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8px" | 사전투표일 : KST 2022년 5월 27일(금)~2022년 5월 28일(토) 오전 6시~오후 6시 투표일 : KST 2022년 6월 1일(수) 오전 6시~오후 6시 | |
선거 이전 | ||
변수 · 지역별 상황 · 정당별 상황 · 세대별 상황 · 선거구 · 선거구 획정 · 여론조사 | ||
선거 진행 | ||
선거 일정 · 참여 정당 · 출마 선언 · 공약 · TV 토론회 · 선거 방송 · 출구조사 | ||
개표 | ||
결과 분석 | ||
기타 | 세대별 결과 · 국회의원 보궐선거 | |
관련 문서 | ||
민선 8기 지방자치단체장 · 민선 8기 광역의회의원 · 민선 8기 기초의회의원 · 이야깃거리 |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
1. 개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의 진행 상황과 개표 결과를 모은 문서.2. 예상 후보군
자세한 내용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후보군 문서 참고하십시오.3. 후보자 경선
자세한 내용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자치단체장/경선 문서 참고하십시오.4. 개표 결과
광역자치단체장 개표 결과 | ||||||||||||||||
| | |||||||||||||||
12 | 5 |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대전 | 울산 | 세종 | 강원 | 충북 | 충남 | 경북 | 경남 | 광주 | 경기 | 전북 | 전남 | 제주 |
오세훈 | 박형준 | 홍준표 | 유정복 | 이장우 | 김두겸 | 최민호 | 김진태 | 김영환 | 김태흠 | 이철우 | 박완수 | 강기정 | 김동연 | 김관영 | 김영록 | 오영훈 |
4.1. 수도권
자세한 내용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수도권 문서 참고하십시오.4.1.1. 서울특별시장
서울특별시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송영길(宋永吉) | 1,733,183 | 2위 |
| 39.23% | 낙선 | |
2 | 오세훈(吳世勳) | 2,608,277 | 1위 |
| 59.05% | 당선 | |
3 | 권수정(權秀靜) | 53,840 | 3위 |
[[정의당|]] | 1.21% | 낙선 | |
4 | 신지혜(申智惠) | 12,619 | 4위 |
[[기본소득당|]] | 0.28% | 낙선 | |
5 | 김광종(金光宗) | 9,000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2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8,378,339 | 투표율 53.17% |
투표 수 | 4,455,161 | ||
무효표 수 | 38,242 |
- [서울특별시장 구별 개표 결과 보기]
-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61e2b><bgcolor=#e61e2b><color=#fff>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장 구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33> 정당
<colbgcolor=#e61e2b>
투표 수
(투표율)후보 송영길 오세훈 [[서울특별시| 전체]]1,733,183
(39.23%)<colcolor=#fff> 2,608,277
(59.05%)4,455,161[1]
(53.17%)표차 875,094
◁ 19.82%p ▶[[종로구| 종로구]]28,327
(40.45%)40,145
(57.33%)70,657[2]
(54.4%)표차 11,818
◁ 16.88%p ▶[[중구(서울특별시)| 중구]]23,811
(39.92%)34,866
(58.45%)60,323[3][4]
(53.8%)표차 11,055
◁ 18.53%p ▶[[용산구| 용산구]]34,614
(33.26%)67,579
(64.93%)104,787[5]
(52.6%)표차 32,965
◁ 31.67%p ▶[[성동구| 성동구]]51,996
(37.55%)84,320
(60.90%)139,761[6]
(55.5%)표차 32,324
◁ 22.45%p ▶[[광진구| 광진구]]62,217
(40.45%)90,734
(58.31%)157,005[7]
(51.4%)표차 28,517
◁ 17.86%p ▶[[동대문구| 동대문구]]63,157
(40.63%)89,470
(57.55%)156,964[8]
(52.0%)표차 26,313
◁ 16.92%p ▶[[중랑구| 중랑구]]76,660
(43.61%)96,447
(54.86%)177,701[9]
(51.0%)표차 19,787
◁ 11.25%p ▶[[성북구| 성북구]]85,825
(42.80%)110,962
(55.34%)202,235[10]
(53.3%)표차 25,137
◁ 12.54%p ▶[[강북구| 강북구]]58,962
(44.69%)70,747
(53.62%)133,390[11]
(49.7%)표차 11,785
◁ 8.93%p ▶[[도봉구| 도봉구]]61,946
(42.09%)83,072
(56.44%)148,579[12]
(52.9%)표차 21,126
◁ 14.35%p ▶[[노원구| 노원구]]102,771
(42.35%)135,812
(55.96%)245,152[13]
(55.5%)표차 33,041
◁ 13.61%p ▶[[은평구| 은평구]]95,155
(44.50%)114,391
(53.49%)215,968[14]
(51.6%)표차 19,236
◁ 8.99%p ▶[[서대문구| 서대문구]]61,182
(41.99%)81,312
(55.80%)146,970[15]
(54.1%)표차 20,130
◁ 13.81%p ▶[[마포구| 마포구]]70,936
(40.83%)98,271
(56.57%)175,023[16]
(53.9%)표차 27,335
◁ 15.74%p ▶[[양천구| 양천구]]82,777
(39.73%)122,449
(58.77%)209,694[17]
(55.4%)표차 39,672
◁ 19.04%p ▶[[강서구(서울특별시)| 강서구]]108,938
