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05 22:02:43

콩레이

태풍 명칭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나라 1조 2조 3조 4조 5조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담레이
(Damrey)
콩레이
(Kong-rey)
나크리
(Nakri)
크로반
(Krovanh)
트라세
(Trases)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하이쿠이
(Haikui)
인싱*
(Yinxing)
펑선
(Fengshen)
두쥐안
(Dujuan)
무란
(Mulan)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기러기
(Kirogi)
도라지
(Toraji)
갈매기
(Kalmaegi)
수리개
(Surigae)
메아리
(Meari)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윈욍
(Yun-yeung)
마니
(Man-yi)
풍웡
(Fung-wong)
초이완
(Choi-wan)
칭마*
(Tsingma)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고이누
(Koinu)
우사기
(Usagi)
고토*
(Koto)
고구마
(Koguma)
도카게
(Tokage)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볼라벤
(Bolaven)
파북
(Pabuk)
노카엔*
(Nokaen)
참피
(Champi)
옹망*
(Ongman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산바
(Sanba)
우딥
(Wutip)
페냐*
(Penha)
인파
(In-fa)
무이파
(Muifa)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즐라왓
(Jelawat)
스팟
(Sepat)
누리
(Nuri)
츰파카
(Cempaka)
므르복
(Merbok)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에위니아
(Ewiniar)

(Mun)
실라코
(Sinlaku)
네파탁
(Nepartak)
난마돌
(Nanmadol)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말릭시
(Maliksi)
다나스
(Danas)
하구핏
(Hagupit)
루핏
(Lupit)
탈라스
(Tala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미
(Gaemi)
나리
(Nari)
장미
(Jangmi)
미리내
(Mirinae)
호두*
(Hodu)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프라피룬
(Prapiroon)
위파
(Wipha)
메칼라
(Mekkhala)
니다
(Nida)
꿀랍
(Kulap)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마리아
(Maria)
프란시스코
(Francisco)
히고스
(Higos)
오마이스
(Omais)
로키
(Roke)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손띤
(Son-Tinh)
꼬마이*
(Co-May)
바비
(Bavi)
룩빈*
(Lucbinh)
선까
(Sonca)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암필
(Ampil)
크로사
(Krosa)
마이삭
(Maysak)
찬투
(Chanthu)
네삿
(Nesat)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우쿵
(Wukong)
바이루
(Bailu)
하이선
(Haishen)
뎬무
(Dianmu)
하이탕
(Haitan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종다리
(Jongdari)
버들
(Podul)
노을
(Noul)
민들레
(Mindulle)
잠자리*
(Jamjari)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산산
(Shanshan)
링링
(Lingling)
돌핀
(Dolphin)
라이언록
(Lionrock)
바냔
(Banyan)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야기
(Yagi)
가지키
(Kajiki)
구지라
(Kujira)
도케이*
(Tokei)
야마네코
(Yamaneko)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리피
(Leepi)
농파*
(Nongfa)
찬홈
(Chan-hom)
남테운
(Namtheun)
파카르
(Pakhar)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버빙카
(Bebinca)
페이파
(Peipah)
페이러우*
(Peilou)
말로
(Malou)
상우
(Sanvu)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풀라산*
(Pulasan)
타파
(Tapah)
낭카
(Nangka)
냐토
(Nyatoh)
마와르
(Mawar)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솔릭
(Soulik)
미탁
(Mitag)
사우델
(Saudel)
사르불*
(Sarbul)
구촐
(Guchol)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시마론
(Cimaron)
라가사*
(Ragasa)
나라*
(Narra)
아무야오*
(Amuyao)
탈림
(Tali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비
(Jebi)
너구리
(Neoguri)
개나리*
(Gaenari)
고사리*
(Gosari)
독수리
(Doksuri)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끄라톤*
(Krathon)
부알로이
(Bualoi)
앗사니
(Atsani)
차바
(Chaba)
카눈
(Khanun)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바리자트
(Barijat)
마트모
(Matmo)
아타우
(Etau)
에어리
(Aere)

(Lan)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짜미
(Trami)
할롱
(Halong)
방랑*
(Bang-lang)
송다
(Songda)
사올라
(Saola)
*: 사용 예정 취소선: 변경 예정
}}}}}}}}} ||
제명된 태풍 명칭


1. 개요2. 2001년 제6호 태풍3. 2007년 제1호 태풍4. 2013년 제15호 태풍
4.1. 2013년 제15호 진로 경과4.2. 발생과 예상 진로4.3. 진행 상황
5. 2018년 제25호 태풍
5.1. 세력 변화
5.1.1. 미국 JTWC5.1.2. 한국 기상청(KMA)5.1.3. 일본 기상청(JMA)
5.2. 기록5.3. 현황5.4. 대응5.5. 피해
5.5.1. 제주5.5.2. 부산, 울산, 경남5.5.3. 대구, 경북5.5.4. 호남5.5.5. 강원도 영동5.5.6. 그 외5.5.7. 일본
5.6. 기타

