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2:37:00

펜티먼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Arcaea의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Pentimen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Xbox 로고.svg파일:Xbox 로고 화이트.svg XBOX
주요 게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Xbox Game Studios 로고 가로형.svg 게임
파일: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로고.png 파일:Zoo_Tycoon.webp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Halo_logo_%282010-present%29.png 파일:Fable Reboot.png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주 타이쿤 헤일로 페이블
파일:포르자 로고.png파일:logo_forza_white_dfa79ead37.png 파일:Perfect Dark_rebot_logo.png 파일:기어스 오브 워 시리즈 로고.png 파일:Viva_Piñata_Logo.png
포르자 퍼펙트 다크 기어스 비바 피냐타
파일:Banjo-Kazooie_Logo.png 파일:스테이트 오브 디케이 로고.png파일:스테이트 오브 디케이 로고 화이트.png 파일:마인크래프트 로고.svg 파일:씨 오브 시브즈 로고.png
반조-카주이 스테이트 오브 디케이 마인크래프트 씨 오브 시브즈
파일:블리딩 엣지 로고.png 파일:battletoads-logo.png 파일:psychonauts-logo.png 파일:그라운디드 로고.png
블리딩 엣지 배틀토드 사이코너츠 그라운디드
파일:펜티먼트 로고.png 파일:헬블레이드 로고.png 파일:Avowed(2024)_logo.png 파일:South of Midnight_logo.png파일:South of Midnight_logo_white.png
펜티먼트 헬블레이드 어바우드 사우스 오브 미드나잇
파일:ClockworkRevolution-logo.png 파일:everwild 화이트.jpg 파일:The Outer Worlds LOGO.png 파일:projectmara-logo.png파일:projectmara-logo-white.jpg
클락워크 레볼루션 에버와일드 아우터 월드 프로젝트: 마라
파일:wasteland-logo_black.png파일:wasteland-logo.png
웨이스트랜드
파일:XGS-Global-Publishing-Logo.png 퍼블리싱 게임
파일:크랙다운 로고.png 파일:킬러 인스팅트 로고.png 파일:선셋 오버드라이브 로고.png 파일:Ori_시리즈_로고_블랙.png파일:Ori_시리즈_로고.png
크랙다운 킬러 인스팅트 선셋 오버드라이브 오리
파일:퀀텀 브레이크 로고.png파일:퀀텀 브레이크 로고 화이트.png 파일:리코어 로고.png 파일: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블랙.svg파일: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svg 파일:asduskfalls-logo.png파일:asduskfalls-logo-white.png
퀀텀 브레이크 리코어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애즈 더스크 폴즈
파일:아라: 히스토리 언톨드 로고.png 파일:towerbornelogo.svg 파일:콘트라밴드 로고.png 파일:OD_coverimage.jpg
아라: 히스토리 언톨드 타워본 콘트라밴드 OD
파일:제니맥스 미디어 로고.svg & 파일:베데스다 소프트웍스 로고.svg 퍼블리싱 게임
파일:돔 시리즈 로고.png파일:돔 시리즈 로고 화이트.png 파일:PngItem_3325169.png파일:퀘이크 시리즈 로고 화이트.png 파일:The Elder Scrolls Logo.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Fallout_logo.svg.png
퀘이크 엘더스크롤 폴아웃
파일:Wolfenstein_logo.png파일:Wolf_logo_white.png 파일:rage-logo.png 파일:Dishonored_logo.webp파일:Dishonored_logo_white.png 파일:디 이블 위딘 로고.png파일:디 이블 위딘 로고 화이트.png
울펜슈타인 레이지 디스아너드 디 이블 위딘
파일:프레이 로고 블랙.png파일:프레이 로고.png 파일:delop-logo.png파일:deathloop-logo.png 파일:고스트와이어 도쿄 로고 블랙.png파일:고스트와이어 도쿄 로고.png 파일:starfield_logo_black.png파일:starfield_logo.png
프레이 데스루프 Starfield
파일:logo_Redfall.png 파일:인디아나 존스 그레이트 서클 로고.png 파일:하이-파이 러시 로고.webp 파일:marvelsblade_logo_01.png
레드폴 인디아나 존스: 그레이트 서클 하이-파이 러시*1 마블 블레이드
*1: 크래프톤에 IP를 매각하면서 후속작에 대한 권리는 크래프톤이 가지고, 1편의 퍼블리싱 권리만 가짐.
파일:액티비전 블리자드 로고.svg 퍼블리싱 게임
파일:콜 오브 듀티 시리즈 로고 (2023).svg파일:콜 오브 듀티 시리즈 로고 화이트 (2023).svg 파일:캔디 크러쉬 사가.png 파일:warcraftserieslogo.png 파일:diabloseriesnew.png
콜 오브 듀티 캔디 크러시 사가 워크래프트 디아블로
파일:스타크래프트 로고.png 파일:오버워치 워드마크.svg파일:오버워치 워드마크 화이트.svg 파일:Crash_bandicoot_logo.png 파일:Spyro Logo 2018.png
스타크래프트 오버워치 크래쉬 밴디쿳 스파이로
파일:TonyHawks.png 파일: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로고.png 파일:Skylanders Logo.png 파일:Geometry-Wars-3-Dimensions-Logo-BLK.png
스카이랜더스
파일:Xbox 로고 화이트.svg | 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
엑스박스 관련 문서 · 엑스박스 주요 모바일 게임 · 게임 출시 일정 }}}}}}}}}
펜티먼트
Pentiment
<colbgcolor=#ae531a> 개발 옵시디언 엔터테인먼트
유통 Xbox Game Studios
플랫폼 Xbox One | Xbox Series X|S | Microsoft Windows
PlayStation 4 | PlayStation 5 | 닌텐도 스위치
Xbox Cloud Gaming
ESD Microsoft Store[1] | Steam | PlayStation Network | 닌텐도 e샵
장르 RPG 어드벤처 게임
출시 2022년 11월 15일
2024년 2월 22일(PS, 닌텐도)
개발자 게임 디렉터 및 내러티브 디렉터
조슈아 에릭 소여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2]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시스템 사양3. 개발 비화4. 게임 메카닉
4.1. 선택과 대화4.2. 안드레아스라는 책
5. 스토리6. 등장 인물
6.1. 주인공6.2. 주변 인물6.3. 예술가의 마음
7. 평가8. 기타

[clearfix]

1. 개요

폴아웃: 뉴 베가스필라스 오브 이터니티 시리즈의 디렉터로 유명한 조쉬 소여옵시디언 엔터테인먼트 내 극소수의 인원[3]을 동원해 개발한 실험적인 작품이다. 내러티브 어드벤처 및 조사 RPG를 표방하고 있다.