(42.10%)145,128
(56.09%)260,947[18]
(51.7%)표차 36,190
◁ 13.99%p ▶[[구로구| 구로구]]78,250
(42.02%)104,643
(56.20%)188,094[19]
(53.2%)표차 26,393
◁ 14.18%p ▶[[금천구| 금천구]]46,314
(44.24%)56,374
(53.85%)105,833[20]
(49.7%)[21]표차 10,060[22]
◁ 9.61%p ▶[[영등포구| 영등포구]]68,663
(38.22%)107,910
(60.06%)181,102[23]
(53.3%)표차 39,247
◁ 21.84%p ▶[[동작구| 동작구]]74,678
(40.13%)108,122
(58.11%)187,383[24]
(54.4%)표차 33,444
◁ 17.98%p ▶[[관악구| 관악구]]100,445
(44.76%)119,009
(53.03%)226,801[25]
(50.4%)표차 18,564
◁ 8.27%p[26] ▶[[서초구| 서초구]]50,545
(26.47%)138,050
(72.31%)191,862[27]
(56.0%)[28]표차 87,505
◁ 45.84%p ▶[[강남구| 강남구]]58,734
(24.45%)178,621
(74.38%)241,549[29]
(53.6%)표차 119,887[30]
◁ 49.93%p[31] ▶[[송파구| 송파구]]105,890
(34.04%)201,217
(64.69%)313,297[32][33]
(55.0%)표차 95,327
◁ 30.65%p ▶[[강동구| 강동구]]80,390
(37.85%)128,626
(60.56%)214,084[34]
(53.9%)표차 48,236
◁ 22.71%p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송영길 | 오세훈 | 격차 |
전체 | 40.2% | 58.7% | 18.5%p |
20대 이하 | 48.8% | 50.0% | 1.2%p |
30대 | 45.1% | 54.8% | 9.7%p |
40대 | 51.1% | 47.9% | 3.2%p |
50대 | 46.8% | 52.1% | 5.3%p |
60대 | 30.9% | 67.8% | 36.9%p |
70대 이상 | 22.9% | 75.5% | 52.6%p |
이로써 오세훈은 역대 민선 광역자치단체장 중 최초로 4선을 한 광역자치단체장이 되었다.
4.1.2. 경기도지사
경기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동연(金東兗) | 2,827,593 | 1위 |
| 49.06% | 당선 | |
2 | 김은혜(金恩慧) | 2,818,680 | 2위 |
| 48.91% | 낙선 | |
3 | 황순식(黃淳植) | 38,525 | 4위 |
[[정의당|]] | 0.66% | 낙선 | |
4 | 서태성(徐泰成) | 9,314 | 6위 |
[[기본소득당|]] | 0.16% | 낙선 | |
5 | 송영주(宋英株) | 13,939 | 5위 |
| 0.24% | 낙선 | |
6 | 강용석(康容碩) | 54,75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9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497,206 | 투표율 50.63% |
투표 수 | 5,820,631 | ||
무효표 수 | 57,822 |
- [경기도지사 시군구별 개표 결과 보기]
-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4ea2><bgcolor=#004ea2><color=#fff>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지사 시군구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33> 정당
투표 수
(투표율)후보 김동연 김은혜 [[경기도| 전체]]2,827,593
(49.06%)2,818,680
(48.91%)5,820,631
(50.63%)표차 +8,913
◀ 0.15%p ▷[[장안구| 수원시 장안구]]53,333
(50.76%)49,817
(47.41%)106,092
(53.25%)표차 +3,516
◀ 3.35%p ▷[[권선구| 수원시 권선구]]88,562
(51.41%)80,304
(46.61%)173,856
(49.33%)표차 +8,258
◀ 4.80%p ▷[[팔달구| 수원시 팔달구]]37,937
(48.37%)38,931
(49.64%)79,283
(48.31%)표차 -994
◁ 1.27%p ▶[[영통구| 수원시 영통구]]81,109
(50.84%)75,184
(47.13%)160,556
(54.08%)표차 +5,925
◀ 3.71%p ▷[[수정구| 성남시 수정구]]53,684
(50.79%)49,669
(46.99%)106,922
(51.18%)표차 +4,015
◀ 3.80%p ▷[[중원구| 성남시 중원구]]49,268
(52.77%)41,860
(44.83%)94,477
(50.93%)표차 +7,408
◀ 7.94%p ▷[[분당구| 성남시 분당구]]104,254
(41.82%)140,622
(56.41%)250,683
(62.02%)표차 -36,368[38]
◁ 14.59%p ▶[[의정부시| 의정부시]]92,465
(49.70%)89,731
(48.23%)187,916
(46.95%)표차 +2,734
◀ 1.47%p ▷[[만안구| 안양시 만안구]]54,630
(49.72%)53,271
(48.48%)111,050
(53.15%)표차 +1,362
◀ 1.24%p ▷[[동안구| 안양시 동안구]]77,230
(49.92%)74,669
(48.27%)155,858
(58.79%)표차 +2,561
◀ 1.65%p ▷[[부천시| 부천시]]182,163
(52.95%)154,942
(45.04%)347,502[39]
(49.43%)표차 +27,221[40]
◀ 7.91%p ▷[[광명시| 광명시]]72,415
(52.39%)63,270
(45.77%)139,612
(56.46%)표차 +9,145
◀ 6.62%p ▷[[평택시| 평택시]]96,908
(47.08%)104,256
(50.65%)208,218
(43.52%)[41]표차 -7,348
◁ 3.57%p ▶[[양주시| 양주시]]45,206
(48.07%)46,797
(49.77%)95,175
(48.12%)표차 -1,591
