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8 07:36:15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글로벌

GMS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MapleStory
파일:메이플스토리_영문.png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FANDOM 아이콘.svg

1. 개요2. 언어3. 역사
3.1. 유저 수 폭증
4. 주요 고유 콘텐츠5. 특징
5.1. 코디5.2. 스펙업
6. 서버
6.1. 히로익(리부트) 서버
6.1.1. 크로노스(Kronos)6.1.2. 히페리온(Hyperion)
6.2. 인터렉티브 서버
6.2.1. 베라6.2.2. 스카니아,오로라,엘리시움
7. 문제점8. 성우 정보
8.1. 플레이어블 캐릭터8.2. NPC8.3. 악역
9. 명칭의 차이10. 여담11. 관련 문서

1. 개요

GMS는 글로벌 메이플스토리 (Global Maplestory)의 약자로, 메이플스토리의 북아메리카(미국, 캐나다),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유럽[1] 지역과 전 세계 지역의 서비스이다. 러시아, 북한 등의 국가와 타 해외 서버를 서비스 중인 국가[2]를 제외한 전 세계 국가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다. 실질적으로는 북미판으로 볼 수 있으나, 글로벌이라는 단어에 맞게 타 해외 서비스의 컨텐츠를 수입하기도 한다.

GMS는 넥슨 아메리카와 스팀에서 유통하고 있는데 비스팀판, 스팀판 모두 한국에서는 지역락이 걸려있다. 다만, 둘 다 설치는 가능하다. 비스팀판의 경우 넥슨런쳐를 통해 바로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스팀판의 경우 한국에서 접속 시 상점 페이지에 접근이 불가능하나 VPN 등을 이용하여 미국 등 서비스 지역으로 우회해서 접근하여 라이브러리에 등록해 두면 한국 아이피로도 설치는 가능하다. 실행은 한국 아이피에서는 둘 다 안되어[3] 반드시 VPN을 이용해야 한다.[4]

한국 IP 주소로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시도 시 You have disconnected 라는 메세지가 나오면서 강제로 로그아웃된다. 넥슨 런쳐 자체는 다운로드가 된다.

2. 언어

원래 GMS는 영어 단 한 가지의 언어로만 되어있었지만, 호주, 남미, 유럽 서버가 통합됨에 따라 다양한 언어로 변경이 가능해졌다.

3. 역사

2005년에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010년에는 내방자들(The Visitors)이라는 이벤트도 했었다.[5] 메탈슬러그 풍 기계장비를 입고 싸우는 게 인상적. 높은 퀄리티로 이벤트 이후에도 유저들에게 사랑받았던 콘텐츠였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

파일:MapleStory 2012-08-10 18-17-29-13.png

2011년 도널드 트럼프패러디한 NPC를 추가했는데 트럼프가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당선되자 나중에 삭제하였다. 링크


2013년에 언리쉬드 패치가 되면서 Alien Visitor라는 파티 퀘스트가 생겼다. 레벨 200을 넘는 초고렙 컨텐츠. 위에 있는 내방자들과 비슷하다.

파일:뒤틀린 아쿠아로드_141204.png

'트위스티드 아쿠아로드'라는 지역도 있었는데, 아카이럼이 무슨 짓을 저질러서 만든 곳이라고 한다. 한국어로 번역하면 '뒤틀린 아쿠아로드'정도. 아쿠아리움과 싱가포르 유령몹들에[6] 색장난 좀 치고 레벨 올렸을 뿐인 지역. 심지어 몇몇 몬스터들은 이마저도 안했다. 심지어 아케인 리버가 추가된 뒤로는 아무도 안 찾는 곳이 되었다. 결국 전 해외 서비스에서 삭제됐다. 눈치 빠른 일본 서비스는 일찌감치 삭제했고, 2019년 다 되어서야 GMS, TMS에서도 삭제됐다.

2015년 7월에 '블랙게이트 시티'가 추가됐다. 아틸라, 아라가미, 부처(butcher), 칸, 아수라가 보스몬스터로 등장. 맵이랑 보스몬스터는 오리지널이지만 나머지 잡몹들은 일본/중국 지역 몬스터들한테 탈만 씌워주고 끝이라서 굉장한 악평을 듣는다. 보상도 안 좋고 사냥터로도 안 좋고 분위기도 어두침침하고 난잡해서 버려졌다. 결국 이것도 삭제됐다. 자세한 건 블랙게이트 시티 문서 참고.

2015년 할로윈 이벤트로 어사일럼(ASYLUM) 이벤트가 진행됐다. 이전까지 헌티드 맨션 관련 유령 이벤트만 하던 것과 달리 낡은 정신병원이 배경. 적 몬스터와 NPC 디자인도 무섭고, 스토리도 탄탄하면서 호러스러워서 오랜만에 호평받는 컨텐츠였다. 인기가 많았던 탓에 이후에 1번 더 진행됐다. 자세한 건 여기로.

2007년부터 서비스된 유럽(EMS) 서버가 2016년 6월 8일부터 GMS와 클라이언트가 통합됐다. 참고1 참고2

2016년에는 Secret Stories(비밀 이야기들)라는 컨텐츠가 공개되었다.# 스토리가 매우 탄탄해 유저들로 부터 호평을 받았다.