1. 개요

콩레이(កង្រី, Kong-rey)캄보디아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불교 설화집 《자타카》의 12자매 이야기가 변형된 전설 속 공주의 이름이자 공주가 울다 죽어 변하여 되었다는 산의 이름이기도 하다. (전설의 상세 내용)

2. 2001년 제6호 태풍

2001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시마론 제비* 투리안 우토 차미
콩레이 위투 도라지 마니 우사기
파북* 우딥 서팟 피토 다나스
나리 비파 프란시스코 레기마 크로사
하이옌 버들 링링 가지키 파사이
와메이
← 2000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02년 태풍 →
}}}}}}}}} ||
2001년 태풍
제5호 차미제6호 콩레이 → 제7호 위투
2001년 제6호 태풍 콩레이
위성사진 파일:Kong-rey_2001-07-26_0120Z.jpg
진로도 파일:Kong-Rey_2001_track.png
활동 기간 2001년 7월 23일 ~ 2001년 7월 29일
영향 지역 일본
태풍 등급 2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중형(직경 930km)
최저 기압 95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4m/s
10분 평균 36m/s

일본 혼슈 남부에서 발생하였고 평범하게 발달하여 오가사와라 제도를 963hPa,150km/h의 세력으로 통과하였다. 그리고 바로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북동진하다가 혼슈 동부에서 1002hPa, 45km/h의 세력으로 소멸하였다.

3. 2007년 제1호 태풍

2007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콩레이 위투 도라지 마니* 우사기*
파북* 우딥 스팟 피토 다나스
나리* 위파* 프란시스코 레끼마 크로사*
하이옌 버들 링링 가지키 파사이
페이파 타파 미탁 하기비스
← 2006년 태풍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08년 태풍 →
}}}}}}}}} ||
2007년 태풍
제1호 콩레이 → 제2호 위투
2007년 제1호 태풍 콩레이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활동 기간 2007년 4월 1일 ~ 4월 6일
영향 지역 북마리아나 제도
태풍 등급 3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소형(직경 500km)
최저 기압 96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51m/s
10분 평균 41m/s

4. 2013년 제15호 태풍

2013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나무 산산 야기 리피* 버빙카
룸비아 솔릭 시마론 제비 망쿳
우토르 짜미 페바 우나라 콩레이*
위투 도라지 마니 우사기 파북
우딥 스팟 피토 다나스* 나리
위파 프란시스코 레끼마 크로사 하이옌
버들
← 2012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14년 태풍 →
}}}}}}}}} ||
2013년 태풍
제14호 우나라제15호 콩레이 → 제16호 위투
2013년 제15호 태풍 콩레이
진로도 파일:1315track.png
활동 기간 2013년 8월 26일 15시 ~ 2013년 8월 30일 9시
영향 지역 중국, 필리핀, 대만, 일본, 대한민국
태풍 등급 열대폭풍[JTWC]
10분 등급 강한 열대폭풍[JMA]
태풍 크기 중형(직경 650 km)
최저 기압 980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26 m/s
10분 평균 28 m/s

2013년 8월 마지막 주에 한반도 남부를 내습할 것으로 예측되었던 제15호 태풍이다.

4.1. 2013년 제15호 진로 경과

발표 시각 1분풍속 10분풍속 SSHS 등급 JMA 등급
8월 26일 15시 30kn 35kn 열대저기압
8월 26일 21시 35kn 35kn 열대폭풍
8월 27일 3시 35kn 40kn
8월 27일 9시 35kn 40kn
8월 27일 15시 45kn 40kn
8월 27일 21시 50kn 45kn
8월 28일 3시 50kn 45kn
8월 28일 9시 50kn 50kn
8월 28일 15시 50kn 50kn
8월 28일 21시 50kn 55kn
8월 29일 3시 55kn 55kn
8월 29일 9시 50kn 45kn
8월 29일 15시 40kn 35kn
8월 29일 21시 40kn 35kn
8월 30일 3시 40kn 35kn
8월 30일 9시 35kn 35kn
8월 30일 15시 30kn 35kn 열대저기압
8월 30일 21시 30kn 35kn
8월 31일 3시 30kn - 소멸
8월 31일 9시 30kn -
8월 31일 15시 소멸 및 감시 종료

4.2. 발생과 예상 진로

당초 기상청에서는 2013년4년 만에 태풍 영향 없는 여름이라 보도하면서 이번 여름에 태풍 재해가 없다는 사실을 부각하였지만, 여름 막바지에 출현한 이 태풍 때문에 일찍 터뜨린 샴페인이 되고 말았다(…). 8월 27일 현재 이 태풍의 예상 진로는 절묘하게 대한해협을 통과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주된 피해 반경은 한국의 영호남 지역과 일본 큐슈, 주고쿠 지방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기상청은 9월쯤에나 가야 슈퍼 태풍이 형성되어 한반도를 타격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으나, 이 태풍은 8월에 발생하였고 발생 시점의 크기가 소형이며, 다만 북상 과정에서 중형급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물론 태풍이라는 게 워낙 변수 투성이라서 한반도를 내습할 때 쯤이나 되어야 피해규모를 추정할 수 있겠지만.