◁ 1.70%p ▶[[동두천시| 동두천시]]17,338
(44.34%)20,853
(53.33%)39,750
(49.02%)표차 -3,515
◁ 8.99%p ▶[[상록구| 안산시 상록구]]72,030
(52.38%)62,496
(45.45%)138,968
(45.50%)표차 +9,534
◀ 6.93%p ▷[[단원구| 안산시 단원구]]61,954
(51.50%)55,679
(46.28%)121,621
(45.68%)표차 +6,275
◀ 5.22%p ▷[[덕양구| 고양시 덕양구]]121,343
(50.78%)111,350
(46.59%)241,090
(52.20%)표차 +9,993
◀ 4.19%p ▷[[일산동구| 고양시 일산동구]]55,015
(47.26%)58,884
(50.59%)117,269
(51.20%)표차 -3,869
◁ 3.33%p ▶[[일산서구| 고양시 일산서구]]61,038
(49.20%)60,788
(49.00%)125,052
(53.46%)표차 +251
◀ 0.20%p ▷[[과천시| 과천시]]18,126
(42.81%)23,042
(54.43%)42,668
(65.42%)[42]표차 -4,916
◁ 11.62%p ▶[[의왕시| 의왕시]]39,383
(49.34%)38,873
(48.70%)80,575
(57.99%)표차 +510
◀ 0.64%p ▷[[구리시| 구리시]]42,564
(48.78%)43,098
(49.39%)88,191
(53.76%)표차 -534
◁ 0.61%p ▶[[남양주시| 남양주시]]147,630
(49.83%)143,096
(48.30%)299,336
(49.05%)표차 +4,534
◀ 1.53%p ▷[[오산시| 오산시]]42,038
(51.07%)38,577
(46.87%)83,231
(43.71%)표차 +3,461
◀ 4.20%p ▷[[화성시| 화성시]]173,747
(52.03%)153,636
(46.01%)336,743
(47.34%)표차 +20,111
◀ 6.02%p ▷[[시흥시| 시흥시]]104,762
(54.19%)84,897
(43.91%)195,139
(45.23%)표차 +19,855
◀ 10.28%p[43] ▷[[군포시| 군포시]]65,647
(51.65%)58,979
(46.40%)128,263
(55.47%)표차 +6,668
◀ 5.25%p ▷[[하남시| 하남시]]66,362
(47.88%)69,943
(50.46%)139,747
(52.36%)표차 -3,581
◁ 2.58%p ▶[[파주시| 파주시]]93,171
(50.37%)87,769
(47.45%)187,129
(46.35%)표차 +5,402
◀ 2.92%p ▷[[여주시| 여주시]]18,598
(37.38%)30,015
(60.33%)50,666
(51.52%)표차 -11,417
◁ 22.95%p ▶[[이천시| 이천시]]37,422
(42.84%)47,937
(54.87%)88,738
(47.06%)표차 -10,515
◁ 12.03%p ▶[[처인구| 용인시 처인구]]47,234
(45.47%)54,483
(52.45%)105,135
(47.20%)표차 -7,249
◁ 6.98%p ▶[[수지구| 용인시 수지구]]61,235
(45.30%)71,578
(52.95%)135,909
(58.58%)표차 -10,343
◁ 7.65%p ▶[[기흥구| 용인시 기흥구]]118,199
(49.32%)117,246
(48.92%)241,266
(55.48%)표차 +953
◀ 0.40%p ▷[[안성시| 안성시]]36,515
(45.32%)42,168
(52.33%)81,764
(50.00%)표차 -5,653
◁ 7.01%p ▶[[김포시| 김포시]]92,596
(47.67%)98,054
(50.48%)195,865
(49.88%)표차 -5,458
◁ 2.81%p ▶[[광주시| 광주시]]72,344
(47.97%)75,812
(50.27%)152,145
(46.15%)표차 -3,468
◁ 2.30%p ▶[[포천시| 포천시]]27,683
(41.73%)36,951
(55.70%)67,777
(51.35%)표차 -9,268
◁ 13.97%p ▶[[연천군| 연천군]]8,541
(38.49%)12,886
(58.07%)22,800[44]
(60.16%)표차 -4,345
◁ 19.58%p ▶[[양평군| 양평군]]24,692
(39.56%)36,357
(58.26%)63,429
(59.18%)표차 -11,665
◁ 18.70%p ▶[[가평군| 가평군]]11,222
(34.80%)19,910
(61.74%)33,165
(59.44%)표차 -8,688
◁ 26.94%p[45]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김동연 | 김은혜 | 격차 |
전체 | 48.8% | 49.4% | 0.6%p |
20대 이하 | 50.6% | 45.1% | 5.5%p |
30대 | 45.6% | 50.0% | 4.4%p |
40대 | 71.5% | 27.7% | 43.8%p |
50대 | 59.7% | 39.9% | 19.8%p |
60대 | 33.3% | 65.7% | 32.4%p |
70대 이상 | 29.6% | 68.4% | 38.8%p |
출구조사에서는 김은혜가 오차 범위 내에서 김동연에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표 시작 이후에도 8시간 가량이나 김은혜가 수만 표차로 김동연을 누르고 있었다. 심지어 오전 2시경 MBC는 김은혜 후보에 당선 유력을 선언하기도 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들인 안양시 만안구와 의정부시, 부천시, 화성시의 개표율이 매우 느렸는데, 아니나 다를까 이들 지역의 투표함이 열리자 표차가 좁혀지기 시작했다.[47] 그리고 개표율 96.6%이던 새벽 5시 32분, 김동연이 역전에 성공하였다. 직후 성남시 분당구 및 양평군 개표가 마무리되면서 50표대까지 격차가 좁혀졌다가, 부천시와 화성시의 김동연 몰표가 잇따라 나오며 표차가 점점 벌어져 결국 김동연 후보가 약 9000표 차이로 승리를 거두었다.[48]
서울특별시장처럼 교차 투표 양상이 많이 보였는데,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후보에 표를 몰아주면서도 경기도지사 선거에서는 김동연의 손을 들어준 지역들이 꽤 있다.[49][50] 흔히 이야기 하는 인물론이 큰 영향을 미친 것이다.