2017년 5월 24일에서 6월 20일까지의 이벤트인 Mechanical Hearts(직역하면 기계의 마음)를 진행했다. Wondroid(한국에서는 뷰티로이드)라는 인간과 비슷한 안드로이드에 대한 이야기. 자세한 건 공식 사이트로(영어 주의) 실상은 상업용으로 판매를 하지만 안드로이드들은 매일같이 웃는 모습만 인간에게 보여야하고 불필요한 감정이 조금이라도 생긴다면 기억을 삭제하거나 처분하여 새로운 안드로이드로 만들어 다시 판매하는 회사인 어스파이어(Aspire)라는 회사에서 원더로이드를 구출하는 이벤트. 다만 인내의 숲은 애교로 보일 만큼 귀찮은 장애물 콘텐츠가 이어져서 호불호가 갈렸던 콘텐츠다. 자세한 건 여기로. 링크 - TMS, CMS, MSEA, JMS에서도 진행되었다. 2020년 2월에 3탄 공개가 예정돼 있고 1~2탄도 플레이할 수 있다고 한다.

2022년 5월을 기점으로 Mechanical Hearts가 업데이트가 되어 Mechanical Utopia가 업데이트 되었다고 한다. 링크

2020년 9월 2일에 Celestial Festival 이벤트[7]GMS에 상륙했는데 이건 기존에 TMS, CMS, MSEA에서 했던 코로나 페스티벌과 동일한 이벤트이다. 다만, 시기가 시기인지라 이벤트 명칭을 변경하여 출시하였다.

3.1. 유저 수 폭증

파일:리부트 옛날.png 파일:리부트 현재.png
2021. 02. 01. 기준 2024. 06. 13. 기준

본래 GMS는 그렇게까지 유저 수가 많은 서버는 아니었다. 하지만 한국에서 역대급 흥행을 보였던 뉴에이지 패치가 글로벌 서버에 넘어오기 직전, 유저 수 유입이 이전보다 많을 것이라고 운영진 측에서도 예측한 것인지 리부트2 포지션의 히페리온 서버를 신설하는 등 미리 대비를 해두는 모양새였고, 결국 이는 현실로 나타났다. 한국에서처럼 글로벌 서버 역시 뉴에이지 패치를 기점으로 기록적인 흥행을 기록하였고 유저가 상당히 많이 유입되었다. 실제로 이후 넥슨 공식 회계 문서 피셜로 글로벌 서버가 전년 대비 수십% 이상의 매출 상승을 이루었다고 전해졌다.

하지만 이는 겨우 시작에 불과했다. KMS가 2024년 1월 9일에 큐브 메소화, 일일 메소 획득량 제한, 우르스 삭제, 리부트 월드의 메소 배율 삭제를 발표하였다.

원래대로라면 글로벌 서버에도 같은 패치가 들어와야겠지만 2024년 4월 17일, 넥슨 웨스턴 프로덕션 총괄 디렉터 오한별의 이름으로 큐브 메소화, 일일 메소 획득량 제한, 히로익(리부트) 서버의 메소 배율 삭제가 들어오지 않을것이란 내용을 발표했다.Inkwell's Note: Greetings!

이는 대만과 일본의 리부트 서버 삭제 및 한국의 리부트 배율 삭제와 월드 본섭화 등으로 본섭과 차별점이 없어질까 불안에 떨고 있던 리부트 유저들을 단숨에 안심시킨 발언이었다.

2024년 5월 29일, 맺음말에서 위 글이 올라온 한 달동안 GMS 개발자들이 밀고 있었던 계획을 훼손(undermine)하려고 하는 내외부적 딜레마가 있었지만 게임이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기 위해선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이 옳고, 타협하여 쉬운 길을 걷기보다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올바른 길을 걷고 싶다며 GMS가 KMS와는 독자적인 노선을 타겠다는 것을 명확히 하였다. 링크
2024년 6월 4일, 트레일러 영상[8]을 올리면서 상기된 GMS의 운영 방향성을 재확인시켰다.[9] 영상에서 임광현 前 디자인 팀장[10]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인 임차장이 등장했는데, 이후 9월 25일 임광현 팀장을 공식적으로 소개했다. 2월부터 이미 합류해 있었다고.

이렇게 KMS의 리부트 삭제 및 본섭화가 들어오지 않고, 기존의 리부트 서버가 유지되게 되자 리부트 월드 메소 획득량 5배 삭제 발표 후 게임을 접은 유저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고, 일부 유저들이 GMS로 넘어오기 시작했다.[11]

GO WEST 패치의 하이퍼 버닝 이벤트를 기점으로, GMS의 NEW AGE 패치보다 더 높은 유저 수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두 업데이트의 차이라면 NEW AGE 때는 국내에서의 관심도가 크게 없었지만 GO WEST 때는 국내 유저들의 관심도가 크게 높아졌다는 것이다.

2024년 8월 8일, 김창섭 디렉터가 라이브 방송에서 리부트 월드 시스템 삭제 및 일반 월드화를 발표하면서, KMS마저 리부트 월드가 사실상 종료 수순을 밟게 됐고, GMS는 전 세계 유일한 리부트 시스템이 유지되는 지역이 되었다.

메이플스토리를 플레이하고 싶어하지만 일반 월드의 성장 구조 및 사업 모델을 꺼리는 유저들이 더욱 유입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같은 날 발표된 IR 보고서에서 GMS 2분기 매출이 전년대비 49퍼 증가했다는 보고가 나왔다.