게임 제목 Pentiment는 이탈리아어로 '회개'를 뜻하는 'pentimento'와 다른 이미지를 덧칠해서 잘 보이지 않지만 분명 흔적이 남아있는 초기의 이미지나 붓놀림을 지칭하는 회화 용어인 'pentimento'에서 파생되었으며, 게임의 주제에 매우 중요하다고 한다.

한국시간 기준 2023년 5월 26일 새벽 3시에, 한국어 현지화를 포함한 업데이트가 릴리즈되어 한글화되었다.

2. 시스템 사양

Windows PC 시스템 요구 사양
범주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olbgcolor=#ae531a><colcolor=#ffffff> 운영체제 Windows 7 (SP1) 64bit
프로세서 Intel Core i3-3225
4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650 Ti
VRAM 1GB VRAM
저장 공간 12 GB
DirectX DirectX 11
HDR X
3D 공간 오디오 X
PC 특화·전용 기능
파일:Xbox Play Anywhere 로고 화이트.svg Xbox Play Anywhere 지원 O
파일:Xbox Play Anywhere 로고 화이트.svg PC판 - 콘솔판 - 클라우드판 교차 구매(Cross-Buy) 제공 O
파일:Xbox Play Anywhere 로고 화이트.svg PC - 콘솔 - 클라우드 사이의 저장 파일 공유(Cross-Save) 지원 X
PC - 콘솔 - 클라우드 사이의 합동 멀티플레이(Cross-Play) 지원 멀티 없음
Xbox Cloud Gaming 독립 실행형 클라우드판 제공 -
Steam과의 도전과제 연동 지원 O
Xbox 콘솔 성능 프로필
범주 Xbox Series X Xbox Series S Xbox Cloud Xbox One X Xbox One S Xbox One
종합 성능 4K 60FPS 1440p 60FPS 1080p 60FPS 1080p 60FPS 1080p 60FPS 1080p 60FPS
그래픽 부가기능 - - - - - -
HDR HDR10 X X X X X X
Dolby Vision X X X X X X
3D 공간 오디오 X X X X X X
스마트 딜리버리 O O - O O O
추가 조작 터치
콘솔 특화·전용 기능 퀵 리쥼 퀵 리쥼

3. 개발 비화

펜티먼트의 개발기간은 총 4년에 달하지만, 구체적인 역사는 1992년서 시작한다. 당시 조쉬 소여는 다크랜즈(Darklands)라는 RPG를 즐기고 있었는데, 15세기 신성 로마 제국을 배경으로 하는 이 게임 덕분에 소여는 역덕후가 되었고[4] 향후 역사 게임 관련 아이디어를 가지게 된다. 소여는 블랙 아일 스튜디오에서 일하고 있을 때, 옵시디언 엔터테인먼트의 CEO인 퍼거스 어커하트에게 펜티먼트의 프로토타입에 관한 아이디어를 전달한다. 하지만 어커하트는 이 게임에 그다지 관심이 없었고, 역사에 문외한인 사람들은 이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으려 들 것이라며 퇴짜를 놓았다.

이후 조쉬 소여옵시디언 엔터테인먼트로 이적하면서 이 아이디어가 다시 부활하게 된다. 소여는 이 게임이 처음부터 틈새 시장에나 자리잡을 게임이란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작은 규모의 개발팀을 원했다. 소여는 게임 개발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고, 16세기의 서사적 모험을 담은 새로운 게임을 만들게 되었다.
"만약 사람들이 역사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역사의 모습과 아이디어만 좋아한다면, 나는 그들이 역사를 겪으면서 수동적으로 지식을 흡수하기를 바랍니다."

“저는 그들이 스토리를 즐기거나 즐겁게 하면서도 16세기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조쉬 소여

조쉬 소여는 이 게임을 '탐정 게임'이라고 부르는 것을 싫어한다. 소여는 역사 또는 중세 예술에 관심이 있는 게이머를 잡고 싶다고 말했다. 그리고 펜티먼트는 모든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 교육적인 게임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소여는 설정과 스타일이 상당히 다르지만 과거 자신이 만들었던 폴아웃: 뉴 베가스필라스 오브 이터니티가 담고 있던 죽음, 사회적 변화, 계급 갈등과 같은 주제를 많이 탐구한다고 말했다. 중세 사회를 구성한 수많은 유형의 사람들에 대한 광범위하고 다양한 초상을 보여줌으로써 이러한 아이디어를 검토한다고 말했다.

조쉬 소여는 아트 디렉터 한나 케네디(Hannah Kennedy)의 아이디어와 스타일이 없었다면 펜티먼트는 존재하지도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여는 중세 후기와 초기 현대 미술 사이의 과도기를 더 잘 보여주기 위해 목판화, 판화 및 초기 인쇄물과 중세 후기 필사본을 혼합하고 싶어했다. 그리고 그것을 한나 케네디가 해냈다.

중세 필사본의 스타일리시한 글꼴 때문에 게임 텍스트를 읽기 어려워 하는 사람이 속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는 Xbox 접근성 팀의 지원과 관심으로 쉬운 글꼴 모드를 만들어 문제를 해결했다. 게임은 정말 어렵지 않아야 하고, 소여 자신과 다른 한계를 가진 사람들에게 게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Xbox 접근성 연구실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이 게임은 텍스트가 정말 많은 게임이며, 비영어권 사용자가 게임을 할 때 현지화 품질이 게임 경험을 크게 좌우할 것이라고 밝혔다. 때문에 조쉬 소여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게임 언어 현지화가 매우 중요하다고 설파하며, 품질 높은 현지화를 할 것을 촉구했다.

게임이 높은 판매량을 가질 거 같지 않고 그래픽이 떨어져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게임 개발을 어떻게 승인받을 수 있었냐는 기자의 질문에, 소여는 상사를 설득시키기 매우 쉬웠다고 한다. 사람들이 다양한 타이틀을 쉽게 시도해 볼 수 있는 Xbox Game Pass란 플랫폼이 있다는 이유로 소여의 아이디어는 쉽게 승인됐다. 만약에 게임패스라는 플랫폼이 탄생하지 않았으면, 크라우드 펀딩을 시도해야 했을 것이다. 대형 스튜디오는 새로운 게임으로 수익을 창출해야 하며, 더 크고 주류가 아닌 더 작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탐색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은 선택이지만, 게임패스는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 할 게임을 세상에 나오도록 만들었다.

