무쌍으로 이들을 쓸어버렸는데, 마을 사람들이 그윈에게 사신 (Sensenfrau)이라는 이명을 주는 동시에 수도원에서 낫을 선물해줬다. 이후 한 암상인이 팔던 금성에서 찾은 중력 조작 금속을 구입해 낫에 접목해 공허의 힘이 깃든 현재 형태로 가공되었다.[25] 설정상 리투아니아의 항구 도시인 클라이페다에서 부활했다.[26] 실제 발음은 카이탄으로 원래 욜더로 발음되는 졸더와 함께 본편에서도 잘못 번역된 이름이다.[27] 이후 우메코의 관찰 일지를 살펴보면 탄-2의 상황을 모르는 이들에겐 그가 자주 혼잣말을 하는 것으로 인식된다.[28] 12명의 고스트가 이끄는 비밀결사로, 여행자의 축복을 받은 빛의 운반자들이 타락하는 것을 막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직의 정체와 공작원들에 대한 정보를 엄중하게 은폐하고 있으며, 만약 정보가 세어나가면 어떤 방식을 써서라도 유출된 정보를 회수한다.[29] 몰락자들은 대부분 악마의 가문 소속이며, 군체는 여행자를 노리고 지구를 침공한 크로타의 숨은 군단 소속이다. 벡스의 경우는 기갑단 모래 포식자 군단과의 전투를 위해 전송된 처녀자리 금지령 분파.[30] 여행자의 빛을 응용해 만든 로봇으로 타케토리 공업이 클로비스 브레이의 브레이테크 사와 경쟁하면서 엑소 기술에 대응해서 제작했다고 한다.[31] 명칭이 주인공인 늑대의 이름과 유사한 것은 완전한 우연으로, 빛의 운반자들의 클랜을 늑대 무리라고 부르기 때문에 클랜 회관은 늑대굴이 된 것이다. 늑대 또한 인게임에서 이를 지적하며 클랜 관리 NPC에 따르면 이름을 지을 때만 해도 설마 나중에 정말로 이름이 늑대인 빛의 운반자가 올 줄은 몰랐다고(...).[32] 원문은 江石으로 중국의 좀비인 강시(僵尸)와 비슷한 발음이다. 아마 수호자가 사실상 좀비인 만큼 이를 의식한 언어유희로 보인다.[33] 게임 상에선 베리디아 호 외부만 돌아다닐 수 있지만 설정상 선박 내부에는 거주지와 상업 시설까지 구비되어 있다.[34] 아함카라 특성 상 양자 혼돈 섭취는 생존에 귀결되는 문제라 모르그란 입장에선 라데가스트가 부하가 위험하다고 본인을 아사 직전까지 몰고 간 상태였다.[35] 이후 배반자들의 말로가 드러나는데, 악마의 가문은 한번 배신한 이들을 용서하지 않았고 배반자들은 모든 팔이 잘린 채 처형당한다. 그렇게 배반자들의 시체는 "배교자"라는 문자 아래에 본보기로 전시된다.[36] 헤이븐의 바텐더의 경우 자신의 동생이 배반자 사건에 휘말렸었는데 진상을 알기 전에는 동생이 죽었다고 믿었고 케바르를 증오했다. 하지만 진상이 드러난 뒤 동생은 부상을 입고 귀환, 울릭스가 그를 보호해주었기에 기적적으로 살아 돌아왔다는 것을 밝힌다. 결국 바텐더는 케바르에게 정중히 사과하며 케바르를 위한 음료를 서비스로 내준다.[37] 살라딘이 인성파탄자가 된 이유도 가레스의 의지를 물려받아 베리디아를 "지키겠다"고 소망한 것이 결국 기갑단을 불러 "지켜야할 이유"를 만들어버렸고 그 과정에서 지켜야한다는 강박에 시달리 것이 원인이였다.[38] 사실 이전에도 기갑단에게 붙잡혔을 때 늑대와 핀날라가 광부들을 구하러 왔는데, 목숨이 위험한 상태에서도 핀날라한테 베리디아의 굴착기가 기갑단의 굴착기에 비해 성능이 딸린다며 장황한 설명을한다. 이에 기겁한 핀날라가 바로 살라딘한테 시라와 광부들을 구출했다며 황급히 시라의 말을 끊어버린다.[39] 에스텔라는 브렉의 도움으로 살아났지만, 젤파하드에게 사로잡힌 수 많은 기갑단은 악몽을 이겨내지 못하고 전부 시체가 되어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