11월 12일에 발표된 IR 보고서에서는 GMS 3분기 매출이 연간 23% 상승하며 3분기 최고 매출을 갱신했다는 보고가 나왔다.

4. 주요 고유 콘텐츠

5. 특징

영어로 서비스를 하는데 동남아판(MSEA)과는 번역이 다르게 되고, 보통 한국에서 정해진 패치 이름 등이 자주 바뀌어서 나온다.[15] 또한 개명된 캐릭터나 지명 등이 많다.

이렇게 의역을 주로 하는데 문제는 이게 지나쳐 오역이 되는 경우가 좀 있다. 또한 원래 있던 설정을 아예 바꿔버리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GMS 버전 사자왕의 성에선 반 레온이 엘나스의 왕이였고 검은 마법사가 그를 회유했으나 반 레온은 거부했는데 연합군이 쳐들어와 이피아가 죽고, 이피아의 시체에 남겨진 연합군의 문장으로 인해 이피아를 죽인 것이 연합군이라고 여기게 되었다고 나온다. 또한 멜랑의 경우에는 중성적인 외모 때문에 남자인 한국과는 달리 여자로 설정하고, 이름도 멜랑기오르에서 Melangioruiana로 바꾸었는데 성우는 남자를 써 위화감이 들게 해 결국 성별을 남자로 다시 바꾸었다.[16] 이 때문에 GMS 번역 버전보다 MSEA 번역 버전을 더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단, NPC 등의 이름은 MSEA 번역보단 낫다는 말이 있다.

보통 해외 서버에서는 GMS보다 MSEA가 한국 패치를 더 빨리 받아들인다. 하지만 몇몇 컨텐츠의 패치를 미루면 GMS측에서 해당 컨텐츠가 먼저 들어올 때도 있다.[17]

예전부터 오리지날 스토리로 호평을 받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오래 전부터 존재했던 마스테리아 대륙이 있다. 오리지널 콘텐츠 '마스테리아 대륙'은 예로부터 GMS 유저들의 자랑거리였다. '좋은 스토리를 가진 옛날 콘텐츠' 하면 한국 유저들이 자연스럽게 '마가티아' 퀘스트 라인을 떠올리듯이, 구시절의 향수가 어렸으면서도 탄탄한 설정을 지닌 콘텐츠가 바로 마스테리아 대륙이었다. 그러나 제작진들이 교체된 후 복잡한 설정과 무관심 탓에 10년이 넘는 오랜 시간 동안 잊혔다가, 뺄 것은 빼고 더할 것은 더한 끝에 Masteria Through Time라는 블록버스터의 형태로 마스테리아가 다시 태어나게 되었다. 장시간 잊힌 설정들을 되살렸다는 점 자체만으로 의의가 컸지만, 너덜너덜한 헝겊조각을 기워낸 꼴이란 비유가 적절할 만큼 빠지거나 앞뒤가 안 맞는 설정이 많았을 뿐더러 스토리텔링적인 면에서 구멍이 많았기에 '추억은 추억으로'라는 유저들의 불평이 많았다. 그렇기 때문에 마스테리아 스토리는 Masteria Through Time 이전과 이후로 나눠서 그 내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만큼 설정의 디테일한 부분이 많이 교체되고 변형되었기 때문이다.

다른 마을로는 아모리아도 유명했지만 결국 개편되고 KMS버전으로 변경되었다. 본래 KMS, JMS에는 웨딩 콘텐츠에 해당하는 마을이었다.

욕설을 필터링하는데 다른 나라의 욕까지 검열한다. 한국어 욕의 변형인 c8이 여기서 필터링된다. 이 때문에 channel 8의 줄임말로 이 말을 쓰려는 사람들을 당황하게 한다.

2018년 시점 번역은 한국인 또는 한국계로 추정되는 사람이 맡았다.

운영자만 하는 테스트 서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위치에서 미리 방송을 한다. 단, 일부 유튜버 같은 사람들을 초청해서 플레이하게 할 수 있다. 링크

토트의 노하우라는 퀘스트는 저렙때 운영자가 내는 메이플 상식퀴즈를 맞추면 템을 준다. 10->30->50->70 순으로 되어있는데, 나중에 패치로 통해 삭제되었다.(...)

글섭의 유구한 전통(?) 으로 대형패치가 들어오면 점검시간을 연장해놓고 버그가 여러곳에서 터지는 일이 발생한다. 24년 겨울 패치인 'THE DARK RIDE'의 1차 업데이트의 경우, 업데이트 10시간에 연장점검을 13시간이나 하고서 3일 연속으로 추가점검을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버그가 발생하고 있다.

5.1. 코디

코디에 대한 자유도가 매우 높다. 반대 성별의 헤어와 성형을 적용시켜줄 수 있는 체인지 성형/헤어 쿠폰, 남자 캐릭터에게 여자 캐릭터의 옷을 입힐 수 있는 코디[18][19], 헤어/성형 마네킹이 그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 중에서 체인지 헤어/성형과 헤어/성형 마네킹은 본가로 들어온 상태.[20] 남캐에게 여캐옷을 입히는 코디도 이것만큼은 건져와야 한다며 지속적인 여론 형성[21]을 하는 중이다.

