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02:31:36

원신/등장인물/이나즈마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원신/등장인물
파일:원신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dddddd> 스토리
콘텐츠
시스템
아이템
미디어 믹스
기타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8a3eab,#010101><table bgcolor=#8a3ead,#010101> 파일:원신_이나즈마_아이콘.png
#!wiki style="margin: -5px -10px;
{{{+1 [[이나즈마(원신)|{{{#ffffff,#dddddd '''이나즈마'''}}}]]}}}[br]{{{-2 [[이나즈마(원신)/세부 지역|{{{#ffffff,#dddddd 세부 지역}}}]] ・ [[원신/등장인물/이나즈마|{{{#ffffff,#dddddd 등장인물}}}]] ・ [[원신/설정/이나즈마|{{{#ffffff,#dddddd 설정}}}]] ・ [[원신/임무/마신 임무/제2장|{{{#ffffff,#dddddd 스토리}}}]] ・ [[원신/OST#이나즈마 테마곡|{{{#ffffff,#dddddd OST}}}]]}}} 
}}}

1. 개요2. 구성3. 집정관4. 간조 봉행5. 야시로 봉행6. 텐료 봉행7. 산호궁 저항군8. 이도
8.1. 만국 상회8.2. 그 외 인물
9. 나루카미섬
9.1. 콘다 마을9.2. 이나즈마성
9.2.1. 나가노하라 폭죽가게9.2.2. 아라타키파9.2.3. 코모레 찻집9.2.4. 야에 출판사9.2.5. 코마니야9.2.6. 하나미자카9.2.7. 상점가9.2.8. 그 외 인물
9.3. 나루카미 다이샤9.4. 아마카네섬9.5. 그 외 인물
10. 칸나즈카
10.1. 쿠죠 병영10.2. 타타라스나
11. 야시오리섬
11.1. 후지토 요새11.2. 나즈치 해안11.3. 히기 마을
12. 와타츠미섬
12.1. 산호궁12.2. 모운 신사12.3. 보우로우 마을12.4. 기타 인물
13. 세이라이섬14. 츠루미섬15. 연하궁16. 모험가 길드17. 미식 어벤져스18. 요괴19. 과거의 인물
19.1. 요괴19.2. 타타라스나 사건 관련 인물19.3. 뇌전오전19.4. 다섯 가선
20. 기타 인물

1. 개요

원신의 지역인 이나즈마의 등장인물을 정리하는 문서.

2. 구성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a3ead><tablebgcolor=#8a3ead> 파일:원신_이나즈마_아이콘.png
#!wiki style="margin: -5px -10px;
{{{+1 [[이나즈마(원신)|{{{#ffffff '''이나즈마'''}}}]]}}}[br]{{{-2 {{{#ffffff 통치 및 삼봉행 구성원 일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군
번개의 신
바알(라이덴 쇼군)
삼봉행
간조 봉행
히이하기 신스케
야시로 봉행
카미사토 아야토
텐료 봉행
쿠죠 타카유키
주요 구성원
간조 봉행
공주 히이라기 치사토
야시로 봉행
백로공주 카미사토 아야카
텐료 봉행
봉행 대리 쿠죠 카마지
장교 쿠죠 사라
일반 구성원
간조 봉행 야시로 봉행
토마
종말번대
사유 · 모모요
텐료 봉행
시카노인 헤이조
나루카미 다이샤
궁사 야에 미코 · 이나기 호토미 · 카노 나나 · 쿠키 미유키 · 마키 · 겐도우 링고 · 히토미
}}}}}}}}} ||

3. 집정관

4. 간조 봉행

삼봉행 가문들 중 유일하게 현재까지 플레이어블이 없다.
이 사람이 바로 설산에서 주울 수 있는 누군가의 해류병 아이템의 주인공이다. 쇄국령으로 이나즈마 밖으로 나갈 수 없고 자신의 직업도 있어 직접 만나러 갈 수 없으니 대신 해류병을 떠내려 보낸 것. 퀘스트는 이 해류병으로 마음을 전하고 싶었던 연아[8]라는 여인에게 찾아가 히로미의 해류병을 전달해주는 내용이다. 이후 연아를 찾아가 해류병 이야기를 해주면 그녀는 히로미가 누구인지 모른다며 둘러대면서도[9] 나중에 오유정에 들리겠다고 이야기하고, 그 사실을 들은 히로미는 의외의 소식에 당황하면서도 그녀와의 재회를 기대하는 것으로 이야기는 막을 내린다.}}}

5. 야시로 봉행

파일:카미사토 가족.jpg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 히로타츠 연무 버전.png
||<width=64%><#FFFFFF><:>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히로타츠 연무 대결1.png
||
대회를 나올 생각을 하다니 제법이네, 한번 네 실력을 볼까!
그리고 2일차 도전 상대로 나왔다.[12]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히로타츠 사과.png
||
파일:넋나간 히로타츠.png}}} ||
이후 카미사토 저택에서 다시 만나게 되고, 여행자에게 이전에 했던 무례에 대해 사과를 하고 대회장에서 아야카를 잘 도와주고 안전을 지켜달라고 부탁한다. 그리고 아야카가 소설 속의 오르치 복장을 입고 오자 여행자와 함께 넋이 나간 표정으로 바라본다.
헌데 저 넋이 나간 걸로 묘사된 저 표정이 원신의 모브 NPC 모델링 특유의 한계 탓에, 유저들 사이에선 "저건 아야카를 보고 감동한 게 아니라 '왜 굳이 입어도 저런걸 입었을까...나도 이젠 모르겠다' 라는 안타까움을 물씬 품은 우수에 찬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

5.1. 종말번대

6. 텐료 봉행

7. 산호궁 저항군

8. 이도

여행자가 첫 번째로 도착한 이나즈마의 작은 섬.

8.1. 만국 상회

8.2. 그 외 인물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생선 살코기.png
}}}||<colbgcolor=#F7F2E8,#1f2023> 생선 살코기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40
한정 구매 1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꽃게.png
}}}|| 꽃게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40
한정 구매 1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생새우살.png
}}}|| 생새우살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50
한정 구매 1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바다 불로초.png
}}}|| 바다 불로초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000
한정 구매 10
|| 3일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철광.png
}}}||<colbgcolor=#F7F2E8,#1f2023> 철광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20
한정 구매 10
|| 3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백철.png
}}}|| 백철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400
한정 구매 10
|| 3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전기 수정.png
}}}|| 전기 수정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000
한정 구매 5
|| 3일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민들레 씨앗.png
}}}||<colbgcolor=#F7F2E8,#1f2023> 민들레 씨앗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60000
한정 구매 5
|| 3일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genshinicon_음식_맛있는 은어조림.png
}}}||<colbgcolor=#F7F2E8,#1f2023> 맛있는 은어조림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50
한정 구매 5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genshinicon_음식_새알말이.png
}}}|| 새알말이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700
한정 구매 5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레시피: 은어조림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25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레시피: 돈가스 샌드위치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250
한정 구매 1
|| - ||
}}}
이후 4일차 때 여행자와 함께 츠루미로 가서 류를 만나게 된다. 츠루미에서 돌아온 후에는 스미다와 함께 여행을 떠나기로 한다.[30]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산호 진주.png
}}}||<colbgcolor=#F7F2E8,#1f2023> 산호 진주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000
한정 구매 5
|| 3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뱀장어 살코기.png
}}}|| 뱀장어 살코기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40
한정 구매 10
|| 3일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행운아 성배.png
}}} || 행운아의 잔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000
한정 구매 1
|| 7일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행운아 깃털.png
}}} || 행운아의 독수리깃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000
한정 구매 1
|| 7일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행운아 왕관.png
}}} || 행운아의 은관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000
한정 구매 1
|| 7일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행운아 꽃.png
}}} || 행운아의 네 잎 클로버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000
한정 구매 1
|| 7일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행운아 시계.png
}}} || 행운아의 모래시계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000
한정 구매 1
|| 7일 ||
}}}
파일:야스히코 타로 비무-1.png}}} ||<width=50%><#FFFFFF>
파일:야스히코 타로 존댓말.png
||
한국어판에서는 "비무를 시작하지!"라 했다가 갑자기 "오세요"라 존댓말을 하는 이상한 모습을 보인다. 이후 패치를 통해 "와라"라는 정상적인 대사로 바뀌었다.[32]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 아카츠키 자에몬 쥬조.png
||<width=64%><#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아카츠키 자에몬 쥬조 연무 전심 대결.png
||
네 검술, 빈 틈이 있군
파일:행자 존중하는 아카츠키 자에몬 쥬조.png
'연무 전심' 이벤트에 등장하는 결승전 참가자. 결승전에서 여행자와 대결했고, 패배 후 여행자의 무예가 훌륭하다면서 패배를 인정한다.

9. 나루카미섬

이도를 지나면 나오는 이나즈마의 본섬.

9.1. 콘다 마을

마을 주민들에게서 수상한 정황을 종합해 증거물을 모아 제시하면 진실이 드러난다. 과거 콘다 마을은 이도와 이나즈마 성 중간에 위치해 있어 그곳을 지나가는 상인들과 사람들 덕분에 그럭저럭 살만했다고 하는데, 마을의 젊은이들이 콘다 마을을 지나가던 막부의 수송차량을 터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 일이 알려지면 마을 전체에 큰 위기가 올 것을 우려해 자기 선에서 사건을 덮어두기로 하고 증거를 은폐했던 것이다. 처음 증거를 제시했을 때도 자신이 한 것이라며 자기가 처벌받는 선에서 끝내려고 하지만, 나머지 증거들도 제시하면 진실을 말하고 우물 속에 있는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열쇠의 위치를 알려준다.

퀘스트 이후 사건의 근황에 대해 물으면 시간도 지났고 막부는 저항군과 각종 일 때문에 정신이 없는 상황이라 흐지부지 끝났다고 한다.}}}
이나즈마 군의 탈영병으로 모험을 꿈꿔왔다. 사실 석판이 5개였다는 것은 거짓말이고 여행자와 페이몬을 두고 보물을 독차지하려고 한다. 그러다 마침 지로에게 여행자처럼 속았던 도적떼가 찾아와 지로를 다시 가둬놨는데, 도적들의 말에 의하면 감옥에 갇혔던 것도 자기네들이 가둔 것이 아닌 지로가 어이없는 실수를 했기 때문이고 여러가지로 변변찮은 인물이라고 한다. 지로에게 모두 속은 도적떼와 여행자는 이 사기꾼의 처리를 두고 협상한다. 사람보다 보물에 눈이먼 여행자와 페이몬은 도적과의 보물 분배 협상이 결렬되고 전투가 벌어지는데 도적떼 를 물리치면 곧바로 보물 사냥단이 등장하고, 보물 사냥단도 모두 처치하면 우인단 선발대까지[37] 연달아 행차하는 것을 보면 여기저기 많이 쑤시고 다닌 것으로 보인다.

모든 적을 격퇴하고나서 보물창고를 열어보면 보물은 없고 낡은 상자 하나와 식자재만 듬뿍있다. 이에 실망한 지로는 마을로 돌아가고 사이몬 카츠미에게 진실을 듣는다. 그곳은 보물을 담아두는 곳이 아닌 식량을 담아두는 창고일 뿐이었고 전란에는 식량이 귀했기 때문에 귀한 것이 들어있는 창고라는 것이 와전된 것이라고 한다. 퀘스트 이름 '농민의 보물'은 바로 이 식량을 말한 것이었다. 진실을 듣고난 지로는 보물에 대한 야망을 버리고 콘다 마을에서 농사를 지으며 생활하기로 마음을 고친다. 일이 끝나면 사이몬 카츠미가 고마움의 표시로 가문에 내려오는 검의 설계도면을 여행자에게 선물로 준다.}}}

9.2. 이나즈마성

9.2.1. 나가노하라 폭죽가게

9.2.2. 아라타키파

파일:아라타키파 겐타, 아키라, 마모루.png
왼쪽부터 겐타, 마모루, 아키라
파일:원신 우시.png
이토의 원소 전투 스킬로 소환하는 송아지. 이토 왈, 아라타키파의 숨겨진 멤버라고 한다. 마신 임무 중간장 2막에서 이토가 길을 찾기 위해 소환하면서 처음으로 메인 스토리에서 모습을 보이게 된다. 피슬의 까마귀 오즈, 백출의 흰뱀 장생과 다르게 사람말을 못하고 소 울음소리만 내지만 이토는 우시의 울음소리를 알아들으며 통역까지 해준다. 사람 말을 못할 뿐이지, 모든 사건이 해결 된 이후 이토와 페이몬의 입을 빌어 에게 '야차의 힘이 해롭다고 해서 사람들과 어울리면 안되는게 아니다' 라고 충고를 해주는 등[39] 상당히 영리한 동물이다. 소(牛)가 소(魈)에게 충고를 한다.