게임 개발에 '더 모건 라이브러리 & 뮤지엄'과 '바이에른 주립 도서관'의 디지털 자료를 참조했고, 뉘른베르크 연대기(Nuremberg Chronicle) 역시 참조했다.[5] 로스엔젤레스 헌팅턴 도서관, J. 폴 게티 미술관에서도 많은 자료를 구했다. 독일의 화가이자 판화 제작자인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추리의 서사를 짜기 위해 소설 장미의 이름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을 많이 참조했다.

펜티먼트는 아이템이나 파워업 같이 플레이어에게 '양성 피드백'을 주는 요소가 없다. 때문에 플레이어에게 양성 반응을 줄 수 있는 요소로, 게임에 더욱 많은 어린이를 등장시킨다. 한나 케네디는 "플레이어들은 게임 플레이에서 아이들을 우연히 발견하고 아이들을 보면 긍정적인 반응을 보입니다."라고 설명했다.

파일:pentiment-child.jpg

게임은 시대착오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나, 본인이 역사학자가 아니면 알아차리기 힘든 수준이라고 한다(게임적 허용?). 에드먼드 케른(Edmund Kern) 박사, 크리스토퍼 드 하멜(Christopher De Hamel) 박사, 윈스턴 블랙(Winston E. Black) 박사의 컨설팅과 검증으로 가능한한 시대적 고증을 정확하게 하려고 노력했다. 조쉬 소여 외에도 펜티먼트 제작 팀의 다른 작가 한 명도 역사 전공자다.

펜티먼트가 정확한 느낌과 사운드를 갖도록 하기 위해 Alkemie Medieval Music Ensemble을 고용해 역사적 정확성을 최대한으로 높였다. 이 앙상블 팀은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음악을 연구하고 공연하는 그룹으로, 펜티먼트의 음악도 만들었다.

소여는 독일 바이에른에 대한 자신의 관심이, 자신의 족보 연구에서 시작되었다고 밝혔다. 그의 가계 혈통에는 모호함이 있었고, 족보를 조사해가면서 바이에른 지역에 대해 그는 더 많이 알게 되었다.

게임의 글꼴을 담당한 Lettermatic 팀의 라일리 크랜(Riley Cran)은 당시 시대의 글쓰기 스타일을 그대로 게임에 접목시키기 위해 엄청나게 많은 책을 읽고 라틴어 쓰기의 큰 가계도를 구축했다고 회고했다. 게임 제작 연구를 위해 수많은 책을 구입했다고 회상했다. 덕분에 16세기 유럽 고딕 양식과 스크립트 작성 스타일 뿐만 아니라 더 일상적인 스타일의 텍스트도 게임에 녹여낼 수 있었다.

게임에는 150~200여 명의 고유한 캐릭터가 등장하며, 플레이어가 용의자를 지목한 결정에 대해 막중함을 느낄 수 있도록 각 용의자마다 고유의 죽음 및 처형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다.

4. 게임 메카닉

4.1. 선택과 대화

"게임에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살인자가 누군지 확실하게 말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수사를 해야 하고, 가능한 한 많은 증거를 찾아야 합니다. 당신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기반으로 결정을 내립니다. 당신은 기본적으로 누가 범죄의 대가를 지불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당신이 생각하는 그 사람이 실제로 범죄를 저질렀을 수 있습니다. 당신이 생각하는 그 사람이 범죄를 저질렀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처벌받아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지목한 사람은) 아마도 당신이 (게임속에서) 가장 좋아하는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아마도 커뮤니티가 가장 그리워할 사람이라고 생각되어지는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 조쉬 소여
플레이어의 판단력과 스스로의 정의감에 크게 의존한다. 게임에는 정답이 없다. 플레이어는 원하는 인물을 처형하도록 대공(Archduke)을 설득할 수 있다. 마음에 안드는 캐릭터를 살인자로 지목해 고통받게 할 수 있다. 아니면 좋아하는 등장인물이 잘못 처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른 누군가를 살인자로 몰아가야 할 수 있다. 선과 악의 이분법적 구조를 내세우던 종래의 RPG 게임과는 이질적이다. 아예 게임 초반부터 특정 인물을 처형시킬 수 있으며, 게임은 계속 진행되면서 마을 사람들의 삶에 매우 오랜 기간 동안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

게임의 주요 요소는 주민들과 대화하는 것이다. 또한 포인트 앤 클릭 게임처럼 세상의 물체와 상호 작용하고 퍼즐을 풀고 단서를 찾을 수 있다. 게임에는 다양한 미니게임이 등장하며 어느 것도 도전적이지 않으므로, 미니 게임이 진행을 방해하는 순간은 없을 것이다. 게임은 분기 내러티브 구조이며, 멀티 엔딩을 가지고 있다.

Pentiment는 16세기 독일 바이에른을 배경으로 25년의 기간을 다루고 있다. 게임은 본질적으로 미스터리를 담고 있는 서사적 어드벤처이다. 플레이어는 학교에서 Andreas가 잘 했던 것, 안드레아스가 공부했던 국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선택은 범죄 수사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과 할 수 있는 대화의 종류와 질문할 수 있는 내용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바젤에서 공부를 했다고 하면 바젤, 취리히, 베른, 프리트베르크의 문화적 시금석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고, 이탈리아에서 공부를 했다고 선택하면 이탈리아어와 조금의 그리스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되며 피렌체, 베네치아밀라노풍 예술품에서 어떠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웅변가로서의 배경을 선택한다면 군중 앞에서 가르치고, 설득하고, 말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니면 그가 대학에서 오컬트를 연구하는 데 시간을 할애했다고 선택한다면 점성술, 강령술, 고대 마법 의식에 관한 지식을 가지게 될 것이다.

당신은 유럽 전역을 여행하며 마스터 아티스트가 되기 직전의 성경 삽화 장인 안드레아스 말러로 플레이 하게 된다. 베네딕토회 수도원에 머물며 원고(걸작) 작업을 하는 동안 그의 친구이자 멘토는 저명인사를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의 친구는 결백을 주장하지만 아무도 진짜 살인자가 누구인지 조사하는 데 관심이 없는 거 같다. 이 사건으로 안드레아스는 많은 용의자들과 이야기하면서 일종의 중세 탐정이 된다. 농민, 도둑, 장인, 사제, 수도자, 귀족, 심지어 성인까지 조사하고 심문하여 진실을 폭로해야 한다. 수도원 공동 묘지에서 죽은 수도승의 시신을 파헤칠 수 있고, 다음 날은 농부의 험담을 도청하는 데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주인공이 내리는 모든 결정과 비난은 다음 세대에 걸쳐 긴밀하게 연결된 게임 속 커뮤니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결과를 초래한다.

