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0 02:58:54

해서

해서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황해도에 대한 내용은 황해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다음 만화속세상 웹툰에 대한 내용은 해서(만화)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명나라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해서(명나라)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간체자 논쟁)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한문(교과)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한자 5대 서체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


1. 개요2. 여담

1. 개요

왕희지 - 황정경(黃庭經)
파일:attachment/해서/example1.jpg

해서()는 한자 서체의 일종이다. 현대인들에게 가장 익숙한 한자의 모양이다. 중국 기준 후한 말 삼국시대~위진남북조 시대를 거치며 점점 쓰이기 시작해 당나라 때 확립되어 이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서체이기 때문에 정체(正體)라고도 한다. 이 서체를 구사한 유명한 서예가로는 당나라 때의 구양순, 안진경 등이 있다.

참고로 현대인들이 아는 한자의 모양이 시작된 것은 해서(楷書)가 아니라 그 이전에 쓰인 예서(隸書)부터이다. 다만 예서는 지금 기준으로 보면 상당히 옆으로 퍼져있는데, 달리 말하면 해서는 예서가 좀 더 세로로 퍼진 형태라고도 할 수 있다. 물론 눈으로 봐도 알 수 있듯 더 상세하게 들어가면 명확한 차이가 있다. 가령 역입-장봉의 원칙은 유지하되 운필과 형태에는 차이가 있는 식이다. 가로로 납작한 예서가 표준이고 예서를 세로로 길게 늘린 게 해서라는 표현이 맞는데 이는 예서가 창제된 시기의 상황 때문이다. 예서가 나타난 전한 시대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나무에서 추출한 섬유로 만든 종이 자체가 없었고 기록물은 아주 중요한 기록은 비단에, 그렇지 않은 일반 기록은 죽간에 글씨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당시엔 비단은 당연히 고가품이고, 죽간이라 하더라도 대량생산이 쉽지 않기 때문에[1]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정보를 수록하려면 좁은 공간에 글자를 구겨넣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당시는 세로쓰기가 표준이라 당연히 글자의 높이를 찌그러트려서 많은 글자를 기록할 공간을 확보해야 했던 것. 현대의 가로쓰기에서 한줄에 최대한 글자를 욱여넣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장평을 세로로 길쭉하게 조정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2]

그러다가 종이가 발명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고 기록용지의 생산단가가 비약적으로 내려가면서 균형잡힌 글자체인 행서, 해서가 나오게 됐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해서는 예서와 완전히 동떨어진 새로운 서체라기보단[3] 이전부터 사용해오던 서체가 세월이 지나며 발전하고 변형된 거라고 봐야 할 것이다.

측(側, 점), 늑(勒, 가로획), 노(努, 세로획), 적(趯, 갈고리), 책(策, 오른 삐침), 약(掠, 긴 왼 삐침), 탁(啄, 짧은 삐침), 책(磔, 파임)이 기본글자이다. 길 영(永)자에 이 8가지가 전부 나와있다 해서 이것을 영자팔법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해서의 시조는 삼국시대 위나라 관료인 종요로 보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이 사람은 종회의 아버지다. 종요의 서체에서 예서가 해서로 변해가는 과도적인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오늘날 우리에게 잘 알려진 정체로서의 해서는 동진시대 왕희지에 의해 정리된 후 육조시대를 거쳐 당나라에 와서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육조시대의 해서와 당나라 이후의 해서는 서체의 모양에 차이가 있다. 그래서 당나라 이전의 해서체를 '육조체', 혹은 고형 해서로 유명한 '장맹룡비'를 세운 북위의 이름을 따 '북위체'라고 일컫는 경우도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모습의 한자 모양은 당나라 이후의 것이다.

2. 여담

국내에서 알려진 해서체 폰트로 HY해서가 있는데 이로 인해 HWP 기준 궁서체 적용된 글자를 한자 변환하면 나오는 서체를 해서체로 여기는 경우도 있다.


[1] 죽간에 쓴 글씨가 필요없어지면 긁어서 지우고 재활용하려고 지우개 용도로 칼을 가지고 다녔다.[2] 일제강점기말 당시 일본 당국은 물자의 통제를 위해 신문 활자마저도 장평을 늘리고 세로폭을 좁혀 납작하게 만들었는데, 광복 후에도 한국 신문사들은 1990년대 중반까지 이 납작해진 활자를 이 문단에 기술된 이유와 같은 이유로 계속해서 썼다. 현재의 신문 지면과 네이버 라이브러리에 남아있는 신문 지면을 비교해보면 과거 신문이 확실히 글자가 납작한 것을 알 수 있다.[3] 애초에 예서, 전서도 다 갑골문, 골각문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