9.2.3. 코모레 찻집

9.2.4. 야에 출판사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하마와란 전기.png
}}}||<colbgcolor=#F7F2E8,#1f2023> 하마와란 전기·서막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5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하마와란 전기.png
}}}|| 하마와란 전기·I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5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하마와란 전기.png
}}}|| 하마와란 전기·Ⅱ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5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개와 2분의 1.png
}}}|| 개와 2분의 1·Ⅹ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개와 2분의 1.png
}}}|| 개와 2분의 1·Ⅺ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신육호전.png
}}}|| 신육호전·서막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신육호전.png
}}}|| 신육호전·I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신육호전.png
}}}|| 신육호전·Ⅱ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신육호전.png
}}}|| 신육호전·Ⅳ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침추습검록.png
}}}|| 침추습검록·I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침추습검록.png
}}}|| 침추습검록·Ⅱ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침추습검록.png
}}}|| 침추습검록·Ⅲ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침추습검록.png
}}}|| 침추습검록·Ⅳ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망국의 미나히메.png
}}}|| 망국의 미나히메·권1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망국의 미나히메.png
}}}|| 망국의 미나히메·권2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망국의 미나히메.png
}}}|| 망국의 미나히메·권3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망국의 미나히메.png
}}}|| 망국의 미나히메·권4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망국의 미나히메.png
}}}|| 망국의 미나히메·권6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피슬 황녀 야화.png
}}}|| 피슬 황녀 야화·제0권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000
한정 구매 1
|| - ||
}}}

9.2.5. 코마니야

9.2.6. 하나미자카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genshinicon_무기-2성-실버 소드 1.png
}}} ||<colbgcolor=#F7F2E8,#1f2023> 실버 소드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600
한정 구매 1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genshinicon_무기-2성-용병 중검 1.png
}}} || 용병 중검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600
한정 구매 1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genshinicon_무기-2성-철촉창 1.png
}}} || 철촉창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600
한정 구매 1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genshinicon_무기-2성-포켓 주술서 1.png
}}} || 포켓 주술서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600
한정 구매 1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genshinicon_무기-2성-노련의 사냥활 1.png
}}} || 노련의 사냥활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600
한정 구매 1
|| 1일 ||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genshinicon_음식_맛있는 모둠 어묵탕.png
}}} ||<colbgcolor=#F7F2E8,#1f2023> 맛있는 모둠 어묵탕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7425
한정 구매 2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genshinicon_음식_버섯피자.png
}}} || 버섯피자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6075
한정 구매 2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genshinicon_음식_특제 버섯피자.png
}}} || 특제버섯피자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6075
한정 구매 2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 레시피: 메밀국수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25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 레시피: 생선 무조림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5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 레시피: 와카타케니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5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 레시피: 라즈베리 물방울 떡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5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 레시피: 참치 초밥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5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 레시피: 일몰 붕어빵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5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 레시피: 다다야끼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5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 레시피: 삼색 경단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500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 레시피: 삼미 꼬치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5000
한정 구매 1
|| - ||
}}}
본인이 '류지 사건'이라고 부르는 사건 때문에 시카노인 헤이조를 싫어한다. 정작 사건 당사자인 류지는 헤이조에게 굉장히 호의적.

9.2.7. 상점가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소금.png
}}}||<colbgcolor=#F7F2E8,#1f2023> 소금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60(50)
한정 구매 10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후추.png
}}}|| 후추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80(70)
한정 구매 10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양파.png
}}}|| 양파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80(70)
한정 구매 10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우유.png
}}}|| 우유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00(90)
한정 구매 10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토마토.png
}}}|| 토마토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20(105)
한정 구매 10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양배추.png
}}}|| 양배추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20(105)
한정 구매 10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감자.png
}}}|| 감자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20(105)
한정 구매 10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밀.png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00(90)
한정 구매 10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쌀.png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00(90)
한정 구매 10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생새우살.png
}}}|| 생새우살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20(105)
한정 구매 10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두부.png
}}}|| 두부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00(90)
한정 구매 10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울림풀.png
}}}|| 울림풀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000(900)
한정 구매 5
|| 3일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genshinicon_음식_티바트 달걀 프라이.png
}}} ||<colbgcolor=#F7F2E8,#1f2023> 티바트 달걀 프라이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00(180)
한정 구매 1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genshinicon_음식_버섯 닭꼬치.png
}}} || 버섯 닭꼬치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450(405)
한정 구매 1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genshinicon_음식_어부 토스트.png
}}} || 어부 토스트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250(1125)
한정 구매 2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생선 살코기.png
}}}|| 생선 살코기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40(215)
한정 구매 10
|| 1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해초.png
}}}|| 해초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40(215)
한정 구매 10
|| 3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제비꽃 열매.png
}}}|| 제비꽃 열매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40(215)
한정 구매 10
|| 3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흰 무.png
}}}|| 흰 무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350(315)
한정 구매 10
|| 3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소시지.png
}}}|| 소시지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840(755)
한정 구매 10
|| 7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베이컨.png
}}}|| 베이컨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720(645)
한정 구매 10
|| 7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밀가루.png
}}}|| 밀가루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50(135)
한정 구매 10
|| 7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설탕.png
}}}|| 설탕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450(405)
한정 구매 10
|| 7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 레시피: 새알말이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250(1125)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 레시피: 미소된장국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250(1125)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 레시피: 야채 볶음면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2500(225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레시피.png
}}} || 레시피: 사골 라멘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5000(4500)
한정 구매 1
|| -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배경-장식 도면-오토기나무 식량 저장용 수레.png
}}}||<colbgcolor=#F7F2E8,#1f2023> 장식 도면: 오토기나무 식량 저장용 수레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5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배경-장식 도면-오토기나무 간이 작업장.png
}}}|| 장식 도면: 오토기나무 간이 작업장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5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배경-장식 도면-진지 모닥불-「투명한 빛」.png
}}}|| 장식 도면: 진지 모닥불-「투명한 빛」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5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배경-장식 도면-진지 차단목-「가장자리」.png
}}}|| 장식 도면: 진지 차단목-「가장자리」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5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배경-장식 도면-주홍 도리이-「안정의 길」.png
}}}|| 장식 도면: 주홍 도리이-「안정의 길」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1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배경-장식 도면-단풍나무 천 너구리 인형.png
}}}|| 장식 도면: 단풍나무 천 너구리 인형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1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배경-장식 도면-단풍나무 천 백여우 인형.png
}}}|| 장식 도면: 단풍나무 천 백여우 인형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1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배경-장식 도면-신사 조각상-「세이라이 주술 도구」.png
}}}|| 장식 도면: 신사 조각상-「세이라이 주술 도구」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1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배경-장식 도면-「대나무의 울림」.png
}}}|| 장식 도면: 「대나무의 울림」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1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배경-장식 도면-정통 칼 거치대-「양날의 검」.png
}}}|| 장식 도면: 정통 칼 거치대-「양날의 검」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2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먼바다의 산호 가지.png
}}}|| 먼바다의 산호 가지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2
한정 구매 4
|| -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나루카미 어령의 은혜.png
}}}|| 나루카미 어령의 은혜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2
한정 구매 4
|| - ||
파일:genshinicon-배경-2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금석극화의 가면.png
}}}|| 금석극화의 가면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2
한정 구매 4
|| -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 모라 × 10000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2
한정 구매 20
|| -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 모라 × 3000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번개의 인장.png
번개의 인장 × 1
한정 구매 -
|| - ||
}}}