어쨌든 이 태풍을 보는 시각은 크게 2가지, 하나는 3년 전 곤파스 때처럼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지 않을까 하는 우려이며, 또 하나는 한반도에서 2013년 여름 유난히 기승을 부리는 무더위와 녹조 현상을 말끔하게 쓸어가주는 고마운 태풍이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다. 과연 이 태풍이 정말 2010년의 곤파스와 같은 악몽을 재현할 것인지, 아니면 바로 지난 2012년에 스쳐간 볼라벤이나 덴빈처럼 설레발성에 그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되는 부분.

그리고 그 설레발은 현실로 되었다.

4.3. 진행 상황

파일:attachment/20130826150000_20130830220000.gif

당초 한반도를 타격할 거라고 예상이 되었지만 예상을 꺾어버리고 일본으로 방향을 틀었다.

2013년 8월 30일, 콩레이는 서귀포 남남서쪽 약 300km 부근 해상에 있으며 중심기압은 996hPa, 최대풍속은 19m/s(68.4km/h)정도의 소형태풍이다. 한반도에는 별다른 타격이 없어 보이나 콩레이가 지나가는 과정에서 제주도와 경남지방에 비를 뿌리고 동해안에도 동풍의 영향을 받아서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 때 제주도에는 서부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에 호우 특보가 내려지기도 했다. 특히 제주 남부 쪽에 태풍 주의보가 발효되어서 제주 남부지방은 미리 콩레이에 대비를 하고 있다.

그런데...

파일:attachment/20130826150000_20130831040000.gif

2013년 8월 31일, 콩레이가 잘 올라오다가 새벽 3시, 서귀포 동남동쪽 약 170km 부근 해상에서 온대성 저기압으로 바뀌어서 소멸되었다(...). 이 때문에 부산과 경남지방에서는 밤새 비가 내렸고 남해동부먼바다에는 풍랑주의보가 발령되기도 했다.

결국 이 콩레이로 인해 2013년 폭염이 종료되었다. 이는 마이삭하고 비슷하다.

그리고 콩레이의 뒤를 이은 제17호 태풍 도라지도 콩레이와 비슷한 경로를 그리며 힘없이 소멸되었다.

한편 5년 뒤에도 콩레이가 이와 비슷한 경로를 보였지만 좀 더 서북쪽으로 위치해 있다. 그리고 강도와 크기가 작았던 2013년과 달리 매우 강했고, 크기도 아주 컸다.

5. 2018년 제25호 태풍

2018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볼라벤 산바 즐라왓 에위니아 말릭시
개미 쁘라삐룬* 마리아 손띤 암필
우쿵 종다리* 산산 야기 리피*
버빙카 헥터 룸비아* 솔릭* 시마론
제비 망쿳 바리자트 짜미* 콩레이*
위투 도라지 마니 우사기
← 2017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19년 태풍 →
}}}}}}}}} ||
2018년 태풍
제24호 짜미제25호 콩레이 → 제26호 위투
2018년 제25호 태풍 콩레이
위성사진 파일:Kong-rey201810020440Z.jpg
진로도 파일:Kong-rey20181011track.png
활동 기간 2018년 9월 29일 15시 ~ 2018년 10월 6일 21시
영향 지역 , 필리핀, 대만, 일본, 중국, 대한민국, 북한, 러시아
태풍 등급 5등급[JTWC]
10분 등급 맹렬한 태풍[JMA]
태풍 크기 대형(직경 1500 km)
최저 기압 900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77 m/s
10분 평균 59 m/s
피해[9]사망자 2명
실종자 1명
피해총액[10] 549억 원

2018년 9월 29일 오후 3시 괌 서남서쪽 150km 해상에서 발생하였으며, JTWC 열대저기압 번호로는 30W.