KMS와 다르게 라벨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22] 그로 인해 KMS에서는 스페셜 라벨 아이템 2개를 캐시 아이템으로 합성해서 확률적으로 얻을 수 있는 마스터 라벨 아이템이 GMS 버전 로얄 스타일 쿠폰인 SSB (Surprise Style Box)에서 바로 등장한다. 라벨 시스템이 없어 SSB가 아닌 패키지로 출시되기도 한다.[23]

거기에 더해 KMS는 이전 기수의 라벨 아이템을 복각하지 않지만, GMS에서는 단종되지 않고 복각된다.[24] KMS에서는 진과의 콜라보 이벤트로 기간제 마스터 라벨 선택권을 이벤트로 뿌린 것이 복각한 유일한 사례이다.

이런 장점들도 있지만 단점도 물론 존재한다. 라벨 시스템이 없어 어떤 코디 아이템이든 SSB에 넣어서 랜덤박스로 판매하는데, 보통 5~6세트의 의상이 리스트에 들어가 의상 하나당 2%의 확률이고 기념일 등 스폐셜 SSB는 더 많은 의상을 리스트에 집어넣어 의상 하나당 1%의 확률을 보여주기도 한다. 거기에다 KMS에서는 특정 기수의 코디 아이템을 모으면 의자 아이템을 주지만 GMS에서는 가챠폰 티켓에서 직접 뽑아야한다.

그 와중에 KMS에서는 로얄 스타일 쿠폰이 2200캐시에 판매 되는 것에 비해 GMS에서는 3400캐시로 더 비싼 가격이 책정되어있다. GMS는 1달러가 1000캐시이기에 환율을 계산하면 1개에 4500원 정도로 사실상 KMS의 2배 가격이다.

히로익 유저에게는 거래 불가능이 가장 큰 단점인데, 랜덤박스로 본인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선 나올 때까지 직접 가챠를 오픈해야해 운에 따른 편차가 정말 크다. 본인이 얻고 싶은 코디 아이템을 얻기 위해 몇십만원 사용했다는 후기들도 흔하게 볼 수 있다.

헤어/성형 쿠폰의 경우 새로 업데이트 될 때마다 좋지 못한 소리를 들을 정도로 리스트에 있는 모든 헤어/성형이 꽝인 경우가 많다.[25] 거기에다 KMS는 선택권으로 바뀌었지만 아직까지 랜덤박스 형태라 본인이 원하는 헤어/성형을 하기 위해선 나올 때까지 계속해서 쿠폰을 구매해야한다.

물론 장점도 있는데 마스터라벨 헤어가 단종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보통 발렌타인데이, 크리스마스, 블랙프라이데이 등 특정 기념일에 등장하는 편인데 최근 등장했던 헤어로 벨라헤어, 설아헤어, 아멜리헤어, 라리엘헤어, 클루헤어가 있을 정도 다양하게 복각된다.[26] 밤의 헤어 가발과 일부 마라벨 헤어는 현자의 서라는 아이템을 통해 복각되기도 한다. 다만 이 경우 히로익 서버는 0.5%, 인터렉티브 서버는 0.2%라는 극악의 확률을 자랑하는데다 남캐/여캐 구분 없이 등장해 원하는 헤어를 얻기 더 힘들다.

현자의 서 보다 더 악랄한 확률의 헤어와 성형도 존재하는데, 간혹 조용한 눈처럼 인기있는 성형이나 일부 마라벨 헤어가 등장하는 올스타 헤어/성형쿠폰은 이중가챠로 이루어져있다.[27]

헤어를 추출할 수 있는 헤어전승권이 존재한다. 밤의 유랑단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데, 기존에는 CMS/TMS에서만 획득 가능했으나 2024년 루디브디엄 시즌부터는 GMS에서도 얻을 수 있다. 101레벨 이상의 캐릭터에게 전승권을 사용하면 현재 착용중인 헤어가 헤어쿠폰으로 변경되고[28] 월드 내 캐릭터 공유 상태로 다른 캐릭터에게 넘겨줄 수 있다.[29][30]

GMS에서는 캐시샵 페이백이 불가능하다. KMS의 경우 위습의 원더베리에서 나온 일반 펫이나 로얄 스타일에서 나온 코디템을 메이플포인트로 페이백 하는 경우가 많은데, GMS에서는 삭제만 가능하게 되어있다. 다만 코디템은 다르게 사용하는 방법이 하나 존재하는데, 자유시장에 있는 아리라는 고양이 NPC를 통해 코디 아이템을 스탬프 쿠폰으로 교환할 수 있다. 그 옆에 있는 시로라는 고양이 NPC를 통해서는 스탬프로 의상을 교환할 수 있다.[31]

물론 이 시스템에도 단점은 존재한다. 부위 하나당 최소 쿠폰 10개, 최대 쿠폰 40개를 요구해 풀세트를 소유하기 매우 힘들다. 2025년에 스탬프샵에서 판매중인 유니콘 세트를 풀세트로 갖기위해서는 스탬프 160장 (한화 약 72만원)이 필요하다.