9.2.8. 그 외 인물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나루카와 우카이.png
}}} ||<colbgcolor=#F7F2E8,#1f2023> 나루카와 우카이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구피.png
구피 × 20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유리 구피.png
유리 구피 × 20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부레 가시고기.png
부레 가시고기 × 20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자색 나비고기.png
자색 나비고기 × 2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genshinicon_무기-4성-어획 1.png
}}}|| 「어획」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전류 나비고기.png
전류 나비고기 × 6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금적빛 용 물고기.png
금적빛 용 물고기 × 20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녹빛 용 물고기.png
녹빛 용 물고기 × 20
한정 구매 1
|| - ||
파일:genshinicon-배경-4성.png
파일:genshinicon_아코의 사케마스.png
}}}|| 아코의 사케마스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전류 나비고기.png
전류 나비고기 × 3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대포 복어.png
대포 복어 × 10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쓴맛 대포 복어.png
쓴맛 대포 복어 × 10
한정 구매 4
|| - ||
}}}
「바람 기사전·II」
「몬드에 관해 이야기할 때 『페보니우스 기사단』이 빠질 수 없죠.」
「작가님이 소설에서 페보니우스 기사단이 멋지게 싸우는 모습을 여러 번 언급했어요.」
「그러니까 저도 멋지게 전투하는 기사의 모습을 그려야겠어요···. 바람이 시작되는 곳에 엄청나게 큰 나무가 있다고 들었는데, 그곳에서 촬영해 주세요. 그럼 구도가 정말 예쁠 거에요!」
「네? 그 나무는 페보니우스 기사단에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요···? 진, 진짜요? 더 자세하게 얘기해 주세요!」
「망서객잔」
「시내가 아닌데도 손님이 꽉 찬 객잔이라니···. 이런 신비로운 느낌 정말 최고예요!」
「음, 알고 보니 사장님이나 주인장이 엄청난 능력을 가진 분이 아닐까요?」
「그리고 겉으로는 평범한데 숨겨진 실력을 갖고 있는 아저씨와 늘 쌀쌀맞은 얼굴을 하고 있는 잘생긴 소년까지 있으면 딱이겠네요···.」
「참! 요리사도 있어야죠!」
「북적북적한 장면이라 아주 즐거운 그림이 되겠어요!」
「드래곤 스파인에 숨겨진 음모」
「이 원고를 의뢰한 작가님은 드래곤 스파인 전경을 원하시는 것 같아요.」
「하지만 드래곤 스파인이 그렇게 넓은데··· 설산 전체가 한눈에 보이는 각도가 있을까요?」
「어··· 잠깐만요. 이 장면을 그림으로 그리면··· 이야기의 마지막 결말 느낌이 날 것 같은데요?」
「그러고 보니 모리코 님이 설산을 좋아하시던데···」
「번개와 전기와 검의 올바른 사용법」
「몬드의 일부 지역은 원래 『북풍의 왕랑』의 소유였던 것 알아요?」
「책에서 봤는데, 그는 원래 몬드 지역의 마신이었다고 해요. 음··· 얼음이랑 바람과도 연관이 있다고 하던데요?」
「제 생각에 뇌광을 추가하면, 전투 장면이 아주 멋질 거예요!」
「왜 번개냐고요? 그야 번쩍이는 뇌광이 멋있잖아요.」
「네? 멋대로 도전하면 안 된다고요? 그, 그럼 뇌광을 보여주기만 해도 괜찮아요. 멋진 장면 하나 건져야 한단 말이에요! 표지로 쓸 거니까요!」
「경책 산장 기담」
「이번 작가님이 쓰신 탐험 소설은 리월의 『경책 산장』과 연관이 있네요···.」
「이 글자는 어떻게 읽죠? 어··· 교룡할 때 교? 맞나요? 아무튼 『교룡』에 관한 이야기예요.」
「근데 경책 산장은 아무리 봐도 그냥 조용한 마을인데···」
「협곡의 아이포리아」
「이번 원고는··· 주인공이··· 음··· 맹렬한 공격을 해야 한다고?!」
「이, 이게 무슨 의미불명의 요구죠?」
「모리코 님은 왜 자꾸 평범한듯하지만 그리기 어려운 원고만 의뢰하는 거냐고요!」
「식암록」
「그러고 보니 얼마 전에 한 원고 때문에 고민이 많았어요.」
「소설 주인공이 곧 최후의 결전을 치를 거라서, 작가님이 두 페이지짜리의 웅장한 일러스트를 원했거든요.」
「전··· 주인공이 공격하는 장면을 정면으로 그리고 싶었어요. 그럼 표현력이 뛰어나겠죠.」
「근데··· 아직 좋은 각도를 못 찾았어요. 그리고 절 공격해 줄 사람을 찾기도 좀 그렇고···.」
「그러니 부탁해요!」
「식암록·원숭이 절벽편」
「전에 얘기한 리월 소설가의 의뢰예요. 작가님 소설이 아직 연재 중이더라고요···.」
「이번엔 주인공이 밤에 멋지게 검을 휘두르는 장면을 표지로 하고 싶대요.」
「검을 휘두르는 장면은 많이 그려봤지만, 이번엔 좀 참신하게 그리고 싶은데 말이죠···.」
「여행자님. 리월 사람이 검을 휘두르는 특별한 방법 같은 거 아시나요?」
「식암록·황혼의 장막편」
「황혼 속에 우뚝 선 전사···」
「이번 원고 요구는 평범하네요. 표지일지도 몰라요. 나중에 사인본이나 홍보 일러스트로 사용할 수도 있겠죠.」
「근데 이런 원고는 어떻게 그려야 근사할까요···.」
「그리고 이 소설은 왜 아직도 연재 중이죠? 1부에서 완결해야 하는 느낌인데 말이죠···」
「바위를 향해·첫 번째」
「큰일이에요. 큰일이에요···. 이번 작가님이 『깊은 골짜기』와 연관된 일러스트를 원하신대요···.」
「이나즈마에 있는 장소를 테마로 스케치를 여러 장 그렸는데, 마음에 안 든대요. 리월의 『층암거연』을 참고하래요···.」
「여행자님! 『층암거연』이 어떻게 생겼는지 대신 확인해 주세요!」
「그 작가님 소설이 무슨 주제냐고요? 음, 모험대가 지하를 모험하는 이야기예요···」
「바위를 향해·두 번째」
「층암거연··· 이름만 봐도 위험한 곳 같아요···」
「근데 이렇게 위험한 곳에서 밝은 색채를 찾으면 재밌을지도 몰라요.」
「그럼 부탁해요, 여행자님! 층암거연에서 『밝은 색채』를 찾아주세요」
「제7의 무사」
「밤에 검을 휘두르는 무사··· 같은 일러스트를 그려야겠어요.」
「네? 왜냐고요? 음··· 자비에라는 외국인이 의뢰한 일러스트예요. 『활동 사진 홍보 일러스트』로 사용한대요.」
「자비에 씨 곁에 무사가 한 분 있었어요. 자비에 씨는 그 토라노스케라는 무사님이 제 모델을 해 주길 원했는데, 토라노스케 씨가 단호하게 거절했어요.」
「그래서 모리코 님이 말하길, 이번 『활동 사진 홍보 일러스트』는 자유 창작이래요. 무사님이 쓰던 무기가··· 음··· 역시 검이나 장창이 좋겠죠.」
「칠대 원소」
「이번 작가님은 원소의 힘을 조종하는 영웅들의 전투 이야기를 쓰시나 봐요.」
「그리고 『배경』에 신경을 많이 쓰시나 봐요. 웅장한 배경을 원한다고 여러 번 강조하셨어요.」
「이나즈마의 『요고우산』을 아시나요? 요고우산이 아주 웅장한 산이죠.」
「음, 요고우산을 배경으로 원소의 힘을 멋있게 조종한다면 분명 엄청나게 웅장할 거예요!」
}}}
{{{#!folding 아사기리의 메시지 2 ▼
「질병의 마스터」
「이 작가님은 어떤 이상한 병에 대한 소설을 쓰고 있어요.」
「소설 속 주인공이 그 이상한 병을 앓고 있는데, 병은 주인공에게 기묘한 힘도 함께 줬다고 해요···.」
「주인공은 병마와 싸우는 동시에 그 힘을 이용해 적을 하나씩 쓰러뜨렸고, 결국 병을 이겨내고 배후의 악당도 처치했죠.」
「듣자 하니 이 작가님은 예전에 의사였대요. 각종 병의 증상에 대한 설명이 유독 자세한 것도 그 이유 때문이죠.」
「근데 솔직히 설명이 너무 생생해서··· 소름이 돋을 정도라니까요···」
「녹화 연못의 그림자」
「리월항의 녹화 연못 기억나요? 옆에 엄청 큰 조각상이 세워져 있는 곳 말이에요.」
「한 작가님이 그 두 개의 조각상에 착안하여 괴담 소설을 쓸 예정이래요.」
「그중 한 에피소드에서 두 조각상의 머리 부분에 각각 눈이 하나씩 달려 있는데, 가까이서 보면 제대로 보이지 않지만 멀리 떨어질수록 더 또렷하게 보인대요.」
「그 소문을 들은 한 화가가 녹화 연못에 가서 두 조각상을 그림으로 남기려고 했어요.」
「근데 화가가 그 두 조각상을 그린 후로 이상한 꿈을 꾸기 시작했다는 거예요.」
「꿈속에서 화가는 그 두 조각상 앞에 꿇어앉아 끊임없이 어떤 보석을 조각하고 있었대요···」
「으읏, 그만 얘기할래요··· 소름이 쫙 돋았어요···」
「17개의 함대」
「그 작가님은 항구와 관련 있는 그림이면 된다고 했지만···」
「그 작가님이 쓰고 있는 소설은 함대와 관련이 있는 것 같았어요···. 해상 캐러밴의 무역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하던데, 무역 거래에 능한 학자라는 주인공의 설정 때문에 이야기의 시작 장소를 수메르로 정했다고 해요.」
「어휴, 어떻게 그려야 스토리를 살릴 수 있을까요···」
「사라진 나와 현세에 남아 있는 그녀」
「오! 이 작가님은 엄청 유명한 민속 소설 작가예요. 전에 이나즈마 현지의 전설을 배경으로 한 소설도 많이 썼어요.」
「최근 나오는 소설들은 소재나 기법들이 점점 새로워지고 있지만, 이 작가님은 가장 전통적인 방법을 고수하면서 소재를 찾고 작품을 창작하고 있어요.」
「근데 쿠로다 씨는 작가님이 쓴 소설의 판매량이 점점 떨어지고 있대요. 독자들이 이런 전통적인 소설에 질린 걸까요, 아니면 다른 소설이 더 재밌는 걸까요···」
「작가님이 이번에 쓴 소설의 소재는 카미카쿠시래요. 소설의 주인공을 재학 중인 소년 소녀로 설정하거나 이나즈마의 고전 신화에 나오는 불가사의한 것들을 악당으로 설정하는 등 최근 유행하는 요소들도 많이 추가했대요. 심지어 소설 이름도 엄청 길어졌다던데···」
「어쨌든 작가님의 소설이 대박 났으면 좋겠어요」
「식암록·삼켜진 구름편」
「그 작가님이 또 신작을 출간할 예정이래요.」
「그 소설은 몇 번이나 완결 난 것 같은데! 왜 아직도 연재가 되는 거냐고요!」
「게다가 이번 편에는 새로운 세력과 캐릭터도 등장한다던데··· 전에 출간한 세 편에서는 한 번도 언급한 적이 없다고요?!」
「이걸··· 역시 라이트 노벨 업계 출신의 대선배라고 해야 하나요? 이어 쓰는 능력이 예사롭지 않네요···」
「아 쫌! 그건 버섯이잖아!」
「그 작가님이 그러는데··· 버섯과 관련된 소설을 쓰고 싶대요.」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말을 할 수 있는 버섯들의 일상생활에 대한 내용이랄까요···」
「솔직히 상상이 안 돼요···. 버섯의 일상이라니.」
「하하하, 설마 여기저기에 포자를 발사하는 그런 건 아니겠죠···」
「크흠! 저, 전 아무 말도 안 했어요! 아무것도요!」
「수메르 풍물록」
「음··· 이 책은 소설이라기보단··· 과학 서적에 가깝겠어요.」
「책 내용도 풍성하고, 각종 디테일도 꼼꼼한 고증을 거쳤어요···」
「다 좋아요, 좋은데··· 이 책을 보고 싶어 하는 사람이 없어서 문제죠. 서점에 놔둬도 전혀 팔리지 않는다고요···」
「그래서 편집장이 이 책의 판매량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달라고 부탁했어요.」
「논의를 거쳐 우린 이 책에 가상 캐릭터를 추가하기로 했어요. 이해하기 쉬운 말로 독자에게 책의 내용을 설명해 주는 가이드 역할인 셈이죠.」
「그리고 제가 할 일은 그 캐릭터를 예쁘게 그려내는 거예요」
「바람 기사전·III」
「전에 바람 기사전을 쓴 작가님이 드디어 완쾌하셨대요!」
「응? 제가 말 안 했나요? 그 작가님은 밤샘 작업으로 건강이 나빠졌거든요···」
「병상에 몸져누워서까지 원고 작업을 하다니, 정말 꿋꿋한 소설가예요.」
「···근데 식암록의 작가님은 늘 컨디션이 좋으시던데, 건강을 유지하는 노하우라도 있으신 걸까요?」
「나의 고고학 노트」
「이 작가님은 모리코 씨가 강력 추천한 신예 작가로, 수많은 곳을 여행하신 분이라고 들었어요.」
「음··· 그 작가님께서 이 작품은 국제 고고학 팀이 경험한 기이한 일들을 다룬 모험 소설이라고 하셨어요.」
「그리고 이 고고학 팀에는 몬드의 모험가, 리월의 골동품 상인, 이나즈마의 무사, 그리고 수메르에서 온 학자가 있대요···」
「하하, 캐릭터부터 다양하니까 분명 시끌벅쩍한 이야기겠죠?」
「어라··· 가만, 그럼 나도 엄청 많은 캐릭터를 그려야 하는 거잖아···」
「으악! 그건 싫어!」
「제7의 무사」
「자비에라는 외국인이 또 의뢰를 요청했어요. 사람들에게 선물할 기념품으로 특별한 영수증을 디자인하고 싶대요.」
「그 폰타인 고객님은 아이디어가 참 다양하신 거 같아요. 전 그분이 영수증으로 뭘 하려는 건지 전혀 예상이 안 가요···」
「어찌됐든, 이미 비용을 지급했다고 하셨으니까 열심히 그려야죠」
「바람의 해시계」
「이분은 몬드 출신 작가님이세요.」
「소설의 작품성은 물론, 시는 더 말할 것도 없죠.」
「나중에 작가님이 시집을 출간하게 된다면 제일 먼저 우리를 찾아달라고 예약까지 해뒀어요」
「사막의 증인」
「소문에 아루 마을은 거대한 사막 옆에 있다고 들었어요.」
「그래서 작가님이 사막의 압박감과 잔혹함을 잘 그려내야 한다고 거듭 강조하셨던 거군요···」
「휴, 추리 소설인데 대체 배경이 왜 사막인 거냐고요.」
「아! 소설을 비하하는 건 아니에요. 전 그냥··· 그냥··· 사막이랑 추리는 도무지 어울리지 않는 느낌이 들어서요.」
「사막에서 벌어지는 범죄와의 전쟁이라면 엄청 멋진 액션신과 추격신이 제일 먼저 떠오르네요」
「어느 증명할 수 없는 이론들」
「이 소설은··· 연애에 관한 소설이예요.」
「안 믿기는 거 알아요! 근데 작가님이 그렇게 얘기하셨다고요!」
「사막에서 거주하고 있는 열정적인 소녀와··· 아카데미아의 외로운 소년의 기묘한 연애 이야기···」
「쿠로다 씨가 작가님한테 조언을 드리긴 했어요. 부디 작가님이··· 다시 한번 생각하길 바라야죠···」
「망서 객잔」
「지난번 그 작가님이 또 의뢰를 넣으셨어요. 지난번 소설이 히트를 쳐서 한 번 더 인쇄할 예정이래요.」
「모리코 씨가 이 소설을 엄청 좋아하거든요. 여러 권이나 구매해서 사람들에게 선물했어요···. 저도 한 권 받았고요.」
「이 일러스트를 잘못 그린다면 모리코 씨가···」
「힝··· 힘내야겠어요!」
}}}
연무 전심 이벤트에 등장하는 두 무인. 「호야 일도류」의 제자들로 「연무 전심 검도 대회」의 참가자를 정하려고 둘이 대결을 하려다가 지나가던 여행자와 페이몬을 보고 그들이 참가 티켓을 빼앗을려는 사람인 줄 알고 싸움을 걸어왔다. 여행자에게 패배한 이후 자신들이 「호야 일도류」의 이름을 알리기에는 아직 멀었다는 것을 깨닫고 대회 참가 티켓을 여행자와 페이몬에게 준 후 떠난다. 타다츠네가 사제이고, 타다아키가 사형이다.

9.3. 나루카미 다이샤

요고우산 정상에 있는 신사. 신사답게 무녀가 많다.
파일:원신 류도비카.png
사실 쪽지 임무를 할 때부터 나루카미 다이샤에 있던 겐도우 링고는 진짜 겐도우 링고가 아니라, 우인단 스파이인 '류다치카·스네즈브나'였다. 이후 행적은 문서 참조.

진짜 겐도우 링고는 종말 번대 소속의 닌자이고, 여행자가 첫 번째 쪽지와 암호를 얻을 즈음에 우인단에게 습격당해 행방이 묘연해진 상태였다. 은신처에 숨어있던 중 자신과 모모카가 받은 임무를 누군가 하는 걸 보고 이상함을 느껴[54] 가짜 쪽지를 놔둬 여행자를 유인하고 습격한다. 그렇게 여행자를 은신처로 데려가서 얘기를 듣고 자신의 정체와 그간 있었던 일에 대한 내용을 알려준다. 이후 '모모요'라는 이름으로 활동한다.}}}

9.4. 아마카네섬

이나즈마에서 주최하는 각종 축제와 행사가 벌어지는 나루카미에 달려있는 작은 섬

9.5. 그 외 인물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사방팔방의 그물.png
}}}||<colbgcolor=#F7F2E8,#1f2023> 사방팔방의 그물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10000
한정 구매 5
|| 7일 ||

10. 칸나즈카

야시오리와 나루카미 사이에 있는 섬.