시내 한가운데서 푸짐한 식사를 하는 동안 누구와 함께 앉을지 선택하는건, 누구로부터 정보를 캐낼지를 결정하는 것만이 아니라 나랑 같이 앉지 않은 제3자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미망인이 십자가를 치우고 그림을 걸어달라는 부탁을 할 수 있는데, 십자가를 치우는 행동은 신성모독이 될 수 있다. 신성모독은 안드레아스를 괴롭히는 선택이 될 수 있다. 만약 출신 배경으로 연사(Orator)를 선택했다면, 노파가 십자가를 훼손시키지 않도록 설득할 수 있게 된다. 십자가를 치워버리는 일이 미망인의 호의로 이어질 수 있으며, 미망인이 준 정보가 진짜 살인범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사람의 [감정을 추적하는] [보이는] 미터기는 없습니다. 캐릭터가 주의를 기울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추적하다 보면, 게임이 언제 그들이 주의를 기울이고 언제 [그런 주제들]이 다시 떠오르는지 알려줄 것입니다."
- 조쉬 소여
변화하는 세상에 영향을 미치다

종교적, 정치적 변화가 큰 시대에 여러분이 내리는 각 결정은 커뮤니티의 미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격동의 시간을 통해 자신의 길을 찾고 선택의 결과가 세대에 걸쳐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십시오.
공식 게임 소개
인게임 캐릭터가 4살 꼬마에서 갓 결혼을 한 여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옆에서 지켜볼 수 있다.

시간 제한이 있는 하루 때문에 모든 일을 할 수는 없으며, 제한된 시간 동안 수집한 제한된 정보로 추리를 하고 범인을 고발해야 한다.

게임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선 어느 정도의 역사적 배경지식이 필요하다. 대화를 하다가 갑자기 화를 내는 캐릭터를 보고 캐릭터 묘사가 부정확 하다고 느끼는 플레이어들이 있었는데, 중세 유럽의 가톨릭 - 개신교 갈등을 알고 있는 사람들은 내가 마르틴 루터 이야기를 꺼내서 상대 캐릭터가 화를 낸 것이라고 단박에 알아챌 수 있었다.

4.2. 안드레아스라는 책

펜티먼트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이 쓰여지고 있다는 생각에 기대어 디자인되었다. 게임 전체가 마치 그 시대의 책의 페이지에 쓰여진 것처럼 표현된다. 안드레아스가 성장함에 따라 그의 일지 전면에 있는 그에 대한 정보 역시 성장하고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장소 이동은 안드레아스의 이야기 페이지가 넘어가는 식으로 묘사된다.

게임에는 욕설도 나오며, 신(God)이란 단어는 텍스트창에서 빨간색으로 칠해진다. 그 당시의 예술처럼 '신'이란 정형화된 단어를 빨간색으로 강조 표시하는 것이다. 아트 스타일은 캐릭터의 성향을 반영한다. 구식 가치관을 가진 사람은 보다 현대적인 주인공에 비해 더 오래된 아트 스타일로 묘사된다. 종교적인 인물은 더 전통적인 스타일로 묘사되지만, 주인공은 더욱 목판화 스타일에 가깝게 그려진다.

글꼴 렌더링은 게임의 몰입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게임서 구현한 기능 중 하나는 휙 마스크다. 마치 손으로 쓰는 것처럼 각 문자가 한 번에 한 획씩 렌더링 된다. 각각의 글꼴이 핸드메이드로 보인다. 똑같은 사람이 알파벳 e를 연달아 쓰더라도 e의 모양이 매번 다르듯이, 자연스러운 글쓰기를 표현하기 위해 각 철자는 아날로그 문자처럼 다르게 그려진다.[6] 잉크에서 반사 표현을 볼 수 있으며, 양피지 상단에 웅덩이가 생기고 빠르게 양피지에 스며들어 건조되고 약간 덜 불투명해진 다음 주변에 잉크가 번지는 과정을 모두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시대의 사람들은 글자를 잘못 적으면 양피지에 흠집을 내고 그 자리에 글자를 다시 써서 오탈자를 교정했다. 게임 속 캐릭터가 대화에서 실수를 한다면, 실시간으로 인게임 텍스트가 이런 식으로 다시 작성되는 모습 역시 볼 수 있을 것이다. 캐릭터마다 글꼴도 모두 가지각색이다. 글꼴만 보고도 그들의 사회적 배경(농부, 수도자, 학자 등)을 즉시 알아차릴 수 있다. 사용된 각 글꼴은 캐릭터의 배경을 나타내기 위해 특별히 선택되었다. 캐릭터의 학력, 성격, 배경 모두 잉크 튄 자국, 낙서, 잉크 번짐, 잉크 건조와 흐릿해짐, 줄을 긋고 다시 작성하는 글자 교정 등을 통해 모두 드러난다. 텍스트엔 애니메이션이 적용되어 있어 말을 느리게 하는지, 빠르게 하는지, 실수를 했는지도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나이를 먹은 등장인물은 회화에 가깝게 그려지고, 나이가 어린 등장인물은 목판 인쇄물에 가깝게 그려진다.

게임에는 백과사전이 있어서, 역사적 문구나 정의 등 생소한 개념을 참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역사 비애호가에게는 익숙하지 않을 수 있는 단어와 용어를 설명하는 게임 내 용어집은 다양한 게임 캐릭터들의 얼굴도 담고 있어, 설령 인물의 얼굴을 까먹더라도 사전을 통해 다시 기억을 되찾을 수 있다. 용어집은 대화 도중에도 열어볼 수 있어 등장인물이 언급하는 대상을 즉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장인물이 아내와의 만남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을 때, 용어집을 열어보면 아내의 얼굴 이미지가 뜨는 식이다.
파일:pentiment-glossary.jpg
용어집에서 생모리츠(성인)와 롱기누스의 창에 관한 설명을 읽는 중
용어집을 펼치면 등장인물이 언급하는 대상 중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즉시 표시해 가르쳐준다.

5. 스토리

게임은 3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막과 3막은 큰 반전 요소가 있다. 스포주의


===# 제1장 #===
1517년 마르틴 루터95개조 반박문이 발표되어 교회와 사회 전반에 긴장감이 고조될 무렵, 1518년 뉘른베르크 출신의 안드레아스 말러는 독일 바이에른 북부 타싱의 키에르자우 수도원에서 자신의 졸업작품인 기도서(book of hours)를 완성하고자 수도원 아랫마을의 페터 게르트너네 집에 머물고 있다.