콜라보 이벤트가 되면 코디 관련 BM이 정말 매워진다. 코디 아이템 갯수도 정말 다양하지만 하나의 BM에서 판매하지 않고 여러 BM에 집어넣기 때문이다.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은 현자의 서, 일반 SSB, 테마 SSB, 가챠폰 티켓, 모자 SSB로 총 5개의 BM이 존재했다. 귀멸의 칼날도 SSB, 현자의 서, 가챠폰 티켓 총 3개의 BM이 존재했다.

2025년 3월에는 스팀 장터 베타버전 업데이트가 들어왔는데, 스팀장터를 통해 거래가 가능해졌다.[32] 2017년7부터의 SSB 아이템의 거래만 가능하고, 캐시샵에서 6000캐시[33]로 오스웰의 가위로 거래 가능 상태로 만들어야 거래가 가능하다.[34]

이 시스템이 가장 호평 받는 이유는 미국 서버, 유럽 서버, 인터렉티브 서버, 히로익 서버 모두 관계 없이 스팀 장터에서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35] 현재 스팀 장터가 오픈된 이후 다양한 코디 아이템들이 거래되고 있다.[36]

5.2. 스펙업

스펙업 면에서는 KMS보다 압도적으로 좋다. 다만, 본섭의 경우는 현찰이 많이 깨진다. 일단 스펙업면에서 KMS보다 좋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렇게 다양한 수단이 존재하지만, 본섭에서 플레이 하려면 자본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거기에다 KMS와 달리 GMS는 경매장이 활성화가 되어있지 않다. 다만 리부트로 간다면 얘기가 다르다. 아이템은 직접 구하더라도, 일단 스펙업 수단이 KMS보다 많고, 돈을 사용해야 할 필요가 전혀 없다.[53] 보통 리부트에서의 과금은 대부분 코디쪽이다.

6. 서버

6.1. 히로익(리부트) 서버

원래는 KMS 처럼 리부트 였으나 GO WEST! 패치로 리부트 라는 명칭 자체가 아예 변경되면서 독자적인 아이콘과 이름을 갖게 되었다. 바뀐 명칭의 이름의 유래는 그리스 로마신화에 나오는 신 인데, 둘다 가이아 와 우라노스에서 태어난 12신 에서 가져왔다.

6.1.1. 크로노스(Kronos)

선술한대로 GMS의 주력서버 라고 불릴 정도로 사람이 엄청 많아서 허구한날 서버가 다운되는게 일상인곳. 인구가 너무 과도하게 몰려있어서 유일하게 채널 증설을 했을정도 이다.[54] 그래서 평일에도 고봉밥 마냥 채널이 꽉꽉 차있는걸 볼수있다.

6.1.2. 히페리온(Hyperion)

또다른 히로익 서버 이지만, 크로노스에 엄청 몰려있어서 주목을 받지 못하는 비운의 서버. 그래도 크로노스의 50%의 인구를 자랑한다.

6.2. 인터렉티브 서버

KMS와 동일하게 운영되는 서버. 선술한 온갖 사기적인 성능의 아이템을 현찰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현재 4개의 서버 모두 저조한 인구수를 보이고 있으며, 4개의 서버를 통합하는 계획을 운영진들이 준비하고 있다.[55]

6.2.1. 베라

인터렉중에서는 얘가 그나마 제일 인구가 많다.

6.2.2. 스카니아,오로라,엘리시움

전세계 최초로 300 레벨을 찍은 Niru 라는 유저가 스카니아 유저 이다.

7.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이플스토리/문제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이플스토리/문제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이플스토리/문제점#GMS|GMS]][[메이플스토리/문제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성우 정보


출처 1, 출처 2 여기 출처에 없는 것도 있다.

New Leaf Saga 한정 출처

PCB 프로덕션[56]이라는 회사에서 캐스팅 등을 맡는다. 몇몇 성우들의 트위터란에 이들에게 감사 인사를 한 게 있다. 출처, 출처2

과거에는 JMS를 제외한 나머지 나라 서버처럼 한국어로만 음성이 나왔지만, 적어도 2016년부터 언제부턴가 영어로 더빙이 되었다. 단, 사자왕의 성은 과거부터 영어 음성이 있다. 유저들의 평은 동서양의 문화 차이에 따른 목소리의 톤이나 행동, 말투의 차이 때문에 의외로 한국어 더빙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링크

대부분의 미국에서의 게임 녹음이 그렇듯이 성우들이 캐릭터를 연기할 때에는 따로 녹음을 하기 때문에 누가 누구 역을 맡았는지는 자세하게 알 수 없다. 단, 애니메이션 트레일러에서는 같이 더빙을 한다.

전문 성우 풀이 작기 때문에 옆동네 메이플스토리2에서 역을 맡은 사람들과 겹칠 수 있다. 또한 IMDB도 위키같이 사람들이 수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이플스토리에서 역을 맡았다는 게 잘 안 나올 수 있고, 또 역을 맡은 사람이 그 링크에 잘못 적혀 있는 경우가 좀 있다.

GMS 홈페이지의 커뮤니티 매니저가 확인시켜 주면 추가한다. 이런 정보는 성우 본인이 SNS 등에서 아직 밝히지 않았어도, 한국에서는 찾기가 쉽지가 않기 때문에 FANDOM(팬덤) 위키에서 공개를 하면 우선 추가를 한다. 호영의 성우가 거기서 먼저 드러났고, 나중에 성우 본인이 연기를 했다고 밝혀진 대표적인 예시이다. 단, 이럴 때에는 확실하게 밝혀지기 전까지는 링크 이름을 '출처'가 아닌 '링크'라고 한다.