10.1. 쿠죠 병영

아라시와 토라에몬의 대화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대충 나온다. 라이덴이 안수령을 시행하고 이와쿠라 코죠는 라이덴의 안수령을 지지해 신의 눈을 뺏는데 동참하고, 아라시와 토라에몬은 이건 도의에 어긋난다며 스승과 대립하다가 파문된 것이었다. 다만 아라시와 토라에몬은 파문됐음에도 패배한 이와쿠라류 사제와 스승의 검을 모두 모아 이 일에 대한 복수를 결의하는데, 정황상 파문된 것도 코죠가 아라시와 토라에몬이 유파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있게 배려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마침 근처에 나타난 여행자를 보고 첫 번째 원수가 나타났다며 면허개전임을 밝히고 전투에 돌입한다. 결국 이 전투 이후 이와쿠라류는 여행자에게 멸문당한다.

히기 마을의 NPC와 마찬가지로 이와쿠라류도 스토리가 씁쓸하다는 유저들이 많다. 특히 아라시와 토라에몬은 도의에 따라 안수령에 반대하고 파문됐음에도 스승과의 의리를 지키려고 하고, 전투 중에 한 쪽이 쓰러지면 남은 쪽에게 절대로 쓰러지지 말고 내 몫까지 해달라는 유언을 남긴다. 거기에 토라에몬과 쿠니히코는 고아로서 이와쿠라류에 거둬들여졌다는 설정도 있다. 메인 스토리에 안수령으로 고통받던 사람들을 만난 과정 중 포함시키는 식으로 했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반응도 있다.

레딧에 올린 글에 달린 댓글을 해석한 것 중 하나엔 결국 500년전의 대재앙, 미코시 가문, 목숨 건 결투를 명예롭게 여기는 이나즈마의 문화(ex.어전시합), 그리고 안수령 중 막부가 저지른 모순적인 행보가 얽힌 비극으로 애초에 이와쿠라류의 스승이 안수령에 동참한 순간부터 이미 유파 내에선 정과 의가 갈라지기 시작해서 문하생들이 개인의 도의를 지키기 위해 도관을 떠나 노략질을 시작하자마자 이미 창시자가 세웠던 충성과 명예라는 이상에서 완전히 동떨어져 이나즈마 내에서 이와쿠라류는 멸망해 문하생들도 결국 언젠가는 막부에 잡혀 죽는다는 미래밖에 남지 않은 상태였다. 그 때 여행자가 등장해 검술에 통달한 외부인이라는 특별한 존재로써 문하생들을 진검승부의 일환으로 이기고 쓰러트려 문하생들은 마지막 순간 쇼군의 눈 앞에서 모든 영예를 빼앗긴 채 역도로서 처형당하는 대신 한 유파에 소속된 한 명의 검사라는 자존심과 유산을 남긴 채 최후를 맞이할 수 있게 되었고 실제 중세 일본에서 있던 검술 유파 간의 싸움에 관한 문화적 오마쥬가 짙어서 이런 결말이 나온 것 같다고 했다.#}}}

참고로 이 문파의 검, 하쿠엔 미치미츠 아메노마(薄緣滿光天目)는 연하궁으로 들어가는 길 초입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유는 불명.

10.2. 타타라스나

하지만 샌드백으로 쓰라고 준 것 치곤 방어 패턴이나 페이즈 변경 시 무적, 점프 공격 패턴[64] 등 측정을 방해하는 요소가 그대로 남아 있어 이걸 측정용으로 쓰는 건 권하지 않는다.[65] 게다가 너무 빨리 죽어서 한 사이클이 긴 파티를 실험해 볼 수 없다는 것도 문제다. 차라리 3분마다 부활하는 토벌 보스 중에서 샌드백을 고르는 게 낫다.

11. 야시오리섬

저항군이 근거지를 둔 섬. 재앙신의 영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병에 걸려 죽어가고 있다.

11.1. 후지토 요새

11.2. 나즈치 해안

쵸지의 임무를 떠나보내기까지 다 완수하고 나서 난파선 주변의 훈련중인 해적들을 다 처리하면 무사의 숙명이라는 퀘스트가 발생한다.[67] 이때 이나바 토사부로가 있던 자리에 가보면 절필만이 남아 있다. 아이템의 이름은 이나바 토사부로 큐조 절필.[68] 그 유언장을 주우면 무사의 숙명 목격하기 임무가 열린다.[69] 임무 지역으로 가면 해란귀 뇌무가 3명이 있고 그들 가운데엔 검이 박혀있다.[70] 심지어는 이나바 큐조의 아내가 2장 3막이 끝난 후, 남편의 소식을 묻는 게시글을 달아 더더욱 안타까운 마음을 자극한다.
}}}

11.3. 히기 마을

쓰러뜨리고 나면 쪽지를 얻을 수 있는데 쪽지에는 마을의 촌장으로서 거주민들을 보호해야한다, 야스모토는 약을 만들거라고 했는데 순 허탕만 치는 사기꾼이라며 불평하는 등의 내용이 적혀있다. 그리고 히기 마을에 가 보면 상자 하나와 마을 사람들의 명부를 볼 수 있다. 명부를 보면 병사, 실종, 전사, 제헌(祭獻), 환원, 소환 등의 얘기가 있다. 명부를 해석해보면

병사 - 마을 주민들이 재앙신의 영향으로 병에 걸려 사망
실종, 바다에 빠짐 - 이를 견디지 못한 마을 사람들이 떠나려 함
전사 - 재앙신으로 인해 미쳐버려 싸우다가 죽음
제헌, 환원, 소환 - 이를 기록하던 와시즈 또한 미쳐가기 시작해 마을 주민들을 재앙신을 해결하기 위한 제물로 바침

이렇게 짐작할 수 있다. 쵸지는 마을을 떠난 어머니를 꾀어내기 위해 남겨뒀고, 마지막에는 이국 출신 어린아이를 유인한다는 내용까지 있는 것을 보면 여행자도 제물로 바치려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
3일간 울림풀을 계속 주다보면 4일차에 울림풀이 그대로 놓여진 야스모토의 바구니만 덩그러니 놓여져있고 행방이 묘연해진다. 원소 시야로 야스모토 집 주변에 떨어져있는 "약사의 수첩"을 총 3개 주울 수 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재앙신"의 질병으로 죽어가는 마을 사람들을 살리기 위해 고군분투한다는 내용이 적혀있고, 여행자가 전해준 울림풀을 통해 연구에 진전이 보이자 야시오리섬 남쪽 모래섬에서 모든 조제량을 시험해 보려고 그곳으로 간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해당 지역으로 가면 화려한 상자 하나와 울림풀이 들어있는 바구니 하나가 덩그러니 놓여있다. 정황상 조제량을 시험하다 중독돼서 사망했거나 해란귀와 맞닥뜨려 비명횡사한 듯하다.

다만 화려한 상자를 찾을 때 얻는 업적 이름이 '떠돌이 의사의 오디세이'인데, 오디세이아의 주인공 오디세우스가 바다 위에서 갖은 고생을 하면서도 어찌저찌 고향에 돌아간 것을 생각하면 죽은 것이 아니라 해적 등에게 납치되어 갖은 고생을 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 야스모토가 비중이 높은 인물도 아닌 만큼 결말이 정확하게 나올 일은 없으니, 그 이후는 독자들의 상상에 맡겨둔 열린 결말로 보는 것이 맞을 듯.
}}}
야시모리 섬 지하에서 그녀가 쓴 편지가 발견되는데 이를 읽으면 진실이 나온다. 키츠히코는 그냥 도망친 게 아니라, 재앙신으로 인한 병의 특이증상을 치료하러 수메르로 떠난 것이었다. 야스모토의 일지에 의하면 그녀 역시 치료를 받으러 찾아왔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재앙신의 기운이 몸에 잠식당해 미쳐버리거나 병에 걸린 다른 이들과는 다르게 오히려 재앙신의 힘이 체내에서 돌고 있었다. 야스모토는 키츠히코가 걸린 병의 특징을 요약하질 못했으며 소량의 출혈과 발열이 계속되자 자신의 의술로는 더이상 그녀의 증세를 제어하지 못하다는 걸 알았다. 그래서 수메르에 가면 이 증상에 대해 해결법을 찾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 오니타카라는 해적을 통해 배를 타고 수메르로 가는 걸 알려줬다. 이후 그녀는 아들을 두고 혼자 치료를 받으러 떠나는 것 때문에 죄책감을 가졌는지 쵸지에게 한통의 편지를 남겼다. 문제는 당시 수메르 아카데미아의 상태는 정상이 아니었고 희대의 매드 사이언티스트도토레까지 있던 탓에 과연 무사할지는 알 수 없으며 수메르 마신임무가 끝나고 폰타인 마신임무까지 끝난 와중에도 행방은 불명이다.

쵸지 역시 재앙신으로 거의 모두가 죽어버린 상황에서 살아서 나루카미 섬까지 어찌어찌 떠난 것을 보면 비슷한 체질을 어머니에게 물려받은 것으로 보인다.
}}}

12. 와타츠미섬

12.1. 산호궁

12.2. 모운 신사

12.3. 보우로우 마을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우유.png
}}}||<colbgcolor=#F7F2E8,#1f2023> 우유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60
한정 구매 10
|| 7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토마토.png
}}}|| 토마토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80
한정 구매 10
|| 7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감자.png
}}}|| 감자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80
한정 구매 10
|| 7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밀.png
}}}||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60
한정 구매 10
|| 7일 ||
파일:genshinicon-배경-1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두부.png
}}}|| 두부 ||파일:genshinicon-배경-3성.png
파일:원신-정사각-투명-모라.png
모라 × 60
한정 구매 10
|| 7일 ||
}}}
여행자가 명복을 빌어줄 물건을 찾고나서 아니사와 만나는데 거기서 쿠지라의 죽음에 대한 단서를 찾고 쿠미에게 진실을 알린다. 쿠지라는 사람들과 싸우다 죽은 것이 아니라 천수를 다 누리고 자연사한 것이었으며 죽기 직전 쿠미에게 자신이 천수를 누리고 갔음을 알리기 위해 일부러 해안가로 와서 죽음을 맞이한 것이었다. 하지만 죽을 당시 쿠미가 하필 섬에 잠시 없었던 상황이라 뒤늦게 온 쿠미가 백골이 된 쿠지라의 시체를 발견하고 오해를 하게 된다. 또 아니사가 쿠지라의 시체를 조사하면서 쿠지라가 수많은 자식을 낳았으며, 살해당한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이에 마음속 응어리가 풀린 쿠미는 떠나려는 것을 그만두고 언젠가 올지 모를 친구의 자손을 기다리기로 한다.

이후 지낼 곳이 없다는 아니사를 자신의 집에 머무르도록 한다. 수메르 사람인 아니사를 위해 수메르의 조리법에 맞춰 음식을 조리해주려고 하는데, 이상한 오므라이스를 주는 것을 보면 신통치는 않은 모양.}}}
여행자의 도움을 받은 뒤에는 섬에 머물면서 쿠미와 동거하게 된다. 퀘스트 내내 쿠미에게 추파를 던지고 마지막에는 고백 비스무리한 대사까지 하는 걸로 보아 단순한 호감 이상의 감정을 가지고 있는 듯.
층암거연 지하광구의 수생 생물 조사 퀘스트 시작 시 헤디브가 '와타츠미섬에서 낚시하는 아니사 선배'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수메르에서는 서로 알고 지내던 사이인 듯 하다.

12.4. 기타 인물

13. 세이라이섬

마지막 9일차에 네코를 방문하면 네코가 의뢰한 고양이 석상이 완성되어 간다며 함께 보러가자고 말한다. 석상은 네코가 마무리를 할 수 있도록 마지막 한 작업만 남겨둔 상태였다. 돌멩이를 두드리는 것이 그렇게 중요한 일인가, 석상이 좋은 물건인가라는 네코의 의문에 준페이는 좋은 물건보다 더 좋으며 조각상은 「영원한 기억」이라고도 불린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아니야. 「영원한 기억」을 원해서가 아니야.
난 히비키가 집에 돌아와서 길을 못 찾을 때 돌멩이 네코를 보라고 만든 거야.
다른 곳으로 가지 말고 이곳으로 찾아오라고.
결국 네코의 관심사는 오직 히비키가 돌아오는 것 뿐이며, 신사를 수리하거나 사람들이 오게 하거나 석상을 만든 것까지 전부 단지 히비키를 위해서 한 일이었을 뿐이었다.

어쨌든 준페이의 말대로 네코가 석상의 마무리 작업을 실시하고 석상을 완성시킨 순간 하늘의 구름이 고양이 모양으로 변화한다. 네코는 이것이 바로 히비키가 말한 "좋은 일"이었다며 크게 기뻐하고 히비키가 언젠가 돌아올 것이라는 희망을 갖는다.

이후 석상 주변에 모인 에츠코와 타이유에게 세이라이 섬의 역사와 아코 도메키에 대해서 들을 수 있다. 네코가 말하는 "도메키"가 아코 도메키와 동일인물이라면 그와 동시대 사람인 히비키 역시 수백 년 전 사람이므로 돌아올 수 있을 리가 만무하지만, 저렇게 기뻐하는 네코에게 찬물을 끼얹지 말자며 이와 관련된 이야기는 덮어두게 된다. 이후 월드 퀘스트 나루카미의 흔적에서 히비키가 자신을 찾아오지 못한다면 자기가 찾으러 가면 그만이라면서 여행자와 같이 나루카미 다이샤로 가서 히비키의 행방을 수소문 하다가 그곳의 무녀로부터 아사세 히비키는 4~500년쯤 전의 인물이라는 진실을 듣게 되지만, 네코 본인이 세월의 흐름에 대한 개념이 없는데다 여행자가 여기에는 없는 모양이라며 얼버무리고 이야기 해준 무녀도 눈치채고 배려해준 덕분에 진실은 여전히 모르는 채로 남게 되었다.

