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제22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수원 갑 | 수원 을 | 수원 병 | 수원 정 |
김승원 | 백혜련 | 김영진 | 김준혁 | |
수원 무 | ||||
염태영 | 김태년 | 이수진 | 안철수 | |
김은혜 | 박지혜 | 이재강 | 강득구 | |
부천 갑 | 부천 을 | |||
민병덕 | 이재정 | 서영석 | 김기표 | |
부천 병 | 광명 갑 | 광명 을 | 평택 갑 | |
이건태 | 임오경 | 김남희 | 홍기원 | |
평택 을 | 평택 병 | |||
이병진 | 김현정 | 정성호 | 김성원 | |
고양 갑 | ||||
양문석 | 김현 | 박해철 | 김성회 | |
고양 을 | 고양 병 | 고양 정 | ||
한준호 | 이기헌 | 김영환 | 이소영 | |
구리 | ||||
윤호중 | 최민희 | 김병주 | 김용민 | |
오산 | 시흥 갑 | 시흥 을 | 군포 | |
차지호 | 문정복 | 조정식 | 이학영 | |
하남 갑 | 하남 을 | 용인 갑 | 용인 을 | |
추미애 | 김용만 | 이상식 | 손명수 | |
용인 병 | 용인 정 | 파주 갑 | 파주 을 | |
부승찬 | 이언주 | 윤후덕 | 박정 | |
이천 | 안성 | 김포 갑 | 김포 을 | |
송석준 | 윤종군 | 김주영 | 박상혁 | |
화성 갑 | 화성 을 | 화성 병 | 화성 정 | |
송옥주 | 이준석 | 권칠승 | 전용기 | |
광주 갑 | 광주 을 | |||
소병훈 | 안태준 | 김용태 | 김선교 | |
◀ 제21대 | }}}}}}}}} |
안산시의 정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상록구 | 시청 단원구 | ||||
안산시 갑 | 안산시 을 | 안산시 병 |
대한민국의 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안산시 갑 상록구 반월동, 해양동, 본오동 등 安山 甲 Ansan A | }}} | |||
<nopad>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170,398명 (2024) | |||||
상위 행정구역 | 경기도 안산시 | |||||
관할 구역 |
| |||||
신설년도 | 1996년[1], 2024년[2] | |||||
이전 선거구 | 안산시·옹진군 (1996년), 안산시 상록구 갑 (2024년) | |||||
폐지년도 | 2004년[3] | |||||
이후 선거구 | 안산시 상록구 갑, 안산시 상록구 을 (2004년) | |||||
국회의원 | | 양문석 |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의 남부 지역에 속하는 선거구이다. 현재 이곳의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양문석 의원이다.안산시 내 재개발로 인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안산시 의석이 3석으로 통폐합되었고, 종전 안산시 상록구 갑 선거구가 안산시 갑으로 변경되었다.
형식적으로 '안산시 상록구 갑'이 폐지된 것이나 관할 지역은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름만 바뀌고 사실상 동일한 지역구가 유지된 셈이다.
2. 역대 국회의원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제15대 | 김영환 | [[새정치국민회의|]]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제16대 | [[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제22대 | 양문석 | | 2024년 5월 30일 ~ |
2.1. 분구 이전
안산시가 처음으로 설치된 이후에 치러진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옹진군과 묶여 안산시·옹진군 선거구에서 1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했다.이 당시에는 장경우가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당선되었으며, 삼당 합당을 거쳐 민주자유당 소속으로 지내면서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당선되었다.
이후 장경우는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경기도지사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하지만, 잔여 임기가 1년 미만이었기에 재보궐선거는 치러지지 않았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안산시가 갑, 을로 분구되었으며, 지금의 안산시 상록구 갑·을 지역이 안산시 갑, 지금의 안산시 단원구 갑·을 지역이 안산시 을에 배속되었다.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는 야권 분열, 신한국당의 승리와 자유민주연합의 약진으로 기록되었지만, 안산시에서만큼은 김대중계 정당인 새정치국민회의가 갑, 을 두 지역구를 싹쓸이했다.
