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9 10:36:15

리비아 공습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1년에 일어난 사건에 대한 내용은 오디세이 새벽 작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미국 국장.svg 미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건국 ~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독립전쟁
,1775 ~ 1783,
<colbgcolor=#fff,#191919>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 국기.svg 하노버 선제후령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ge_Herzogtum_Braunschweig.svg.png 브라운슈바이크 파일:이로쿼이 연맹기.png 이로쿼이
유사전쟁
,1798 ~ 180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1차 바르바리 전쟁
,1801 ~ 180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영전쟁
,1812 ~ 1815,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차 바르바리 전쟁
,181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국-멕시코 전쟁
,1846 ~ 1848,
파일:700px-Flag_of_Mexico_(1823-1864,_1867-1893).svg.png 멕시코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남북전쟁
,1861 ~ 1865,
파일:아메리카 연합국 국기(1861-1863).svg 아메리카 연합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포르모사 원정
,1867,
파이완족
신미양요
,1871,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하와이 침공
,1893,
파일:하와이 주기.svg 하와이 왕국
미국-스페인 전쟁
,1898,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스페인
미국-필리핀 전쟁
,1899 ~ 1902,
파일:필리핀 국기(1898-1901).svg.png 필리핀 제1공화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멕시코 국경 전쟁
,1910 ~ 1919,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니그로 반란
,1912,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PIC
니카라과 점령
,1912 ~ 1933,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자유주의자
아이티 점령
,1915 ~ 1934,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반군
도미니카 점령
,1916 ~ 1924,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온두라스 내전
,1924,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군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서부전선
,1941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추축국 석유 차단 작전
,1940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공산당기.png 그리스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958년 레바논 위기
,1958,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국가 운동
피그만 침공
,1961,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베트남 전쟁
,1964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라오스 내전
,1964 ~ 1973,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테트라오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도미니카 내전
,1965 ~ 1966,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헌법론자 파벌
캄보디아 내전
,1970 ~ 1975,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엘살바도르 내전
,1979 ~ 1992,
파일: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기(1980-1992).svg FMLN
시드라 만 사건
,1981~1989,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그레나다 침공
,1983,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레바논 내전
,1982~1984,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헤즈볼라 당기.svg 헤즈볼라
리비아 공습
,1986,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사마귀 작전
,1988,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나마 침공
,1989,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1989년 필리핀 쿠데타 시도
,1989,
파일:필리핀 국기.svg 반민주 필리핀 군부 세력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모가디슈 전투
,1993,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통일소말리아회의
민주주의 유지 작전
,1994 ~ 1995,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보스니아 내전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파일:스릅스카 공화국 국기.svg 스릅스카 공화국
무한 도달 작전
,1998,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사막의 여우 작전
,1998,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21세기 이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1,
<colbgcolor=#fff,#191919>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호라산 이슬람 국가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후세인 정권 및 저항 세력)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파일:아라르 나즈란 깃발.png 시아파 무장 세력
파키스탄 드론 공습
,2004 ~ 2018,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파키스탄 탈레반 운동 깃발.svg 파키스탄 탈레반
소말리아 군사 개입
,2007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알샤바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2006년 3월 18일 조치
,2006,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머스크 앨라배마호 피랍 사건
,2009,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아프간 주둔 미군-파키스탄군 교전
,2009 ~ 2012,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SY 퀘스트 피랍 사건
,2011,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니제르 군사 개입
,2013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파일:보코 하람 엠블럼.png 보코 하람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제2차 리비아 내전
,2015 ~ 2019,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샤리아트 공군기지 공습
,2017,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카샴 전투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2023).svg 바그너 그룹
2018년 4월 시리아 공습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카타이브 헤즈볼라 깃발.svg 카타이브 헤즈볼라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23년 이라크·시리아 주둔 미군기지 공격
,202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홍해 위기
,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친이란 민병대의 주요르단 미군기지 공격
,2024 ~ 현재,
미상 친이란 민병대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2024 ~ 현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