아사세 히비키의 마지막 행적은 파마궁 스토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향후 500년간 세이라이섬을 거대한 뇌폭으로 뒤덮을 결계를 풀면서 마지막 순간에 늙은 고양이가 번개와 천둥으로 뛰어들지 않기를 빌며 걱정한다. 정확하게 지칭되지는 않지만 네코인 것으로 보인다.
}}}
여담으로, 네코와 처음 만났을 때 해금되는 업적과 네코의 월드임무 이름은 모두 소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의 패러디이다.[80]

앨리스의 말에 따르면 뚱냥이인듯 하다.

14. 츠루미섬

눈치가 빠른 사람은 알아차렸겠지만, 류는 이미 죽은 사람이다. 현재 츠루미섬에서 나온 NPC들은 모두 먼 과거 츠루미섬이 멸망하기 전에 있었던 일을 재현하는 환영같은 존재. 하지만 류만은 어찌된 일인지 사람처럼 행동하며 츠루미섬을 조사하러 온 사람들도 모두 기억해주고 있다.

츠루미섬은 과거 뇌조에게 제물을 바치면서 살아가던 섬이었다.[81] 류는 노래를 부르다 이를 듣고 찾아온 뇌조와 친해지게 되었지만,[82] 이를 뇌조께서 류를 원하신다는 뜻으로 이해한 츠루미인들은 류를 제물로 올려버렸다.[83] 친구가 죽어 잔에 담긴 피만 남겨진 광경을 본 뇌조는 분노하여[84] 츠루미섬의 인간들을 거의 몰살하고[85] 세이라이섬으로 이동하게 되었고 그 곳에서 라이덴 쇼군에 의해 토벌당한다.

참고로 성유물 번개 같은 분노 세트에서 다루는 이야기가 다름 아닌 츠루미섬의 이야기이다. 즉 성유물의 이야기 속 뇌조의 친구가 류.

류는 뇌조가 마음에 들어하는 자신이 제물이 되면 마을사람들이 츠루미섬에 있을 필요 없이 더 넓은 세상을 볼 거라며 여행자에게 제전의 원활한 진행을 부탁한다. 여기까지가 2일째 츠루미섬 퀘스트.

그러나 여행자는 자체적인 탐험과 NPC들의 정보로 츠루미섬의 제전이 무한 루프되고 있으며, 류가 죽고 뇌조가 츠루미섬을 멸망시키고 나면 다시 멸망 며칠 전의 시간으로 츠루미섬의 시간이 되돌려진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류는 츠루미 주민 중 유일하게 이 반복되는 시간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류는 뇌조가 츠루미섬을 멸망시킨 이유가 제전에 만족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기에 만족스러운 제전을 만들기 위해서 외부인들을 반복되는 제전에 참가시킨 것. 즉 류는 며칠마다 자의적으로 살해되는 루프를 수천 년 동안이나 반복해온 것이다.

3일차 퀘스트에서 제전을 중단시켜 츠루미 섬의 루프를 끊으려 하는 여행자가 페이몬의 말에 따라 서목을 파괴하면 제전을 방해했다고 화를 내며 어디론가 사라진다. 4일차 마지막 츠루미 섬 퀘스트에서는, 여행자를 만나 자초지종을 듣게 된다. 바깥 세상을 나가보고 싶어하던 류를 어떻게 데려갈까 고민하던 중 페이몬의 아이디어로 여행자의 인도에 따라 깃털을 들고 세이라이섬으로 이동해 뇌조에게[86] 마지막 노래를 불러 주며, 뇌조의 분노가 끝남과 동시에 츠루미섬의 반복되는 마지막 제전 또한 끝이 난다.[87] 이후 칸나산 안에서 퀘스트를 마무리하면 이제 피곤해져 버렸다는 말과 함께 뇌조의 깃털[88]을 주며, 여행자에게 깃털을 본인이라고 생각하고 이곳저곳을 여행하라고 한다.[89]}}}

15. 연하궁

이미 수천 년 전 오로바스가 연하궁을 봉쇄하였기에 살아있는 인간은 없고 수백 년에 한번 와타츠미 어령 제사에 쓰일 핏빛 산호를 채집하기 위해 산호궁에서 용사를 파견할 뿐이다. NPC들은 영원의 정령이라는 와타츠미 이주 전날의 기억을 계속해서 반복하는 영혼 비슷한 존재들만 곳곳에 잔존한다.
여담으로 이름이 이름이다보니 졸지에 다른 게임동명 캐릭터 드립이 나오기도 한다. 다만 월드 임무를 통해서만 올 수 있는 특수 지역 내에 월드 임무 중에만 나오는 캐릭터이다보니, 같은 이름의 마을보다는 존재감이 없는 편.
「엔죠」라고 자칭하는 자: 흥, 도마뱀 주제에 인간 흉내를 잘도 내는군
사실 그녀의 정체는 용 도마뱀이 인간으로 변한 '용 도마뱀 인간'. 먼 옛날 인간에게 패배한 용 도마뱀이 승자인 인간의 모습을 모방해 인간의 모습으로 변한 후 연하궁에 섞여 살았다고 한다. 엔죠에 의하면 그동안 여행자를 도운 것도 용 도마뱀을 배신한 엔죠에게 복수하기 위해서라고 한다.[104]
이후 계획대로 어린 심해 용 도마뱀들을 탈출시킨 다이니치 미코시 지하에서 정예 용 도마뱀과 전투 후 밖으로 나오자 다시 만나게 되는데 그녀의 말에 의하면 그녀는 도마뱀 인간이 아니라 그저 용 도마뱀에게 아기 때부터 길러진 인간이고, 용 도마뱀에게서 길러져서 용 도마뱀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여행자와 페이몬이 그녀에게 코코미에게 받은 목걸이와 엔죠에게 받은 다이니치 미코시에서 훔친 문양을 주자 그것을 보고 무언가 깨달은 듯이 떠난다.

연하궁에서 나온 뒤 코코미에게 이 사실을 이야기하면 숨겨진 또 하나의 진실을 알려주는데 기록에 의하면 오로바스가 와타츠미 섬을 만들면서 힘이 쇠약해지자 어사 일족은 더 이상 세상에 나오지 않았는데 아직 아기였던 마지막 어사 일족의 후예가 백야국 변경에서 후예를 돌보던 무녀와 함께 심해 용 도마뱀의 습격을 받고 실종되었다고 한다. 그때 코코미는 그 어사 일족이 죽었는지 확실치 않았지만 가끔 심해 용 도마뱀이 데려다 길렀다는 소문만이 무성할 뿐이었으며 용 도마뱀 인간은 그저 소설에 나오는 설정일뿐 실제한다는 건 산호궁의 기밀에도 없다고 말해준다.

즉, 츠미의 진짜 정체는 최후의 어사 일족으로 산호궁 병사들의 추측이 맞았던 것이다. 먼 옛날의 백야국의 문자를 읽거나 미코시를 내심 파괴하기 싫어하는 것, 미코시가 그녀의 조그마한 염원에도 반응하는 것 등이 복선이었다.
}}}

16. 모험가 길드

17. 미식 어벤져스

타국 사람들로 이루어진 미식 탐험대. 쇄국령이 내려져 이나즈마를 나갈 수 없는 상황이지만 이나즈마 각지를 돌아다니며 각종 별미를 즐기고 있다. 이들이 주는 윌드퀘스트가 존재하며 실제로 섬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는걸 볼 수 있다. 다음 위치를 힌트로 주기도 한다.
파르바나의 말에 의하면 이나즈마 다음 목적지는 수메르라고 하며, 실제로 수메르 평판을 올려주는 월드 미션에서 미식 어벤져스 미션이 나오며 수메르에서도 등장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여담으로 어벤져스라는 이름에 걸맞게 전투 실력 역시도 출중한 모습을 보이는데 모험가인 줄리와 무사인 카메이는 그렇다 치더라도 동욱과 파르바나 같은 경우 냄비와 책을 무기로 쓰는데도 잘 싸워서 해란귀들이 경악하는 장면도 나왔다.

이후 수메르 미식 어벤져스 월드 퀘스트에서 파르바나의 만능 조미료에 관한 논문 때문에 폰타인 상인 네트와 엮이게 되면서 다음 지역인 폰타인에도 재등장하게 되었다. 일단 폰타인 지역이 공개된 4.0 버전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는데 폰타인 월드 임무 목록에도 미식 어벤져스가 없는 것을 보면 추후 버전에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수메르 미식 어벤져스 월드 퀘스트의 해금 조건이 이나즈마 일일 퀘스트로 나오는 모든 미식 어벤져스 퀘스트의 업적 클리어인지라 굉장히 까다롭다는 비판이 많다. 일일 퀘스트는 랜덤으로 떠서 원하는 퀘스트가 나올 때까지 무작정 기다리는 방법밖에 없는데다, 업적 대부분이 최소 2번은 클리어해야 달성 가능해서 운이 없으면 엄청 오랫동안 이나즈마 일일퀘만 받아야 할 수도 있기 때문.
수메르에 온 이후에는 그녀의 담당 교수인 파르자에게 논문을 제출하고 나머지 어벤저스 맴버들에게 수메르를 안내해준다. 하지만 다음날 파르자가 네트와 함께 만능 조미료 논문을 표절해서 만능 조미료로 이익을 챙길려고하자 절망에 빠지지만, 동욱과 나머지 맴버들이 그들이 이익 챙기기 전에 먼저 사람들에게 만능 조미료 레시피를 공개하자고하고 이에 만능 조미료 레시피를 그들보다 먼저 공개해버린다.

18. 요괴

19. 과거의 인물

19.1. 요괴

19.2. 타타라스나 사건 관련 인물

뇌전오전 가문 인물에 대해서는 (○) 표시. 또한 하술하는 뇌전오전 항목에는 중복기재 하지 않음.
{{{#!folding 스포일러 ▼
파일:에셔 도토리.png
하지만, 제 정체에 대해서는 상상도 못 하실 겁니다. 제가 타타라스나에 오게 된 이유도 모르실 거고요.
너 따위가 계획을 방해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어?[129]
실은 단순히 단조 기술을 개량한 것이 아니라 수정 골수에 담긴 재앙신의 사악한 힘을 최대로 끌어올린 것이였고, 이 때문에 타타라스나는 재앙신의 힘에 영향을 받아 결국엔 부상자와 사망자가 나오기 시작한다. 이를 수상하게 여긴 니와 히사히데가 뒷조사를 통해 그의 음모와 대략적인 정체를 눈치채고 추궁하자 그를 칼로 찔러 살해한 후 자신의 정체를 밝힌다.}}}

19.3. 뇌전오전

19.4. 다섯 가선

한국어 번역본

나 초암은 속세를 멀리 떠났으니, 어찌 헛된 명성을 위해 세속에 분란을 일으킬 수 있으랴.
녹색 의복에 책자를 들고 천수각으로 향했거만, 아오이가 쓴 시집의 한 장이 사라졌도다.
엎드려 죄를 시인하고 쇼군님께 용서를 빌며, 머리를 조아려 황급히 기억을 되짚었노라.
간밤 주루에서 만취해 잠든 내 곁으로 한 그림자가 유유히 지나더라.
필시 간교한 자가 시를 훔쳤을 터, 천수각에서 체면이 땅에 떨어지고 말았도다.

탄카(短歌)

よばなれて かりほに住みし 身なれども
かかる憂き名に なまわずらはし
緑衣着て 歌仙のうたを 献ずれば
欠きしものあり 翁の秀歌
頭たれ 叩きやうやう おぼゆるを
舌疾に訴ふ かくて言ひけり
あなかしこ 酔ひさまたれし 昨夜のこと
仮寝のわが身 寄るけはいあり
かるが故に さる盗人の 後ろ矢に
御前でかかる 恥をみしかな
}}}
한국어 번역본

소싯적 검은색 예복을 입고 조정에 올랐고, 나이 든 지금은 소나무의 그림자로 달빛을 흐리우네.
배신은 정녕 본의가 아니었으며, 목숨이 위협받은 터에 부득이했음이라.
몰래 온 손님이 황급한 걸음으로 시집을 찾아, 그중의 한 장을 품에 숨기었네.
그 연유에 대해서는 아는 바 없으나, 그자의 성격은 실로 괴팍하더라.
이 시가 아카히토를 추억하는 시라는 것만 희미하게 기억하고 있으니, 옛 벗은 영락하고 우정에는 금이 갔구나.