카이저 성우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목소리가 한국에 비해서 정말로 굵다. 링크

메이플이 북미에서는 한국보다 인지도가 덜해서 그런지 성우 중 메이플을 플레이한 적이 있는 사람은 남성 카데나 역을 맡은 숀 칩록, 여성 호영[57] 역을 맡은 코리나 보에트가 밖에 없다. 그나마 코리나 보에트가도 팬들과의 소통을 위해서 플레이했으며, 스트리밍 영상이 사라져서 트위터에 흔적만 있다. 단, 숀 칩록도 성우들 중에선 비교적 젊으며 빅뱅 이전에 플레이를 했기는 하지만, 당시 에반레벨 194로 비교적 헤비하게 키웠고, 이 영향 때문엔지 북미판에 캐스팅되었으며, 넥슨 아메리카에서 메이플 관련으로 유저 20명이 방문하는 이벤트를 열었을 때 특별 게스트로 초대된 적이 있을 정도로 팬으로는 성공했다.

8.1. 플레이어블 캐릭터

8.2. NPC

8.3. 악역

9. 명칭의 차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명칭의 차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명칭의 차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명칭의 차이#|]][[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명칭의 차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여담

11. 관련 문서



[1] 유럽의 경우 EMS로 따로 서비스를 지원하다 2016년에 GMS에 통합되었다.[2] 대한민국, 일본, 중국, 대만, 동남아시아(말레이시아, 싱가포르)[3] 애초에 클라이언트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서버도 같은 서버로 연결시킨다. 그래서 둘 다 동일하게 적용된다.[4] 이것도 다른 VPN을 이용시 불법프로그램 감지가 되어 종료하기 일수이다. 그나마 ExitLag같은 VPN 사용으로 플레이가 가능할 정도이다.[5] 네이버 블로그 등지에서는 허가받지 않은 방문자들 이라고 되어있다.[6] 슬라이미(해군 이등병 유령), 미스터 앵커(해군 하사 유령)가 팔레토 스왑된 상태로 등장한다.[7] 패치 명칭은 Astral Blessings[8] 펫 샵 보이즈Go West를 패러디하여 복장도 해당 MV의 펫 샵 보이즈를 패러디 했다. 옆에 영상은 이걸 패러디해서 만든 것이다.[9] 영상의 베스트 댓글이 변화가 없음을 기념하는 최초의 이벤트이다.[10] 혼테일의 아버지로 유명한 인물. 과거 오한별 디렉터 시절 2인자로 알려져 있었고, 이후로도 오랫동안 메이플스토리 개발진으로 있었다.[11] JMS 와 다르게 이쪽은 IP만 우회만 할수있다면 바로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높다.[개편] [삭제] [삭제] [15] 예를 들면 아케인심볼을 수령할때 MSEA 는 "Receive" 를 쓰지만 GMS 는 "Claim"을 써야한다.[16] 또한 제른 다르모어의 대사 "미숙한 생명의 무의미한 몸부림이라.. 보기에 심히 가엾도다."는 이전에 "The meaningless struggle of immature life... What a pathetic existence..."로 번역되었는데 신의 도시 세르니움에서는 "I am the one who tires... ...of the folly of lesser lifeforms."로 뜻은 비슷하지만 과거에 이미 나온 대사가 다시 나오진 않았다. 과거에 나온 대사가 다시 나오는 게 번거롭지도 않고 설정도 맞을텐데 그러지 않은 것이 이상하다. GMS 유저들도 이 번역이 마음에 들지 않고 차라리 팬번역이 낫다는 평을 했다. 스포일러 때문에 가린 진회색 부분은 클릭해서 봐야 한다.[17] 샤레니안의 기사는 MSEA가 패치를 미루면서, GMS에서 먼저 패치가 되었다.[18] SD풍 캐릭터 도트 이미지 특성 상 여리여리하게 보여지는 것과 캐릭터 생성 후 성별이 변경할 수 없는 것을 활용했다.[19] KMS에서는 호박 박쥐 한벌옷과 한벌옷 모루에만 가능한 세계여행 이벤트 아이템인 칸나 음양사복만 남녀공용 치마의상이다. GMS에서는 발레리나 복장, 가슴의 굴곡이 묘사된 의상 같은 것들을 남캐용으로 따로 판매한다. 그 외에도 남녀 구분이 되지 않고 남녀공용으로 입힐 수 있는 아이템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20] 다만 마네킹의 경우 GMS의 시스템을 그대로 들고가지 않았다. GMS에서는 헤어/성형 슬롯이 각각 100개이고 슬롯을 여는데 1달러 또는 1000마일리지만 필요한데, KMS에서는 최대 슬롯이 30개인데다 슬롯을 오픈하는데 훨씬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한다. UI도 다르다.[21] 특히 성별 자유선택이 안 되던 시절부터 시작한 올드유저들 및 성별이 남성으로 고정되어 있는 미하일 유저들. 본인 의지 없이 남캐를 하고 있어서 더욱 절실한 상태다.[22] 자석펫 라벨인 쁘띠 루나만 유일하게 존재한다.[23] 2024년에는 스페셜 라벨인 키네시스 세트가 패키지로 판매되기도 했다.[24] 다만 현재 GMS에서도 이전 기수의 마스터 라벨 아이템은 복각을 잘 안하고 있다.[25] 보통 KMS에서 인기있는 헤어/성형은 거의 희박한 수준으로 등장한다.[26] 다만 마라벨 헤어는 다른 헤어보다 확률이 더 낮다. 