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 경기도 동두천시장 오세창에 대한 내용은 오세창(정치인) 문서
, 드라마 어셈블리의 등장인물 오세창에 대한 내용은 오세창(어셈블리(드라마)) 문서
참고하십시오. 오세창 관련 틀 | |||||||||||||||||||||||||||||||||||||||||||||||||||||||||||||||||||||||||||||||||||||||||||||||||||||||||||||||||||||||||||||||||||||||||||||||||||||||||||||||||||||||||||||||||||||||||||||||
|
<colbgcolor=#0047a0><colcolor=#ffffff> | |
출생 | 1864년 8월 6일 |
한성부 중부 정선방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의동) | |
사망 | 1953년 4월 16일 (향년 88세) |
경상북도 대구시 대봉동 (現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 |
묘소 | 망우역사문화공원 |
본관 | 해주 오씨 |
자 | 중명(重明) |
호 | 위창(葦滄) |
부모 | 아버지 오경석 |
서훈 |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
종교 | 천도교 |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서예가, 언론인.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2. 생애
2.1. 해방 이전
1864년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의동 45번지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여러 대에 걸쳐 역관을 지낸 중인 가문이고, 그의 아버지는 개화기 인물로 유명한 오경석이다.1879년, 16세의 나이로 식년시 역과에 급제하여 한학 역관이 되었다가#, 1886년 박문국 주사로서 한성순보 기자를 겸임하였다.
1902년 천도교에 귀의한 그는 천도교의 기관지인 만세보를 창간했다. 이후 1906년에는 만세보의 사장으로 취임하게 된다. 또한 1902년에는 개화당 역모 사건에 연루되어 일본으로 망명하게 된다.
1906년 중동학교 초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이었다. 이때 일본에 의해 구속되어 3년형을 언도 받는다.
1918년에는 서화협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근현대 문예인들과 많은 교류를 하였다. 제자로 간송 전형필이 있으며, 전형필에게 한국의 전통 문화 유산을 보는 안목을 키워주었다. 전형필과 함께 문화재들을 구입, 보존하는 작업에도 참여했다.
예술에도 조예가 깊었다. 아버지 오경석이 수집한 우리나라와 중국의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많은 책도 편찬하였는데, 대표적인 예로 우리나라의 회화를 모은 근역화휘, 서예와 필적 등을 모은 근역서휘와 근묵, 금석문을 모은 근역석묵, 인장을 모은 근역인수, 서화가 인명사전인 근역서화사와 근역서화징 등이 있다.
그는 또 서예가로도 이름이 높았다. 전서, 예서, 초서에 능하고 조각도 하였으며, 상형문자의 영향을 받아 둥그스름한 형태의 독특한 서체(위창체, 오세창체)를 창안하는 등 한국 현대 서예에서 빠질 수 없는 인물이다.
2.2. 해방 이후
1945년 9월 창당된 한국민주당에서 그를 영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거절했고,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위원으로도 추대되었으나 이번에도 거절했다. 1945년 10월 매일신보의 사장으로 추대되었으나 두달만에 사퇴했다.1945년 10월 16일 이승만이 환국하자 환영식에 참석했으며 이승만을 중심으로한 우익정당 대한독립촉성국민회에 들어가 회장직을 염임했다.
이후 미군정 시기 민주의원, 서울신문 명예사장을 역임했다. 1948년 8월 15일 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이런 축사를 했다.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의 취임식은 우리들 배달민족으로써 역사적 신기원이요, 세기적 신기록인 초유의 성전입니다. 40년간 나라 없는 우리 국회를 열고, 법이 없든 우리가 헌법을 제정하고, 주권이 없든 우리가 원수를 추대하는 이날의 환희와 감격은 영원한 사랑이 아닐 수 없읍니다. 오늘부터서 우리 삼천만 동포의 전 역량과 충성을 통일 집중하여 대통령의 선서를 보답함이 가합니다. 이로써 축사를 올립니다.
1949년 7월 5일 백범 김구의 장의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고 대구로 피난갔으며, 그곳에서 죽게 된다.
사후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복장에 추서된다.
3. 여담
- 88세의 나이까지 장수했기 때문에 이승만 못지 않게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을 몸소 체험한 인물임에도[1] 근현대사 교과서의 매 단원에서 심심치 않게 언급되는 이승만에 비해 오경석의 차남, 만세보 사장 경력, 3.1 운동 참여 등으로만 언급되는지라 존재감이 덜한 편.
- 1947년에는 자신이 모은 책 1,124종 3,489권이 국립중앙도서관으로 기증되었는데, 이는 당관 설립 이래 첫 개인문고 개설 사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