또한 김은혜 후보와 김동연 후보의 표 차이가 8,913표 차이인데 강용석 후보가 54,758표를 받는 결과로 인해 보수 지지층 사이에서는 김은혜 패배의 가장 큰 원인으로 강용석을 들며 비토를 하는 분위기가 많다. 단 이건 결과론적인 측면도 있는데, 진보 3당 후보의 표를 모두 합치면 강용석보다 많은 61,778표였고 어차피 양쪽 모두 단일화는 현실적으로 어려웠기 때문이다.
4.1.3. 인천광역시장
인천광역시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남춘(朴南春) | 545,885 | 2위 |
| 44.55% | 낙선 | |
2 | 유정복(劉正福) | 634,250 | 1위 |
| 51.76% | 당선 | |
3 | 이정미(李貞味) | 38,921 | 3위 |
[[정의당|]] | 3.17% | 낙선 | |
4 | 김한별(金한별) | 6,079 | 4위 |
[[기본소득당|]] | 0.4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534,338 | 투표율 48.95% |
투표 수 | 1,240,469 | ||
무효표 수 | 15,334 |
특히 인천광역시 붉은 수돗물 사태, 송도 소각장 문제, 수돗물에서의 유충 검출이 박남춘의 낙선에 결정타를 줬는데, 보수 우위였지만 민주당세가 성장한 연수구와 검단, 청라의 영향으로 민주당세가 강한 서구가 해당 사건의 피해 지역이였기 때문이다.
한편 여론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후보와 정의당 이정미 후보와의 단일화 여부에 따라 승패가 갈릴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왔으나, 최종적으로 단일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개표 결과를 분석 해 볼 때 단일화를 했다고 하더라도 국민의힘 유정복 후보가 과반을 넘겼기에 격차는 줄었을지언정 유정복의 당선에는 영향이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52]
4.2. 충청권
자세한 내용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충청권 문서 참고하십시오.4.2.1.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허태정(許泰鋌) | 295,555 | 2위 |
| 48.80% | 낙선 | |
2 | 이장우(李莊雨) | 310,035 | 1위 |
| 51.19%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233,557 | 투표율 49.66% |
투표 수 | 612,639 | ||
무효표 수 | 7,049 |
세부적으론 유성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모두 이장우 후보가 이겼는데, 특히 둔산신도시가 있는 서구가 이장우의 손을 들어주며[53] 허태정에게 결정타를 날렸다. 물론 유성구에선 5%p 나마 앞섰지만, 인구가 절반 정도 적은 중구에서 9% 앞서서 유성구의 우위를 상쇄했을 뿐더러, 앞의 서구까지 거들면서 허태정 후보가 석패했다.
이제 동대전이 보수 정당 우위, 서대전이 더불어민주당 우위란 대를린 장벽이 사실상 무너지고, 유성구 vs 대덕구, 서구 vs 중구, 동구 구도로 가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게 되었다.
또한 광역의원, 기초자치단체장 모두 유성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궤멸되면서 더불어민주당은 위기를 맞게 되었다.
4.2.2. 세종특별자치시장
세종특별자치시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춘희(李春熙) | 69,995 | 2위 |
| 47.16% | 낙선 | |
2 | 최민호(崔旼鎬) | 78,415 | 1위 |
| 52.83%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92,259 | 투표율 51.24% |
투표 수 | 149,751 | ||
무효표 수 | 1,341 |
이는 현직인 이춘희 후보에 대한 반감이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실제로 제20대 대통령 선거 때만 해도 윤석열이 이기긴 했지만 2%p대의 경합 우세였던 조치원읍에선 최민호 후보에게 몰표가 나오며 무려 25%p 격차로 패했고, 동 지역에서도 몇몇 지역에선 최민호 후보에게 우위를 내줬다. 심지어 제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가장 이재명에게 표를 많이 준 아름동에서도 고작 885표(11%) 차이로 앞서는 데 그쳤다. 다만 세종특별자치시의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1당을 그대로 유지한 만큼 아직도 보수세에 비해 민주당세가 우위라는 사실은 여전하며, 이춘희 개인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더불어민주당 지지층들도 등을 돌리게 만들었다고 해석하는 편이 옳다.
4.2.3. 충청북도지사
충청북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노영민(盧英敏) | 284,166 | 2위 |
| 41.80% | 낙선 | |
2 | 김영환(金榮煥) | 395,517 | 1위 |
| 58.19%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368,779 | 투표율 50.58% |
투표 수 | 692,324 | ||
무효표 수 | 12,641 |
또한 김영환 후보의 압승으로 인해 줄투표 현상이 나타나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가장 대표적으로 여론조사에서 15%~25% 가량 쭉 앞서고 있었으며 주민들의 평가도 나쁘지 않던 현직 이상천 전 제천시장이 낙선하는 대이변이 벌어졌다.
