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9 19:20:50

포뮬러 1/2020시즌/10R~13R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뮬러 1/2020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뮬러 1/2020시즌/6R~9R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포뮬러 1/2020시즌/14R~17R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1. 개요2. 파일:러시아 국기.svg 10R: 포뮬러 1 VTB 러시아 그랑프리 2020 (러시아 GP)
2.1. 퀄리파잉2.2. 레이스
3. 파일:독일 국기.svg 11R: 포뮬러 1 아람코 그로서 프레이스 데어 아이펠 2020 (아이펠 GP)
3.1. 퀄리파잉3.2. 레이스
4.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2R: 포뮬러 1 하이네켄 그란데 프레미오포르투갈 2020 (포르투갈 GP)
4.1. 퀄리파잉4.2. 레이스
5. 파일:에밀리아로마냐 주장.svg 13R: 포뮬러 1 에미레이트 그란 프레미오 델 에밀리아로마냐 2020 (에밀리아로마냐 GP)
5.1. 퀄리파잉5.2. 레이스

1. 개요

포뮬러 1의 2020 시즌 중 10R부터 13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파일:러시아 국기.svg 10R: 포뮬러 1 VTB 러시아 그랑프리 2020 (러시아 GP)

2.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31.304 1번째
P2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563s 2번째
P3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 0.651s 3번째
<colcolor=#fff> P4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013s 4번째
P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1.060s 5번째
P6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1.246s 6번째
P7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르노)
+ 1.320s 7번째
P8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543s 8번째
P9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파타우리 - 혼다)
+ 1.696s 9번째
P10
파일:레드불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704s 15번째[-5][Gearbo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르노)
1:33.196 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0.043s 10번째
P12 <rowcolor=#000>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알파타우리 - 혼다)
+ 0.053s 11번째
P13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168s 12번째
P14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387s 13번째
P15 <rowcolor=#000>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0.413s 14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34.134 Q2 진출
P16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0.458s 16번째
P17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460s 17번째
P18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0.547s 18번째
P19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니콜라스 라티피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932s 20번째[-5][Gearbox]
P20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133s 19번째 }}}}}}}}}
2020 러시아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해밀턴이 연속으로 압도적인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이번 경기를 통해 미하엘 슈마허와의 우승 수를 동률로 맞출 수 있는 기회에 한 발짝 더 다가간 것이다. Q2 세션에서 적색기로 인한 세션 중단 이후 랩타임을 기록하지 못해 Q2 탈락을 맞이할 뻔했으나, 간신히 랩타임을 기록하며 Q3 진출, 그리고 폴 포지션으로 이어졌다. 그 뒤로 막스가 2위를 차지하며 메르세데스의 프런트 로우 독점을 저지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레드불 팀은 막스가 2위를 차지하며 기뻐할 수 있었으나, 또 다른 드라이버인 알본이 이번에도 저조한 기록을 보이며 한숨을 내뱉게 되었다. 연습 세션 전, 기어박스를 교체하며 5그리드 페널티가 확정되었기에 최대한 높은 순위로 오르는 것이 중요하였지만, 오히려 알파타우리의 가슬리에게도 뒤쳐진 10위를 차지하며 익일 레이스에선 15위에서 출발하게 된다.

컨스트럭터 3위 싸움을 이어가는 세 팀 중엔 페레즈가 4위를 차지하며 레이싱 포인트도 좋은 결과를 가져왔다. 그 뒤로 르노의 리카도와 오콘이 5,7위를 기록하며 좋은 어택을 노릴 수 있게 되었고, 맥라렌도 사인츠와 노리스가 6,8위를 기록해 3팀 모두 전체적으로 좋은 포지션에서 출발하게 된다.[5]