그것도 일명 DJ 키즈라 불리는 김영환, 천정배가 각각 안산시 갑, 을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소속으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게 된다.[4] 이 둘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각각 갑, 을 지역구에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나란히 당선되었다.
2002년, 안산시가 일반구 상록구와 단원구를 새로이 설치하였고,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인구 증가를 반영해 갑·을 지역구는 각각 안산시 상록구 갑·을과 안산시 단원구 갑·을로 분할되었다.
2.2. 안산시·옹진군 (13~14대)
자세한 내용은 안산시·옹진군 문서 참고하십시오.2.3. 안산시 갑 (상록구 전역, 15~16대)
22대 총선 현재와는 달리, 현재의 상록구 전역을 관할하는 선거구였다.2.3.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안산시 갑 일동, 사1동, 사2동,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 부곡동, 월피동, 성포동, 반월동, 안산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안재문(安在汶) | 30,181 | 2위 |
[[신한국당|]] | 32.49% | 낙선 | |
2 | 김영환(金榮換) | 31,997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34.44% | 당선 | |
3 | 문영희(文永熹) | 8,546 | 4위 |
| 9.20% | 낙선 | |
4 | 김동현(金洞玄) | 17,102 | 3위 |
[[자유민주연합|]] | 18.41% | 낙선 | |
5 | 김진옥(金鎭沃) | 2,765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97% | 낙선 | |
6 | 윤동혁(尹東赫) | 788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84% | 낙선 | |
7 | 이백래(李伯來) | 1,505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6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2,220 | 투표율 58.09% |
투표 수 | 94,226 | ||
무효표 수 | 1,342 |
2.3.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안산시 갑 일동, 사1동, 사2동,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 부곡동, 월피동, 성포동, 반월동, 안산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동현(金洞玄) | 42,603 | 2위 |
| 46.91% | 낙선 | |
2 | 김영환(金榮換) | 48,206 | 1위 |
[[새천년민주당|]] | 53.08%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94,367 | 투표율 47.25% |
투표 수 | 91,839 | ||
무효표 수 | 1,030 |
2.4. 안산시 상록구 갑 (17~21대)
안산시 상록구 갑 문서 참조.2.5. 안산시 갑 (22대~)
2024년 2월 29일, 안산시의 선거구를 4석에서 3석으로 줄이는 선거구 획정이 확정됨에 따라 안산시 상록구 갑 선거구 대신 동일한 지역을 관할하는 안산시 갑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선거구가 유지된다.2.5.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안산시 갑 상록구 반월동,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양문석(梁文錫) | 57,050 | 1위 |
| 55.62% | 당선[5] | |
2 | 장성민(張誠珉) | 45,517 | 2위 |
| 44.3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70,398 | 투표율 61.54% |
투표 수 | 104,875 | ||
무효표 수 | 2,308 |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fff,#191919><bgcolor=#152484> 22대 총선 경기 안산시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양문석 | 장성민 | ||
득표수 (득표율) | 57,050 (55.62%) | 45,517 (44.37%) | +11,533 (△11.25) | 104,875 (61.54%) |
반월동 | 50.50% | 49.49% | △1.01 | 66.53 |
사동[A] | 57.67% | 42.32% | △15.45 | 56.37 |
사이동 | 55.74% | 44.25% | △11.49 | 58.36 |
해양동[B] | 50.69% | 49.30% | △1.39 | 65.53 |
본오1동 | 58.82% | 41.17% | △17.65 | 50.70 |
본오2동 | 56.76% | 43.23% | △13.53 | 58.38 |
본오3동 | 54.63% | 45.36% | △9.27 | 62.03 |
후보 | 양문석 | 장성민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54.95% | 45.04% | △9.91 | |
관외사전투표 | 60.90% | 39.09% | △21.81 | |
재외투표 | 74.08% | 25.91% | △48.17 |
안산시 갑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양문석 | 장성민 | 격차 |
전체 | 52.8% | 47.2% | 5.6%p경합 |
하지만 이후 터진 과거 노무현, 이명박 전 대통령 불량품 발언[9]에 이어 본인의 과거 몇몇 논란이 언론에 보도되자, 당 최고위원회에서 공천 취소 여부를 논의하기도 했지만 최종적으로는 공천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후에도 논란이 나왔고, 본인이 직접 사과했다. # 이에 국민의힘에서는 후보직 사퇴 공세를 펼쳤다. #
국민의힘에서는 장성민 전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을 단수공천했다.