마라벨 헤어가 복각되면 몇십만원을 과금해 겨우 뽑았다는 후기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27] 올스타 헤어/성형 쿠폰을 낮은 확률로 특정 BM에서 뽑고, 또 랜덤 확률로 리스트에 있는 헤어/성형이 등장한다.[28] 다만 복사를 방지하기 위해 착용중인 헤어가 마네킹 슬롯에 남아있지 않아야한다. 염색한 헤어도 마찬가지.[29] 추출한 캐릭터는 남캐의 경우 검은색 토벤 헤어, 여캐의 경우 주황색 깜찍이 헤어 상태로 바뀐다.[30] 가지고 있는 캐시 헤어를 다른 캐릭터에게 주기 위해 쓰는 경우도 있지만, 캐릭터 생성 시 기본헤어를 옮겨주기 위해 쓰는 경우도 많다.[31] 다만 SSB에 등장한 의상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고, 스탬프샵 전용 의상을 판매한다. 품목 교체 시기는 1년으로 추정.[32] GMS는 스팀 연동을 지원해 스팀장터를 플랫폼으로 삼은 것으로 추측된다.[33] 업데이트 당시에는 3000캐시로 할인했다.[34] 착용 등의 이유로 거래 불가능 상태의 코디는 거래할 수 없는 KMS와 달리 거래 불가 코디 아이템도 가위를 통해 거래할 수 있다.[35] 특히 히로익 서버 유저들에게 가장 긍정적인데, 히로익 서버의 경우 거래 불가능이라는 원칙 때문에 본인이 직접 SSB에서 원하는게 나올 때까지 몇십만원을 결제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36] GMS에서는 흔히 라벨 프리미엄이라 부르는 단종 라벨 아이템에 대한 프리미엄이 없기에 KMS에서 비싼 가격에 거래되는 아이템이 저렴한 가격에 거래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죽음의 데스, 인형의 꿈, 깨비깨비 얼굴장식, 샐리맨더, 달콤 호박별 등의 아이템이 5만원 이하에 거래되곤 한다. 특히 가장 비교되는건 티파티 왕리본인데, KMS에서 2~3천억 메소에 거래되는 아이템이 GMS에서는 6~8천원이면 구매가 가능하다. 물론 피의 서약, 별빛 대공녀, 무한성단 등 인기 있는 아이템은 몇십만원에 거래되곤 한다.[37] 현재는 MSEA를 제외한 해외서버 모두에 있다.[38] KMS보다 GMS에서 레벨 300이 더 먼저 등장한 이유다.[39] 이 프렌지 토템은 마블머신이라는 가챠시스템에서만 등장해 현찰로 약 300만원에 거래된다. 가격이 비싸 쉽게 구하지 못하다 보니, 과거의 비숍 홀리심볼처럼 프렌지토템을 가진 유저가 일정 금액을 받고 토템을 깔아주는 서비스가 존재한다. 2020년 이후 마블머신 목록에 사라져 구할 수 없었으나, 현재 본섭에서는 일부 부활한 상태다. 가끔 등장하는 현자의 서 또는 이벤트에서 기간제 프렌지 토템을 얻을 수 있다. 과거 리부트에서도 와일드 토템이라는 프렌지 토템보다 젠률이 적고 리스폰 타임이 길지만 비슷한 효과가 있는 토템을 마일리지샵에서 판매했으나, 현재는 제공되지 않는다.[40] 에스텔라 이어링은 오죽하면 공팟에서 블링크빵에 패배해도 주워갈 수 있을 정도다.[41] 다만 트와일라이트는 주로 착용하는데, 가디언 엔젤링과 같이 착용하면 보공 10%가 들어오기 때문에 얼장,반지는 착용해준다.[42] 다만 골드애플에서도 좋은 아이템이 나오듯이 현자의 책에서도 좋은 아이템이 등장한다. 그 중 하나가 마라벨 헤어인데, KMS에서 시세가 천장을 뚫는 흰토끼/앨리스헤어나 밤의 라문/라리엘, 밤의 아렌/아멜리등의 마라벨 헤어가 현자의 서 목록에 등장한다. 참고로 히로익에도 현자의 책을 구매할수 있는데, 주문서 관련은 안뜨고 코디템만 뜬다.[43] 특히 상시 피흡으로 만들어주는 천상의 숨결 반지가 마블머신으로만 풀고있다.[44] 자체적인 윈부가 있는 바이퍼와 스트라이커는 너클의 기본 공속인 5에서 부스터와 윈부를 통해 2로 올라가고 여기서 여분의 공속 증가 1이 남기 때문에 익스그린 하나만 써도 공속 0이 될 수 있다.[45] 50%, 60%, 100%. 100%를 추가해주는 Lage Drop은 필수템으로 여겨진다. 다만 중복착용은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아이템 드랍률이 400까지 적용될 때 GMS는 400프로를 다 채우는 경우가 빈번했다. 추가드랍률이 아닌 장신구로 얻을 수 있는 드랍률을 채워주는 패밀리어도 있는데, 이 경우 드메템에 대한 부담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46] 중복착용이 가능하며 최대 120퍼센트까지 적용된다. 이로 인해 GMS에서는 무기, 보조무기, 엠블렘에서의 보스 공격력 효율이 떨어지는 편이다.[47] 일정시간이 지날때마다 체력이 회복된다. 개인힐, 파티힐, 주변힐이 있으며, 윌 2페이즈와 진힐라에서도 적용된다. 이로 인해 GMS는 윌과 진힐라의 체감 난이도가 하락하는 편이다.[48] TMS에서는 최종데미지 증가 옵션도 등장한다.[49] 이로 인해 리부트에서는 레전드리를 못 얻는 것으로 알 수 있지만, 간혹 아주 낮은 확률로 노히메 등 일부 주간보스에서 드랍된다. 물론 정말 낮은 확률이라 1년에 1명 먹을까 말까한 수준이다.[50] 시간이 지난 후 수상한 패밀리어 큐브가 추가되었으나 1달에 구매할 수 있는 갯수가 매우 적었고, 현재는 이벤트로만 풀고 있다.[51] 이 경우 메소/경험치/솔에르다 조각을 다 포기하는 것이다.[52] 다만 반년에 한 번씩 한 지역의 패밀리어를 업데이트해 유저들은 더 빠르게 업데이트되길 바라고 있다. 