페라리의 부진은 다시 이어졌다. 샤를 르클레르가 고군분투하였으나 Q2 11위에 만족하였고, 제바스티안 페텔은 스핀으로 적색기를 유발하며 15위에 그치고 말았다. 설상가상, 직선주로가 긴 서킷이기에 레이스에선 이들에게 더욱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2.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1:34:00.364 (53랩) 25+1[F]
2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7.729s 18
3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22.729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30.558s 12
5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52.065s[+5s][Short_cut] 10
6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1:02.186 8
7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르노)
+ 1:08.006 6
8위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알파타우리 - 혼다)
+ 1:08.740 4
9위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파타우리 - 혼다)
+ 1:29.766 2
10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37.860[+5s][Short_cut]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12위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1 Lap
13위 <rowcolor=#000>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1 Lap
14위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15위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 Lap
16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니콜라스 라티피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 Lap
17위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1 Lap
18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 Lap
DNF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0랩)[Accident]
DNF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0랩)[Collision_LEC] }}}}}}}}}
패스티스트 랩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37.030 (Lap 51)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3.7%
2020 러시아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레이스 시작 전, 해밀턴에게 스포팅 규칙에 관한 이슈가 있었다. 정찰랩을 돌기 직전에 스타트 연습을 하던 해밀턴이 피트레인 선의 바로 옆이 아닌 트랙으로 빠져나오는 출구 옆에서 스타트한 것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규정에 의거하여 스튜어드들은 해밀턴에게 2번의 5초 페널티를 부과하여 총 10초 페널티를 부여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폴 포지션에서 스타트하였으나 해밀턴은 피트에서 오랜 시간을 허비하였고, 그렇게 우승은 3위에서 시작한 메르세데스의 보타스가 손쉽게 가져갈 수 있었다. 2위를 차지한 막스는 보타스에게 추월을 허용하였으나, 해밀턴을 여유롭게 추월하게 되어 2위에 오를 수 있었다.

4위에서 출발한 페레즈는 여유로운 레이스를 펼치며 4위로 그대로 완주할 수 있었다. 그러나 레이싱 포인트 입장에선 랜스 스트롤이 르클레르와의 충돌로 리타이어하며 5,7위를 차지한 르노보다 오히려 포인트 차가 좁혀지는 상황이 되어 아쉬움을 표했다. 맥라렌도 3위 싸움에 적신호가 켜지게 되었는데, 6위에서 스타트한 사인츠가 2번 코너를 통과하지 못해 지정된 라인을 따라 가다가 벽으로 돌진하며 허무하게 리타이어하였다. 노리스는 페이스를 올리지 못하고 15위로 완주하며 포인트 획득 없이 빈손으로 독일로 이동하게 되었다.

페라리는 르클레르가 6위에 오르며 기대 이상의 결과를 얻게 되었다. 비록 오프닝랩에 스트롤과 사고가 나는 논란의 상황이 있었으나, 이후 좋은 레이스 페이스를 통해 페라리에게 소중한 8점을 선물할 수 있었다. 팀메이트인 페텔은 13위로 무난한 레이스를 펼치며 마무리되었다. 10위를 차지한 레드불의 알본은 15위에서 출발하여 5계단 오른 기량을 선보이며 포인트를 획득한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205
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61
3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128
4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65
5
파일:레드불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레드불 레이싱 64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366
2
파일:레드불 심볼.svg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92
3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106
4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영국|]][[틀:국기|]][[틀:국기|]]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104
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99

3. 파일:독일 국기.svg 11R: 포뮬러 1 아람코 그로서 프레이스 데어 아이펠 2020 (아이펠 GP)

2013 시즌 이후 7년만에 돌아온 뉘르부르크링에서의 그랑프리이다.

금요일에 예정되었던 FP1과 FP2가 심한 안개로 인하여 취소되었고, 그로 인해 연습주행은 토요일의 FP3만 주행하게 되었다. 또한 레이싱 포인트랜스 스트롤이 감기에 걸려서 몸 상태가 안좋아서 니코 휠켄버그가 또다시 레이싱포인트 팀의 대타로 참가하게 되었다.