4.2.4.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양승조(梁承晁) | 401,308 | 2위 |
| 46.12% | 낙선 | |
2 | 김태흠(金泰欽) | 468,658 | 1위 |
| 53.87% | 당선 | |
| | 사퇴[59] | |
[[충청의미래당|]] | |||
계 | 선거인 수 | 1,803,096 | 투표율 49.82% |
투표 수 | 898,369 | ||
무효표 수 | 28,403 |
그밖에 전통적으로 더불어민주당에 엄청난 몰표가 쏟아지던 아산시 배방읍과 탕정면에서도 양승조 후보가 압도적으로 이기지 못했다. 양승조 후보는 배방읍에서 3천표, 탕정면에서 1300표밖에 이기지 못하면서 아산시 구시가지와 농촌표를 만회하지 못했고 결국 아산시 전체에서 김태흠 후보에 2300표 차이로 패하고 말았다. 4년 전에는 아산시에서 무려 35%나 이겼고 심지어 3달 전 대통령 선거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승리하며 텃밭임을 과시하던 아산시에서조차 패했으니 도저히 이길 수 없는 선거였다.
충청의미래당 후보로 나선 최기복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사퇴했으나, 최기복 후보의 존재감이 심각하게 없었기에 판도에 미친 영향은 거의 없었다고 봐도 좋을 정도로 미미했다.
4.3. 동남권
자세한 내용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동남권 문서 참고하십시오.4.3.1. 부산광역시장
부산광역시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변성완(邊城完) | 455,901 | 2위 |
| 32.23% | 낙선 | |
2 | 박형준(朴亨埈) | 938,601 | 1위 |
| 66.36% | 당선 | |
3 | 김영진(金榮珍) | 19,733 | 3위 |
[[정의당|]] | 1.3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916,832 | 투표율 49.10% |
투표 수 | 1,432,194 | ||
무효표 수 | 17,959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또한 박형준 후보는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허남식 전 부산시장의 65.54%보다 높은 66.36%을 받아서 역대 부산광역시장 당선인 최다 득표율을 갱신하였다. 특히 과거 자신의 국회의원 지역구였던 수영구는 원래도 부산광역시 내에서 손꼽힐정도로 보수세가 강한 지역구임과 동시에 홈그라운드 효과를 누리며 69.32%를 얻어 제일 높은 득표율을 보였다. 줄투표 현상으로 인해 수영구청장 후보로 출마한 강성태 후보 역시 70%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얻어 부산 내 기초자치단체장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는 등,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겹경사가 일어났다.
반면 변성완 후보는 32.23%를 받았고 전 지역에서 전패했다. 물론 오거돈 성추행 사건으로 인한 부산광역시 시민의 비토와 상대적으로 정치 신인이란 점을 감안하면 꽤 선전을 한 건 맞으나, 민주당세가 그나마 강한 편인 서부산이나 영도구, 기장군에서도 30%대 초중반 득표율에 그침으로써 유종의 미도 거두지 못했다.
4.3.2. 경상남도지사
경상남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양문석(梁文錫) | 431,569 | 2위 |
| 29.43% | 낙선 | |
2 | 박완수(朴完洙) | 963,473 | 1위 |
| 65.70% | 당선 | |
3 | 여영국(余永國) | 58,933 | 3위 |
[[정의당|]] | 4.01% | 낙선 | |
4 | 최진석(崔振碩) | 12,353 | 4위 |
[[통일한국당|]] | 0.8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804,287 | 투표율 53.39% |
투표 수 | 1,497,400 | ||
무효표 수 | 31,072 |
양문석 후보는 자신의 출신지인 통영시와 낙동강 벨트에 속해 있는 김해시, 양산시와 김두관 의원의 근거지였던 남해군, 노동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거제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선 30%를 넘지 못했지만 경상남도 전체 읍면동 통틀어서 대우조선해양 본사에 위치한 거제시 아주동에서는 박완수를 제치고, 과반 득표를 하며 그나마 유일하게 1위를 기록함으로써 옆동네 후보와 달리 유종의 미라도 거뒀다.
한편 박완수 후보는 자신의 근거지였던 의창구에서 무려 69.38%를 받았고, 나머지 창원시 지역에서도 60%대 중반~70%대 초반을 받고 김해시, 양산시에서도 넉넉한 격차로 이김으로써 승리에 쇄기를 박았다.
4.3.3. 울산광역시장
울산광역시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송철호(宋哲鎬) | 195,430 | 2위 |
| 40.21% | 낙선 | |
2 | 김두겸(金斗謙) | 290,563 | 1위 |
| 59.78%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941,189 | 투표율 52.26% |
투표 수 | 491,866 | ||
무효표 수 | 5,873 |
또한 국민의힘 김두겸 후보는 지난 제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부울경을 포함한 영남 지역에서 유일하게 이재명이 승리한 북구에서도 4.7%p 격차로 이기며 전 지역구를 싹쓸이 했다. 그나마 옆 지역인 부산광역시와 달리 아파트 단지가 많아서 30대·40대 인구가 다소 많은 농소3동에서 송철호 후보가 이겼기에, 변성완과 달리 행정동 전패란 불명예는 얻지 않은 게 위안이였다.
