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7 18:49:40

히틀러 고환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dd0200,#dd0200> 파일:히틀러투명 (1).svg아돌프 히틀러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생애 · 평가(군사적 능력) · 창작물 · 가족관계 · 여담 · 밈&만평
나치즘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fff> 사상 나치즘(파시즘 · 군국주의 · 인종주의 · 대독일주의 · 반유대주의 · 국가주의 · 국수주의 · 전체주의 · 지도자원리)
상징 나치식 경례 · 하켄크로이츠 · 블루트파네 · 슈바르체존네
사건사고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 · 수권법 · 홀로코스트 · 뉘른베르크 법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 T4 작전 · 아기공장
조직 및 국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툴레 협회 · 독일 국방군(GFP · 국방군최고사령부 · 육군최고사령부 · 공군최고사령부 · 해군최고사령부) · 슈츠슈타펠(무장친위대 · 아인자츠그루펜 · 게슈타포) · 돌격대 · 질서경찰 · 아넨에르베 · 아프베어 · 히틀러유겐트 · 나치 독일
선전물 나의 투쟁 · 그대, 히틀러에게 만세를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아돌프 히틀러 거리에 나무가 서 있네
제2차 세계 대전
사건사고 강철 조약 · 독소 불가침조약 · 라인란트 재무장 · 뮌헨 협정 · 폴란드 침공 · 독소전쟁
인물
나치 관련 인물 하인리히 힘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헤르만 괴링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루돌프 헤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아돌프 아이히만 · 카를 되니츠 · 루츠 폰 크로지크
추축국 정상 베니토 무솔리니 · 호르티 미클로시 · 살러시 페렌츠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 요제프 티소 · 에밀 하하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 비드쿤 크비슬링 · 필리프 페탱 · 밀란 네디치 · 이반 미하일로프 · 안드레이 블라소프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 쇼와 덴노 · 도조 히데키
연합국 정상 샤를 드골 · 이오시프 스탈린 · 윈스턴 처칠 · 장제스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기타
선거 1932년 독일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 히틀러 암살계획
장소 브라우나우암인 · 퓌러붕커 · 켈슈타인하우스 · 볼프스샨체
기타 퓌러 · 에바 브라운 · 블론디 · 히틀러 갤러리 ·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히總統의 大獅子喉칫솔 수염
추축국에 관련된 문서는 틀:추축국 참고
제2차 세계 대전에 관련된 문서는 틀:제2차 세계 대전 참고
파일:파스케스(세로).svg 파시즘 파일:파르티아이들러(당수리).svg 나치즘 }}}}}}}}}

1. 개요2. 상세3. 보기 대령 행진곡 가사4. 여담

1. 개요

아돌프 히틀러고환에 관한 문서.

2. 상세

1930년대, 아돌프 히틀러한 쪽 고환이 없다는 일명 "히틀러 고환 한 개 설"이 있었는데, 연구 결과 실제로 히틀러의 고환이 한 쪽밖에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잠복고환이라는 말이 있는데, 고환 한 쪽에 문제가 있었다는 건 확실하다.

재밌게도 아돌프 히틀러의 부하 헤르만 괴링 역시 뮌헨 폭동당시 하반신에 총을 맞아 알이 1개였으며, 그 때 맞은 모르핀에 중독되는 통에 나름 정상적이었던 양반이 괴팍한 마약중독 비만 트롤러가 되었다.

히틀러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미하강 고환 환자이며, 그의 경우 두 고환 중 하나에서 미하강이 나타난 일측성 미하강 고환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히틀러가 출생한 1889년 당시에는 외과적 수술법도, 호르몬 요법도 발달하지 못하였으므로 미하강 고환을 치료하지 못했다.

소문으로만 들리던 아돌프 히틀러의 고환이 하나라는 이야기가 연구 끝에 사실이었음이 밝혀졌다. 링크 소문이라고 쓴 것은, 당시 독재 정권 하에서의 독일이 위대한 총통 각하가 짝고환이라는 사실을 공식적으로 확인했을 리가 없으므로. 의학 검진 자료에 의하면 아돌프 히틀러의 이러한 신체적 결함은 후천적인 것이 아닌 선천적인 특성이었다고 한다. 심리학자들은 아돌프 히틀러의 뒤틀린 여성관과 지나친 마초성의 추구가 어쩌면 본인의 신체적 결함에 기인한 것일지도 모른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강한 마초성을 내보일수록 신체적인 결함이 있는 케이스는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이는 존 톨랜드의 책 《아돌프 히틀러 결정판 1》에도 나오는데, 그 내용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히틀러 지인 중 일부는 그의 운전기사 중 한 사람의 여동생인 예니 하우크가 히틀러의 정부라고 생각했다. 예니는 히틀러에게 헌신적이었고 경호원을 자원해 팔에 권총을 차고 다녔다. 헬레네는 이 이야기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녀는 "푸치, 말했잖아요. 히틀러는 고자예요."라고 말했다."[1]

그는 선천적인 홀고환증 환자였다. 우측 고환이 신체로부터 하강하지 않은 잠복된 상태였다. 맥주홀 폭동 직후 체포된 히틀러에 대한 건강검진 기록에서도 입증이 된 사실이다.# 히틀러가 고환이 하나 뿐이라는 사실은 이미 2차 세계대전 당시에도 도시전설로 퍼져 있어서 온갖 조롱거리가 되었는데 당시 영국군들은 보기 대령 행진곡을 개사하여 그와 조력자들을 조롱하였다. 히틀러는 평소에도 두 손을 모으고 다녔는데 자신의 신체적 컴플렉스에서 기인하는 방어적 행동으로 추측하는 학자들도 있다.

3. 보기 대령 행진곡 가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보기 대령 행진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기 대령 행진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기 대령 행진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1] 출처: 아돌프 히틀러 결정판 1 p.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