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우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5회 동인문학상 수상 | |||||||||||||||||||||||||||||||||||||||||||||||||||||||||||||||||||||||||||||||||||||||||||||||||||||||||
정영문 어떤 작위의 세계 (2012) | → | 이승우 지상의 노래 (2013) | → | 구효서 별명의 달인 (2014) | ||||||||||||||||||||||||||||||||||||||||||||||||||||||||||||||||||||||||||||||||||||||||||||||||||||||
제44회 현대문학상 수상 | ||||||||||||||||||||||||||||||||||||||||||||||||||||||||||||||||||||||||||||||||||||||||||||||||||||||||||
정이현 삼풍백화점 (2006) | → | 이승우 전기수 이야기 (2007) | → | 김경욱 99% (2008) | ||||||||||||||||||||||||||||||||||||||||||||||||||||||||||||||||||||||||||||||||||||||||||||||||||||||
제10회 황순원문학상 수상 | ||||||||||||||||||||||||||||||||||||||||||||||||||||||||||||||||||||||||||||||||||||||||||||||||||||||||||
박민규 근처 (2009) | → | 이승우 칼 (2010) | → | 윤성희 부메랑 (2011) |
이승우 李承雨 | Lee Seung-U | ||
출생 | 1959년 2월 21일 ([age(1959-02-21)]세) | |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신동리 동두마을[1] | ||
본관 | 인천 이씨[2] | |
국적 | 대한민국 | |
직업 | 소설가, 교수 | |
데뷔 | 1981년 《에리직톤의 초상》 | |
학력 | 서울신학대학교 (학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중퇴) | |
경력 |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학과장 및 교수 | |
가족 | 아버지 이기태, 어머니 송삼임, 2남 1녀 중 차남 | |
종교 | 개신교 |
[clearfix]
1. 개요
습작기 때 이청준 선생님의 소설을 읽고 소설가가 되고 싶다는 그런 열망 같은 것을 아마도 처음 가지게 되었어요. “아, 이거 멋있다. 이런 식으로 인간에 대해 표현한다는 것은 해볼 만한 일 같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소설가를 꿈꾸게 된 계기 #
소설가를 꿈꾸게 된 계기 #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현재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1959년 2월 21일, 전라남도 장흥군[3] 관산읍 신동리 동두마을에서 아버지 이기태(李基泰)와 어머니 여산 송씨 송삼임(宋三任) 사이의 2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서울신학대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원을 중퇴했다.
2. 생애
유년기에 대해서는 작가의 언급이 없으나 2013년도 동인문학상 수상 이후 조선일보 기사에 의하면, 초등학교 1학년 때 병으로 아버지가 죽고, 성인이 될 때까지 지극히 폐쇄적인 생활을 했다고 한다. 이는 장편 『생의 이면』의 내용과 유사하며, 작가의 자전적인 경험이 섞여 있다고 볼 수 있다.1981년 중편 「에리직톤의 초상」이 한국문학 신인상을 받게 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에리직톤의 초상은 이전의 한국 문학에서 기대할 수 없었던 형이상학적, 종교적 색채를 담은 명저로 평가받는다. 이때 쓴 「에리직톤의 초상」은 1990년에 약 원고지 500매 가량이 추가되어 살림에서 장편으로 출간된다.
3. 평가
장장 30여년간의 문학 활동으로 한국 문학의 수준을 한층 더 끌어올린 명작가임은 분명하고, 해외에선 노벨문학상 후보로까지 언급될 정도로 고평가 받는 작가지만, 정작 국내에선 대중들에게 유명한 편은 아니다.『생의 이면』은 90년 대 쓰인 장편소설 중 기억할 만한 작품 1, 2순위로 손꼽힌다.
그의 소설은 고향 선배이기도 한 소설가 이청준의 뒤를 잇는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관념적, 심리분석적 성격과 특유의 액자구조 소설 양식에서 이청준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덕분에 이승우의 이름엔 항상 이청준의 직계라는 꼬리표가 붙는다.