4월 어느 날, 대주교의 친구이자 수도원의 후원자인 로렌츠 남작이 의뢰한 원고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수도원을 방문한다. 로렌츠 남작은 작업을 촉탁한 피에로 수사의 삽화 스타일에 불만을 표했고, 안드레아스가 삽화의 나머지 부분을 완성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동시에 95개조 반박문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여 수도원을 불편하게 만든다.

다음날 남작은 수도원에서 살해당한 채 발견된다. 사건을 은폐하기에 급급한 수도원장은 시신을 가장 먼저 발견한 피에로가 범행을 저질렀다고 몰아가고 범인을 찾아내기는 커녕 시신 은폐에 급급하다. 안드레아스는 펜 하나 들기도 버거워하는 노령의 피에로가 살인을 저질렀을 리가 없다 생각하고 사건에 대해 조사를 시작한다. 수도원장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플로리안 수사와 몰래 시신을 부검하는 과정에서 의문의 보라색 쪽지가 발견되고, 그 후로도 비슷한 쪽지가 수사 과정에서 여러 번 등장한다.

심문관이 도착하기 전까지 제한된 시간 동안 안드레아스는 많은 정보와 증거를 수집해 범인을 찾아내어 피에로 수사의 혐의를 벗겨내야 한다. 수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주인공은 남작에게 원한을 가질 인물이 하나가 아니었음을 알게 되고, 증거[7]를 수집한 후 심판관의 질의에 응답하고 유력한 용의자를 제시해야 한다. 플레이어가 지목한 유력 용의자는 마을 광장에서 처형되고, 누가 처형되었는지에 따라 이후 마을의 모습은 크게 바뀐다. 살인범이 처형된 후 안드레아스는 피에로 수사와 재회하고, 피에로 수사는 안드레아스의 작품을 치하하면서 두 사람은 작별을 고한다.

범인은 4명중에 1명인데 정황상 증거로 1명을 선택하면 된다. 정확히 이 사람이다라고 정해진 범인은 없다.
===# 제2장 #===
1장이 끝나고 7년의 시간이 흐른 1525년이 2장의 시점이다. 안드레아스는 장인 견습을 끝내고 명망있는 삽화가가 되었고, 카스파라는 제자 견습생이 생겼다. 그러나 직업에 대한 회의와 사랑 없는 결혼, 아들 아우구스트를 역병으로 잃는 일들이 겹친 끝에 우울증을 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해외 생활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에 1년 전에 사망한 피에로 수사에게 조의를 표하고자 다시 한 번 키르자우 수도원에 들른다.

마을에서는 시청 건립 공사가 한창이었다. 한편, 수도원은 남작 살해 사건으로 평판이 떨어져 많은 후원자를 잃었다. 수도원장 게르노트는 악화된 재정을 회복하고자 농민들에게 가혹한 세금을 부과하고 숲에서 땔감과 약초를 채취하는 것 마저 금지시켰다. 여기에 더해, 방앗간 주인 렌하르트 뮐러가 방앗간 사용료를 대폭 인상하여 농민들의 불만은 굉장히 커져갔다.

이에 독일 농민전쟁 중 발표된 슈바벤 농민의 12개조 선언문에 고무된 마을 주민의 대표격 오토 치머만은 바바리아 대공의 분노를 사 병사들이 쳐들어 올 지도 모른다는 농민들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수도원장 게르노에 맞서 봉기를 주도한다.

한편, 수도원장은 이전부터 안드레아스를 탐탁지 않게 여겼음에도 불구하고 저녁 식사에 초대, 농민들을 진정시켜 줄 것을 부탁한다. 그 날 저녁, 안드레아스는 숙소로 돌아와 잠자리에 들려 할 때 '경고한다'라고 쓰여진 보라색 쪽지가 침대 위에 놓여져 있는 것을 발견한다.

성 요한(St. John)의 축일 저녁, 안드레아스는 축제를 구경가서 돌아오지 않는 카스파르를 찾으러 헤매다가 숲에서 카스파르를 발견하고, 때마침 숲에서 농민들을 쫓아내러 나온 수도원장과 조우하는 사이 마을에서 비명소리가 들려온다. 수도원장과 안드레아스, 카스파르가 마을에 도착했을 때 이미 오토는 마을 회관 공사장의 통나무에 깔려 죽어 있었다.

피에르 게르트너는 사건의 배후로 수도원을 지목, 마을 사람들을 이끌고 수도원을 점거하고 수도원장과 수도사, 수녀들은 수도원 도서관에 고립되고 만다. 안드레아스는 수도원에 불을 지르려는 페터를 만류하고 대공의 병사와 용병들이 도착하기 전까지 진범을 밝혀내겠다고 약속한다.

1장과 마찬가지로 살해 동기와 정황증거만 가지고 안드레아스는 누가 오토를 죽였는지 찾아야 한다. 시간이 거의 없어 모든 사람을 조사하기란 불가능하다. 이번에도 오토를 살해할 만한 동기를 가진 사람은 한 명이 아니었고, 이를 토대로 수사를 진행해나간다. 안드레아스가 지목한 사람은 분노한 농민들의 제물이 되고 만다.

이 때 병사들이 마을에 다다랐다는 소식이 들려와서 안드레아스와 농민들은 수도원으로 피신한다. 안드레아스는 병사들을 돌려보내려면 수도원 사람들이 해를 입지 않았음을 보여줘야 하니 모두 풀어줘야 한다고 설득하여 수도원장과 수사, 수녀들은 풀려난다.

그럼에도 피에르는 결국 수도원의 도서관에 불을 질러버린다. 안드레아스는 카스파르에게 위해가 미칠 것을 우려하여 자신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가도록 하고는 책을 한 권이라도 더 구하고자 불타는 도서관으로 돌아가지만 화재에 희생되고 만다. 수도원의 화재를 보고 수도원으로 쳐들어온 대공의 병사들을 만류하기에는 이미 너무 늦었고, 마을 사람들 중 적지 않은 이들이 병사들에게 진압당하여 사망한다.

1장과 마찬가지로 정황상 증거로 한 명을 선택하면 된다.
===# 제3장 #===
2장이 끝나고 20년 가까운 시간이 흐른 뒤 1543년 3장의 막이 오른다. 수도원은 화재 이후 폐허가 되었다. 예전의 수도사와 수녀들은 떠났고, 수녀원 건물에는 청빈한 클라라 수녀회(Poor Clares)가 들어와 간신히 명맥을 잇고 있다. 1,2장에서 어린 아이였던 사람들은 모두 어른이 되었는데, 그 중 인쇄공 클라우스 드루커의 땅 마크달레네가 3장의 주인공이 된다.