탄카(短歌)

年老いて 冠掛けし かたはらは
松影霞む 月ばかりなり
敢へ無くも からき命を 守りたり
逆ふることは ほいなきにこそ
しぶしぶに せいて探りて 見つけたるを
衣の中に もて隠したり
脅しつるは 何人ならむ 如何にぞや
恐らくかのもの たぶれたるべし
赤人を 想ひて詠んだ 歌ゆゑに
友は何処や あな口惜し
}}}
한국어 번역본

우리는 오랫동안 명성을 떨쳐왔고, 나 또한 스스로의 업적에 만족하며 으스댔구나.
새로운 시를 지을 때마다 붉은 도장을 남겨, 이로 인해 천하에 이름을 날리는 칭호를 얻게 되었노라.
허나 지난해의 시집에서 내가 옛사람의 시를 표절했을 줄은 누가 알았으랴.
기만과 도작의 죄는 용서할 수 없는 것, 이에 창망한 들판으로 유배되었구나.
세상사 무상하듯, 오색의 아름다운 빛도 영원히 되돌릴 수 없는 것임을.

탄카(短歌)

かねてより 世の覚え良く 名を立ちて
熱き心に 大志抱きぬ
新しく 詠む歌綴る 紙屋紙
朱印残して 名を轟かす
然れども 歌奉る こぞの会
古人の歌を 掠みにけりな
盗作し 上欺きぬ 咎により
侘しき荒野 追放たれぬ
人の世は なべて無常 移りける
五色の光も 消え失せにけり
}}}
한국어 번역본

모든 책자를 뒤졌으나, 도장[133]에만 붉은 문장이 없었도다.
맑은 시냇물은 낡은 책을 씻어내기에 제격이고, 깨끗한 물결은 진상을 드러내게 하기에 안성맞춤이라.[134]
운치 있는 글은 물로 씻어내기 어려우나, 추악한 죄의 시는 먹물이 흩어지니.
아오이가 지나가던 중, 이를 보며 옛벗을 추억하는 시를 짓는구나.
풍파가 채 가라앉지도 않았건만, 또다시 쇼군께 시를 바쳐야 할 날이 가까워지는구나···

탄카(短歌)

皆人の なべて閲する 赤人の
歌集の作に み朱印みざる
ゆく水よ 沈めよ沈め たとうがみ
あらふ白波 正をあからむ
あはれなる 歌はいづれも えながせず
掠むとおぼゆは あさくも見ゆる
浮かばぬか 葵の翁 かいまみて
友を悼みて 詠みしそへうた
波風の 止まざるままに 日きにけり
主上御覧ず 五色の歌集…
}}}

20. 기타 인물

첫번째
혼란스러운 기억들이 떠오른다···
칼들이 부딪히고, 활시위가 흔들리며 무인들의 울부짖음과 마물들의 울음소리가 뒤섞인다.
난 이곳에서 무수히 많은 밤을 지새우며, 여기서 벌어지는 수많은 전투를 모두 겪었다.
하지만 난, 나 자신과 「결록음양료」의 존재 의미를 기억해 낼 수가 없다.
복잡한 길, 사방에 숨어있는 마물들··· 미궁 같은 이곳은 어떤 방문객도 반기지 않는다.
이게 하루노스케가 원했던 걸까? 난 잘 모르겠다···
「결록음양료」는 바깥세상의 골칫거리가 되었다, 모든 책임은 나에게 있다.
난 도망가지 않을 거야, 난 이곳의 관리자로서 다른 사람이 알 수 없는 정보들을 알고 있다. 결국 난 내 손으로 「결록음양료」가 만들어낸 난국을 마무리해야만한다.
난 무슨 일이 있어도 지금의 동료들과 함께 싸워, 가장 깊은 층의 문을 열고 진실을 밝힌 뒤 하루노스케를 맞이할 것이다
두번째
탁본, 모든 탁본은 내 눈과 귀, 손과 발이다.
그것들은 수천 명의 무인과 함께 싸워 「결록음양료」의 깊은 곳에 도달했다.
무인들과 바깥세상의 마물들을 무찌르며, 결록음양료에 상주하고 있는 나의 견문을 넓혀주었다.
이 기억들은 「결록음양료」의 진실을 밝히는 데 큰 도움이 되지는 않았지만, 무사들의 신분을 기억하는 데에는 어느정도 도움이 되었다.
투지에 불타는 무사들, 관례를 깨고 속세로 나온 검객, 실력이 뛰어난 부랑인, 수천 년의 역사에 통달한 박식한 사람··· 심지어 바다를 건너 온 이국의 용병까지.
이 사람들은 왜 하루노스케 옆에 모이게 된 걸까?
수백년 전 음양료에서 위험한 마물들이 뛰쳐나오자, 각자의 무인들을 불러 토벌한 걸까?
지금의 상황도 좋지 않다. 동료들의 경고를 생각해서라도 서둘러야 할 것 같다···
세번째
난 물론 하루노스케가 「결록음양료」를 만들었을 때, 사악한 생각을 하지 않았기를 바란다.
완전하지 않은 기억 속에서 하루노스케의 성격은 바람처럼 전혀 종잡을 수가 없다···
하지만 그는 믿을만한 사람이었다.
무사들이 아무리 좌절하고 불안해해도, 하루노스케는 아무 일도 없는 것처럼 보였다. 「카무나 님」의 침착한 목소리를 들으면 사람들의 두려움은 금방 사라졌다.
하지만 나와 단둘이 있을 때, 하루노스케는 넋을 놓은 채로 오랫동안 담뱃대를 바라보곤 했다.
그 담뱃대는 그가 여유로울 때 직접 만든 것이지만, 담뱃대를 사용할 줄은 몰랐다.
그는 기다리고 있는 것 같다, 그 친구를 기다리는 것이다···
그것 가식적인 감정이 아니었다. 자신의 창조물 앞에서 자신의 감정을 숨길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이 갑자기 미쳐 천리에 어긋나는 일을 할 리가 있나?
지나간 일을 생각해도 달라질 건 없다.
내 기억 속의 하루노스케가 어떤 존재였더라도 난 더 이상 망설이지 않을 것이다.
지금 내 곁에서 아무런 조건 없이 나를 믿어주는 동료를 저버릴 순 없기 때문이다.
그들은 내가 「자아」를 찾을 수 있게 해줬다, 그들이 나를 「다시 태어나게」 해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네번째
이해할 수가 없다.
기묘한 「음양술」이 만들어졌을 때, 하루노스케가 날 만들었다. 난 그를 따라 방랑했고, 사악한 무리를 해치웠다.
그 때의 하루노스케는 부법(符法)에 대한 이해가 깊었으며, 「사악한 무리를 무찌르기 위해, 시키가미로 무인을 돕는다」라는 이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다양한 무인들을 불러 모아 「결록음양료」를 만들었고, 자신만의 「수호의 길」을 생각해냈다.
이 비경을 만든 부법(符法)은 그가 엄청난 부담을 감내해가면서 직접 창조한 것이다. 이 「결록음양료」는 그의 생명의 결정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그는 대체 왜 이런 결록음양료를 포기한 채 홀연히 사라져버린 걸까?
그를 믿고 따른 무인들과 그가 기다리던 친구와 난··· 도대체 어디로 가야 하는 걸까?
다섯번째
진실이 드디어 밝혀졌다.
평생 「결록음양료」를 지키라는 명령을 받았던 관리자로서, 이 모든 상황에 더 슬퍼해야만 하겠지.
하지만 나는 하루노스케를 설득하여, 그의 가슴속 응어리들을 풀어주었다.
그의 기다림은 결실을 맺지 못했고, 오히려 힘겹게 버텨야만 하는 일로 변해 오히려 부담이 되었다.
게다가 그의 친구가 아끼던 세력을 지키는 건 우리뿐만이 아니었다. 전반적인 상황을 정리한 말고도, 이름을 숨긴 수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그 목표를 위해 심혈을 기울였는데, 왜 어떻게 그 목표를 이뤄낼지, 그 실현 과정에 집착해 발목을 잡히는 걸까?
오늘날의 결말이 우리에게 가장 타당한 결말일지도 모른다.
하루노스케는 멀리 떠났다.
「결록음양료」는 다시 문을 열었고, 사람들이 그의 가치를 알아주기를 기다리고 있다.
나도 더 이상 방황하지 않을 것이다.
여행자, 페이몬, 신염타르탈리아··· 난 이 친구들과 함께 나 자신의 존재 의미를 지켜나갈 것이다
}}}
파일:원신 치즈루 눈나 고마워.png
이후 여행자와 페이몬과 모두들과 함께 아라타키 이토와 요괴들이 연 '미카와 축제'에 참여해서 재밌게 놀고, 치즈루는 해안가에 여행자를 불러 고마움을 표현한다.
그때 아키츠 놀이를 할 때 페이몬이 그랬지. 진 사람이 이긴 사람의 소원을 들어주기로
그때 내가, 내 소원은 너희를 다신 만나지 않는 거라고 했잖아
근데 결국 너희는 다시 날 찾아왔고, 내 소원은 안 이뤄진 거니까… 나 새로운 소원을 빌어도 될까?
여행자: 당연하지
뭐가 좋을까. 「날 기억해줘」…? 아냐, 한 가지 소원만 빌 수 있다면, 이건 아닌 것 같아
그래, 잘 들어. 내 소원은—
「네 앞으로의 여정이 늘 축제처럼 즐겁길 바라」
이후 치즈루는 여행자와 이야기를 나눈 후 얼마 남지 않았던 시간으로 "너희를 다신 만나지 않길 바란다" 는 소원 대신 "앞으로의 너의 여정이 늘 축제처럼 즐겁기를" 이라는 소원을 말하며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소멸한다.

한정 이벤트 스토리 NPC 주역이지만 의외로 모델링 복붙으로 악명 높은 원신에서 양산형 모델링을 일부 수정해서 상당한 미형으로 나온데다 슬픈 서사와 감동적인 결말 덕에 실장을 바라는 유저들도 있을 정도로 하나치루사토, 두냐르자드처럼 인기 NPC로 꼽힌다.
}}}