3.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25.269 1번째
P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0.256s 2번째
P3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293s 3번째
<colcolor=#fff> P4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0.766s 4번째
P5
파일:레드불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778s 5번째
P6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0.954s 6번째
P7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르노)
+ 0.973s 7번째
P8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189s 8번째
P9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435s 9번째
P1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1.440s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르노)
1:26.364 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0.374s 11번째
P12 <rowcolor=#000>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파타우리 - 혼다)
+ 0.412s 12번째
P13 <rowcolor=#000>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알파타우리 - 혼다)
+ 0.484s 13번째
P14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572s 14번째
P15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0.761s 15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1:27.532 Q2 진출
P16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0.030s 16번째
P17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032s 17번째
P18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니콜라스 라티피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280s 18번째
P19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285s 19번째
P20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489s 20번째 }}}}}}}}}
2020 아이펠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7년만에 돌아온 뉘르부르크링에서 보타스가 오랜만에 좋은 기록으로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해밀턴과 막스와의 격차를 약 0.2초 이상으로 넓히며 매우 훌륭한 드라이빙을 선보였고, 늦게나마 꾸준히 포인트를 쌓으며 챔피언십 선두인 해밀턴에게 반격의 기회를 조금씩 높일 수 있게 되었다. 그들의 뒤로 4위를 차지한 르클레르는 다시금 놀라운 퍼포먼스를 발휘하게 되었다.

중위권 경쟁을 펼치는 맥라렌, 레이싱 포인트, 르노 팀의 드라이버들 중에서 이번엔 르노의 드라이버들이 가장 좋은 자리를 선점하였고, 그 뒤로 맥라렌이 기록하게 되었다. 레이싱 포인트는 스트롤의 감기몸살로 인한 결장으로 인해 피해를 다소 보았고, 대타로 들어선 니코 휠켄베르크가 제대로 된 연습 없이 20위로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3.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35:49.641 (60랩) 25
2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 4.470s 18+1[F]
3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14.613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6.070s 12
5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21.905s 10
6위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파타우리 - 혼다)
+ 22.766s 8
7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30.814s 6
8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32.596s 4
9위
파일:하스 심볼.sv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39.081s 2
10위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40.035s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40.810s
12위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41.476s
13위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49.585s
14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니콜라스 라티피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54.449s
15위 <rowcolor=#000>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알파타우리 - 혼다)
+ 55.588s
DNF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42랩)[Power_unit]
DNF <rowcolor=#000>
파일:레드불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레드불 레이싱 - 혼다)
(23랩)[Radiator]
DNF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르노)
(22랩)[Hydraulics]
DNF <rowcolor=#000>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8랩)[Power_unit]
DNF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12랩)[Collision_RAI] }}}}}}}}}
패스티스트 랩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28.139 (Lap 60)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34.7%
2020 아이펠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루이스 해밀턴이 91번째 그랑프리 우승을 기록하며 드디어 미하엘 슈마허와 어깨를 나란히 하였다. 레이스 초반 발테리 보타스가 선두로 나서며 2위 자리를 유지하였고, 이후 보타스가 실수+파워 유닛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자연스럽게 레이스 리더가 되었다. 뒤에 있는 막스와의 격차는 상당했기에 그대로 크루징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여유롭게 우승을 차지하며 챔피언십 타이틀 매직넘버도 얼마 남지 않게 되었다. 한편, 해밀턴의 우승 직후 인터뷰에서 미하엘의 아들이자 F2 챔피언십 리더인 믹 슈마허가 미하엘 슈마허가 메르세데스 시절에 착용한 헬멧을 건네며 축하해주었다.

막스는 2위를 차지하며 리타이어한 보타스와의 챔피언십 포인트 격차를 상당히 좁히게 되었으며, 레드불도 거의 확정적인 컨스트럭터 2위 자리를 차지하는 데에 한 발짝 더 다가섰다. 알본은 이번에도 처참한 경기력을 선보였는데, 중위권에 위치한 알파타우리 드라이버들과 매우 힘든 레이스를 펼쳤고, 팀라디오로 "They race me so hard(쟤네들이 나를 너무 힘들게 해.)"라 하기도 하였다.[19] 이렇게 경쟁을 이어가다가 결국 다닐 크비얏에게 충돌하며 프런트윙을 손상시켜 5초 페널티를 받기도 하였으나, 라디에이터 문제가 발생하며 23랩 째에 리타이어하였다.