인쇄소 주인 클라우스 드루커는 완공을 앞둔 마을의 역사를 기리는 마을 회관 내부의 벽화를 의뢰받아 자료를 수집하던 중 괴한의 습격을 받고 쓰러진다. 이에 딸 마크달레네가 작업을 이어받아 마을의 역사와 관련된 자료 수집에 나선다. 이 과정에서 마크달레네는 '멈춰'라고 쓰여진 보라색 쪽지를 받게 되는데, 타싱의 과거를 조사하면서 마을의 숨겨진 역사와 과거에 벌어진 두 살인사건의 진정한 배후를 밝혀내는 것이 이 장의 주된 이야기이다.

2장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주인공 안드레아스가 실제로는 살아있음이 밝혀진다. 그는 20여년간 버려진 이삭을 주워먹으면서 유적에 숨어 살았다. 화재 당시 어린 견습생 카스퍼가 자신을 살리려다 불길에 희생되자 크게 죄책감을 느꼈고, 살인사건은 결국 해결하지도 못해 답답함이 남았고, 깊어진 우울로 인해 도저히 뉘른베르크로 돌아가고 싶지 않았던 탓에 타싱에 은둔자로 남아버린 것이었다.

안드레아스는 마크달레네와 함께 지하 온천을 계속해서 헤매다 결국 온돌실에서 아밀리에 수녀와 토마스 신부를 찾아낸다.

6. 등장 인물


6.1. 주인공

파일:안드레아스1234.jpg파일:안드레아스2.jpg
안드레아스 말러

본작의 주인공으로 16세기에 대학 교육을 받은 예술가이다. 그의 아버지가 에르푸르트 대학교 총장과의 인맥을 이용하여 중산층 가정에서는 흔치 않은 고등 교육을 받게 해주었다.[8] 비록 안드레아스는 박사 학위[9]를 끝까지 마치지 못하여 석사 학위까지만 취득했으나, 독일 바이에른 지방의 작은 마을 타싱에서 일어나는 어두운 비밀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유용한 기술과 지식으로 활용하게 된다.
1518년 뉘른베르크 출신인 26살의 청년 안드레아스는 타싱의 키르자우 수도원 기록실에서 성서 삽화가로 일하기 위해 타싱에 머물고 있다. 뉘른베르크에서 장인이 되기 위한 과정의 일부이기도 하고 예술가로서 자신의 실력을 입증하는 데 필요한 작업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맡겨진 작품을 완성하면 고향으로 돌아가 약혼 상대와 결혼하고 정식 장인으로 활동하는 미래가 기다린다. 그러나 로렌츠 로츠포겔 남작이 수도원을 방문했다가 살해당하자, 안드레아스의 멘토인 피에로 신부가 용의자로 지목되고 만다. 이에 그는 피에로의 신부의 결백을 입증하기 위해 주변인과 시설을 조사하기 시작한다. 이는 타싱 마을의 기원과 연관된 거대한 비밀과 연관이 있었는데......

6.2. 주변 인물

파일:게르노트신부.png
게르노트 신부

키르자우 베네딕토회 수도원의 수도원장이자 타싱과 그 주변 지역의 대수도원장이다. 전임 수도원장이였던 마티아스 신부 사망 후 새 수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외부에는 규율 및 원칙주의자로 알려져 있지만, 소작농들에겐 가혹하게 세금을 뜯어가는 탐욕스러운 권세가이다. 인쇄기의 발명 이후로 교회 사업의 가치가 땅으로 떨어지자 수도원이 자금난에 빠져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래저래 계획성 없고 무자비한 인물. 1장에서 남작의 시체를 발견했을 때 처음엔 공황에 빠져 시체를 은닉하라는 명령을 내렸고(.....)[10] 이후 범인을 피에로 신부로 몰아가며 수도원이 외부 시선을 끌지 않도록 사건을 덮으려고 한다. 2장에서 남작의 살해 이후 수도원의 돈줄이 끊기자 주변 지역에 대한 십일조를 가혹한 수준으로 올렸고, 소작농들의 전통적인 권리[11]까지 제한하면서 주민들로부터 큰 미움을 산다.


파일:페렌츠신부.png
페렌츠 신부

키르자우 수도원의 부원장. 헝가리 출신. 신부들 사이의 투표로 수도원장이 정해지는데 게르노트에 지지도가 밀린 듯 하다. 기록실에서 주인공에게 일하라고 계속 갈구는 인물.[스포일러1] 조사하다보면 신비주의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파일:기신부.png
기 신부

부르고뉴 태생의 필경사. 재빠른 손놀림이 특기이지만, 비열한 기질이 있고 상사와 동료들에게 이중적인 모습을 보여 미움을 받기도 한다. 주인공과는 계속 으르렁거리는 사이. 게르노트 신부가 기 신부에게 수도원의 재무 문서를 작성하는 일을 맡겼다.[스포일러2]


파일:플로리안신부.png
플로리안 신부

폴란드 출신 수도사. 스웨덴, 폴란드-리투아니아연합, 러시아가 강성하던 시절 그 지역에서 10년간 용병 생활을 했다고 한다. 어떤 상황에서도 침착하고 이성적이다. ACT 1에서는 수도원의 의무관이다. 특별히 의학 교육을 받은 적은 없지만 전장에서 오랜 세월 구르면서 외상을 입은 사람들을 많이 목격하고 치료한 것이 경험이 되었다. 남작이 살해당하자 부검을 한 후 주인공에게 여러 가지 증거를 제공해 준다.


파일:마티유신부.png파일:뤼데거신부.png
마티유 신부 & 뤼데거 신부

마티유 신부는 수도원의 재무 담당이며 전례를 하는 동안 게르노트 신부를 보조한다. 그와 협상[14]하여 게르트너 가문의 세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뤼데거 신부는 수도원의 성가대 지휘자이고 훌륭한 목소리로 유명하다. [스포일러3] 그래서인지 게임 속에서 자주 노래를 부른다.






파일:일루미나타수녀.png
일루미나타 수녀

수도원의 사서로 도서관의 장서를 책임지고 있다. 부사수이자 후임으로 즈데나 수녀가 있다. 가문에서 매년 기부금을 바치는 것을 보아 부유한 가문 출신으로 추정된다. 수도원의 지성인을 담당하며 뛰어난 지성과 폭넓은 교육으로 유명하다. 조용히 순명하는 수녀이지만 동시에 여성이 자기 운명을 선택하지 못하도록 억압하는 사회에 대해 비판적이기도 하다.