이렇게 업데이트 되다간 탈라하트 패밀리어는 2027년 여름에 나오게 된다.[53] 마블머신은 리부트에선 뽑지못하게 막아놨다.[54] 히페리온을 포함해서 다른 본섭의 인구를 합쳐도 크로노스보다 적다![55] 각 서버의 인구가 너무 적어 거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많이 퇴색되기 때문. 그 예시로 KMS에서 스타포스 개편 업데이트가 발표된 이후에 히로익도 분위기가 안좋았지만 인터렉티브도 분위기가 안좋았는데, 스타포스가 개편되며 하락이 삭제된 대신 파괴확률이 증가했고 스타포스가 30성까지 늘어나며 이전보다 더 많은 별을 달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많은 스페어 아이템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경매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테르넬 방어구 같은 아이템들은 실질적으로 올라오는 매물이 많지 않다.[56] 성우 발레리 아렘이 남편 키스 아렘과 함께 창업한 회사이다. 발레리 본인도 에브릴 등의 역을 맡았다. 링크[57] 재미있게도 한국 남성 호영 성우인 남도형도 팬들과의 소통을 위해 메이플을 플레이해본 적이 있다.[58] 히어로, 팔라딘, 다크나이트.[59] 아크메이지(불,독), 아크메이지(썬,콜), 비숍.[60] 보우마스터, 신궁.[61] 나이트로드, 섀도어, 듀얼블레이드.[62] 바이퍼, 캡틴, 캐논슈터.[63] 몬순 성우는 잰시 후인으로 윈드브레이커 역을 맡은 성우와 중복되는 다른 서버와는 다르다.[64] 메이플스토리를 좋아하고 GMS 헤비 유저로 알려져 있다. 북미판에 각종 단역으로 먼저 캐스팅된 것도 이 영향이 있었던 듯하다. 이후 카데나(男) 역을 맡게 되었다.[65] 메이플 레딧에 직접 등장했다. 성우 본인이 트위터에서 해당 사실을 공지했다. 자신이 직접 GMS 버전 숏 애니메이션을 찾는 등 이 역에 애착이 크다.[66] 같은 메이플 레딧의 댓글 모음에 따르면 한 레딧 회원(메이플 팬덤 위키 주인)이 GMS의 커뮤니티 마스터 Ghiblee에게 문의한 결과 확인되었고, 이틀 뒤 성우 본인이 트위터에서 해당 사실을 공지했다. 또한 해당 성우가 트위치 스트리머이기도 해서 트위치에서 직접 GMS의 호영 캐릭터로 접속한 걸 스트리밍(삭제)하기도 했다.[67] 메이플스토리M 오리지널 직업.[68] 레딧에서는 고대신이라고 언급했는데 성우가 NOVA 업데이트 때 오디션에 참여한 걸로 보면 정황상 고대 크리스탈로 보인다.[A] [A] 목소리가 같이 나왔다.[A]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if external != "o"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uuid=ccb04edb-f32d-4ac8-9def-c352dd65f96d|r62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uuid=ccb04edb-f32d-4ac8-9def-c352dd65f96d#s-3|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from=625|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if external != "o"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uuid=ccb04edb-f32d-4ac8-9def-c352dd65f96d|r62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uuid=ccb04edb-f32d-4ac8-9def-c352dd65f96d#s-3|3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from=625|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if external != "o"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uuid=ccb04edb-f32d-4ac8-9def-c352dd65f96d|r625]]}}}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uuid=ccb04edb-f32d-4ac8-9def-c352dd65f96d#s-5.4|5.4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from=625|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숀 칩록|숀 칩록]]}}}{{{#!if external != "o"
[[숀 칩록]]}}}}}}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숀 칩록?uuid=2f3ad015-a5d5-420b-a216-7a8caab689bd|r67]]}}}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숀 칩록?uuid=2f3ad015-a5d5-420b-a216-7a8caab689b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숀 칩록?from=67|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