파일:리비아 국장.svg 리비아의 대외 전쟁·분쟁 파일:리비아 비공식 국장.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239E46> 제1차 수단 내전
,1970,
<colbgcolor=#f5f5f5,#191919> 아자니아 해방전선 아냐냐
우간다 침공
,1972,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구국전선
레바논 내전
,1976,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전선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1978 ~ 1979,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구국군 파일:모잠비크 인민 공화국 국기.svg 모잠비크 인민 공화국
리비아-차드 분쟁
,1978 ~ 1987,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리비아 공습
,1986,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2차 수단 내전
,1986 ~ 1988,
파일:남수단 국기.svg 수단 인민해방군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국기.svg 국가과도위원회 파일:NATO 깃발.svg NATO }}}}}}}}}

리비아 공습
1986 United States bombing of Libya
الغارة الأمريكية الجوية على ليبيا
(Operation El Dorado Canyon)
파일:external/ronaldtkwong.com/operationeldoradocanyon.jpg
기간
1986년 4월 15일
장소
리비아 트리폴리, 벵가지
원인
시드라만 사건
교전국

[[미국|]][[틀:국기|]][[틀:국기|]]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리비아
]][[틀:국기|]][[틀:국기|
속령
리비아
]]
지휘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로널드 레이건|
로널드 레이건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무아마르 알 카다피|
무아마르 알 카다피
]]
결과
미국의 공습 성공

1. 개요2. 공습 준비
2.1. 우방국의 비협조
3. 작전 개시4. 공습 이후5. 그 외 이야기


[clearfix]

1. 개요

1986년 4월 미국리비아에 공습을 가한 작전.

1980년대에 각종 테러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미국의 골머리를 썩게 만들었는데 특히 이스라엘 문제와 관련하여 유럽에서 활동하던 아랍계 테러리스트들이 최대의 골치거리였다. 이러한 아랍계 테러리스트의 배후로는 여러 세력이 있었으나 당시 대놓고 활동하던 거물급 인물로 리비아의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가 있었다.[1] 결국 계속되는 테러 행위에 참다못한 미군이 연장을 집어들었다.

2. 공습 준비

1986년 3월 일단 시범타로 리비아의 시드라 만에 항공모함 기동부대를 파견하여 무력시위를 펼쳤으며 리비아의 해상경계망을 무력화시키는 작업에 착수하였는데 이 때문에 소련 함대가 감시하기 위해 지중해로 나오는 등 난리가 아니었다. 이에 카다피의 지원을 받던 테러리스트들이 서베를린의 미군들이 많이 찾던 디스코텍을 폭파시켜 다수의 미군 사상자(3명 사망, 229명 부상)를 내는 것으로 보복을 가했다.

보복테러에 빡친 미국은 리비아에 공습을 가하기로 결정하고 벵가지트리폴리 지역에서 확인된 테러리스트의 훈련을 돕는 캠프와 카다피가 머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거처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 작전에는 F-111F 아드바크가 동원될 예정이었고 대규모 병력을 전개하는 것이 아니라 F-111 편대와 이미 배치된 해군 항모 함재기들과 협력하여 목표물에 대한 핀 포인트 타격을 하고 빠지는 형태였다. 공군 F-111 편대는 수도 트리폴리를, 해군 A-6, A-7 편대는 제 2의 도시 벵가지를 공격하기로 임무를 분담했다. 이 공습은 당시 최신예 전투기였던 F/A-18의 첫 실전이기도 했으며 호넷은 여기서 SEAD를 맡았다.

2.1. 우방국의 비협조

공습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큰 골치거리가 있었다면 유럽 국가들의 비협조였다. 우선 이 작전에 영국 주둔 미 공군을 동원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정작 영국은 보복테러를 우려하여 기지에서 발진만 허가한 상황이었다. 게다가 영국에서 리비아로 날아가기 위한 최상의 경로는 스페인프랑스를 비롯한 중서부 유럽 국가를 지나가는 것이었으나 이들은 모두 리비아와 이해관계가 엮여 있었고 역시 보복테러를 우려하고 있었기 때문에 미국의 영공통과요청을 거부했다.