민주당 텃밭임에도 불구하고 양 후보의 논란 때문인지 출구조사에서는 접전으로 나왔으나[10]양문석 후보가 11.25%p 차로 장성민 후보를 여유롭게 꺾고 당선되었다.
비슷하게 민주당에서 각종 막말들로 집중 공세의 또다른 축이었던 수원시 정의 김준혁 후보가 사전투표함이 열리고 나서야 신승한 것과 대조되는데, 이는 김준혁 후보의 지역구는 고가 아파트가 밀집해있어서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관련 실책[11]으로 인해 20대 대선 시기부터 보수화 흐름이 도드라졌던 데다가 상대 이수정 후보가 인지도가 높았던 반면에, 안산시 갑은 보수 정당 후보가 당선된 것이 무려 24년 전일 정도로 민주당 텃밭이고 장성민 후보의 인지도가 낮은 편이라 그런 것으로 보인다.
장성민 후보의 경쟁력에 더 큰 문제가 있었는지[12][13]는 몰라도 결과적으로 양 후보의 논란을 고리로 삼은 국민의힘의 막판 공세는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한 셈이 되었다.[14]
[1] 당시 상록구 일원.[2] 안산시의 선거구 개편 과정에서 선거구명 변경[3] 당시 구 안산 갑이 안산 상록 갑, 안산 상록 을로 분구되어 선거구 폐지.[4] 김영환과 천정배는 이후에 새천년민주당과 열린우리당으로 갈라섰다가 민주당을 거쳐 이후 국민의당에서 한솥밥을 먹다가, 국민의당 바른정당 합당 당시 천정배가 민주평화당에 합류하면서 다시 갈라진다.[5]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단일 후보[A] 상록구청과 안산상록경찰서가 있는 동네.[B]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와 그랑시티자이, 안산호수공원이 있는 동네.[8] 이명박 정부 때 지냈다.[9] 2000년대 후반 당시, 한미 FTA를 까면서 한 발언이다. 물론 민주당 내부 문제인만큼 이명박보단 노무현 전 대통령 관련한 발언이 핵심 화두가 되었다. 일단 본인은 현실 정치인이 된 지금은 생각이 다르다며 사과했다. 이에 대해 이재명 대표는 민주주의 시대에 정치인은 왕이 아니며 국민들의 대리인일 뿐이므로, 비판이나 심지어 욕도 주권자인 국민들의 정당한 권리라고 생각한다며 생전 노 전 대통령도 비슷한 말씀을 하신 바 있다고 이 문제에만 한정해보면 양 후보가 인격적 책임을 질 일이지 공천 취소까진 심하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영상.[10] 다만 JTBC 출구조사는 이지역을 양문석의 11.8% 우세로 예측했고 실제로 개표 결과와 거의 근접하게 나타났다.[11] 부동산 정책을 규제 일변도로 편 게 큰 원인으로 꼽힌다.[12] 대통령실 기획관 시절 엑스포에 대해 낙관적인 시선을 가진 것도 유명할 뿐더러, 후보 시절에는 판이 좋았던 점을 감안해야겠지만 160석을 가질 수 있다는 낙관론을 다시 보여주기도 했다. 결과는 둘 다 모두 참패.[13] 다만 어느 정도 성과는 거뒀는데, 대선 때 5% 차이로 진 해양동은 1.5% 이내로 따라잡았고, 대선 때 9% 차이로 패한 반월동 역시 1.01% 차로 따라잡은 점도 있으며, 대선에서 41%밖에 얻지 못했던 안산시 갑 선거구에서 44%를 얻었다는 점 등 소과의 성과는 달성했다. 하지만 상대 후보가 워낙 논란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10%p가 넘는 차이로 패했다는 것은 당연히 후보 본인의 경쟁력에 문제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14] 물론 이 두 지역구들에 대해서만 그랬지 전국 판세에 미친 영향은 가늠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