중위권 3팀 중에 가장 좋은 결과를 가져온 팀은 레이싱 포인트였다. 니코가 최후미에서 스타트하며 포인트 획득은 어려울 것이라 평가받았으나, 거짓말같이 놀라운 롱런 페이스를 선보이며 앞 차량들은 한 대씩 추월해나갔고, 상위권 드라이버들이 리타이어, 사고로 쳐진 행운까지 겹치며 12계단이나 상승한 8위로 완주하게 되었다. 오늘의 드라이버로 선정된 것은 덤. 이 덕에 레이싱 포인트는 맥라렌을 추월하고 컨스트럭터 3위로 올라섰다. 르노 역시 매우 좋은 결과를 가져왔다. 6위에서 스타트한 리카도는 꾸준히 좋은 페이스를 선보이며 순위를 유지하였고, 여기에 보타스가 리타이어하며 3위로 올라설 수 있었다. 이 덕분에 리카도 본인으로써는 약 2년만에 포디움에 올랐으며, 르노 팀은 2016년 F1 복귀 이후로는 처음이자 2011 호주 GP 비탈리 페트로프의 포디움 이후 약 9년만에 포디움을 기록하게 되었다. 반면, 맥라렌은 랜도 노리스가 파워 유닛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또 다시 아쉬운 결과를 맞이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230
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61
3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147
4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78
5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68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391
2
파일:레드불 심볼.svg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211
3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영국|]][[틀:국기|]][[틀:국기|]]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120
4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116
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114

4.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2R: 포뮬러 1 하이네켄 그란데 프레미오포르투갈 2020 (포르투갈 GP)

1996 시즌 이후 무려 24년 만에 개최되는 포르투갈 GP이다. 당시 에스토릴 자동차 경주장에서 경기를 개최한 것과는 달리, 이번 포르투갈 GP는 고저차가 극심하기로 유명한 알가르브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개최된다.

4.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16.652 1번째
P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 0.102s 2번째
P3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252s 3번째
<colcolor=#fff> P4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0.438s 4번째
P5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571s 5번째
P6
파일:레드불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785s 6번째
P7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0.898s 7번째
P8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0.903s 8번째
P9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파타우리 - 혼다)
+ 1.151s 9번째
P1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No time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1:17.481 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르노)
+ 0.133s 11번째
P12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145s 12번째
P13 <rowcolor=#000>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알파타우리 - 혼다)
+ 0.247s 13번째
P14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307s 14번째
P15 <rowcolor=#000>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0.438s 15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1:17.931 Q2 진출
P16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270s 16번째
P17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392s 17번째
P18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0.433s 18번째
P19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0.577s 19번째
P20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니콜라스 라티피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846s 20번째 }}}}}}}}}
2020 포르투갈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메르세데스 듀오가 미디엄 타이어로 프런트 로우를 독점하는 놀라움을 보여준 퀄리파잉이었다. 트랙의 온도로 인해 랩타임을 경신하기 위해 여러랩을 연속으로 돌아야 했고, 실제로 많은 드라이버들이 이러한 방식들로 랩타임을 기록하였다. 그렇게 메르세데스의 해밀턴이 다시 한 번 폴 포지션을 가져왔으며, 톱3는 햄-보-막 조합으로 구성되었다. 르클레르가 4위를 기록하는 저력을 보여주며 멱살잡고 팀을 이끌었으며, 그 뒤로 최근 상승세를 보이는 페레즈가 자리잡았다. 6위를 차지한 알본은 지속적으로 막스에게 0.5초 뒤지는 기록을 보이며 아쉬움을 이어가고 있다.

4.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1:29:56.828 (66랩) 25+1[F]
2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 25.592s 18
3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34.508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1:05.312 12
5위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파타우리 - 혼다)
+ 1 Lap 10
6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1 Lap 8
7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6
8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르노)
+ 1 Lap 4
9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1 Lap 2
10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1 Lap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12위 <rowcolor=#000>
파일:레드불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 Lap
13위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 Lap
14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 Lap
15위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16위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1 Lap
17위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1 Lap[+5s][Track_limit][23]
18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니콜라스 라티피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 Laps
19위 <rowcolor=#000>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알파타우리 - 혼다)
+ 2 Laps
DNF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51랩)[Collision_damage_NOR] }}}}}}}}}
패스티스트 랩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18.750 (Lap 63)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18.2%
2020 포르투갈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2020년 9월 25일, 불과 14년이 지나서야 F1 역대 최다승인 미하엘 슈마허의 91승의 기록이 깨지게 되었다. 루이스 해밀턴이 레이스 초반에는 보타스와 사인츠에게 잠시 순위를 빼앗겼으나, 얼마 가지 않아 리드를 되찾았고, 그렇게 크루징하며 해트트릭을 기록함과 동시에 역대 F1 최다승인 92번째 우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아울러, 2위와의 격차도 이번 시즌 중 2번째로 가장 큰 격차로 우승한 경기일 정도로 압도적인 경기를 펼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해밀턴에게 남은 기록 경신은 이제 슈마허가 기록한 7번의 월드 챔피언 기록과 동률을 이루는 것인데, 2위인 보타스와의 포인트 격차가 77점이나 차이나기에 사실상 얼마 가지 않아 확정지을 것으로 보인다. 메르세데스 역시 2위 레드불과의 포인트를 200점 이상으로 넓히며 다음 경기에서 컨스트럭터 챔피언을 확정지을 것으로 보인다.

