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1:12:03

한류유행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기 / 지역(형태) 시기별 한류 · 국가별 한류 · 동아시아의 한류 (일본의 한류, 북한의 한류) 합한족 · 한빠 · 코리아부 · 국뽕
한류 정보 한류 스타 · 한류 유행어 · 한류 통계 · 유튜브 구독자 순위 위장 한류 }}}}}}}}}


1. 개요2. 목록

1. 개요


27분부터 보면 된다.


한류의 유행을 업고 해외에서 일반명사화된 한국어 낱말.

2010년대에 들어 한류가 아시아권을 넘어 서구권 및 남미권 등 더 넓은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는데, 한국어를 술술 할 수 있는 외국인들은 비교적 적지만 이들은 한국 드라마영화, K-POP 등을 들으며 자주 나오는 낱말을 수박 겉핥기로나마 익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단어가 외국어로 딱히 알맞는 단어가 없이 한국 자체의 문화를 나타내는 단어인 경우가 많고(이를테면 호칭 표현) 그 결과, 코리아부들 사이에서 고유명사로 되면서 쓰이는 양상이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인터넷에서도 이따금 보이는 일본어츤데레, 오덕후 계열(~덕, 덕후, 오덕 등), XX, 카와이, 앙 기모띠같은 것과 비슷하게 한국어가 해외에서 외래어 비슷하게 유행이 된 사례다. 외국에서도 일본 콘텐츠에 익숙한 사람들이 'senpai(선배)'나 '~chan(~쨩)'에 익숙해진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단어들은 넷상에서 주로 사용되며, 보통 그 의미는 대체로 한국어의 원 용례와 비슷하지만 때로는 전혀 다른 의미로 확장, 변형되는 경우도 보인다. 애교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그래서, 한류유행어의 대부분은 영어의 온라인 구어사전인 어반 딕셔너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아시아계 배우와 영상물을 정리한 위키인 AsianWiki의 한국 배우들 문서에 달린 코멘트에서도 이러한 한류 유행어를 자주 볼 수 있다. 특히 해외에도 널리 알려진 영화드라마에 출연한 잘생긴 남자 배우에서 OppaSaranghaeyo같은 코멘트가 많이 보인다.

그 외 영화드라마 쪽의 한류는 아니지만 e스포츠 강국으로 유명한 한국이 온라인 게임계에서 매우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다 보니 게이머들 사이에 이들이 사용하는 은어가 퍼져서 거의 국제공용어화가 된 경우도 종종 보인다. 물론, 한국 온라인 게임 문화의 전파라는 점에서 보았을 때도 게임산업을 한류라고 하지 못할 이유도 없다. 시기도 물론 이쪽이 훨씬 오래 되었다. 어찌보면 이쪽이 원조라고 할 수도 있겠다.

2. 목록


[1]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후자로 쓴다.[2] 개정 로마자 표기법은 음운변화를 반영한다.(예: 신라 → Silla) 따라서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본디 Mangnae가 맞다.[3] 선배의 경우, 한국에서도 주로 을 붙여 쓰는 것이 알려졌기 때문인지 선배님의 로마자 표기 두문자를 따 SBN으로 줄여 쓰기도 한다.[4] 거의 쓰이지 않지만,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상 Meokbang이 된다. 매큔-라이샤워로는 mŏkpang.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