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09:10:32

희망의한국신당

희망의 한국신당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제3지대 정당 · 충청권 정당 · 보수 정당
(창당) 희망의한국신당 (해산)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개별 합류)

(개별 합류)[1]


[[민주국민당(2000년)|
파일:민주국민당(2000년) 흰색 글씨.svg
]]
(개별 합류)[2]
파일:희망의 한국신당 로고.svg
희망의한국신당
<colcolor=#283C7B,#D52B3C> 영문명 <colbgcolor=#fff,#1F2023>New Korea Party of Hope
창당일 2000년 2월 15일
(자유민주연합에서 분당)
해산일 2001년 1월 21일
(해산 직후 한나라당에 일괄합류)
약칭 한국신당
선행 조직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중앙당사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14가길 10 (공덕동, 동아빌딩 2층)[3]
의석 수
1석 / 273석 (해산 직전)
당색
남색 (#283C7B)
붉은색 (#D52B3C)

1. 개요2. 역사3. 해산 후4. 지도부5. 역대 선거
5.1. 국회의원 선거
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희망의 한국신당 창당 발기인 대회.png
희망의한국신당 창당 발기인 대회 (2000년 2월 15일)
당시 당 대표였던 김용환 의원과 허화평 전 의원의 모습
그러나 허화평 전 의원은 한국신당을 창당한지 며칠도 안 돼서 민주국민당으로 가버린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급하게 창당되었던 충청권 보수정당이었다. 공보물에서 한줄로 쓸 때의 표기는 띄어쓰기를 포함한 '희망의 한국신당'이었으며, 약칭은 한국신당.

2. 역사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국민의 정부
(1998 ~ 200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국민의 정부 이전
한나라당 국민신당 자유민주연합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당
한나라당
민주국민당 한나라당 희망의한국신당 자유민주연합
한나라당
한나라당 한국미래연합
한나라당 하나로국민연합 자유민주연합 국민통합21
국민의 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민주당계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제5공화국 ~ 국민의 정부
(1981 ~ 200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통일국민당 신정치개혁당
민주자유당에서 분당
새한국당 민주자유당에서 분당
신민당 자유민주연합
민주당에 합당
자유민주연합
신한국당에서 분당 신민당 자유민주연합
무당파국민연합 무정파전국연합
정당등록취소
신한국당에서 분당 정당해산
국민신당 한나라당에서 분당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당 민주국민당 희망의한국신당 자유민주연합
새천년민주당 정당해산 하나로국민연합 자유민주연합
국민통합21
국민의 정부 이후
}}}}}}}}} ||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자유민주연합 내부에서 내각제 개헌 문제를 두고 계파갈등이 일어났는데, 이 과정에서 김용환 前 사무총장이 자기 계보인 이상만, 김고성 의원을 데리고 나와서 창당했다. #창당대회 KBS 보도 또한 12.12 군사반란의 주축인 허화평 전 의원도 동참했으나 민주국민당으로 옮겨갔다.

당색으로는 탁한 남색을 사용하였다. 로고와 함께 당명을 표기할 때는 글꼴 HY울릉도B[4]를 사용했다. 북구·강서구 을에 출마한 윤무헌 후보 공보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김고성 후보 공보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이후 16대 총선에서 충청권을 중심으로 후보를 내었다. 그 결과 자민련과 같이 박살났다. 김용환 대표최고위원 혼자 당선되고 지역구 김고성(충남 공주·연기)[5], 이상만(충남 아산)[6]을 포함한 나머지 후보 31명이 모두 떨어진 것.

결국 김용환 1인을 빼면 원내인사도 없었던데다가 이후 사실상 한나라당과 행보를 같이 하기 시작했고, 결국 김용환 당 대표는 2001년 1월에 한나라당과의 사실상 합당을 추진하면서[7] 당을 해산했다.

3. 해산 후

이 당 해산 이후 김용환 대표는 한나라당 부총재, 상임고문을 지냈고,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7인회의 일원으로서 박근혜를 도왔다. 이후 2012년 대선이 끝나고 "최태민의 그림자에서 벗어나라."라고 직언을 하는 바람에 박근혜 대통령에게 찍혔고, 결국 김용환의 충고를 무시한 박근혜 대통령은 탄핵되었다. 이후 김용환 상임고문은 2017년 4월 7일에 작고했다.

16대 총선 당시 현직 의원들이나 여러 번 출마했으나 낙선했던 인사들을 보면 김고성(충남 연기)의원은 자민련 정진석 후보에게 낙선한 이후 정계를 떠났고, 이상만(충남 아산)의원은 17대 총선에 무소속으로 나섰다가 열린우리당 복기왕 후보에게 밀려서 낙선했다.