5.1. 세력 변화

5.1.1. 미국 JTWC

미국 JTWC[11]
일시 중심위치 최대풍속(1분) SSHS 등급 예상강도 예상경로
28일 09시 북위 7.2도, 동경 151.0도 25노트 열대저기압 48시간 후 75노트
120시간 후 115노트
28일 15시 북위 8.5도, 동경 149.5도 25노트 48시간 후 70노트
120시간 후 115노트
28일 21시 북위 9.5도, 동경 148.0도 30노트 48시간 후 70노트
120시간 후 115노트
29일 03시 북위 11.2도, 동경 146.5도 35노트 열대폭풍 48시간 후 85노트
96시간 후 120노트
29일 09시 북위 12.4도, 동경 144.2도 35노트 48시간 후 85노트
96시간 후 125노트
29일 15시 북위 12.7도, 동경 142.1도 35노트 48시간 후 80노트
96시간 후 125노트
29일 21시 북위 12.9도, 동경 140.6도 35노트 48시간 후 80노트
96시간 후 115노트
30일 03시 북위 13.4도, 동경 139.5도 55노트 36시간 후 85노트
72시간 후 125노트
120시간 후 95노트
30일 09시 북위 13.8도, 동경 138.6도 60노트 48시간 후 120노트
120시간 후 80노트
30일 15시 북위 14.4도, 동경 137.9도 65노트 1등급 48시간 후 120노트
120시간 후 75노트
30일 21시 북위 14.9도, 동경 137.2도 70노트 48시간 후 120노트
120시간 후 75노트
1일 03시 북위 15.3도, 동경 136.4도 90노트 2등급 36시간 후 130노트
72시간 후 105노트
120시간 후 75노트
1일 09시 북위 15.6도, 동경 135.9도 95노트 36시간 후 130노트
72시간 후 85노트
120시간 후 65노트
1일 15시 북위 16.1도, 동경 135.2도 110노트 3등급 24시간 후 130노트
48시간 후 110노트
120시간 후 70노트
1일 21시 북위 16.8도, 동경 134.4도 125노트 4등급 12시간 후 135노트
48시간 후 110노트
120시간 후 70노트
2일 03시 북위 17.3도, 동경 133.6도 135노트 12시간 후 140노트
48시간 후 110노트
120시간 후 70노트
2일 09시 북위 17.6도, 동경 132.7도 140노트 5등급 24시간 후 135노트
48시간 후 100노트
120시간 후 60노트
#
2일 15시 북위 18.2도, 동경 132.0도 140노트 24시간 후 125노트
48시간 후 95노트
120시간 후 60노트
#
2일 21시 북위 18.9도, 동경 131.2도 135노트 4등급 48시간 후 90노트
120시간 후 55노트
3일 03시 북위 19.5도, 동경 130.4도 130노트 48시간 후 75노트
120시간 후 45노트
3일 09시 북위 20.1도, 동경 129.7도 125노트 48시간 후 75노트
120시간 후 35노트
3일 15시 북위 20.8도, 동경 129.2도 105노트 3등급 48시간 후 75노트
120시간 후 40노트
3일 21시 북위 21.6도, 동경 128.7도 100노트 48시간 후 75노트
96시간 후 45노트
4일 03시 북위 22.4도, 동경 128.1도 90노트 2등급 48시간 후 75노트
96시간 후 45노트
#
4일 09시 북위 23.2도, 동경 127.6도 70노트 1등급 48시간 후 55노트
96시간 후 35노트
4일 15시 북위 24.4도, 동경 127.1도 65노트 48시간 후 50노트
96시간 후 30노트
4일 21시 북위 25.5도, 동경 126.6도 60노트 열대폭풍 36시간 후 55노트
72시간 후 45노트
5일 03시 북위 26.8도, 동경 126.0도 55노트 36시간 후 45노트
72시간 후 35노트
5일 09시 북위 28.0도, 동경 125.6도 55노트 24시간 후 50노트
48시간 후 40노트
5일 15시 북위 29.5도, 동경 125.7도 55노트 24시간 후 50노트
48시간 후 40노트
5일 21시 북위 31.4도, 동경 125.8도 55노트 24시간 후 50노트
48시간 후 45노트
6일 03시 북위 32.9도, 동경 126.8도 55노트 12시간 후 50노트
24시간 후 40노트
6일 09시 북위 35.0도, 동경 128.6도 55노트 12시간 후 50노트
24시간 후 40노트
6일 15시 북위 37.6도, 동경 130.7도 55노트 12시간 후 50노트
24시간 후 40노트
6일 21시 북위 39.0도, 동경 133.4도 50노트 12시간 후 40노트
24시간 후 35노트
7일 03시 북위 40.7도, 동경 136.9도 45노트 12시간 후 35노트
24시간 후 25노트
7일 09시 북위 42.0도, 동경 140.4도 온대저기압으로 변질

[펼치기/접기] Best-Track 풍속 (03시-09시-15시-21시)