4.4. 대경권
자세한 내용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대경권 문서 참고하십시오.4.4.1. 대구광역시장
대구광역시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서재헌(徐載憲) | 156,429 | 2위 |
| 17.97% | 낙선 | |
2 | 홍준표(洪準杓) | 685,159 | 1위 |
| 78.75% | 당선 | |
3 | 한민정(韓玟晶) | 20,904 | 3위 |
[[정의당|]] | 2.40% | 낙선 | |
4 | 신원호(申原昈) | 7,542 | 4위 |
[[기본소득당|]] | 0.8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044,579 | 투표율 43.19% |
투표 수 | 883,141 | ||
무효표 수 | 13,107 |
한편 더불어민주당에선 서재헌을 출마시켰지만, 문제는 서재헌 후보는 이전에 내보낸 김부겸, 임대윤에 비해 중량감이 떨어졌기에[62] TK의 반민주당 정서 + 허니문 효과 + 인지도와 중량감 격차로 인해 승패는 결정이 났었다. 결국 서재헌 후보는 역대 민주당계 후보 중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이승천(16.86%) 후보 다음으로 낮은 득표율인 17.97%에 그쳤는데, 이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광역자치단체장에 출마한 낙선자 후보 중 유일하게 10%대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거비 전액보전(15%)을 넘기는 것에 만족해야했다.
지역별로 보면 모든 지역에서 홍준표 후보가 기본적으로 70%를 가뿐히 넘었으며, 특히 노년층 인구가 많은 서구와 남구에선 무려 80%를 넘는 기염을 토했다.
같은 TK 광역자치단체장으로 출마한 임미애 경북지사 후보 20%대를 받는데 그쳐서 낙선했지만 경상북도 읍면동 중 그나마도 유일하게 예천군 호명면에서라도 62표 차로 신승해서 유종의 미라도 거뒀지 서재헌은 아예 대구광역시 8개구군 전 행정동에서 패배함로써 송영길, 변성완과 같이 더불어민주당 후보 중 모든 행정동에서 전패한 후보가 되었다.
4.4.2. 경상북도지사
경상북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임미애(林美愛) | 255,775 | 2위 |
| 22.04% | 낙선 | |
2 | 이철우(李喆雨) | 904,675 | 1위 |
| 77.95%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268,707 | 투표율 52.66% |
투표 수 | 1,194,595 | ||
무효표 수 | 34,145 |
4.5. 호남권
자세한 내용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호남권 문서 참고하십시오.4.5.1. 광주광역시장
광주광역시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기정(姜琪正) | 334,699 | 1위 |
| 74.91% | 당선 | |
2 | 주기환(朱起煥) | 71,062 | 2위 |
| 15.90% | 낙선 | |
3 | 장연주(張蓮珠) | 21,070 | 3위 |
[[정의당|]] | 4.71% | 낙선 | |
4 | 문현철(文炫喆) | 3,344 | 5위 |
[[기본소득당|]] | 0.74% | 낙선 | |
5 | 김주업(金柱業) | 16,595 | 4위 |
| 3.7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06,886 | 투표율 37.66%[65] |
투표 수 | 454,516 | ||
무효표 수 | 7,746 |
- [광주광역시장 구별 개표 결과 보기]
-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4ea2><bgcolor=#004ea2><color=#fff>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장 구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33> 정당
투표 수
(투표율)후보 강기정 주기환 [[광주광역시| 전체]]334,699
(74.91%)71,062
(15.90%)454,516
(37.66%)[66]표차 +263,637
◀ 59.01%p ▷[[동구(광주광역시)| 동구]]27,775
(73.60%)6,994
(18.53%)38,373[67]
(42.51%)[68]표차 +20,781
◀ 55.07%p ▷[[서구(광주광역시)| 서구]]71,873
(74.60%)15,552
(16.14%)97,941
(39.67%)표차 +56,321
◀ 58.46%p ▷[[남구(광주광역시)| 남구]]53,512
(76.09%)11,406
(16.21%)71,496
(39.68%)표차 +42,106
◀ 59.88%p ▷[[북구(광주광역시)| 북구]]102,468
(75.56%)21,054
(15.52%)137,865[69]
(37.95%)표차 +81,414[70]
◀ 60.04%p[71] ▷[[광산구| 광산구]]79,071
(74.05%)16,056
(15.03%)108,841
(33.34%)[72]표차 +63,015
◀ 59.02%p ▷
37.66%라는 역대급으로 저조한 투표율로 마감한 이번 광주광역시장 선거는 예상대로 더불어민주당 강기정 후보가 압도적 격차로 이겼다. 하지만 국민의힘 입장에서도 주기환 후보의 득표율이 역대 광주광역시장 선거 가운데 보수 정당 당적을 달고 출마한 후보 중 가장 높은 15.90%를 득표하여 최초로 선거비 전액 보전인 15%를 넘기며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 이에 따라 차기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광주광역시 및 호남 지역에 더 많은 국민의힘 후보의 공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73]
4.5.2. 전라북도지사
전라북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관영(金寬永) | 591,510 | 1위 |
| 82.11% | 당선 | |
2 | 조배숙(趙培淑) | 128,828 | 2위 |
| 17.8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32,133 | 투표율 48.64% |
투표 수 | 745,354 | ||
무효표 수 | 25,016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김관영 | 조배숙 | 격차 |
전체 | 82.4% | 17.6% | 64.8%p |
한편 김관영 후보는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한 광역자치단체장 후보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유일하게 80%대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호남 지역에서 유일하게 전라북도지사 후보에만 제3정당 후보가 없었기 때문.[74]
4.5.3. 전라남도지사
전라남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영록(金瑛錄) | 672,433 | 1위 |
| 75.74% | 당선 | |
2 | 이정현(李貞鉉) | 167,020 | 2위 |
| 18.81% | 낙선 | |
4 | 민점기(閔点基) | 48,336 | 3위 |
| 5.4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80,098 | 투표율 58.44% |
투표 수 | 923,347 | ||
무효표 수 | 35,558 |
4.6. 강원도
자세한 내용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강원도 문서 참고하십시오.4.6.1. 강원도지사
강원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광재(李光宰) | 347,766 | 2위 |
| 45.92% | 낙선 | |
2 | 김진태(金鎭台) | 409,461 | 1위 |
| 54.07%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336,080 | 투표율 57.82% |
투표 수 | 772,498 | ||
무효표 수 | 15,271 |
여담으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득표율이 거의 정반대로 나왔는데 그때는 한나라당 이계진 후보가 45.63%, 민주당 이광재 후보가 54.36%을 받았지만 이번엔 그 반대의 결과가 나온 것이다. 즉 이광재 후보 입장에선 12년 만에 완전히 정반대의 결과를 경험한 것이다. 반면 김진태 후보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극우 발언을 비롯한 각종 논란을 딛고 강원도지사에 당선되며 정치적으로 재기에 성공하였다.[76]
또한 이광재가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있던 원주시 갑 선거구는 3선 원주시장 출신의 더불어민주당 원창묵 후보를 전략 공천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 박정하 후보가 강원도지사보다도 훨씬 큰 격차인 무려 15.59%p 차로 낙승을 거둠으로써 최악의 결과가 나왔다.