파일:즈데나수녀.png
즈데나 수녀

보헤미안 출신. 일루미나타 수녀를 돕는 부사수이다. 막대한 기부금을 지불하고 들어온 것을 볼 때 부유한 가문 출신으로 추정된다. 억지로 수녀가 된 것에 불만을 품고 불경스러운 태도를 보인다. 주인공이 자신의 작품을 만들기 위해 참고서로 the Book of Hours을 구할 때 처음 등장한다. 여기서도 책이 꼭대기 층에 있어 힘들어서 가져올 수 없다고 일루미나타한테 대신해달라고 말한다. 나중에 금남의 구역인 도서관에 주인공이 몰래 들어가다 들키게 될 수 있는데 이때 즈데나를 유혹할 수 있다.

파일:아밀리에수녀.png
아밀리에 수녀

푈클린겐 출신으로 신비주의자 수녀. 원래 니더바이에른의 수도원에 있었다. 하지만 말레우스 말레피카룸이라는 두 가톨릭 수사가 쓰고 교황이 인증해 준 마녀사냥 교본을 읽고[16] 마녀로 확신한 폭도들에 의해 있던 수도원이 불에 타버리고 말았다. 현재 타싱마을의 교회 옆 밀폐된 방에 머물고 있으며 토마스 신부의 보살핌을 받고 있다. 하느님으로부터 환시를 받고 예지하는 능력이 있다.




파일:스톨츠의사.png
베르너 스톨츠 의사

로어 슐레지아 출신의 마을 의사. 프라이부르크 알버트 루드비히 대학교를 졸업하였다. 거만한 태도로 사람들을 대한다. 주인공에게도 대학도 중간에 그만두고 못나온 놈이라고 구박을 준다. 남작 사건이 일어났을 때 게르노트 수도원장의 부름을 받아 남작의 시신을 검시하러 오며, 용병 출신에 지나지 않는 플로리안 수사가 검시의 역할을 하는 것을 불쾌하게 여긴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 저런 고압적인 태도가 많이 누그러져서 타싱의 평범한 주민으로서 녹아들게 된다. 안드레아스가 그의 지성을 띄워주면서 지적인 방향으로 대화를 이끌면 상대를 해준다.

6.3. 예술가의 마음

7.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series-x/pentiment|
86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series-x/pentiment/user-reviews|
7.1
]]


[[https://www.metacritic.com/game/pc/pentiment|
88
]]


[[https://www.metacritic.com/game/pc/pentiment/user-reviews|
6.5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pentiment|
리뷰 부족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pentiment/user-reviews|
6.4
]]

기준일:
2024-03-11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 평론가 평점
86 / 100
평론가 추천도
89%
유저 평점
XX / 100


"내러티브 기반 게임의 혁신"이라는 평가들이 나오고 있다.

거대 웹진의 평가는 대부분 매우 긍정적이다. IGN은 긴장감, 역사적 흥미성, 담백한 대화문, 재치있는 게임 시스템, 아트 스타일, 사운드가 모두 좋다고 만점 마스터피스 평가를 내렸고, 게임스팟은 게임이 지루하다는 이유로 6점, 게임 인포머는 8.5점을 줬음에도 불구하고 어드벤처 게임 팬들은 무조건 이 게임을 해봐야 한다는 이유로 이례적으로 8.5점 게임에 '머스트 플레이' 딱지를 붙여줬다.

유저 평가는 전반적으로 높지만 비평가들의 평가에 비해선 조금 낮다. 일단 주인공이 추리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자잘한 스토리를 다 알고자 한다면 다회차 플레이가 필수인데 포인트 앤 클릭 + 스토리 기반 게임 특성상 한 회차마다 플레이가 상당히 늘어진다. 유저가 마음대로 저장 위치와 시간을 정할 수도 없기 때문에, 세이브 파일을 만들어서 반복적인 세이브/로드로 볼것만 보고 넘어가기도 어렵다.

얼핏 유저의 선택에 따라 스토리가 바뀌는 인터랙티브형 게임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아니라는 것도 문제다. 이 게임의 스토리는 탄력성이 없다. 주인공이 내리는 선택은 중요해보이지만 이는 눈속임일 뿐, 주인공의 결정은 실제로는 큰 분기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선택지 A,B,C 중 하나를 골라 대답해도 대답은 무조건 D로 출력되는 대화가 대부분이며, 주인공의 선택이 영향을 끼치는 것은 일부 조역들의 운명 뿐이다. 텔테일 게임보다도 분기가 적다.

또한 사건의 트릭은 합리적인 선에서 추리되지 않고[주요스포일러1] 막판에 밝혀지는 것은 배후의 목적과 동기 뿐이라서 모든 진실이 명쾌하게 드러나는 것도 아니다. [주요스포일러2] 결정적으로 스토리와 배경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장미의 이름에서 많이 따왔다. 사실상 시대 배경과 주인공 이름만 갈아치운 움베르토 에코 팬픽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주요스포일러3]

한국 한정으로 게임 내 기계 번역 때문에 내용을 이해할 수 없다는 비판이 많다. 이것은 유저 비공식 패치로 수정 가능한 부분.