20대 초반(...)에 장편소설 <에리직톤의 초상>으로 등단하는 등, 여러모로 대단한 재능의 소유자이다. 본인은 전혀 그런 감각이 없고, 자신의 재능에 대해 겸손한 태도를 갖고 있지만 신학에 몸담았던 경력 탓인지 발상 자체가 압도적인 수준이다.
4. 여담
- 90년대 괴담 베스트셀러 공포특급이 제 3권에서 기성 작가와 콜라보를 하였을 때 참여했던 작가 중 한명이다. 책 맨 첫장에 수록된 <악몽, G30117의 어떤 하루>이 이승우의 작품인데 읽어보면 놀랍게도 괴담이 아니라(…) SF 디스토피아물이다.
5. 작품 목록
5.1. 장편소설
제목 | 발간연도 |
<colbgcolor=#fff,#1c1d1f> 《에리직톤의 초상》 | <colbgcolor=#fff,#1c1d1f> 1990년[4] |
《가시나무 그늘》 | 1991년 |
《따뜻한 비》 | |
《생의 이면》 | 1992년 |
《황금가면》 | |
《사랑의 전설》 | 1996년 |
《태초에 유혹이 있었다》 | 1998년 |
《식물들의 사생활》 | 2000년 |
《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 | 2005년 |
《욕조가 놓인 방》 | 2006년[5] |
《그곳이 어디든》 | 2007년 |
《한낮의 시선》 | 2009년 |
《지상의 노래》 | 2012년 |
《독》[6] | 2015년 |
《사랑의 생애》 | 2017년 |
《캉탕》 | 2019년 |
《이국에서》 | 2022년 |
5.2. 중·단편집
제목 | 발간연도 |
<colbgcolor=#fff,#1c1d1f> 《구평목씨의 바퀴벌레》 | <colbgcolor=#fff,#1c1d1f> 1987년 |
《일식에 대하여》 | 1989년 |
《세상밖으로》 | 1991년 |
《미궁에 대한 추측》 | 1994년 |
《1년 3개월 7일》 | 1997년 |
《목련공원》 | 1998년 |
《사람들은 자기 집에 무엇이 있는지도 모른다》 | 2001년 |
《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 | 2002년 |
《심인광고》 | 2005년 |
《오래된 일기》 | 2008년 |
《신중한 사람》 | 2014년 |
《모르는 사람들》 | 2017년 |
《사랑이 한 일》 | 2020년 |
《마음의 부력》 | 2021년 |
《목소리들》 | 2023년 |
5.3. 산문
제목 | 발간연도 |
<colbgcolor=#fff,#1c1d1f> 《당신은 이미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 <colbgcolor=#fff,#1c1d1f> 2006년 |
《소설을 살다》 | 2008년 |
《소설가의 귓속말》 | 2020년 |
6. 수상
연도 | 시상식 | 작품명 |
<colbgcolor=#fff,#1c1d1f> 1981 | <colbgcolor=#fff,#1c1d1f> 한국문학 신인상 | <colbgcolor=#fff,#1c1d1f> 《에리직톤의 초상》 |
1993 | 제1회 대산문학상 소설부문 | 《생의 이면》 |
2002 | 제15회 동서문학상 | 《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 |
2007 | 제44회 현대문학상 | 《전기수 이야기》 |
2010 | 제10회 황순원문학상 | 《칼》 |
2013 | 제44회 동인문학상 | 《지상의 노래》 |
2018 | 제21회 동리문학상 | 《모르는 사람들》 |
2019 | 제27회 오영수문학상 | 《캉탕》 |
2021 | 제44회 이상문학상 | 《마음의 부력》 |
7. 관련 문서
[1] 인천 이씨 집성촌이다. #[2] 공도공파 37세손.[3] 장흥군은 이청준, 한승원 등 한국 소설의 거장들을 여럿 배출해낸 지역이다.[4] 최초 발간 연도는 1990년, 발표일은 1981년.[5] 2022년 재출간[6] 1995년 <내 안에 또 누가 있나>라는 제목으로 출간됐던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