톱3는 이변없이 햄-보-막이 차지하였으며, 퀄리파잉부터 노련한 드라이빙을 선보인 샤를 르클레르가 톱3를 제외하곤 유일하게 백마커가 되지 않으며 최상의 결과를 가져왔다. 팀메이트인 페텔도 모처럼 포인트 획득에 성공하며 페라리로썬 성공적인 레이스를 펼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피에르 가슬리 역시 대단한 퍼포먼스를 발휘하며 5위에 오르는 결과를 보여주었고, 레이스 초반 리드를 차지하며 깜짝스러운 모습을 보이기도 한 사인츠도 6위로 좋은 레이스를 펼쳤다.

오늘의 드라이버에 선정된 페레즈는 레이스 초반에 막스와의 컨택으로 인해 최후미로 밀렸으나, 무서운 집중력과 회복력으로 7위까지 오르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이 덕분에 팀메이트인 랜스 스트롤이 충돌로 인해 리타이어하며 포인트 획득에 실패했음에도 페레즈 본인이 6점을 획득하며 컨스트럭터 3위 싸움에서 유리한 고지를 이어나갈 수 있게 되었다.

레드불의 알본은 거의 이번 시즌 최악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말았다. 6위에서 출발하였으나 좋지 못한 스타트로 순위를 대거 잃었고, 이후에는 알파 로메오의 키미 래이쾨넨에게 꽁꽁 묶이며 포인트조차 획득하지 못하고 말았다. 벌써부터 방출설이 들리고 있는 가운데, 이젠 다음 경기부터라도 안정적인 4위는 차지할 수 있다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절실히 필요해 보인다. 알본을 묶어 놓은 베테랑 키미는 레이스 스타트 직후 오프닝랩에서 놀라운 모습을 보였는데, 16위에서 출발하였으나 좋은 스타트와 더불어 코너에서 자리싸움을 하느라 고전하는 라이벌들을 하나씩 제치며 2랩 첫 코너를 통과하며 5위까지 오르는 놀라움을 보여주었다. 비록 11위로 포인트 획득에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키미 자신도 의외의 스타트에 놀랐으며 인터뷰에서 쟤네들 뭐하는 거냐며 놀라움을 감추지 않았다. 그의 팀메이트인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역시 좋은 스타트를 보이며 레이스 초반에 순위를 많이 올리기도 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256
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79
3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162
4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80
5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75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435
2
파일:레드불 심볼.svg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226
3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영국|]][[틀:국기|]][[틀:국기|]]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126
4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124
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120

5. 파일:에밀리아로마냐 주장.svg 13R: 포뮬러 1 에미레이트 그란 프레미오 델 에밀리아로마냐 2020 (에밀리아로마냐 GP)

2006 시즌 이후 14년 만에 돌아온 이몰라 서킷에서의 그랑프리이다. 당시 스타트/피니쉬 라인 직전에 시케인이 있었던 것과 달리, 그 이후 시케인이 사라지고 긴 직선 주로로 바뀌게 되었다.

한편, 세션 운영도 시범적으로 변경되는데, 유럽 내 육로운송의 문제로 보통 금요일날에 하는 FP1과 FP2를 건너 뛰고 토요일에 한시간 30분 길이의 단일 세션만 연습하고 바로 퀄리파잉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외로, 이날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혼다피에르 가슬리는 해당 서킷에서 사망한 아일톤 세나을 추모하기 위하여 그의 헬멧을 오마주한 헬멧을 쓰고 출전하였다.[25].