파일:external/media.airspacemag.com/DJ09_A-B+Main.jpg

결국 미군은 차선책으로 대서양을 건너 지브롤터 해협을 경유하여 지중해를 거쳐서 리비아를 타격하기로 결정하였는데 이게 예상 왕복 비행 시간만 13시간, 총 비행거리 약 10,000km의 사상 최장거리 작전이 되어 버렸다. 게다가 F-111의 항속거리를 감안하면 최소 12번의 공중급유를 해 줘야 했는데 역시 보복테러를 걱정한 유럽의 우방국들이 공중급유기 지원을 거절하였다. 결국 작전에 필요한 모든 필요사항을 미국이 알아서 다 해결해야만 했다. 그 중에서 곤혹스러운 점은 급유기들도 연료를 소모하므로 별도의 재급유를 받아야만 했다는 점이다. 그러니깐 급유기가 급유하러 날아가기 위해 다른 급유기로부터 급유를 받는 비효율적인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그나마 이 공중급유기에 급유해 주는 역할은 영국에서 해 주기로 합의되었다.

3. 작전 개시

당초 영국에서 이륙한 편대는 공격을 담당할 F-111F 24기와 전자전을 담당할 EF-111 6기였지만 중간에 문제가 생겨서 F-111F 6기와 EF-111 1기가 귀환하였다.[2] 그래서 실제 공격에 참여한 병력은 F-111F 18기와 EF-111 5기이다. 한편 공군의 움직임에 맞춰 해군에서도 함재기들을 발진시켰는데 이를 감시하던 소련 함대가 포착하고 리비아에 통보가 되면서 미국의 공습이 임박했음을 눈치채게 되었고 몰타 총리가 리비아의 화풀이를 두려워해 몰타 상공으로 미군 공습부대가 통과했다는 사실을 카다피에게 통보해 주었다. 이래저래 불안요소가 산재한 상태에서 미군은 리비아 상공에 진입하였다.

우선 공군 공격부대에서 3개 편대 9기가 카다피의 거처로 알려진 장소[3]와 테러리스트 캠프 등에 대한 공습에 나섰다. 하지만 강력한 방공망으로 인하여 폭탄을 투하할 수 있었던 것은 고작 2기뿐이었으며 한 기가 대공미사일에 격추되어 조종사 두 사람이 전사하는 피해를 입었다. 다른 1개 편대 3기는 테러리스트 캠프에 공습을 가하였으며 피해 없이 임무를 완수하였고 나머지 2개 편대는 트리폴리 공항에 공습을 가해 지상에 주기 중이던 항공기들을 파괴하고 공항에 큰 피해를 주었다. 한편 벵가지 지역의 테러리스트 캠프와 공항을 공습한 해군 공격부대는 목표물인 캠프를 파괴하였고 공항에 주기 중이던 항공기들을 파괴하였다.

이 공습은 불과 10분 남짓 되는 시간만에 마무리되었으며 대부분의 목표에 성공적으로 타격을 가하였다. 당시 미국은 AN/AVQ-26 Pave Tack 시스템을 이용하였는데, 간단히 레이저 유도장치와 목표확인용 카메라를 통해서 목표물을 지정하면 레이저 유도 폭탄인 GBU-10 페이브웨이가 목표물을 향해 날아가 조져 버리는 핀 포인트 타격 방식이었다. 하지만 실제 작전이 끝나고 확인한 결과 성공적으로 투하한 것은 17기 중에서 4기에 불과했고 7기는 목표물을 명중시키지 못하였으며 6기는 대공망의 위협을 받아 투하하지 못했으며 투하된 폭탄 중 일부가 리비아 주재 프랑스 대사관 주변에 떨어지는 바람에 자칫 프랑스 대사관이 명중당할 뻔한 상황도 빚어졌다. 당연히 프랑스는 이 사건에 대해서 미국에 격렬히 항의했고 잠시 외교분쟁으로 비화되기도 했다.