4.7. 제주특별자치도
자세한 내용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역별 결과/제주도 문서 참고하십시오.4.7.1.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오영훈(吳怜勳) | 163,116 | 1위 |
| 55.14% | 당선 | |
2 | 허향진(許香珍) | 116,786 | 2위 |
| 39.48% | 낙선 | |
4 | 부순정(夫順貞) | 5,750 | 4위 |
[[녹색당(대한민국)|]] | 1.94% | 낙선 | |
5 | 박찬식(朴贊殖) | 10,13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4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65,084 | 투표율 53.11% |
투표 수 | 300,139 | ||
무효표 수 | 4,349 |
[1] 무효표 38,242표.[2] 무효표 수 641표.[3] 무효표 수 678표.[4] 서울특별시 지역 내 최소 투표 수.[5] 무효표 수 719표.[6] 무효표 수 1,312표.[7] 무효표 수 1,399표.[8] 무효표 수 1,525표.[9] 무효표 수 1,926표.[10] 무효표 수 1,738표.[11] 무효표 수 1,465표.[12] 무효표 수 1,417표.[13] 무효표 수 2,485표.[14] 무효표 수 2,142표.[15] 무효표 수 1,275표.[16] 무효표 수 1,310표.[17] 무효표 수 1,374표.[18] 무효표 수 2,217표.[19] 무효표 수 1,914표.[20] 무효표 수 1,152표.[21] 서울특별시 지역 내 투표율 꼴찌.[22] 서울특별시 지역 내 최소 득표수 차.[23] 무효표 수 1,459표.[24] 무효표 수 1,337표.[25] 무효표 수 2,408표.[26] 서울특별시 지역 내 최소 득표율 차.[27] 무효표 수 958표.[28] 서울특별시 지역 내 투표율 1위.[29] 무효표 수 1,410표.[30] 서울특별시 지역 내 최다 득표 수 차.[31] 서울특별시 지역 내 최다 득표율 차.[32] 무효표 수 2,280표.[33] 서울특별시 지역 내 최다 투표 수.[34] 무효표 수 1,701표.[35] 공교롭게도 1번째 기록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오세훈 자신이 기록했다. 당시는 522개 동 중 522개 동 전역에서 이겼다.[36] 창신2동, 구로3동, 항동, 화곡8동, 성산1동. 그나마 이 5곳 중 구로3동과 항동은 당시 더불어민주당 후보였던 박영선의 정치적 고향인 구로구 관할이다.[37] 역시 전 행정동에서 전패한 변성완과 서재헌은 득표율 상으론 송영길보다 처참한 결과를 만들어냈긴 하나, 적어도 2명은 영남권이란 보수세가 강한 지역이고 상대 후보와 체급 차이도 어마어마하여 정치 생명에 타격이 크다고 볼 수 없다. 반면, 송영길은 비록 인천광역시 출신 후보이긴 하나, 엄연히 5선 의원에다 인천광역시장까지 지낸 한 대권 주자였기에 더 굴욕적인 결과로 볼 수 밖에 없으므로 이는 정치 생명에도 엄청난 타격이 가게 된다.[38] 김은혜 승리 선거구 중 최다 득표수 차.[39] 경기도 선거구 중 최다 투표수.[40] 김동연 승리 선거구 중 최다 득표수 차.[41] 경기도 선거구 중 최저 투표율.[42] 경기도 선거구 중 최고 투표율.[43] 김동연 승리 선거구 중 최고 득표율 차.[44] 경기도 선거구 중 최소 투표수.[45] 김은혜 승리 선거구 중 최고 득표율 차.[46] 역대 지방선거의 광역자치단체장 사상 최소 득표율 차이로 기록되었다. 참고로 최소 표차는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에서 무소속 우근민 후보와 무소속 현명관 후보의 2,252표.[47] 안양시 만안구의 경우 김은혜 후보가 계속 앞서나가서 이변의 지역이 될뻔 했지만 김동연 후보가 역전하여 1,000여표 차이로 신승했다.[48] 더불어민주당이 경기도지사 선거를 2연승한 최초의 사례다.[49] 군포시, 고양시 덕양구·일산서구, 남양주시, 의정부시, 의왕시 등.[50] 반대로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김은혜의 손을 들어주면서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승리한 곳도 있었다. 안성시장 선거에서 승리한 김보라와 평택시장 선거에서 승리한 정장선이 그 주인공이었다.[51] 그나마 여기도 격차는 고작 3%p로 대통령 선거에 비해 반토막이 났다. 즉 국회의원은 이재명을 찍으면서 인천광역시장은 유정복을 찍는 교차 투표 현상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52] 물론 단일화로 인해 접전 양상이 된다면 지지자들을 투표장으로 끌고올 요인이 되지만 말그대로 시나리오 중 하나일 뿐 반대도 가능하다.[53] 대전광역시 서구에서 이장우 후보가 3,927표 앞섰는데, 둔산1·2·3동에서만 1,160표 앞섰다., 물론 갈마동과 월평동에서도 이장우 후보가 이긴 건 덤이다.