민주한국당, 평화민주당 출신의 조병환 영천시 당협위원장은 내리 5번째 낙선을 끝으로 정계를 떠났고 평화민주당과 군소정당을 떠돌던 윤승중 파주시 당협위원장은 17대 총선을 앞두고 자민련 공천을 받아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연기군에서 내리 낙선하고 대전 중구로 옮겨간 김준회 후보도 16대 총선을 끝으로 은퇴했다.

나머지 인물들을 살펴보면 강남구 을 이춘근 당협위원장은 자민련에 복당해 17대 총선에 나왔지만 떨어졌고, 서초구 갑 이강욱 당협위원장은 한국기독당에 입당해 17대 총선 구로구 갑에 출마하나 낙선했다. 그리고 부산 북·강서을에 출마했던 윤무헌 당협위원장은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17대 총선에 나섰으나 낙선했다. 나머지 인사들은 대부분 한나라당에 합류했다.

이외에도 묻혀버린 한국신당 출신 인사 중에서 현역 정치인은 16대 총선에서 청원군에 출마했던 홍성각 후보인데, 이 사람은 무려 18년이 지나서 자유한국당 소속으로 2018년 지방선거에서 기초의원(청주시 바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4. 지도부

파일:희망의 한국신당 흰색 심볼.svg파일:희망의한국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김용환
}}}}}}}}}}}}}}}

5. 역대 선거

5.1. 국회의원 선거

연도 선거명 지역구 (비율) 비례대표 (득표율) 총 의석 (비율) 결과
2000년 16대 1 / 227 (0.4%) 0 / 46 (0.4%) 1 / 273 (0.4%) 원내 5당