[1] 딸인 히이라기 치사토에 따르면, 콧대 높은 여자가 이도에 붙잡아 놓으라고 했다고. 이 시점에서 야시로 봉행을 제외한 이나즈마의 정치 세력들은 여행자에게 크게 관심이 없었던 것을 감안하면 정황상 우인단 쪽의 사람, 아마도 시뇨라일 가능성이 높다. 이후 월드 곳곳에서 우인단이 보인다는 점과 해변가의 여자아이가 우인단이 간밤에 이나즈마에 들어와 이도를 몰래 빠져나갔다고 말한 대사를 통해 유추해 보면 우인단이 거의 확실하다. 여행자와 페이몬도 '콧대 높은 여자'라는 말을 듣자마자 불길한 예감에 이도를 빨리 벗어나려고 한다.[2] 보통 상식대로 티바트에서도 하루 세끼 식사를 한다고 가정하면 반나절이라고 해봐야 한두끼 굶는 정도다.[3] 게다가 간조 봉행 인원들을 우인단으로 스카웃하러 온 '장관'이라는 인물은 사실 우인단 집행관인 도토레의 부하이자 코믹스에서도 나온 바르나바스였으며, 우인단으로 스카웃하는 척 이들을 데려가 생체 실험체로 삼으려고 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물론 이들은 여행자가 모조리 쓰러뜨렸으며 당연히 여기에는 도망치려 한 봉행 관리들도 포함되었다.[4] 파일:여행자 극혐표정.jpg 파일:여행자 극혐표정-2.jpg
착한 딸의 도움으로 이도를 벗어날 방법을 찾을 거라는 기대에 부풀었는지 치사토를 만날 때까지 싱글벙글해 있던 여행자가 이 말을 듣고 썩은 표정을 짓는다. 이 말을 듣기 전 히이라기 신스케가 여행자를 이도 밖으로 내보내지 않기 위해 터무니없는 양의 편지들을 전달해달라 했기 때문. 물론 편지는 딱 한 장이었고 딸이 이도 탈출에 도움을 줬으니 괜한 걱정 확정.
[5] 이는 주인공의 이도 탈출을 돕는 목적도 있었다.[6] 결혼 자체는 본인들도 원하는 사항이나 그렇게 되면 치사토가 카마지에게만 의존해야하는 처지가 되기에 시기가 안 좋았다.[7] 실제로 카마지가 결혼을 하게 된다면 현 봉행인 히이라기 가문의 영향력은 간조 봉행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다른 이가 간조 봉행을 차지하게 된다. 소문을 퍼뜨린 이도 이것을 노린 것.[8] 교룡 이야기 퀘스트에서 유적 앞에 있던 NPC. 여기서 이 인물이 경책 산장 쪽의 보물 사냥단 누님이었다는 것이 밝혀진다.[9] 말로는 모르는 사람이라지만 히로미의 신분과 성격을 다 알고 있다.[10] 아야카가 찾으려고 했던 츠바키의 정체이기도 하다.[11] 작중 현재 시점으로부터 10년 전이라고 한다.[12] 이명은 창과 검을 모두 익힌 키타인류 창술사.[13] 일본어판은 小春에서 春만 쓰여있다.[14] 겐도우 링고라는 이름도 그녀가 만들어 낸 가명이라고 한다.[15] 야에 미코가 류다치카를 마음에 들어 본인이 일을 못 한다고 하나 여태 모모요의 성격을 생각하면 그녀가 이나즈마에 머물 수 있도록 배려를 했다고 보는 게 맞다.[16] 오즈와 중복.[17] 중후한 외모에 어울리지 않게 목소리가 여리고 얇은 데다 어색한 국어책 읽기 식의 더빙 때문에 평가가 좋지 않았으나, 2.2 패치를 통해 목소리가 변경되었다. 더빙이 변경된 이후의 평가는 좋은 편.[18] 게다가 도와준 결과가 자신은 빚더미에 올라앉고 백성들은 더 이상 구호 식량을 나눠주지 않는다며 그를 의심하고 원망하고 있었으니 회의감을 느낄만 하다. 물론 이것은 그가 자신의 봉급으로 사서 나눠주고 있다는 것을 숨겼기 때문이지만 잡화점 아가씨는 그것을 밝혔어도 먹고 살기 힘든 만큼 딱히 변하지 않았을 것이라 평했다.[19] 켄, 고우, 타다오[20] 쿠죠 사라가 원소폭발 사용시 하는 대사와 동일하다.[21] 아마 몬드에서 '바람신의 가호가 함께하길' 이라 인사하듯 이나즈마에선 이것이 라이덴에 관한 관용구인 듯하다. 라이덴의 전설 임무 2장에서 마신전쟁 당시의 병사들도 이 문구를 외치며 전투에 임했던 것을 보여준다.[22] 감기에 걸린 이사무를 위해 시로야마에게 약을 구하자, 그가 감기에 좋다며 생선 간 고약을 처방했었다.[23] 시카노인 헤이조와 중복.[24] 사안을 쓴 사람은 여럿이라 나오지만 저 지경까지 간 건 텟페이가 유일하다. 애초에 사안은 사용이 강제가 아니고 중독성이 있다는 언급도 없다. 결국 정황상 공을 세우겠다는 개인적인 욕심에 저리 남용한 게 된다. 차라리 이전 스토리에서 나왔던 인물들처럼 텟페이도 신의 눈 사용자 중 하나였고 안수령 때문에 무력이 떨어졌다는 설정이 있었다면 더 설득력이 있었을 것이다.[25] 제2장 3막 종료 후 시점을 다루는 월드 임무 앞마당 청소에서 그의 근황이 밝혀졌는데, 우인단의 첩자인 것을 들켜서 감옥에 수감되어 있다고 한다.[26] 참고[27] 이때 몬드와 리월의 물자를 좀 건네줘야 한다.[28] 이시네 문자로 '큰 바위'라는 뜻이다. 아이누어로 카마(カマ)는 '건너가다'라는 뜻이다.[29] 류가 제물로 선정되자, 류와 함께 섬을 떠날려고 했지만 류는 자신의 의지로 남고 그 일에 충격을 먹었다.[30] 실제로 다시 말을 걸어보면 리월로 간다고 하며, 리월항의 상회 쪽으로 이동하면 둘이서 도란도란 얘기 나누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도 몬드성 내부의 도서관을 언급하며, 다시 몬드성 기사단 내부 도서관으로 들어가면 이 둘을 또 볼 수 있다. (폰타인이 패치된 현 시점에도 여전히 몬드성 도서관에 있다.)[31] 영상 자료[32] 1번째 난이도 한정. 2번째 난이도는 검수를 하지 않았는지 여전히 "오세요"라고 말한다.[33] 영어판은 미치토시(Michitoshi)라고 번역했다.[34] 페이몬이 이 말을 듣고 너무 길다고 「울트라 대왕 머신」으로 명명하고 베르트랑도 이에 따라 이름을 울트라 대왕 머신으로 바꾼다.[35] 버섯을 제거하다보면 페이몬이 이 정도면 충분히 제거했다는 얘기를 한다. 이는 함정으로 전부 다 제거하면 다른 메세지와 함께 끝이 조금 달라진다.[36] 성우 본인이 트위터에서 담당했다고 공지했다.[37] 선발대가 종류별로 하나씩 다 나오므로 선발대의 보호막 속성을 카운터 칠 수 있게 파티를 구성해두는 게 좋다.[38] 토마 역을 맡은 류승곤 성우와는 실제 부부사이다.[39] 본인도 퇴마의 힘을 가지고 태어나 오니를 쫓아내며 살 운명이었지만 이토가 마음에 들어서 그냥 쌩까고 이토를 따라다닌다나 뭐라나.[40] 다른 사람들은 들개니 뭐니 하며 차는 안 마시고 타로마루를 쓰다듬기만 한다고.[41] 아닐 수도 있지만, 캐릭터의 모티브가 소련의 전설적인 스파이 리하르트 조르게로 추정된다. 조르게가 주로 일본 제국에서 스파이 활동을 했으며, 그의 암호명이 '램지(Рамзи)' 였기 때문. 마침 이 램지도 러시아가 모티브인 스네즈나야 출신에, 일본이 모티브인 이나즈마에서 체류 하고 있으니..[42] 출판사의 최고 직책이란 뜻이다.[43] 콜레이가 해당 소설의 팬이다.[44] 페이몬이 내는 원신 퀴즈 영상에서 밝혀진 내용. 벤티와 동일성우다.[45] 표기가 일정하지 않음[46] 여담으로 저거, 솥 바로 옆에 있다보니 실수로라도 누르기 쉬운데, 스킵도 못하고 일곱 번이나 클릭해야 해서 유저들에게 빡침을 유발한다.[47] 무기 돌파 소재와 모라도 다룬다.[48] 페이몬 말로는 제비꽃 열매는 생으로는 못 먹을 맛, 해초는 빨대를 막아버리고, 바다 불로초는 머리가 하얘질 정도의 맛이라고... 정작 아야토는 제비꽃 열매를 자연 친화적인 맛, 해초를 바다의 정수가 모인 맛, 바다 불로초를 식감이 특이하다고 극찬했다.[49] 일부로 이상한 요리를 만들어 배탈나게 할 수 있으며, 이후 연계되는 퀘스트에서 맛있는 요리를 가져다 주어 숨겨진 업적을 달성할 수 있다.[50] 여행자가 첫 만남 때 자기가 아는 테마리 놀이랑 다르다고 말하는 선택지가 있는데 이는 원래 일본의 전통 테마리 놀이는 여자아이들이 동요를 부르며 공을 아래로 튀기며 노는 방식이기 때문이다.[51] 가족이 몇 명이냐는 질문에 엄마, 아빠 그리고 누나 한 명 있으며, 형제는 자기도 모르겠다고 답한다.[52] 명경지수에 도몬이라는 것으로 보아...[53] 콘다 마을의 사이몬 지로를 잡으러 오는 것과 상황이 판박이다. 보물을 찾으려다가 세 무리에게 연달아 습격당하는 상황. 그런데 사이몬 지로는 정황상 보물을 찾으려고 여러 무리를 속이면서 도망다녔기에 인과응보에 가깝지만 토시코는 완전히 무고한 쪽이다.[54] 암호 쪽지를 얻은 것이 우인단이라면 당연히 임무를 수행할 리가 없기 때문.[55] 카즈하의 친구가 걸었던 그 어전시합 맞다.[56] 야에가 일을 열심히 하는 미유키보다 카노 나나를 더 신임하는 이유는 라이트 노벨을 읽는다는 점과 사유를 쫓는 모습이 재밌어서이다.[57] 일반적인 귀신풍뎅이와는 다르게 체력이 300이다.[58] 벚꽃 새우 센베이 몇 개 분량. 벚꽃 새우 센베이 제작에 드는 비용은 비매품인 벚꽃 수구를 제외하면 630모라로, 인게임 기준 아이템 1개 당 센베이 5개가 올라가 있다.[59] 정확히는 찌릿찌릿 곤충 날개가 그의 사촌 누이의 외종사촌 둘째 형의 외삼촌의 친구의 조카이다.[60] 일본에서는 무술의 경지를 초전, 중전, 오전으로 나눌 때도 있는데 오전은 가장 깊은 경지라는 뜻이다.[61] 스승이 모든 것을 가르쳐 유파의 이름을 걸고 싸울 수 있는 경지에 다다랐음을 의미한다.[62] 대화시 집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는데 타카시는 어물쩍 넘어가려 한다.[63] 각 상자에서 등장하는 아이템은 어느 정도 고정되어 있다. 타카시 기준 왼쪽은 사과와 토마토만, 바로 뒤는 밀과 양배추, 오른쪽은 철광과 수정 등 광물이 나온다. 그나마 유용한 건 오른쪽이고, 식재료가 필요하다면 그에 맞춰 고르면 좋다. 개수는 1~3개 랜덤.[64] 3단 공격을 강제로 진행하기 때문에 매우 긴 시간동안 페이즈가 바뀌지 않는다.[65] 그냥 번개 해란귀를 하나 가져다 박아 놓은 셈이라 가끔 번개부착이 되기도 하고 테스트하려고 꺼낸 딜러를 죽여버리는 등 그냥 총체적 난국이다.[66] 파이터 바키에 등장하는 동명의 등장인물인 하나야마 카오루와는 이름이 같으나 바키 쪽은 한자가 花山薫로 다르다.[67] 몹들을 다 처치하기 전까진 퀘스트에 뜨지 않는다.나즈치 섬에서 무리지어 훈련하는 해적들 4무리를 처치해야 퀘스트가 뜬다.[68] 이 유언장을 보면 시즈코라는 아내와 아이들이 있으며 라이덴 쇼군을 동경해 입대 했지만 거대한 마신들을 처단했던 쇼군의 전설과는 달리 동족끼리 죽고 죽이는 내전의 끔찍한 상황을 보고 탈영 한 듯 보인다.전쟁은 참혹하지만 쇼군을 원망하진 않는다고 하며 쇼군을 배신한 죗값을 치르겠다고 각오를 다진다.[69] 이 절필의 서두에 "미안하다, 쵸지" 라는 내용이 적혀 있어 쵸지의 아버지라는 이야기가 나왔으나, 중국어, 일본어, 영어 모두 쵸지란 이름이 언급이 없는 걸 보면 번역이나 텍스트 입력 과정에서 생긴 실수인 것 같다. 이후 수정되었다.[70] 그의 무덤으로 보이는 검자루 곁에 해란귀 3명이 있는 것으로 보아 해란귀들과 싸우는 방식으로 자살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71] 뱀신의 머리 지하에서 볼 수 있는 편지지 등 퀘스트에 따르면, 어머니는 혼란스러운 섬에서 혼자 빠르게 도망가 버린 듯 하다. 물론 하술하듯 쵸지의 어머니는 그냥 도망간 것이 아니라 치료를 위해 야스모토가 수메르로 보내준 것이고 어머니도 편지를 남겼었다. 그걸 쵸지가 못 본 것일 뿐.[72] 수정 골수는 돌아다니다 보면 꽤 많이 보이므로 얼마 안 될 것 같지만... 새만 잡고 얘기 안하면 되는 티미보다 더 악랄한 게, 월드+히든퀘스트로 수정 골수를 36개나 뜯어가며, 더욱이 수정 골수는 사유의 돌파 재료기에... 다만 실질적으로 사유 키울 거 아니라면 쓸 일이 없어진 수정 골수와는 달리, 더 얻기 힘든데다 요이미야쿠키 시노부의 돌파 재료로 쓰이는 울림풀을 36개나 뜯어가는 야스모토보단 낫다.[73] 다만 월드 보상으로 원석을 주고, 나루카미섬에서 다시 만났을 때는 진귀한 보물상자를 준다.[74] 리월의 쥐, 바퀴벌레, 파리, 따개비 퇴치 행사(...)하고 비슷한 포지션이라고 한다. 그래도 더럽고 귀찮을 뿐 위험한 일은 아니기 때문인지 황새치 1번대 대장 우에노는 연하궁에 가는 것보다 이게 낫겠다고 푸념했다.[75] 파일:째려보는 코코미.png[76] 실제로 본인처럼 억지를 쓰는 것이 아닌 하나하나 조목조목 알려준 무녀가 훨씬 신빙성 있어보일 정도. 애초에 소중히 모시는 신을 비방한 수준인데 참고 넘어간 무녀가 보살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77] 드발린에 관한 정보와 암왕제군의 사망 소식에 대한 정보다. 