8. 기타


[1] 파일:Xbox Play Anywhere 로고.svg파일:Xbox Play Anywhere 로고 화이트.svg[2] 번역 수정 패치[3] 처음에는 조쉬 소여 본인을 포함해 단 2명이서 게임 개발을 시작했고, 최종 13명 규모의 팀으로 개발을 마무리했다. 다만 그라운디드도 사내 개발팀은 20명이었지만 외주 등 최종적으로는 100여명 가까이 참여한 것을 고려하면, 각종 외주인력을 합칠 시에는 이보다 더 많은 개발자들이 개발했을 가능성이 높다. # 그런데 게임의 크레딧에는 13명의 이름만 올라가 있다고 한다. 3D 그래픽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그라운디드와 다르게 소규모 인원 개발이 가능하다. # 음악은 'Alkemie Music' 팀에게 외주를 준 것으로 보인다. 게임의 글꼴은 Lettermatic 팀이 담당했다.[4] 대학교도 자기 흥미를 따라 역사학과(유럽 역사 전공)에 진학했다.[5] Hartmann Schedel이 1493년 출간한 성경 백과사전이자 성서에 기반한 역사서.[6] 영어 알파벳 26자, 6개 글꼴에 총 2700개의 글자를 준비했다.[7] 증거라고 해 봐야 범행 동기와 정황증거 뿐이다.[8] 독일에서 세 번째로 세워진 오래된 대학교이며 그래서 동시대 살았던 마르틴 루터와 동문이다.[9] 어떤 학문의 학위인지는 게임 내에서 선택 가능하다.[10] 당장 남작 부인이 며칠 후 타싱에 올 예정인데 남작의 시체를 숨겨봤자 죽음이 은폐될 리가 없다.[11] 숲에서 장작을 가져가거나 폭포를 낚시 혹은 목욕을 위해 이용하거나 사냥을 할 권리 등, 주민들이 자연물을 이용할 권리를 제한했다. 게다가 십일조를 현금으로만 받으면서 안 그래도 농작물 외에는 가진게 없는 가난한 소작농들의 조세 부담을 몇 배로 불렸다.[스포일러1] 이 때문에 많은 유저들이 1막에서 가장 먼저 희생시키는 용의자이기도 하다. 심통맞지, 평판이 좋지도 않지, 부양할 가족이 없는 수도사이지, 권력층의 횡포에 일방적으로 희생당하는 입장인 다른 용의자들과 달리 권력층에 가깝지, 신비주의자라서 뭔가 뒤가 켕기는 부분도 있고 야코포 부주교에게 고발하여 이단으로 몰기도 쉽다보니 망설임 없이(....) 희생시키기 좋다. 페렌츠 신부가 범인으로 몰려 처형되면 마티유 신부가 부수도원장을 맡게 된다.[스포일러2] 횡령을 저지르고 있다. 들키면 주인공에게 횡령액의 5분의 1을 줄 테니 말하지 말라고 윽박지른다. 설득 체크에 통과하면 이 횡령이 완전히 자기 보신을 위한 것은 아니고, 프랑스에서 탄압받는 유대인들의 탈출을 돕기 위한 자금을 마련하려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기 본인이 강제로 가톨릭으로 개종한 유대인 공동체의 후손이라 연민을 느꼈던 모양.[14] 수도원장보다는 이쪽과 협상하는 편이 좋다. 마티유 자체는 선량한 인물이므로, 주인공이 게르트너 가족의 세금 때문에 임금 가불을 요청하였으며 피에르가 아닌 클라라가 어렵게 부탁해서 거절할 수 없었다는 사실을 밝히면 협상에 응해준다.[스포일러3] 밤에 몰래 도서관에 들어가면 마티유 신부 & 뤼데거 신부가 열렬하게 밀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 장면을 보고 숨기거나 도망칠 수 있지만, 들키면 적반하장으로 마티유를 화나게 할 위험성이 있다. 둘의 관계를 건드리지 않은 채로 Act 3로 넘어가면 마티유는 시온 수도회의 원장이 되었고 뤼데거는 따라가서 함께 사목/동거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16] 당시 교황은 인노첸시오 8세였는데, 후에 실제로 행해지는 마녀사냥에 대한 보고를 듣고선 곧바로 책의 간행을 취소했다. 물론 게임에선 이런 디테일까진 나오지 않는다.[주요스포일러1] 진범은 마을 사람들의 범행 동기를 충동질하거나 약점을 들고 협박하여 대신 범죄를 저지르게 한다. 고해 사제라는 위치 때문에 주민들의 약점을 속속들이 아는 것까지는 어찌저찌 말이 된다. 그러나 식자 계층조차 난해하게 여길 정도로 화려한 서체로 쓰인 쪽지를 이용해서 바이에른 깡촌 주민들의 살해 욕구를 충동질 하러 다녔다는 건 앞뒤가 안 맞고(수신자 몇몇은 쪽지를 읽을 수 없었다), 이웃끼리 비밀이랄게 없을만큼 좁아 터진 시골 동네에서 무슨 수로 사제가 매번 안 들키고 주민의 사적인 공간에 들어가 쪽지만 놓고 왔는지 설명이 안된다. 게다가 무슨 수를 써서 아밀리에 수녀를 조종하여 매번 필요한 내용만 쓰게 했는지, 환시가 보일 때를 제외하면 정신이 멀쩡한 그녀에게 어떻게 오랜 세월 의심을 안 받았는지도 알 수가 없다.[주요스포일러2] 내막을 정리하자면 1. 살인범이 이용한 루트는 고대 로마 수로인데, 걷고 뛸 줄만 알면 쉽게 다닐 수 있는 길이다. 2. 아밀리에 수녀는 글자를 특수한 서체로 쪽지에 쓰는 일만 했고 목적 자체는 알지 못했다. 범죄 계획과 실행은 토마스 신부가 혼자 맡은 것이다. 3. 사실 토마스도 모든 살인을 직접 저지른 것이 아니며, 살인 동기를 품고 있던 타인을 충동질해서 목적을 이루었을 뿐이라고 3막에서 밝힌다. 애초 수상쩍은 쪽지를 여러 사람에게 보낸 것 목적 자체가 자기가 직접 손을 쓰지 않고 사람을 죽이기 위해서였다. 이 게임에서 자백이 되는 살인은 게르노트 취임 이전(즉, 1막 이전 시점) 수도원장이었던 마티아스를 토마스가 독살했다는 것이고, 로렌츠 남작과 오토의 살해에 누가 실제로 가담했는지는 게임 끝까지 모호하게 남는다. 특히나 남작의 경우에는 범행 동기를 품었고 범행을 실행할 수 있는 사람이 너무 많다보니(...) 사실은 용의자 전원이 남작을 한대씩 치고 입 다무는거 아닌가 하는 가설이 유저들 사이에서 나올 정도이고, 오토는 그 정도로 인망이 나쁜 인물은 아니었지만 토마스가 왔다갔다 하면서 직접 죽이기는 어려운 위치에 있었으므로 역시 다른 사람이 죽였을 가능성이 높다.[주요스포일러3] 완전한 외부인 탐정인 주인공 (+ 어린 조수), 장서를 많이 보유한 것으로 유명한 수도원, 필경과 채식, 수상쩍고 이기적인 수도원장, 누명을 뒤집어 쓰고 사형에 이르는 첫번째 용의자, 불타서 사라지는 수도원, 금단의 지식을 감추고자 연쇄살인을 저지른 범인, 자살과 동시에 건물이 파괴되면서 묻힌 증거 등등 장미의 이름에 등장하는 모든 요소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책을 읽었다면 게임에서 진범과 범행 동기를 간파하기 매우 쉽다.[20] 이중 수도원은 수도원 본원 안에서 시설을 공유하기 위해 수도사 집단과 수녀 집단을 결합한 수도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