[54] 다만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 내지만 최민호 후보가 근소하게 이춘희 후보를 앞서는 결과가 계속 나오면서 국민의힘 측에서도 긍정적 전망이 나오긴 했다.[55] 그것도 있겠지만, 노영민에 대한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비호감도 크게 작용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사이에서는 양정철과 함께 윤석열을 검찰총장으로 천거하여 결국에는 국민의힘에게 정권을 헌납한 원흉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아예 노욕민이라는 오명을 얻었다. 중도층에서도 서울특별시와 청주시의 집 중 청주시의 집을 팔아서 민심이 좋지 않았다.[56] 노영민 후보에 대한 비호감도 있겠지만 대통령 선거와 청주시장 선거에서도 국민의힘이 승리한 것을 보면 청주시가 보수화되었다는 설명도 충분히 일리가 있다.[57] 읍면동별 결과를 보면, 청주시 오창읍, 진천군 덕산읍, 음성군 맹동면 단 3곳을 제외하고 김영환 후보가 올킬승을 했으며 청주시 오송읍 등 일부 진보 강세 지역들까지 승리를 거두었다. 다만 이전 지방선거의 사례(당시 과거 한나라당 소속이던 민주당 이시종 후보가 보은군 일부 지역을 빼면 보수세가 매우 강한 지역들까지 전부 올킬승을 거두었다.)처럼 김영환의 과거 당적이 민주당계 정당 소속이였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58] 수도권도 마찬가지로 서울특별시의 보수화가 완연하고 오히려 경기도 외곽도시의 진보화가 이뤄졌다는 특징이 있다.[59]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후보 지지.[60] 실제 경선 득표율 기준. 페널티 10% 적용시 49.45%.[61] 종전 최다 득표율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김범일 후보가 받은 72.92%이다.[62] 김부겸은 적어도 군포시에서 3선 의원을 지냈을 뿐더러, 원래 한나라당 출신이라 더불어민주당 인사 중에선 상대적으로 보수적인데다 수성구 갑에서 40%를 득표하는 등 화제가 되었다. 그리고 임대윤 후보도 한나라당 출신에 대구광역시 동구청장 재선에 성공한 이력이 있고, 민주당 소속으로도 4번 출마했던 사람이다. 반면에 서재헌 후보는 국회의원 선거와 지방선거(동구청장 출마)에서 2차례 출마하여 2연속 낙선한데다가 정치 외 커리어도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라 사실상 대구광역시의원 내지 구청장 후보 수준의 이력에 가깝다. 하지만 김부겸 총리가 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정계를 은퇴하여 나갈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63] 이건 서재헌 후보가 못해서 진 게 아니라 상대인 대권 유력 주자 중 한명인 홍준표라는 사람의 이름값이 17개 광역자치단체장 후보들 중 독보적으로 높다는 특수성 때문에 생긴 일이긴 하다.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34명의 후보들 중 최다선(5선 의원 + 재선 경상남도지사)에 김영록과 유이하게 무소속 당선 이력이 있을 정도의 이름값이라 서재헌 후보로서는 어쩔 수 없는 일.[64] 오히려 그래서 송영길이 제일 굴욕적인 결과를 만든거나 마찬가지인데, 아무리 송영길이 인천광역시를 근거지로 삼은 사람이라지만, 5선의원에다 인천시장까지 지낸 엄연히 준 대권 주자인 후보인데 오세훈 후보에게 19.82% 격차, 그것도 전 자치구에서 패배를 했기 때문이다.[65] 역대 전국 단위로 치러진 선거 중 가장 낮은 투표율이다.[66] 역대 전국 단위로 치러진 선거 중 가장 낮은 투표율이다.[67] 광주광역시 선거구 중 최소 투표수.[68] 광주광역시 선거구 중 최고 투표율.[69] 광주광역시 선거구 중 최다 투표수.[70] 강기정 승리 선거구 중 최다 득표수 차.[71] 강기정 승리 선거구 중 최고 득표율 차.[72] 광주광역시 선거구 중 최저 투표율.[73] 지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은 호남 28개 지역구에서 공천 신청자가 없어 단 9곳에만 공천하였다. 결국 국민의힘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호남 전 지역구에 후보자를 공천했다.[74] 광주광역시는 정의당, 기본소득당, 진보당 후보가 출마하였으며 전라남도는 진보당 후보가 출마했다.[75] 그것도 고작 543표차 승리다.[76] 그러나 당선 직후 레고랜드 사태를 터뜨리는 바람에 여론이 악화되기도 했다.[77] 당시엔 허니문 효과로 더불어민주당이 유리했지만 인지도 없는 후보를 내보내는 바람에 보수 쪽에서 개인기로 살아남은 후보에게 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