TD - 열대저기압, TS - 열대폭풍, Ca - 카테고리 a 태풍, EX - 온대저기압, 굵은 글씨 - 최성기, 풍속의 단위는 kn(노트)
JTWC 공식 사후해석 결과
최저 중심기압 : 906hPa (2일 03시)
최고 풍속 : 150kn(약 78m/s) (2일 03시)
28일 X - 25(TD) - 30 - 35(TS)
29일 35 - 40 - 45 - 50
30일 65(C1) - 80 - 80 - 85(C2)
01일 90 - 100(C3) - 115(C4) - 135(C4 슈퍼)
02일 150(C5) - 145 - 140 - 130(C4)
03일 120 - 105(C3) - 95(C2) - 85
04일 75(C1) - 70 - 65 - 65
05일 65 - 60(TS) - 60 - 65(C1)[12]
06일 65 - 60(TS) - 55 - 50(EX)

5.1.2. 한국 기상청(KMA)

한국 기상청 [13]
일시 중심위치 현재세력 [14] 등급 예상강도 이동속도 크기
29일 15시 괌 서남서쪽 150km 해상 1000hPa, 18m/s 24시간 후 990hPa, 24m/s
120시간 후 940hPa, 47m/s
서북서 30km/h 소형
29일 21시 괌 서쪽 350km 해상 996hPa, 20m/s 24시간 후 985hPa, 27m/s
120시간 후 940hPa, 47m/s
서북서 21km/h
30일 09시 괌 서쪽 640km 해상 985hPa, 27m/s 24시간 후 975hPa, 32m/s
96시간 후 940hPa, 47m/s
서북서 18km/h
30일 21시 괌 서북서쪽 840km 해상 970hPa, 35m/s 24시간 후 955hPa, 40m/s
48시간 후 940hPa, 47m/s
서북서 20km/h
1일 09시 괌 서북서쪽 990km 해상 960hPa, 39m/s 24시간 후 945hPa, 45m/s
48시간 후 940hPa, 47m/s
서 11km/h 중형
1일 21시 괌 서북서쪽 1150km 해상 940hPa, 47m/s 매우 강 24시간 후 925hPa, 51m/s
120시간 후 970hPa, 35m/s
서북서 14km/h
2일 09시 오키나와 남남동쪽 1080km 해상 925hPa, 51m/s 24시간 후 920hPa, 53m/s
120시간 후 970hPa, 35m/s
서북서 20km/h
2일 15시 오키나와 남남동쪽 1000km 해상 920hpa, 53m/s 24시간 후 925hpa, 51m/s
120시간 후 980hpa, 29m/s
북서 14km/h
2일 21시 오키나와 남남동쪽 900km 해상 920hpa, 53m/s 24시간 후 930hPa, 50m/s
96시간 후 970hPa, 35m/s
북서 19km/h
3일 09시 오키나와 남남동쪽 710km 해상 930hPa, 50m/s 24시간 후 940hPa, 47m/s
72시간 후 960hPa, 39m/s
북서 18km/h
3일 21시 오키나와 남남동쪽 530km 해상 950hPa, 43m/s 24시간 후 960hPa, 39m/s
72시간 후 980hPa, 29m/s
북북서 15km/h
4일 09시 오키나와 남쪽 360km 해상 960hpa, 39m/s 24시간 후 970hPa, 35m/s
48시간 후 975hPa, 32m/s
북북서 15km/h
4일 21시 오키나와 남서쪽 150km 해상 970hPa, 35m/s 24시간 후 975hPa, 32m/s
48시간 후 985hPa, 27m/s
북북서 21km/h
5일 09시 오키나와 북서쪽 270km 해상 975hPa, 32m/s 24시간 후 980hPa, 29m/s
36시간 후 985hPa, 27m/s
북북서 25km/h
5일 21시 서귀포 남남서쪽 240km 해상 975hPa, 32m/s 12시간 후 980hPa, 29m/s
24시간 후 990hPa, 24m/s
북 37km/h
6일 09시 통영 서남서쪽 40km 해상 975hPa, 32m/s 12시간 후 985hPa, 27m/s
24시간 후 990hPa, 24m/s
북동 41km/h
6일 21시 독도 북동쪽 210km 해상 985hPa, 27m/s 동북동 46km/h 소형
7일 03시 삿포로 서남서쪽 480
km 해상
990hpa, 24m/s 동북동 59km/h
7일 09시 삿포로 남남서쪽 120
km 해상
990hpa, 24m/s 온대저기압으로 변질

5.1.3. 일본 기상청(JMA)

