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운계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특채 탤런트, TBC 공채 탤런트는 제외 ※ 나무위키에 등재된 인물만 기입 }}}}}} || | 여운계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1] | → | 여운계 김성원 이순재 김희준 사미자 (1970년) | → | 안인숙[2] (1971년) |
| ||||
| ||||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 | 제10회 (1974년) | → | 제11회 (1975년) | |
신설 | → | 여운계 (어머니) | → | 김자옥 (수선화) 안인숙 (윤지경) 정혜선 (갈대) |
}}} ||
<colbgcolor=#a8958e><colcolor=#fff> 여운계 呂運計 | Yeo Un-gye | |
| |
출생 | 1940년 2월 25일 |
일제강점기 경기도 수원군 (現 화성시) | |
사망 | 2009년 5월 22일[3] (향년 69세)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 |
국적 | [[대한민국| ]] |
본관 | 함양 여씨[4] |
신체 | 163cm, 58kg, 240mm |
가족 | 배우자 차상훈 슬하 1남 1녀 |
학력 | 무학여자고등학교 고려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국문학[5] / 학사) |
종교 | 불교 |
데뷔 | 1962년 KBS 공채 탤런트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배우.2. 생애
무학여자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당시로서는 굉장한 고학력이었는데, 전국에 대학생이 10만여 명에 불과한, 10명으로 치면 단 1명도 안 되던 때였기 때문이다. 특히 여대생은 훨씬 더 드물던 시절이고, 특히 연예계에는 대졸자가 남자도 몇 명 안 될 정도로 흔치 않았고, 고졸도 고학력 취급 받던 시절이었다. 여운계와 비슷하거나 더 윗 연배에서 대학을 나온 여배우들이라곤 엄앵란[6]과 전원주 정도가 있다.1962년에 실험극단 단원으로 지내다가 KBS 공채 탤런트에 합격한 뒤 1964년 TBC의 공채 탤런트에 다시 합격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일일 연속극 <눈이 나리는데>의 시골 다방 마담 역할로 안방극장에 데뷔했다. 특이사항이 있다면 24세 때부터 벌써 할머니 역할을 맡았다고 한다.
길은정이 직장암 투병으로 하차하고 EBS의 어린이 프로 만들어 볼까요에서 '요요 할머니'로 출연하기도 하였다.
2007년, 신장암으로 SBS 드라마 <왕과 나>에서 중도 하차하고[7] 투병 생활을 하다가 3달 후 재기한다.
그러나 2009년 폐렴에 걸렸다는 보도와 함께 장화홍련 촬영 도중 중도 하차했는데, 이와 함께 신장암이 폐로 전이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 결국 회복하지 못하고 의식 불명 상태에 빠졌다가, 2009년 5월 22일에 향년 69세로 세상을 떠났다.
전원주, 나문희, 선우용여, 사미자, 엄앵란과 친한 관계였으며, 전원주, 사미자와는 본인들의 성(姓)을 따 '여전사' 모임이라 칭하기도 했다. 나문희는 장례식 내내 빈소를 지키고 영결식까지 참여할 정도로 우애가 깊었다.
견미리와 거의 모녀지간이나 다름 없이 지냈으며, 실제로 견미리가 사석에서 여운계를 '엄마'라고 불렀다고 한다.
1972년 ~ 1974년에 같은 동네에 있던 당시 고등학생이던 손석희와 탁구 복식조를 하였다.
3. 출연작
3.1. KBS
- 장화홍련[8]
- 며느리 전성시대
- 달래네 집
- 헬로! 애기씨
- 오! 필승 봉순영
- 저 푸른 초원위에
- 내 사랑 누굴까
- 아버지처럼 살기 싫었어
- 좋은걸 어떡해
- 바보같은 사랑
- 사람의 집
- 왕과 비
- 모정의 강
- 아씨(KBS)[9]
- 그대 나를 부를 때
- 신부의 방
- 사랑한다면서
- 당신이 그리워질 때
- 일월
- 봉숭아꽃물
- 기다리는 사람들
- 구리반지
- 영주의 증명
- 은혜의 땅
- 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
- 사랑이 꽃피는 나무
- 토지 - 함안댁
- 세월
- 해돋는 언덕
- 즐거운 우리집
- 가족
- 객사
- 고교생 일기
- 청춘행진곡
- 은하의 꿈
- 환상의 공포
- 달동네
3.2. SBS
- 분례기
- LA 아리랑
- 아빠는 시장님
- 사랑하니까
- 지평선너머
- 사랑해 사랑해
- 7인의 신부
- 청춘의 덫
- 그녀의 선택
- 소문난 여자
- 오픈드라마 남과 여 - 골목을 돌아서면
- 해 뜨는 집
- 파란만장 미스김 10억 만들기
- 불량주부
- 내 사랑 못난이
- 불량가족
- 내 사랑 못난이
- 왕과 나
- 쩐의 전쟁
- 우리 집에 왜 왔니
3.3. MBC
- 얼마나 좋길래
- 자매바다
- 내 이름은 김삼순
- 안녕, 프란체스카
- 대장금
- 백조의 호수
- 황금마차
- 보고싶은 얼굴
- 베스트극장 - 사랑에 대한 예의
- 애드버킷
- 피아노
- 세 번째 남자
- 1.5
- 아들의 여자
- 서울의 달
- 폭풍의 계절
- 사랑이 뭐길래
- 고궁
- 몽실언니
- 사랑해 당신을
3.4. EBS
- 만들어 볼까요[10]
3.5. 영화
- 1983년 열아홉살의 가을
- 1986년 여로 - 영구 계모 역
- 2001년 몽중인 - 친할머니 역(특별출연)
- 2005년 마파도
- 2007년 저 하늘에도 슬픔이 - 의사 역
[1] 첫 시상식[2] 1971년에는 대상 없이 남자·여자주연상이 최고의 상이었다.[3] 공교롭게도 노무현 前 대통령과는 기일이 하루 차이이다.[4] 29세손 '운(運)'자 항렬로 이 항렬에 유명한 사람이 바로 여운형이다.[5] 現 국어국문학[6] 우리나라 대졸 여배우 1호이다.[7] 그러나 당시 맡은 배역이 주인공 김처선이라든가 기타 내시 역할의 조연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요한 역할이어서 배역 자체를 없애지 않고 김수미가 여운계의 배역을 대신 맡았다. 두 배우는 그 전에 <안녕 프란체스카 3>에서도 호흡을 맞춘 적이 있다.[8] 유작으로, 전술된 병세 악화 후 사망으로 인해 결국 전양자로 캐스팅이 교체되었다.[9] 원작드라마 아씨(동양방송)와 동시 출연했다.[10] 암 판정을 받고 방송에서 하차한 길은정의 후속 MC로 발탁이 되었으며, 얄궃게도 프로그램의 MC를 담당했던 두 사람 모두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