5.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13.609 1번째
P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0.097s 2번째
P3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567s 3번째
<colcolor=#fff> P4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파타우리 - 혼다)
+ 0.893s 4번째
P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0.911s 5번째
P6
파일:레드불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963s 6번째
P7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1.007s 7번째
P8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알파타우리 - 혼다)
+ 1.087s 8번째
P9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205s 9번째
P1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1.302s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1:15.051 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010s 11번째
P12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르노)
+ 0.150s 12번째
P13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272s 13번째
P14 <rowcolor=#000>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0.334s 14번째
P15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443s 15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1:15.822 Q2 진출
P16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0.096s 16번째
P17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0.117s 17번째
P18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131s 18번째
P19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니콜라스 라티피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165s 19번째
P20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386s 20번째 }}}}}}}}}
2020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연습 세션에 가장 빠른 기록을 세운 루이스 해밀턴을 제치고 발테리 보타스가 오랜만에 캘린더에 돌아온 이몰라에서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이변 없이 메르세데스가 프런트 로우를 독점하게 되었고, 3위는 Q2 세션 초반에 차량 이슈로 랩타임을 기록하지 못할 뻔한 막스 베르스타펜이 차지하며 한숨을 돌릴 수 있었다. 한편, 피에르 가슬리가 또 다시 놀라운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는데, 지난 시즌 그를 레드불 자리에서 밀어낸 알본보다 0.07초 앞선 기록으로 누르며 상위권 팀으로의 복귀를 향한 문을 두드렸다.

이번 시즌 얼떨결에 3번째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페라리 팀은 르클레르가 7위, 페텔은 14위로 무난하게 Q2 탈락을 맞이하며 티포시의 눈물을 자아내는 결과를 맞이하였다. 워낙 추월이 쉽지 않은 서킷이기에 익일 레이스도 어려운 경기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컨스트럭터 3위 경쟁팀들 사이에선 여전히 치열한 결과를 보였으나, 르노의 다니엘 리카도가 가장 좋은 그리드를 확보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포인트 차도 르노가 맥라렌과 레이싱 포인트에 따라왔기에 향방을 알 수 없게 되고 있다.

5.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1:28:32.430 (63랩) 25+1[F]
2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 5.783s 18
3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14.320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알파타우리 - 혼다)
+ 15.141s 12
5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19.111s 10
6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9.652s 8
7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20.230s 6
8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21.131s 4
9위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22.224s 2
10위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26.398s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니콜라스 라티피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7.135s
12위 <rowcolor=#000>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28.453s
13위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29.163s
14위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32.935s[+5s][Track_limit]
15위 <rowcolor=#000>
파일:레드불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57.284s
DNF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2020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51랩)[Accident]
DNF <rowcolor=#000>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50랩)[Puncture]
DNF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47랩)[Gearbox_issue]
DNF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르노)
(27랩)[Gearbox_issue]
DNF <rowcolor=#000>
파일:알파타우리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파타우리 - 혼다)
(8랩)[Water_leak] }}}}}}}}}
패스티스트 랩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15.484 (Lap 63)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18.6%
2020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루이스 해밀턴이 시즌 9번째 우승을 14년 만에 돌아온 이몰라에서 차지하였다. 레이스 스타트 직후 좋지 못한 스타트로 인해 3위까지 밀려났으나, 보타스와 막스가 피트인 한 사이 그대로 트랙에 머물며 페이스를 올려나갔고, 여기에 29랩 째에 에스테반 오콘이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하여 버츄얼 세이프티카가 발동되자 바로 피트인하며 여유롭게 레이스 리더가 되었다. 상황 종료 후 2위인 보타스가 3위인 막스와 치열하게 배틀하는 사이 본인은 여유롭게 크루징하며 우승을 차지. 여기에 보타스도 2위로 들어섰으며, 레드불의 막스가 타이어 펑쳐로 리타이어하며 메르세데스는 남은 경기 결과와 무관하게 7년 연속으로 컨스트럭터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이로써 지난 1999 시즌부터 2004 시즌까지 스쿠데리아 페라리가 기록한 6년 연속 컨스트럭터 챔피언 타이틀 획득 기록을 넘게 되었다.