6.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국민의 정부
(1998 ~ 200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국민의 정부 이전
한나라당 국민신당 자유민주연합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당
한나라당
민주국민당 한나라당 희망의한국신당 자유민주연합
한나라당
한나라당 한국미래연합
한나라당 하나로국민연합 자유민주연합 국민통합21
국민의 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민주당계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제5공화국 ~ 국민의 정부
(1981 ~ 200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통일국민당 신정치개혁당
민주자유당에서 분당
새한국당 민주자유당에서 분당
신민당 자유민주연합
민주당에 합당
자유민주연합
신한국당에서 분당 신민당 자유민주연합
무당파국민연합 무정파전국연합
정당등록취소
신한국당에서 분당 정당해산
국민신당 한나라당에서 분당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당 민주국민당 희망의한국신당 자유민주연합
새천년민주당 정당해산 하나로국민연합 자유민주연합
국민통합21
국민의 정부 이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보수정당의 계파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복 ~ 제헌 총선
총동원위 독립촉성위 조선민주당 족청
제헌 총선 ~ 대한국민당 창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일민 족청
대한국민당 창당~ 제2대 총선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국민당 족청
제2대 총선 ~ 자유당 창당
대한국민당 공화구락부 신정동지회 원외자유당
자유당 창당 ~ 개헌안 파동
대한국민당 원내자유당 원외자유당
개헌안 파동 ~ 잔류파 탈당
잔류파 합동파 원외자유당
부산정치파동 ~ 족청계 숙청
장택상계 장면계 조경규계 전진한계 이승만계 족청계
족청계 숙청 ~ 사사오입 개헌
장택상계 조경규계 이승만계 이기붕계
사사오입 개헌 ~ 4대 총선
조경규계 이재학계 장경근계 이승만계 이기붕계
4대 총선 ~ 4.19 혁명
이재학계 장경근계 이승만계 이기붕계
4.19 혁명 ~ 5.16 군사정변
전진한계 헌정동지회 자유당
5.16 군사정변 ~ 민주공화당 창당
정치 활동 금지
민주공화당 창당 ~ 민정이양
한독당 자유당 박정희계 김종필계
민정이양 ~ 3선 개헌
한독당 자유당 반김 박정희 친위 김종필계
3선 개헌 ~ 7대 대선
반김 박정희 친위 김종필계
7대 대선 ~ 10월 유신
반김 박정희 친위 김종필계
10월 유신 ~ 10.26 사건
공화 유정회 김종필계 민정회
10.26 사건 ~ 5.17 내란
정풍회 김종필계
5.17 내란 ~ 12대 대선
정치 활동 금지
12대 대선 ~ 6월 민주 항쟁
한국 전두환계 노태우계
6월 민주 항쟁 ~ 3당 합당
공화 전두환계 노태우계
3당 합당 ~ 14대 총선
상도동계 청구동계 민정계
14대 총선 ~ 자민련 창당
상도동계 새한국 신정 국민 청구동계 민정계
자민련 창당 ~ 신한국당 당명변경
상도동계 신민당 자민련 민정계
신한국당 당명변경 ~ 15대 총선
상도동계 자민련 민정계
15대 총선 ~ 한나라당 창당
상도동계 이회창계 자민련 민정계
한나라당 창당 ~ 15대 대선
민주계 상도동계 국민 이회창계 자민련 민정계
15대 대선 ~ 3회 지선
민주계 이회창계 민국 한국 자민련 민정계
3회 지선 ~ 16대 대선
민주계 이회창계 민국 자민련 민정계 한미연
16대 대선 ~ 17대 총선
통합 민주계 이회창계 민국 하나로 자민련 민정계 친박
17대 총선 ~ 17대 대선
중심 소장파 민주계 이회창계 자민련 친박
17대 대선 ~ 18대 총선
중심 이회창계 친이 친박
18대 총선 ~ 새누리당 당명변경
국민련 선진 친이 친박
새누리당 당명변경 ~ 19대 총선
민주계 선진 생각 친이 친박
19대 총선 ~ 18대 대선
선진 비박 친박
18대 대선 ~ 새누리당 분당
비박 친박
새누리당 분당 ~ 자유한국당 당명변경
바른 늘푸른 비박 친무 친홍 친박 진박
자유한국당 당명변경 ~ 바른미래당 창당
바른 늘푸른 비박 친무 친홍 친박 새누리
바른미래당 창당 ~ 바른미래당 분당
호남계 손학규계 친안 친유 친무 친홍 친황 친박 애국
바른미래당 분당 ~ 미래통합당 창당
바른 새보수 국민 친무 친홍 친황 친박 통일 공화
미래통합당 창당 ~ 21대 총선
국민 미래통합 경제 친박 공화
미래한국위성
21대 총선 ~ 국민의힘 당명변경
국민 미래통합
국민의힘 당명변경 ~ 20대 대선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국민 국민의힘
20대 대선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 8회 지선
친안 친유 친준 친윤 친최 친홍
8회 지선 ~ 22대 총선
개혁 비윤 친한 친윤 친홍
국민의미래위성
22대 총선 ~ 현재
개혁 친한 친윤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민주 · 민생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정당)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파일:1px 투명.svg제15대 국회
원내 구성
''' 1996.5.30. ~ 2000.5.29.'''
{{{#!wiki style="margin: 3px 0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여당
파일:신한국당 로고.svg
142석
야당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svg
79석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_축약.svg
48석
파일:민주당(1991년) 흰색 로고.svg
8석
무소속
15석
재적
299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후반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연립여당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svg
87석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_축약.svg
49석
야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구 로고.svg
152석
파일:국민신당 로고 흰색.svg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8석
무소속
3석
재적
299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종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연립여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98석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_축약.svg
52석
야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구 로고.svg
128석
파일:민주국민당(2000년) 로고 흰색.svg
8석
파일:희망의 한국신당 흰색 로고.svg
3석
무소속
9석
재적
298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파일:1px 투명.svg제16대 국회
원내 구성
''' 2000.5.30. ~ 2004.5.29.'''
{{{#!wiki style="margin: 3px 0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연립여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119석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_축약.svg
17석
야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구 로고.svg
133석
파일:민주국민당(2000년) 로고 흰색.svg
2석
파일:희망의 한국신당 흰색 로고.svg
1석
무소속
1석
재적
273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후반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여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111석
야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구 로고.svg
130석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_축약.svg
14석
파일:민주국민당(2000년) 로고 흰색.svg
1석
파일:한국미래연합 흰색 로고.svg
1석
무소속
3석
재적
260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종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열린우리당 1차 로고.svg
48석
야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신 로고_가로.svg
138석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59석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_축약.svg
10석
파일:국민통합21 로고3.svg
1석
무소속
15석
재적
271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1] 해산 후 일괄 합류[2] 허화평 등.[3] 현재는 재개발로 철거되었다.[4] 이후 국민통합21친박 무소속 연대 후보들의 공보물에서도 이 글꼴이 사용된다.[5] 자민련 후보인 정진석에게 패배.[6] 자민련 후보인 원철희에게 패배.[7] 해산 직후에 모든 당원이 일괄적으로 한나라당에 입당하는 방식이었다. 훗날 해산된 자유민주연합과 비슷한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