미군은 리비아 상공에서 격추된 1기와 중간에 엔진 고장으로 스페인에 비상착륙한 1기를 제외하면 모두가 무사히 귀환하였다. 미군의 인명손실은 격추된 전투기의 조종사 2명이었다. 공습당한 리비아는 최소 40명이 사망하였는데 그 중에는 민간인 피해자가 15명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카다피의 가족 일부(양녀)가 공습으로 사망하였다고 발표되었다. 그 외에 최소 Il-76 수송기 3기와 MiG-23 14기, 헬리콥터 2기를 상실하였다.

4. 공습 이후

미국에게 크게 한 방 먹은 카다피는 그 보복으로 1988년 12월 21일 리비아 정보기관 요원들을 동원하여 팬암 항공사 747 여객기를 스코틀랜드 상공에서 폭파해 탑승객 259명과 지상 거주자 11명이 목숨을 잃은 팬암 103편 폭파 사건을 벌였으나 직후 냉전의 종식과 걸프 전쟁을 보면서 이라크가 제대로 아작나는 걸 보고 염통이 쫄깃해져서 테러리스트 지원을 포기하였고 순한 이 되었다. 그 결과 유럽에서 활동하던 테러리스트들도 버로우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미국에게는 Pave Tack 시스템이 지닌 문제점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열심히 고치고 보완하여 개발한 AN/AAQ-13 LANTIRN 시스템으로 걸프 전쟁에서 전투손실 없이 이라크군을 완벽하게 조졌다.

1988년 카다피가 요한 바오로 2세를 통해 전사한 조종사의 시신 송환을 제안하였고 이에 따라 1989년 폭격수 폴 F. 로렌스 대위의 시신이 송환되었다. 하지만 미군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결과 그 시신은 조종사 페르난도 L. 리바스도미니치 대위로 확인되었으며 로렌스 대위의 시신은 행방이 묘연하다. 2006년 가족들이 시신을 찾기 위해 리비아에 직접 가기까지 했으나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5. 그 외 이야기

이원복은 과거에 조선일보에 연재하던 만화에서 이 공습에서 목표하던 카다피 제거에 실패한 게 당시 미군 상층부가 어느 점쟁이에게 의존하여 묻지마 공습한 결과라고 깐 적이 있는데 이 대가로 그 점쟁이에게 수백만 달러나 주고 공습한 게 이런 결과였다고. 하지만 실제론 미군은 애초에 카다피 제거를 목표로 한 것이 아니라[4] 겁을 줘서 리비아의 테러 지원을 끊으려는 계산이었다. 결과는 위에 나온 것과 같이 리비아 공습 이후 미국을 목표로 한 테러는 지속되었지만 그 횟수는 감소하였으며 무기 시스템까지 발전시켜 훗날 걸프 전쟁에서 엄청난 성과를 거뒀으니 미국은 충분히 성과를 거두었으며 공중급유기와 정밀타격의 중요성을 최초로 알린 공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공습에서 별장이 폭격당했을 때 카다피의 양녀가 사망하였다고 공표되었으나 사실 멀쩡하게 살아 있으며 카다피가 반미 감정을 격양시키기 위하여 일부러 벌인 정치쇼였다는 보도가 나왔다. 기사 그러나 더 가디언의 보도에 따르면 실제로 공습 당시 양녀가 사망했고 이후 다시 다른 양녀를 입양해 죽은 양녀와 같은 이름을 지어 주었다는 내부 증언이 나왔기 때문에 속단하기 어렵다. 기사

[1] 당시 개봉한 유명한 영화 백 투 더 퓨쳐에도 리비아 테러리스트들이 핵무기를 만들려고 모아 둔 플루토늄을 슬쩍해 타임머신의 동력으로 썼다는 설정이 나올 정도다.[2] 반대로 공격 담당 기체에 문제가 생길 경우 대신 들어가기로 한 예비기들이 공격 담당 기체에 문제가 없어 귀환한 것이라는 자료도 있다.[3] 실제로 폭격당한 곳은 카다피의 별장이었다.[4] 물론 카다피를 죽였다면 대성공이었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