일본 기상청[15]
일시 중심위치 현재세력 등급 강풍반경[16][17]
중심기압 최대풍속(10분)
29일 15시 북위 12.6도, 동경 142.6도 1000hPa 35노트 170km
29일 21시 북위 12.8도, 동경 141.4도 996hPa 40노트 220km
30일 03시 북위 13.1도, 동경 139.9도 990hPa 50노트 220km
30일 09시 북위 13.7도, 동경 138.9도 980hPa 60노트 280km
30일 15시 북위 14.5도, 동경 138.1도 975hPa 65노트 280km
30일 21시 북위 14.9도, 동경 137.2도 965hPa 75노트 330km
1일 03시 북위 15.4도, 동경 136.4도 950hPa 85노트 매우 강 330km
1일 09시 북위 15.6도, 동경 135.9도 940hPa 90노트 390km
1일 15시 북위 16.1도, 동경 135.2도 925hPa 100노트 440km
1일 21시 북위 16.8도, 동경 134.4도 900hPa 115노트 맹렬 440km
2일 03시 북위 17.3도, 동경 133.6도 900hPa 115노트 440km
2일 09시 북위 17.7도, 동경 132.7도 900hPa 115노트 440km
2일 15시 북위 18.2도, 동경 132.0도 900hPa 115노트 440km
2일 21시 북위 18.9도, 동경 131.2도 915hPa 105노트 650km
3일 03시 북위 19.5도, 동경 130.4도 940hPa 90노트 매우 강 650km
3일 09시 북위 20.1도, 동경 129.7도 950hPa 85노트 650km
3일 15시 북위 20.9도, 동경 129.2도 955hPa 80노트 740km
3일 21시 북위 21.6도, 동경 128.8도 970hPa 70노트 740km
4일 03시 북위 22.5도, 동경 128.1도 975hPa 65노트 560km
4일 09시 북위 23.2도, 동경 127.7도 975hPa 65노트 560km
4일 15시 북위 24.3도, 동경 127.1도 975hPa 60노트 560km
4일 21시 북위 25.4도, 동경 126.7도 975hPa 60노트 560km
5일 03시 북위 26.7도, 동경 126.1도 975hPa 60노트 560km
5일 09시 북위 28.0도, 동경 125.9도 975hPa 60노트 560km
5일 15시 북위 29.5도, 동경 125.9도 975hPa 65노트 560km
5일 21시 북위 31.3도, 동경 126.0도 975hPa 65노트 560km
6일 03시 북위 32.9도, 동경 126.5도 975hPa 65노트 560km
6일 09시 북위 34.7도, 동경 128.1도 975hPa 60노트 560km
6일 15시 북위 37.1도, 동경 130.4도 980hPa 55노트 440km
6일 21시 북위 38.9도, 동경 133.7도 984hPa 온대저기압으로 변질