물론 그 현장을 직접 겪고 해결하고 온 여행자 입장에선 한물 간 정보에 불과하지만 애초에 섬나라에 쇄국령이 내려진 이나즈마에서 그것도 본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이 정도 소식을 접했다는 것 자체가 굉장한 것.[78] 5곳은 보물 사냥단이 보물을 파갔고 4곳에서 보물상자를 발굴할 수 있다.[79] 특별히 스토리적으로 중요한 아이템은 아니고 린조가 가지고 있던 낡은 해적의 표식이다.[80] 업적 「난 고양이야. 이름은 네코지」(한국어판) → 「うちは猫である。名前は寝子だにゃ」(일본어판)은 소설의 첫 문장인 "吾輩は猫である。名前はまだ無い。(이 몸은 고양이다. 이름은 아직 없다.)"에서 따온 것이다. 이름이 없다고 하는 소설 속 고양이와 달리 네코는 "네코"라는 이름이 있다고 강조하는 부분이 포인트. 월드임무 「네코는 고양이」(한국어판) → 「寝子は猫である」(일본어판), 「Neko Is a Cat」(영어판)은 소설 제목을 그대로 따와서 "나"를 "네코"로 바꾼 것이다.[81] 정작 공양을 받는 뇌조 본인은 딱히 별 관심이 없었으며 인간을 그냥 미물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취급을 했었다고 한다. 섬의 안개도 딱히 뇌조가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지맥 이상에 의한 것.[82] 뇌조의 이름 "칸나 카파치"를 지어준 사람도 류였다. 퀘스트 내내 류가 부르던 이름 "카파치"는 바로 뇌조였던 것. 4일차 퀘스트를 진행할 때 확실히 드러나게 된다.[83] 물론 제사장이나 주변인들의 대화를 보면 정말 이래야 되나라고 망설이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 걸 보면 츠루미인들도 류를 바치는 것 자체는 망설인듯 하다. 다만 류 본인이 제물이 되기를 자처하면서 제물로 바쳐진 듯.[84] 뇌음의 권현(수천 년을 거쳐 응집된 한): ...너희들이 감히 류를...
칸나 카파치: ...너희들은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노래를 피와 물이 되어 이 땅에 헛되히 스며들게 했다. 그렇다면 나 [ruby(칸나 카파치, ruby=뇌정의 독수리)]가 다시 그 아이... 류의 노랫소리를 듣게 될 때까지, 이 땅은 영원한 재액을 겪게 될 것이다...
[85] 카마의 조상들처럼 살아남은 사람들은 있었던 모양이나, 그마저도 몇 안 되는 인원이었던지 현재 마지막으로 남은 츠루미섬의 유일한 핏줄이 카마밖에 없다고 한다. 그나마도 카마는 류를 제물로 바치는 것에 반대해서 류와 같이 떠나려다 류가 거부해서 혼자 떠났다고 한 것을 보면 뇌조가 그 처참한 광경을 보기 전에 떠났을 수도 있다.[86] 뇌조는 세이라이섬으로 이동한 뒤 골칫덩이 취급을 받아 결국 라이덴 쇼군에게 토벌당했다. 여행자 일행은 애써 류에게 이 사실을 숨기려 했지만 류는 이미 진실을 알고 있었고, 때문에 살아 있는 뇌조에게 노래를 불렀다기 보단 남아있는 사념을 기리며 노래를 불러 준 것.[87] 게임 시스템적으로도 츠루미섬을 뒤덮던 안개가 사라져 더 원활한 탐험이 가능해지며, 츠루미 섬을 떠도는 영혼(네임드 유령 발견 시 퀘스트 및 업적 달성)들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츠루미섬 BGM에 류의 노래(반주)가 추가된다.[88] 깃털 자체는 세이라이섬 월퀘 중에 처음 얻을 수 있으나, 류에게 건내받은 깃털은 아이템 설명문이 바뀌어 있다.[89] 이후의 류가 소멸되었는지, 혹은 살아남았는지는 불명이다. 제전 때 류가 죽기는 했으나, 깃털이 류의 존재를 유지시켜줄지도 모른다는 페이몬의 언급이 있었으며, 실제로 깃털을 만지고 이전까지 불가능했던 츠루미 밖으로의 여행이 가능했다. 다만 피곤하다고 말했던 류의 언급을 고려하면, 깃털들이 있는 츠루미섬 밖으로의 여행이 자유롭지는 않다라고 해석할 수도 있고, 혹은 뇌조가 죽고 이후 깃털에 깃든 뇌조의 힘에 한계가 있어 소멸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90] 몇몇 뇌석은 뇌조 석상을 활성화시켜야 나오는데 그것도 포함, 아우타케 들판 서쪽에 있는 섬의 뇌석 3개와 아우타케 평원의 탐침 기믹도 포함된다.[91] 아루는 일본어 훈독으로 밝을 명을 읽은 것이기도 하며, 아르고스는 가정의 여신 헤라의 심복으로 에키드나를 무찌르는 영웅적인 활약을 했다.[92] 우연의 일치겠지만 그리스 신화에서 아이테르의 아버지 격 신의 이름이 에레보스다.[93] 그리스 로마신화에서 오케아노스테티스 사이에서 난 님프이자, 파에톤의 어머니[94] 피라문이라고도 한다. 그리스 로마신화에서는 아폴론과 키오네 사이의 아들로 나오고, 신화상 발음으로는 필라몬(Φιλάμμων).[95] 아폴론의 아들 중 한 명인 이온에서 모티브를 딴 이름[96] 이후 이를 듣고 돌팔이가 아님을 안 페이몬이 점을 봐달라 요청했는데 페이몬의 점괘의 결과가 보이질 않는다고 하여 결국 봐주진 못했다.[97] 아폴론의 아들 중 한 명인 리코루스(Λυκωρεύς)에서 모티브를 딴 이름[98] 아폴론의 아들 중 한 명인 이스메누스(Ἰσμηνός)에서 모티브를 딴 이름[99] 아폴론의 아들인 아리스타이오스(Ἀρισταῖος)에서 모티브를 딴 이름[100] 한국어판을 제외한 타국어판에서는 전부 '미치야'로 표기되어있다.[101] 그 덕분인지 인게임 내에서 육안으로는 보이는데 월드맵에는 표시되지 않는다.[102] 한국어판에서는 각각 대달러스, 유리다테로 번역되어있다.[103] 보쿠소의 비법 중 하나를 해금할 수 있는 광계의 핵을 얻을 수 있으니 반드시 클리어 할 것이 권장된다.[104] 본래 미코시 지하에서 용 도마뱀들을 탈출시키려는 계획을 교단이 돕겠다 나섰고 그에 대한 대가로 용 도마뱀의 영역의 통행을 허락하였으나 용 도마뱀들이 몰랐던 것은 심연의 힘은 광계의 생물인 용 도마뱀들에게 매우 치명적이었다는 것이었다. 결국 본인들 이득만 챙긴 것.[105] 붕괴: 스타레일일본판 CM에서 나레이션에 기용된다.[106] 몬스터가 뭉개질 때까지 때린다거나, 도망치는 몬스터를 쫓아가다 길을 잃어버린다거나...[107] 이오로이의 언급에 의하면 현재 길법사의 능력은 이오로이의 능력 절반 정도라고 한다.[108] 스토리 이전, 붉은 오니와 푸른 오니라는 두 종류의 오니가 소개되는데, 사람들과 어울리고 싶어하는 붉은 오니를 위해 푸른 오니는 악역을 자처하게 되고, 그런 푸른 오니를 붉은 오니가 물리치는 식으로 붉은 오니는 인간 무리에 섞일 수 있었지만 푸른 오니는 마을 바깥으로 내쫒겼다는 내용의 동화가 나온다. 타쿠야는 이런 푸른 오니족을 대변하는 인물이자, 그들의 후손이다.[109] 타쿠야를 체포하려 온 텐료 봉행 병사들의 말에 의하면 타쿠야가 빼앗아서 푸른 오니들에게 보낸 금품은 몰수될 것이라고 했다. 타쿠야는 그것만은 봐달라며 빌었지만 이토는 원래 자신들 것도 아니고 자신도 도와주겠다며 진정시켰다. 근데 정작 이토는 병사들을 뚜까팬 것 덕분에 타쿠야랑 함께 체포, 그럼 아라타키파가 있다고 하지만 아라타키파도 이토를 돕다가 공무집행 방해로 진작에 체포, 그래서 하는 수 없이 여행자를 통해 자신을 입양해준 오니 할멈에게 부탁을 했고 오니 할멈도 도와주겠다 했다.[110] 응광, 행추와 중복.[111] 과 중복.[112] 외눈이라는 점을 깨알같이 반영한 개그가 있는데, 에필로그에서 요이미야와 풍선 낚시를 할 때 요이미야가 한쪽 눈을 감고 하면 집중이 잘 된다고 하자 한쪽 눈을 감자 아무것도 안 보인다고 곤란해한다.[113] 아사세 신사에는 '콘부마루'라는 이름의 고양이가 있는데 이 이름은 히비키가 지어준 타카미네의 별명이다. 네코의 말에 따르면 히비키가 이 이름을 부를 때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는 것을 히비키의 표정에서 알 수 있었다고 한다.[114] 嶺는 네.미네 둘다로 읽을수 있지만 영문표기에서는 타카미네라고 하므로 타카미네로 표기한다.[115] 무절(霧切)=키리기리.'안개를 가르는 회광'의 원본이 되는 검이다.[116] 데인과 중복.[117] 결록음양료 플레이 중에 나오는 과거의 음성에 따르면 인간의 몸으로 선술을 쓴 대가인지 결록음양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수명이 몇십년이나 줄었다고 한다.[118] 아쿠오는 오로바스에게 동산왕(東山王)으로 책봉되었는데 말그대로 와타츠미섬의 동쪽인 야시오리섬을 뜻한다.[119] 무녀 모운 소전에서 "고래의 노래에 정통한 산호궁의 바다 주민들이라 해도, 이렇게 거대한 괴수를 살아서 만나 무사히 돌아올 가능성은 없었다."라고 언급되는데, 쉽지 않은 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120] 어둠의 외해로 추정된다.[121] 한국어판에서는 이름이 이리저리 왔다갔다 하는데, 2.1버전부터 이름이 '미치히라'로 통일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므로 '미치히라'라고 표기하고 있다. 다만 3.3버전에서는 다시 미치히로로 표시되었다. "이쿠와라", "케이도", "타네" 등은 모두 이와쿠라 미치히라를 가리킨다. 참고로 중국어판 원문은 道启(道啓), 일본 인명사전으로 검색하면 훈독을 따서 '미치히로'라고 읽는다. 영어판에서는 음독을 따서 "도케이(Doukei)"로 표기되어 있다.[122] 미츠요는 오역이고 테루요가 맞는 번역으로 보인다[123] 그의 혈통은 지금까지 이어져내려오고 있다. 이나즈마 성의 미코시라는 성씨를 가진 사람들은 대부분 그의 후손이다.(이나즈마 성 선물가게의 미코치 겐이치로, 텐료 봉행의 요리키인 미코시 겐지로 등)[뒤집힌기원] 마신 임무 제3장 중간막: 뒤집힌 기원에서 진상이 밝혀진다. 뇌전오전 사건 참고.[125] 나가마사는 과거 양모인 미코시 치요의 사건 때문에 청렴에 집착하였고, 이후 스카라무슈의 금장식을 보고 라이덴 쇼군의 결함이라 생각하여 그를 죽이려고 했다.[126] 이때 카츠라기를 벤 칼이 이나즈마 단조 양손검 카츠라기를 벤 나가마사이다.[뒤집힌기원] [128] 원래 니와 가문 사람인 카즈하의 증조부 요시노리가 카에데하라가의 양자가 되었기 때문. 이로도리 축제에서 아야토가 알려준 정보에 따르면, 과거 카즈하의 증조부인 요시노리가 도망가버린 검 장인을 찾으러 갈 때 스카라무슈가 그를 직접 처리해버리려 했으나 얼굴을 보곤 공격을 멈추고 니와와의 관계성을 물었다. 이에 요시노리가 니와(丹羽)는 아버지의 성씨라고 하자 스카라무슈는 돌아갔다.[129] 이 부분부터 본 모습의 목소리가 나온다.[130] 현재는 폰타인에서 들여온 미카게 용광로를 이용해 재앙신의 힘을 온전히 활용 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다만 우인단의 개입과 앨리스의 조작으로 과부하가 걸려 여행자와 폰타인의 기술자 자비에가 이를 해결한다.[131] 일본의 도검장들은 자신의 이름을 새기기 부끄럽지않은 검에만 슴베에 자신의 이름을 새겼다.[132] 카에데하라 카즈하의 증조부인 카에데하라 요시노리의 조상[133] 도작(盜作)의 오타[134] 여행자 일행들이 시를 처음 발견했을 때는 이 구절만 있었다.[135] 신의 눈 속성은 번개였지만 사망했기 때문에 빛을 잃었다.[136] pv에서도 품속에 하얀 아기고양이 한마리가 보인다.[137] 토마에게는 아예 파트너라고 불렸던 것으로 보아 서로 아는 사이였던 것으로 보이며 고로 역시 카즈하의 친구를 언급하기도 했으며 나루카미 신사에서 기도드리고 있는 NPC 야마다는 그를 기고만장했던 남자라고 돌려까는 등 언급이 많은 편.[138] 위에 언급된 대사에서 나오듯 '무상의 일태도'를 받아내겠다는 염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139] 이나즈마 천수각 정원에서 있던 그 고양이 맞다.[140] 2.5 업데이트 전까지는 카야부키 카즈요시였다가 변경[141] 잇케이의 소설 한국어판은 닌자 슬레이어인살어 일부를 패러디했다.[142] 베넷과 중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4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4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