레드불에겐 최악의 주말이 되었다. 막스가 50랩 째에 예상치 못한 타이어 펑쳐로 허무하게 리타이어하였고, 알본은 리스타트 직후 코너를 돌다가 스핀하여 자멸하고 말았다. 현재 다음 시즌 레이싱 포인트 시트를 잃게 된 페레즈가 알본을 대신해 레드불의 시트를 차지할 수 있다는 루머가 흘러나오고 있는데, 이런 흐름이 조금이라도 지속된다면 실현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혼돈의 레이스 후반부 속에서 웃은 드라이버는 다니엘 리카도였다. 포디움이 확실해 보였던 막스의 리타이어로 非 메르세데스, 레드불 팀의 드라이버 1명이 포디움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 속에서 리카도는 3위로 리스타트하여 무난하게 시즌 2번째 포디움을 달성할 수 있었다. 이 덕분에 르노는 오콘의 리타이어에도 불구하고 15점을 획득하며 컨스트럭터 순위도 3위에 오르며 2016 시즌 F1 복귀 이후 가장 좋은 시즌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이어 크비얏도 7위에서 로켓 리스타트로 앞서있는 페레즈, 알본, 르클레르를 제치고 4위까지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3위 싸움 경쟁을 이어가는 세 팀들 중에선 르노가 3위로 올라서며 기선제압을 하였으며, 맥라렌이 나란히 7-8위를 달성하며 1계단 내려간 4위가 되었다. 반면, 레이싱 포인트는 랜스 스트롤이 계속 부진하는 모습을 보이며 13위에 그쳤고, 비록 페레즈가 6위로 선전하였으나 컨스트럭터 순위는 5위로 하락하고 말았다.

이번 시즌 하위권을 전전하는 알파 로메오는 대혼돈의 레이스 속에 9-10위를 기록하며 귀중한 3점을 획득하였다. 레이스 직전 두 드라이버 모두 계약 연장에 성공하며 레이스 위크 전부터 좋은 분위기가 있었고, 이번 GP마저 더블 포인트 획득에 성공하며 성공적인 주말을 보냈다. 이와 반대로, 0점 행진을 이어가는 윌리엄스는 조지 러셀이 10위로 잘 달리다가 세이프티카 상황에서 타이어 웜업을 하다가 스핀하여 벽을 들이받는 실책을 저지르며 포인트 획득에 또 다시 실패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282
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97
3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162
4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95
5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85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479
2
파일:레드불 심볼.svg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226
3
파일:르노 2015 로고.png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135
4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134
5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영국|]][[틀:국기|]][[틀:국기|]]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134


[-5] 5 그리드 페널티[Gearbox] 기어박스 교체로 인한 페널티 부여.[-5] [Gearbox] [5] 다만, 레이싱 포인트가 살짝 불리할 수 있는데, 랜스 스트롤이 13위로 Q2에서 탈락하며 많이 뒤쳐졌기 때문이다.[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5s] 5초 페널티[Short_cut] 코너 커팅으로 인한 페널티 부여.[+5s] [Short_cut] [Accident] 드라이빙 실수로 벽에 충돌해 리타이어.[Collision_LEC] 르클레르와의 충돌로 리타이어.[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Power_unit] 파워 유닛 문제로 리타이어.[Radiator] 라디에이터 문제로 리타이어.[Hydraulics] 유압 계통 문제로 리타이어.[Power_unit] [Collision_RAI] 라이코넨과의 충돌로 리타이어.[19] 직후, 해설위원인 마틴 브런들이 외친 "Welcome to Formula 1(F1에 온 것을 환영한다.)"가 키 포인트.[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5s] [Track_limit] 트랙 리미트를 여러 번 위반하여 페널티 부여.[23] 16위에서 17위로 내려갔다.[Collision_damage_NOR] 노리스와의 충돌 이후 레이스카 누적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25] 해당 헬멧은 가슬리가 세나의 가족에게 경매를 위하여 넘겨주었다고 한다.[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5s] [Track_limit] [Accident] [Puncture] 타이어 펑쳐로 리타이어.[Gearbox_issue]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Gearbox_issue] [Water_leak] 냉각수 누수로 리타이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87
, 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8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