5.2. 기록

강수량(mm) [18] 공식 제주 제주 340.8 서귀포 203.4 성산 175.8 고산 114.5
경남 남해 306.5 함양 250 합천 235.5 산청 235 거제 234 진주 222.9 양산 216.5 북창원 211 의령 194.5 울산 159.5 통영 158.9 창원 144.1 부산 119.8
경북 영덕 304 포항 256.5 경주 218 울진 202.1 대구 156.5 상주 153.5 영천 134
전라 강진 253.5 광양 229 순천 187.5 고흥 171.6 여수 139.9 목포 133.2 고창 126.7 부안 122.5 광주 111 전주 92.5
강원 동해 221.6 강릉 199.5 태백 198.5 속초 147.4 춘천 97.2 정선 94.5 인제 76
경기/충청 홍성 178.6 추풍령 174.7 보령 120.5 수원 103.2 서울 92.0 이천 91.3 청주 88.2 천안 81.3 인천 67.7
비공식(AWS) 제주 윗세오름 748.5 사제비 674 어리목 654 산천단 488.5 오등 457.5 외도 422 선흘 373.5 송당 307 신례 249.5 태풍센터 239 마라도 181.5
경남 지리산 336 시천(산청) 319 삼동(울산) 312 개천(고성) 296.5 대곡(진주) 265 하동 261 신포(의령) 259.5 대병(합천) 257 사천 251 진영(김해) 248 단장(밀양) 234 길곡(창녕) 220.5 고성 205 금정구 202
경북 토함산 376 천부(울릉) 365 영덕읍 315.5 구룡포 280 청하(포항) 277 대덕(김천) 267.5 산내(경주) 248.5 평해(울진) 234 온정(울진) 210.5 주왕산(청송) 201.5
전라 광양백운산 321 다도(나주) 264 현산(해남) 256 관산(장흥) 230.5 뱀사골 203.5 땅끝(해남) 200.5 위도(부안) 191 이양(화순) 184.5 전남도청 170 완도읍 170 덕유산 169
강원 삼척 248.5 옥계(강릉) 214.5 신기(삼척) 184 양양 181 청호(속초) 164 사북(정선) 157.5 진부령(고성) 139
경기/충청 홍북(홍성) 164 송탄(평택) 148 홍성죽도 142 역삼(용인) 136 광진구 119 성거(천안) 117 서초구 113
순간최대풍속(m/s) 공식 제주 고산 34.7 성산 23.2 제주 21.7 서귀포 11.2
경남/강원 부산 33.6 통영 31.3 동해 27.0 김해 26.1 거제 24.6 울산 23.9 창원 23.5 양산 22.3 태백 17.9 강릉 17.1 진주 10.3
전라/충청/경기 흑산도 32.4 여수 28.3 목포 23.9 추풍령 23.4 보성 21.4 광주 20.4 고창 19.9 영광 19.0 인천, 보령 15.1 전주 14.9 대전 14.0
경북 울릉 36.6 봉화 22.7 울진 22.6 영덕 21.6 경주 17.1 포항 16.7 대구 14.1
비공식(AWS) 제주 사제비 53.0 진달래밭 50.2 마라도 29.9 추자도 28.3 구좌 25.9 제주공항 25.0 색달 24.6
경남 매물도 40.7 간절곶 39.2 부산남항 37.1 양지암(거제) 35.6 부산북항 34.0 울산공항 33.9 울기(울산) 33.6 생림(김해) 28.9 가덕도 27.7 장목(거제) 27.0 영도 25.4 해운대 24.1 고성 21.3 삼천포(사천) 20.4
전라 가거도 38.8 나로도 27.7 무등산 26.5 수유(진도) 25.8 포두(고흥) 24.2 화순 23.3 함평 22.6 담양 20.7
경북 독도 34.1 구룡포 33.4 죽변(울진) 28.5 부석(영주) 23.0 감포(경주) 22.9 영덕읍 19.0 영양 17.8 달성 17.7
강원 옥계(강릉) 29.1 삼척 28.0 원덕(삼척) 25.8 설악산(양양) 24.8 사북(정선) 23.8 대화(평창) 20.0 주문진 18.6
경기/충청 북격렬비도 23.9 아산 20.2 춘장대(서천) 20.0 신둔(이천) 19.8 증평 17.6 구로 15.4
최저해면기압(hPa) 공식 제주 성산 972.9 서귀포 976.1 고산 979.2 제주 979.5
경남 남해 977.0 통영 978.0 거제 980.1 창원 980.1 의령 982.5 진주 982.8 밀양 983.5 울산 984.4 합천 985.9 부산 986.4
전라 여수 977.0 고흥 981.4 광양 982.1 순천 985.5 장흥 986.2 진도 989.4 광주 990.4
경북 경주 983.8 포항 984.7 영천 984.9 대구 985.0 영덕 986.8 울진 988.8
비공식(AWS) 제주 태풍센터 975.5 송당 975.5 제주공항 979.7 삼각봉 980.8
경남 상주면(남해) 975.2 삼천포 977.7 부산남항 981.0 함안 981.5 하동 983.3 울산공항 985.0 삼가(합천) 985.3
전라 거문도 971.2 여서도(완도) 979.1 도화(고흥) 979.6 여수공항 982.6 구례 985.9
경북 경산 984.7 달성 985.3 화북(영천) 985.8 영덕읍 987.4 평해(울진) 987.8

5.3. 현황

24호 태풍 짜미가 일본행을 확정짓고 일본 방향으로 빠르게 북상하면서 잠잠해지나 싶더니 2018년 9월 29일 오후 3시 괌 서남서쪽 250km부근 해상에서 또다시 태풍이 발생하였다. 25호 태풍 콩레이 역시 슈퍼 태풍까지 발달할 가능성이 있고[19] 아직 어느 방향으로 북상할지는 불투명하다. 우선 며칠 더 지켜본 뒤에 경로가 대략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10월 2일이나 3일경 예상 경로가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로 예측 모델 여러 개를 보았을 때, 일단 대만이나 일본에 상륙할 가능성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여지긴 하나 한국에 올 가능성도 어느 정도 있다는 것만 생각하고 있으면 된다.[20]

9월 30일 오후 10시 발표 정보에 따르면 대만 상륙 확률이 낮아지고 오히려 중국 동부나 한반도, 일본행이 점쳐지고 있다. 현재 발표 자료로써는 10월 5일 타이완 북부 해상으로 진출한다고 하는데, 아직 확실하지 않다. 또한 태풍의 강도가 빠르게 강해지며 슈퍼태풍까지는 아니더라도 상당히 강한 태풍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크므로 한반도 북상 확률이 높아졌다는 것만 인지하고 경로가 확정될 때까지 지켜봐야 하겠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70hPa, 중심 최대 풍속이 35m/s인 강한 태풍으로 발달하였다. 10월 1일, 콩레이가 다시 한번 급발달하면서 JTWC에서 130노트, 즉 슈퍼태풍에 도달할 것이라는 예보를 내놓았다. 10월 1일 밤에는 슈퍼 태풍 되기 직전인 125노트까지 발달하면서 슈퍼 태풍 발달 확률이 매우 높아졌다. 24시간 전 카테고리 1급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1일 하루동안 엄청난 급발달을 한 셈. 그리고 10월 2일, 슈퍼태풍 진입은 현실이 되었다. 10월 2일 오전 9시 기준 카테고리 5로 올라갔다. 다만 10월 2일부터 수온과 열용량이 낮은 해역에 진입하게 되었고,[21] 2일 밤부터 약화가 시작되었다.

10월 2일 오후 9시 기준 일본기상청의 예상진로는 6일 오후에 제주도 동쪽을 스치고 이후 빠른 속도로 영남 동해안 일대를 스치면서 태풍이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년전 한반도를 내습한 차바와 유사한 진로와 강도로 비슷한 피해를 받게 될듯 싶어 우려스럽다.

10월 3일 오후에 접어들면서부터는 급약화가 시작되었다. 태풍 피해가 당초 예상보다 적을 수도 있을 듯하다.[22]

하지만 약화한다 해도 태풍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전국이 간접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인다.

10월 4일까지 급약화가 멈추지 않아 4일 오전부터 70노트, 즉 카테고리 1까지 약화되었다. 참고로 콩레이는 카테고리 1급이 되기 48시간 전만 해도 카테고리 5였었다. 당초 예상보다 훨씬 빠른 약화로 한국에 상륙할 때의 예상 풍속이 떨어졌다. 다만 곧 진입하는 오키나와 부근 해역에서는 해상 환경이 지금처럼 처참하지는 않기 때문에 약화가 느려질 것이 예상되고 있으며, 약간의 재발달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재발달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약 12시간 뒤, 열대폭풍으로 약화되었다. 재발달의 가능성은 지금으로서는 완전히 0%에 도달했다.[23]

10월 5일 새벽부터 태풍의 전면 수렴대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비가 오고 있다. 밤늦게부터는 제주도를 시작으로 남부지방이 직접영향권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상륙 직전인 10월 5일 21시 예보에서 일본 기상청은 제주도를 상륙한 이후 여수-광양 일대 상륙을 내다보고 있으며, 상륙 시점 세기는 965 hPa, 35m/s를 내다보고 있다. 우리나라 기상청의 경우 제주도를 스쳐 지나가 통영 일대 상륙을 내다보고 있으며, 상륙 시점 세기는 980 hPa, 29m/s를 내다보고 있다. 미 해군 태풍센터의 경우 우리나라 기상청과 일본 기상청의 사이 진로를 보고 있다.

10월 6일 4시경 콩레이는 제주도 서쪽을 스쳐 지나갔으며, 이후 북동진을 진행하여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 9시 50분경 경남 통영(북위 34.8도, 동경 128.4도)에 상륙하였다. 이후 10시 20분경 창원을 지났고, 이후 밀양과 경주, 포항일대를 거쳐 12시 50분경 동해상으로 빠져나갔다.

10월 6일 21시, 동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그리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도 10월 7일 9시에 일본 홋카이도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5.4. 대응

5.5. 피해

5.5.1. 제주

5.5.2. 부산, 울산, 경남

5.5.3. 대구, 경북

5.5.4. 호남

5.5.5. 강원도 영동

5.5.6. 그 외

5.5.7. 일본

5.6. 기타



[JTWC] [JMA] [JTWC] [JMA] [JTWC] [JMA] [JTWC] [JMA] [9] 국내 한정[10] 관련 기사[11] 속보치 기준,[12] 일본 기상청의 사후해석과 마찬가지로 한반도 남쪽에서의 재발달을 반영했다.[13] 한국 기상청 태풍 정보 아카이브[14] 중심기압, 최대풍속(10분)[15] JMA 베스트 트랙(사후해석) 기준[16] 풍속 30노트 이상[17] 베스트 트랙 상 해리(nm)단위로 표기되어 있어 km로 변환 후 10km 단위로 반올림[18] 10월 4일 ~ 6일 누적[19] JTWC 기준 130노트 이상이 슈퍼 태풍인데, 30일 기준 120노트까지 발달할 후 약화 시작을 예상하고 있어 확률이 별로 안 높다.[20] 일본 상륙을 예상하는 예측 모델이 가장 많고, 대만 예측 모델이 한국 예측 모델보다 비슷하거나 약간 많다. 대한민국 기상청 슈퍼컴 예측에서는 한국 남부지방행을 예상하는 중.[21] 전 태풍인 짜미가 지나가면서 수온과 열용량이 낮아지게 되었다. 참고로 태풍이 지나간 바다는 수온과 열용량이 낮아진다.[22] 이 급약화 덕분에 차바보다 서쪽으로 갔음에도 불구하고 큰 피해가 없어 제명되지 않았다.[23] 그런데 모두의 예상을 깨고 놀랍게도 남해 먼바다에서 미미하지만 재발달이 있었다고 한다. #[24] KIA 타이거즈 VS SK 와이번스 경기는 다음 날 더블헤더로,두산 베어스 VS 롯데 자이언츠 경기는 10월 14일 재편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